KR101961430B1 -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 Google Patents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430B1
KR101961430B1 KR1020180120924A KR20180120924A KR101961430B1 KR 101961430 B1 KR101961430 B1 KR 101961430B1 KR 1020180120924 A KR1020180120924 A KR 1020180120924A KR 20180120924 A KR20180120924 A KR 20180120924A KR 101961430 B1 KR101961430 B1 KR 101961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iffener
block body
strip
reinforcem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주)태웅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웅기업 filed Critical (주)태웅기업
Priority to KR1020180120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은,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천공되어 속채움 골재가 채워지는 다수의 다용도홀과,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다른 블록몸체와 형합하는 전면요철 및 후면요철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몸체와 서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및 끼움홈과,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 일부를 덮고 양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둘러진 후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띠형보강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와, 상기 띠형보강재가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킨 상태로 둘러지도록 안내하는 보강재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은, 뒤채움골재가 채워지는 다용도홀이 형성되고 적층시 옹벽을 형성하는 보강토블록과, 상기 보강토블록의 외면을 두른 상태를 유지하여 보강토블록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띠형보강재를 준비하는 자재준비단계와, 상기 보강토블록에 형성된 보강재권취부에 띠형보강재를 위치시켜 인접한 다른 보강토블록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둘러지게 하는 보강재권취단계와, 상기 띠형보강재가 권취된 보강토블록을 설치하는 블록설치단계와, 상기 보강토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된 띠형보강재의 단부를 구속하는 보강재구속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Reinforcement Block having a Groove for winding reinforcement}
본 발명은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띠형보강재를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도록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토블록 시공 시 인접 블록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보강재권치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토블록에 둘러진 띠형보강재의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띠형보강재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토블록의 두께 및 길이 방향으로 구배를 주어 성형 후 취출이 용이하게 하고, 띠형보강재 설치 시 접힘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설치된 띠형보강재에 의해 보강토블록에 하측 방향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보강토블록의 전방 들뜸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블록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산악지는 물론 토지가격이 높은 지역 등에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많이 이용한다.
즉,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깎아 내거나 해안을 메울 때,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제방이나 도로 측벽 등에 석재나 콘크리트 등으로 된 보강토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게 된다.
그리고 아파트 단지조성과 사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과 그밖에 산업단지, 수로공사 등에도 보강토블록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강토블록은 서로 위로 겹쳐지게 적층되며 이때 보강토블록 상호간의 결속력만으로는 보강토블록 후방측의 토사로부터 작용하는 하중을 견디기가 어렵다.
따라서 여러 층으로 축조되는 보강토블록을 뒷채움 보강토 구간에 결속시켜 보강하는 블록보강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블록보강수단으로는 현재 지오그리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오그리드는 축조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전형적인 예로서 토목섬유의 하나인 폴리에스테르제의 비교적 가는 띠부재가 그물망 형태로 엮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지오그리드는 인장강도가 약하고 신율변형이 크기 때문에 보강토블록의 후방 보강토 구간에 매설된 지오그리드가 토압에 의해 점차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그 변형이 옹벽에 까지 영향을 줌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의 옹벽을 장기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뒷채움재가 양질의 토사가 아닌 암, 버럭 등을 포함한 현장토가 사용되는 경우 뒷채움재 다짐 시 찍힘 등으로 인장강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철제 매쉬그리드를 사용하는 옹벽 축조공법이 개발되어 있다. 