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650A -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650A
KR20160012650A KR1020140094513A KR20140094513A KR20160012650A KR 20160012650 A KR20160012650 A KR 20160012650A KR 1020140094513 A KR1020140094513 A KR 1020140094513A KR 20140094513 A KR20140094513 A KR 20140094513A KR 20160012650 A KR20160012650 A KR 20160012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net
ropes
soft groun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성
Original Assignee
김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성 filed Critical 김무성
Priority to KR102014009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650A/ko
Publication of KR2016001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6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forming sand drains containing only loose aggre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하부지반 개량을 위하여 드레인 장비 등이 진입할 수 있도록 준설토의 포설과 같은 연약지반 상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약지반의 상부 점토층에 네트를 포설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 미리 제작된 네트를 단순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연약지반 상부에서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이용한 직조와 같은 방법으로 현장에서 네트를 형성시키는 작업이 곧 네트를 포설하는 것이 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을 단시간에 네트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를 포설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연액지반 상부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조와 같은 방식으로 현장에서 직조하여 형성된 로프 네트이고; 상기 로프 네트는 다수 가닥의 제1로프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공정과, 제1로프의 상부에 제1로프와 90도 각도를 이루고 제1로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개의 제2로프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2공정과, 제2로프의 상부에 제1로프와 평행되고 제1로프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3로프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3공정과, 제3로프의 상부에 제2로프와 평행되고 제2로프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4로프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4공정과, 상기 로프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철사로 묶어 고정하는 제5공정으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로프 네트를 형성하는 것이 연약지반 상부에 로프 네트를 포설하는 것과 동일한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Process of surface reinforcement for soft ground using weaving rope}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하부지반 개량을 위하여 드레인 장비 등이 진입할 수 있도록 준설토의 포설과 같은 연약지반 상부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약지반의 상부 점토층에 네트를 포설하여 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을 실시함에 있어, 미리 제작된 네트를 단순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연약지반 상부에서 작업자가 로프를 이용하여 경사와 위사를 이용한 직조와 같은 방법으로 현장에서 네트를 형성시키는 작업이 곧 네트를 포설하는 것이 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을 단시간에 네트 포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경제발전에 따른 가용 토지 확보를 위하여 해안매립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매립재료로는 항로준설 등을 통하여 바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해성 점토나 준설점토가 주로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준설매립지반은 투기 초기에는 거의 유체와 같은 상태이며 지반의 거동 역시 유체의 거동과 유사하여 지반은 지지력이 거의 없는 상태이며 이 상태를 연약지반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없는 상태를 지칭하며, 0.2t/㎡ 이하의 지반을 초연약지반이라 부르며, 연약지반 상에 성토를 하거나 구조물을 축조할 때 연약지반에 편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연약지반이 측방유동이나 활동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준설매립지반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층이 건조하게 되어 함수비가 감소하는 상부 고결층은 통상 1~2년 경과 시점에서 일정 두께(0.5~1.0m 내외)로 형성되며, 그 이하에서는 장기간 방치하여도 고함수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매우 연약한 상태이다. 그렇다고 단순히 건조상태로 방치해둔다 해서 매립지역 전체의 기초지반으로서의 균등한 강도가 발현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준설매립지반이 기초지반으로서의 가능할 정도로 강도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이에 적합한 연약지반개량공법의 실시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연약지반개량 공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연약지반 처리공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비투입 및 인력접근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지력이 거의 없는 준설매립지반에 직접 장비를 투입하게 되면 장비는 그대로 전도되거나 함몰 또는 침몰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지반개량 하기 전에 표층 처리공법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는 표층에 보강재를 포설하고 초습지용 불도저를 이용하여 토사를 포설하거나 벨트 컨베이어 또는 고압으로 모래를 살포하여 복토 후 장비하중이 등분포되어 지반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지반 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표층 보강재의 휨강도 부족 및 하부지반의 불균등한 조건 등으로 인하여 복토 두께가 불균등하게 포설될 경우 과도한 인장 응력과 상향의 큰 압력을 받게 되어 액상 상태의 준설 매립토가 순간적으로 지표로 유출되거나 장비의 전도 또는 매몰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
이러한 역학적 메카니즘을 가진 표층처리 공법 중 보강재로서 토목섬유(매트)가 사용되는 공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연약지반 상에 매트를 포설하여 매트의 자체 인장력으로 인하여 과대한 지반변형을 억제하고,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켜 장비의 주행성을 확보하는 공법이다.
매트 공법은 1~2년 정도 자연건조한 준설매립토 상부에 인력으로 매트를 포설한 후, 그 위에 소형장비로 양질의 토사를 단계적으로 복토하여 지반개량용 중장비를 통행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매트를 이용한 방법은 매트의 재료특성상 보강재의 재료가 섬유이므로 휨 강성이 거의 없어 성토시 상재하중에 의한 연약지반의 소성 유동을 억제할 수 없다. 즉, 매트로 포설한 후 그 상부에 복토를 실시하면, 질량보존의 법칙처럼 침하가 발생한 양만큼 전방에서 융기가 일어나며, 복토면적을 넓혀감에 따라 이러한 융기는 중앙부로 갈수록 융기량이 모아져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융기로 인하여 중앙부 상부 건조한 점토는 갈라지게 되고 또한 융기가 더욱더 진행되면 틈사이로 하부 함수비가 높은 점성토가 올라와서 시공은 더욱 어렵게 되고, 이러한 소성유동으로 점성토 침하에 따른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계속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는 복토 시공방법을 여러 가지로 시도하고 있는데, 편방향으로 밀고 나가는 방법 또는 전(가장자리)방향으로 밀고나가서 중앙에서 마무리하는 방법 등이다. 그러나 복토로 인한 상재하중 재하시 지표면의 거동과 연동하여 수직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장비의 주행성 및 안정성 확보가 곤란하였다.
또한 상기의 방법들을 우기시 시행하면 매트층이 하부 점토층에 의해 불투수층이 되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부 복토층에 함수비가 증가하여 트래크 빌리티가 작아져 덤프트럭 진입이 어려워지는 등 시공에 많은 문제점을 주고 있다.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대나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매트공법에 비하여 재료적으로 인장과 비틀림 저항성이 강해 연약지반 개량시 국부파괴 및 불규칙 침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매트 공법에 비하여 휨응력이 강한 대나무 공법이 지반 융기가 넓게 분포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매트와 역학적 시공적 매카니즘은 비슷하다. 즉, 하부지반이 초연약 지반이거나 광대한 연약지반을 시공할 경우 대나무망을 포설 후 복토를 시행하여 점차 진행하면 할수록 넓게 분포된 융기토는 중앙부로 가면 갈수록 융기량이 모아져서 한 지점의 각 변위는 작지만 가장자리와의 변화량과 비교하면 중앙부 융기는 점차 커져 대나무망이 파괴되는 등 시공상 문제점은 매트와 비슷하다.
그리고 대나무는 강성재료이므로 격자망 형태로는 접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가 없다. 따라서 접을 수가 없어 격자 형태로 조립하여야 하고 조립에 필요한 넓은 부지가 필요하나 오로지 초연약 부지뿐이므로 지지력이 전혀 없는 그 위에서 격자망 형태로 조립할 수밖에 없어 대나무망 하부에 별도의 시설이 필요하다. 즉, 하부 매트를 사용하고 대나무를 격자로 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또한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과 시공의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표층처리 방법은 상재하중으로 인한 하부지반의 소성변형에 저항하기 위하여 매트로 보강한 후 토사를 포설하는 방법과, 상기보다 다소 휨강도가 있는 대나무로 표면을 보강한 후 토사를 포설하는 방법이 있다.