철제 매쉬그리드는 지오그리드에 비하여 인장강도가 크고 신율변형이 거의 없어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부식에 약하여 점차적으로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과, 곳곳에 배치되는 용접부에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558호에는 도 1과 같이 보강재(30)의 우측단에 연결바(40)를 구비하고, 연결바(40)는 걸림홈(22)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블록의 우측부에는 연결핀(21)과 핀수용홈(21a)을 구비함으로써 끼움 및 걸림 결합에 의해 보강토 옹벽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보강재(3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바(40)는 걸림홈(22)에 대하여 좌측 방향 힘을 가하게 되므로 보강토옹벽의 우측부는 상부 방향으로 들리게 되어 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바(40)는 걸림홈(22)에 걸림 결합되어 있어 걸림홈(22)에 큰 응력이 집중하게 되므로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바(40), 보강재(30), 연결핀(21) 등 다수의 부품을 서로 끼움 결합하여 시공되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7774호에는 도 2와 같이 블록본체(1)에 연결봉(3)을 삽입하되, 연결봉(3)에는 보강재(2)가 둘러지게 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노동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출원 역시 블록본체(1)의 상부에만 인장력이 가해져 전방이 들리는 구조이므로 안정적이지 않으며, 연결봉(3)은 걸림양이 적어 보강재(2)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이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띠형보강재를 안정되게 권취할 수 있도록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토블록 시공 시 인접 블록간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보강재권치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토블록에 둘러진 띠형보강재의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띠형보강재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토블록의 두께 및 길이 방향으로 구배를 주어 성형 후 취출이 용이하게 하고, 띠형보강재 설치 시 접힘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립방지부를 구비하여 띠형보강재 설치 시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된 띠형보강재에 의해 보강토블록에 하측 방향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보강토블록의 전방 들뜸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은,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천공되어 속채움 골재가 채워지는 다수의 다용도홀과,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다른 블록몸체와 형합하는 전면요철 및 후면요철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몸체와 서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 및 끼움홈과,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 일부를 덮고 양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둘러진 후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띠형보강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와, 상기 띠형보강재가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킨 상태로 둘러지도록 안내하는 보강재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권취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띠형보강재가 블록몸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두르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며 하측 및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상기 경사안내부의 단부에서 띠형보강재가 둔각으로 꺾이도록 안내하는 둔각유도부와, 상기 둔각유도부 외측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둘러진 띠형보강재를 블록몸체의 하면 후방으로 안내하는 후방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안내부에는, 상측에 덮인 띠형보강재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립방지부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면과, 상기 슬립방지면 인근에는 슬립방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띠형보강재가 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슬립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안내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블록몸체가 적층시 끼움결합된 슬립방지돌기와 하부안내홈 사이의 틈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은, 뒤채움 골재가 채워지는 다용도홀이 형성되고 적층시 옹벽을 형성하는 보강토블록과, 상기 보강토블록의 외면을 두른 상태를 유지하여 보강토블록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띠형보강재를 준비하는 자재준비단계와, 상기 보강토블록에 형성된 보강재권취부에 띠형보강재를 위치시켜 인접한 다른 보강토블록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로 둘러지게 하는 보강재권취단계와, 상기 띠형보강재가 권취된 보강토블록을 설치하는 블록설치단계와, 상기 보강토블록의 외측으로 노출된 띠형보강재의 단부를 구속하는 보강재구속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권취단계는, 상기 보강토블록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안내부에 띠형보강재를 경사지게 안착하는 보강재안착과정과, 상기 경사안내부의 좌/우측으로 드리워진 띠형보강재를 적층되는 보강토블록의 슬립방지돌기와 하부안내홈 사이에 위치시키는 보강재관통과정과, 상기 슬립방지돌기와 하부안내홈 사이에 위치하는 띠형보강재를 보강토블록의 상면에 함몰된 후방안내부로 수용하는 보강재수용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토블록 시공시 인접한 보강토블록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결합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옹벽 축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토블록에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되어 띠형보강재를 안정되고 빠르게 권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토블록에 둘러진 띠형보강재의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띠형보강재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이 용이한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는 하측 방향 및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넓어지게 설계됨으로써 성형 후 취출이 용이하며, 띠형보강재의 응력 집중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경사안내부 상면의 다수 돌기와, 슬립방지돌기 및 하부안내홈을 구비하여 띠형보강재의 슬립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된 띠형보강재에 의해 보강토블록에 하측 방향 힘이 가해지도록 하여 보강토블록의 전방 들뜸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76558호에 개시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개요도.
도 2 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77774호에 개시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록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상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에서 도 5의 Ⅰ-Ⅰ'부 및 Ⅱ-Ⅱ'부 외형을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하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저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에서 일 단계인 보강재권취단계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에서 보강재권취부의 작용을 보인 측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보강토블록(100)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블록몸체(110)에 의해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110)는 좌/우측단에 또 다른 블록몸체(110)와 형합할 수 있도록 전면요철(120) 및 후면요철(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부에는 뒤채움 골재가 채워지는 다용도홀(112)이 천공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몸체(110)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돌기(114) 및 끼움홈(1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토블록(100)은 다수가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하게 되며, 적층된 틈 사이에 띠형보강재(150)가 위치한다. 상기 띠형보강재(150)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보강토블록(100)으로부터 하부 양단부 후방으로 튀어나온 후 인장력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보강토블록(100)이 토압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기울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띠형보강재(150)는 기다란 띠 형상을 가지되 중앙부는 보강토블록(100)의 상면에 위치하고, 좌/우측은 보강토블록(100)의 측면을 감싼 후 하측으로 내려와 후방으로 빠짐으로써 양단부에 구속력이 가해지는 경우 보강토블록(100)의 전면이 들뜨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보강토블록(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상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에서 도 5의 Ⅰ-Ⅰ'부 및 Ⅱ-Ⅱ'부 외형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상기 보강토블록(100)은 하나의 덩어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다용도홀(112)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블록(100)의 전/후면에는 전면요철부(120)와 후면요철(130)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요철부(120)와 후면요철(130)은 블록몸체(110)의 좌/우측부에서 돌출 및 함몰되어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110)와 형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블록몸체(110)가 평면상에서 길게 시공될 때 상기 전면요철부(120)는 인접한 블록몸체(110)와의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몸체(110)는 후방으로 갈수록 외형 치수가 작아지게 구성함으로써 곡면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몸체(110)의 후방 좌/우측에는 후면요철(130)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요철(130)은 상기 블록몸체(110)를 라운드지게 곡면 시공할 때 인근의 블록몸체(110)의 후면요철(130)과 형합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후면요철(130)은 좌/우의 형상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측은 함몰되게 구성하고, 우측은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끼움돌기(1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114)는 블록몸체(11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된 끼움홈(116)에 끼워짐으로써 적층된 블록몸체(110)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걸림 구속하며, 작업시 선형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구배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면에는 위치확인부(118)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확인부(118)는 보강토블록(100)을 지그재그(zigzag)로 적층시에 상측에 위치하는 보강토블록(100)의 안착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선 형태로 함몰 형성하였다.
상기 블록몸체(110)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보강재권취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권취부(140)는 띠형보강재(150)가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110)에 의해 응력을 방지 않고,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110)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슬립 없는 상태로 둘러지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강재권취부(140)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강재권취부(140)는 블록몸체(110)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띠형보강재(150)가 블록몸체(110)를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두르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142)와, 상기 경사안내부(142)에 인접하고, 블록몸체(110)에 상부면 후방부에 위치하며 돌출 성형되어 띠형보강재(150)가 후방 방향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하는 슬립방지돌기(162)와, 상기 슬립방지돌기(162)를 거쳐 하부 방향으로 내려온 띠형보강재(150)가 둔각으로 꺾이도록 안내하는 둔각유도부(145)와,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부에 함몰되어 띠형보강재(150)가 완만하게 접혀 접힘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안내홈(143)과,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서 하부 방향에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상부면에 경사지게 둘러진 후 하부안내홈(143)을 거쳐 후방으로 뻗은 띠형보강재(150)를 수용함으로써 서로 적층된 한 쌍의 블록몸체(110)사이를 가압없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후방안내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부(142)는 도 4에서 볼 때 블록몸체(110)의 중앙부에 가장 낮은 위상을 갖도록 함몰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져 경사짐으로서 경사안내부(142)에 안착되고 남아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띠형보강재(150)가 아래로 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안내부(142)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슬립방지면(161)이 구비된다. 상기 슬립방지면(161)은 경사안내부(142) 전체면에 걸쳐 다수의 돌출 돌기가 형성되어 띠형보강재(150)가 슬립하지 않도록 마찰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경사안내부(142)를 미끄러짐 없이 통과한 띠형보강재(150)는 경사안내부(142)에 인접하고, 블록몸체(110) 상부면 후방부에 위치하며 돌출 성형된 슬립방지돌기(162)에 의해 완벽하게 미끄러짐이 없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립방지돌기(162)를 거쳐 하부안내홈(143)로 가는 띠형보강재(150)는, 상기 블록몸체(110)에서 상기 경사안내부(142)가 형성된 부위는 하측 및 후방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띠형보강재(150)가 둔각으로 꺾이도록 안내하는 둔각유도부(145)을 거쳐, 접힘량을 최소화시킨 다음 하부안내홈(143)로 가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둔각유도부(145)는 도 6의 상측그림과 같이 블록몸체(110)의 후방 좌우 뼈대가 하부 방향으로 구배를 주어(a<b) 성형 후 취출 시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띠형보강재(150)의 접힘량을 감소시키며, 도 6의 하측 그림과 같이 블록몸체(110)의 후방 좌우 뼈대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c>d) 띠형보강재(150)의 접힘량을 다시 한 번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후방안내부(144)는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 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블록몸체(110)가 적층 시 끼움결합된 슬립방지돌기(162)와 하부안내홈(143) 사이의 틈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경사안내부(142)에 중앙부에 얹어진 띠형보강재(150)의 양측은 슬립방지돌기(162)에 의해 미끄러짐이 한 번 더 방지된 후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둔각유도부(145)를 거쳐 접힘량을 줄인 이후, 다시 블록몸체(110) 하부면의 하부안내홈(143)에서 접힘량이 최소화 된 후 후방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블록몸체(110)의 하부안내홈(143)을 따라 후방으로 유도된 띠형보강재(150)는, 슬립방지돌기(162)의 끼움홈(116) 함몰 깊이보다 낮게 돌출되어 하부안내홈(143)에 끼워지더라도 약간의 틈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틈을 통해 후방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이 틈은 상기 후방안내부(144)와 연통함으로서 상기 하부안내홈(143) 내부에 안내된 띠형보강재(150)는 도 3과 같이 후방안내부(144)를 따라 후방 방향 안내되어 보강토블록(100)의 외측으로 다시 노출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보강토블록(100)의 반대면 구성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하부면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저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강토블록(100)의 다용도홀(112) 상/하측에는 끼움홈(116) 및 하부안내홈(143)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116) 및 하부안내홈(143)은 소정의 폭을 갖고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이 함몰 형성되어 전술한 끼움돌기(114) 및 슬립방지돌기(162)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116) 및 하부안내홈(143)은 끼움돌기(114) 및 슬립방지돌기(162)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되어 보강토블록(100)의 곡선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보강토블록(10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는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의 시공방법에서 일 단계인 보강재권취단계(S2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공정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권취부(140)가 구비된 보강토블록(100)에서 보강재권취부(140)의 작용을 보인 측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보강토블록(100)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띠형보강재(150)가 필요하다. 즉, 상기 보강토블록(100)과 띠형보강재(150)를 준비하는 자재준비단계(S100)가 실시된다.
상기 자재준비단계(S100)에서 보강토블록(100)과 띠형보강재(150)는 모두 다수로 구비되며, 보강토블록(100)의 쌓는 방식에 따라 띠형보강재(150)와 상이한 개수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자재준비단계(S100)에서 준비된 보강토블록(100)은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도 3과 같이 아래층에 다수 놓이게 되고, 위층에는 아래층과 완전히 겹쳐지지 않도록 놓여지게 된다.
이때 위층에 위치하게 될 보강토블록(100)에는 보강재권취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보강재권취단계(S200)는 띠형보강재(150)를 보강토블록(100)의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순차적으로 두른 후 띠형보강재(150)의 양단부를 도 3과 같이 빼내는 과정이다.
즉, 상기 보강재권취단계(S200)는 보강토블록(100)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안내부(142)에 띠형보강재(150)를 경사지게 안착하는 보강재안착과정(S220)과, 상기 경사안내부(142)의 좌/우측으로 드리워진 띠형보강재(150)를 적층되는 보강토블록(100)의 끼움 결합을 위한 슬립방지돌기(162) 및 하부안내홈(143) 사이에 위치시키는 보강재관통과정(S240)과, 상기 슬립방지돌기(162)와 하부안내홈(143) 사이에 위치하는 띠형보강재(150)를 보강토블록(100)의 상면에 함몰된 후방안내부(144)로 수용하는 보강재수용과정(S260)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권취단계(S200)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강재안착과정(S220)은 도 11과 같이 상측에 위치한 보강재블록의 경사안내부(142) 상면에 띠형보강재(150)를 안착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띠형보강재(150)는 경사안내부(142)에 형성된 슬립방지면(161)과 슬립방지돌기(162)에 의해 슬립이 방지된다.
상기 경사안내부(142)에 안착되지 못한 나머지 띠형보강재(150)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경사안내부(142)의 경사에 의해 도 11과 같이 좌/우측 하향으로 절곡된다.
이후 상기 슬립방지돌기(162)와 하부안내홈(143) 사이의 이격된 틈 사이로 띠형보강재(150)를 위치시키는 보강재관통과정(S240)을 실시하게 되고, 이러한 틈은 후방안내부(144)와 연통됨에 따라 띠형보강재(150)를 도 11과 같이 우측 방향으로 빼내어 보강재수용과정(S260)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재권취단계(S200) 이후에는 블록설치단계(S300)를 실시한다. 상기 블록설치단계(S300)는 상기와 같이 다수 회 절곡되면서 보강토블록(100) 외면에 권취된 띠형보강재(150)와 보강토블록(100)을 동시에 아래로 내려 하측의 보강토블록(100)과 끼움 결합하는 과정이다.(도 11 참조)
상기 블록설치단계(S300)가 완료되면 상기 띠형보강재(150)는 쉽게 이탈되지 못하고, 양단부가 후방으로 빠져나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보강재구속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보강재구속단계(S400)는 보강토블록(100)의 우측으로 빠져나온 다수의 띠형보강재(150) 단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속함으로써 상기 보강토블록(100)이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보강토블록(100)의 시공이 완료된다. 물론 다용도홀(112)에 속채움 골재등을 채우는 과정과, 띠형보강재(150) 상측을 토사로 매립하는 과정 등이 더 실시되나, 본 발명에서는 띠형보강재(150)를 설치하는 과정까지만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보강토블록 110. 블록몸체
112. 다용도홀 114. 끼움돌기
116. 끼움홈 118. 위치확인부
120. 전면요철부 130. 후면요철
140. 보강재권취부 142. 경사안내부
143. 하부안내홈 144. 후방안내부
145. 둔각유도부 150. 띠형보강재
160. 슬립방지부 161. 슬립방지면
162. 슬립방지돌기 S100. 자재준비단계
S200. 보강재권취단계 S220. 보강재안착과정
S240. 보강재관통과정 S260. 보강재수용과정
S300. 블록설치단계 S400. 보강재구속단계

Claims (7)

  1. 삭제
  2.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내측에 천공되어 속채움 골재가 채워지는 다수의 다용도홀과,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다른 블록몸체와 형합하는 전면요철 및 후면요철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블록몸체와 서로 끼움 결합하는 끼움돌기및 끼움홈과,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 일부를 덮고 양단부는 하부방향으로 둘러진 후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띠형보강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와, 상기 띠형보강재가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접힘량을 최소화하여 응력을 분산시킨 상태로 둘러지도록 안내하는 보강재권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강재권취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되어 띠형보강재가 블록몸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두르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측면 일부를 형성하며 하측 및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 상기 경사안내부의 단부에서 띠형보강재가 둔각으로 꺾이도록 안내하는 둔각유도부와,
    상기 둔각유도부 외측에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둘러진 띠형보강재를 블록몸체의 하면 후방으로 안내하는 후방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부에는,
    상측에 덮인 띠형보강재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슬립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면과,
    상기 슬립방지면 인근에는 슬립방지면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띠형보강재가 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슬립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안내부는,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블록몸체가 적층시 끼움결합된 슬립방지돌기와 하부안내홈 사이의 틈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0924A 2018-10-11 2018-10-11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KR101961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24A KR101961430B1 (ko) 2018-10-11 2018-10-11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924A KR101961430B1 (ko) 2018-10-11 2018-10-11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20A Division KR102128425B1 (ko) 2019-01-23 2019-01-23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430B1 true KR101961430B1 (ko) 2019-03-22

Family

ID=6594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924A KR101961430B1 (ko) 2018-10-11 2018-10-11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4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KR102237699B1 (ko) * 2020-12-21 2021-04-08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334514B1 (ko) * 2021-07-05 2021-12-02 한숙희 옹벽 축조용 블록
WO2022076096A1 (en) * 2020-10-09 2022-04-14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KR20220046016A (ko) 2020-10-06 2022-04-14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체인식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USD950775S1 (en) 2020-10-09 2022-05-03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USD952907S1 (en) 2020-10-09 2022-05-24 Shoreline Stone Manufacturing Carib, Inc. Masonry blo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49A (ko) * 1998-08-26 2000-03-1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1709044B1 (ko) * 2016-10-14 2017-02-21 (주)태웅기업 조립형이동로가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5508B1 (ko) * 2017-01-23 2017-09-07 주식회사 코뉴 절토부 및 성토부의 옹벽시공을 위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49A (ko) * 1998-08-26 2000-03-15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1709044B1 (ko) * 2016-10-14 2017-02-21 (주)태웅기업 조립형이동로가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5508B1 (ko) * 2017-01-23 2017-09-07 주식회사 코뉴 절토부 및 성토부의 옹벽시공을 위한 중력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KR20220046016A (ko) 2020-10-06 2022-04-14 경성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체인식 보강토 블록 및 그 시공방법
WO2022076096A1 (en) * 2020-10-09 2022-04-14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USD950775S1 (en) 2020-10-09 2022-05-03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USD952907S1 (en) 2020-10-09 2022-05-24 Shoreline Stone Manufacturing Carib, Inc. Masonry block
US11352760B2 (en) 2020-10-09 2022-06-07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EP4225996A4 (en) * 2020-10-09 2024-05-22 Shoreloc Design Group Inc MASONRY BLOCK
KR102237699B1 (ko) * 2020-12-21 2021-04-08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2334514B1 (ko) * 2021-07-05 2021-12-02 한숙희 옹벽 축조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430B1 (ko)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
CA2551938C (en)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facing elements for its construction
US5494379A (en) Earthen work with wire mesh facing
US7491018B2 (en)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facing elements for its construction
US4790690A (en) Stabilised earth structures
IT9021289A1 (it) Blocco particolarmente per la realizzazione di muri di contenimento a secco
JP5842006B2 (ja) 補強土構造物
KR102173364B1 (ko) 다기능 보강토블록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US5951209A (en) Earthen work with wire mesh facing
KR20120137437A (ko) 옹벽 성토 구조체
KR20120093152A (ko) 보강된 흙 구조물을 위한 연결 디바이스와, 관련된 구조 및 방법
JP7149168B2 (ja) アンカー補強土壁構造
KR102128425B1 (ko) 보강재권취부가 구비된 보강토블록의 시공방법
KR20130010494A (ko) 타이어 토양보강 시스템
KR20180101986A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TWI558887B (zh) Construction methods and filling methods for weak sites and sites with liquefaction concerns, as well as structural bags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JP2003096778A (ja) 土壁構築工法
KR102016113B1 (ko)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연결고정수단과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시공방법
JP2004204669A (ja) 擁壁ブロック及び同擁壁ブロックの段積み工法
CN219011296U (zh) 一种加筋土挡墙的施工结构
JP4252060B2 (ja) 補強土工法
JP4651328B2 (ja) 管状体の埋設工法
KR20160012650A (ko)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