매트를 이용하는 경우, 일방향 매립 및 가장자리 전방향에서 복토후 중앙부에서 마무리하는데, 이 경우 융기로 인해 매트가 찢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양측 이동로로 밀고 나가서 측방향으로 시공하는 방법으로 매트를 설치하면 이동로 시공한 다음 이동로와 이동로 사이를 복토로 시공할 경우 중앙부 하부지반과 매트가 탄성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일체화 거동이 되지 않고 상부 복토층을 매트가 다 받게 되어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매트를 사용하지 않고 1차 네트을 포설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즉, 다수 가닥의 로프가 일정한 격자 간격으로 배치되어 교차점이 매듭지거나 엮어져 형성된 1차 네트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복토를 시행하여 복토를 지반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최종적으로는 복토에 의한 arching 효과와 더불어 1차 네트이 지반에 삽입된 복합지반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지반의 소요의 전단강도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매트 위에 일정간격으로 복토를 하면 복토재로 인하여 침하한 하부점토는 좌우측으로 융기되어 좌우측 매트와 아치형으로 일체가 된다.
이와 같이 상재하중에 의한 이동로의 침하는 이동로와 이동로 사이의 1차 네트에 텐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하고, 이동로 복토시행시 이동로 침하량만큼의 융기량이 중앙부에 발생하여 1차 네트과의 복합거동이 발생토록 유도하고 더불어 1차 네트 사이로 토사가 인입하여 arching 효과에 의한 하부 지반의 지지력 증가가 발생하여 별도 장비 없이 덤프트럭과 경량의 도우저의 조합만으로 복토를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미리 형성된 1차 네트을 현장으로 옮겨와 포설하여야 하는데, 1차 네트의 단위가 넓지 않고, 여러 번에 걸쳐 포설하여야 했다.
상기와 같이 미리 형성된 1차 네트을 이용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현장에서 격자상으로 로프를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있다. 즉, 연약지반의 상부에 로프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다른 다수 개의 로프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격자상이 되도록 하였다. 그 상태에서 상부에 복토를 행하고 진입로를 형성할 경우, 로프의 간격이 토압과 지내력에 의해 벌어지는 문제가 있어 지반 개량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네트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에서, 미리 제작된 네트를 이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현장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네트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바로 네트를 포설하는 것이 되도록 하여 시공성과 경제성을 높인 공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의 상부에 네트를 포설하여야 하는 단계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직접 네트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즉, 로프를 일정 방향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상부에 아래의 로프 방향에 대하여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로프를 배치하며, 다시 그 상부에 아래의 로프에 대하여 90도 각도를 가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되 최초 로프와 로프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엮인 형상으로 직조하듯이 배치한 후, 교차지점을 철사로 묶고, 그 상부에 복토와 진입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토양의 상태가 매우 연약한 연약지반 또는 매립지와 같은 인공 연약지반에 건설중장비의 안전 통행용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한 연약지반의 표층부를 보강할 때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이 시공에 대한 신뢰도를 증가할 수 있고 시공 공기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에 건설중장비용 통행로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로 포설시 쇄석으로 시공할 경우 융기된 중앙부 점토를 기준으로 배수로가 형성되어 우기시에도 시공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뿐만 아니라 이미 제작된 네트를 현장에 가져와 포설하는 방법에 비하여 로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직조하여 네트를 형성시킴으로써 그 자체가 포설이 되어 시공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시공 순서도
도 4는 로프로 로프 네트를 형성하는 순서도
도 5는 로프가 로프 네트로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부 및 B-B부 단면도
도 7은 1차 네트와 로프 네트가 적층되게 시공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진입로가 형성되어 토압이 작용할 때의 로프 네트의 상태도
도 9는 종래의 로프로 네트를 형성하는 방법에서의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은 네트를 이용하는 어떠한 공법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즉, 로프를 이용하여 네트가 필요한 현장에서 바로 로프 네트(8)로 직조하여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아래에서는 1차 네트(3)와 그 상부에 형성된 로프 네트(8)로써 두 겹의 네트를 이용한 지반 개량 공법에서 본 발명의 로프 네트(8)가 어떻게 실시되는 지를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곳은 아래의 방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약지반(1)의 상부에 형성된 점토층(2)의 상부에 1차 네트(3)를 덮어 포설하는 제1단계; 1차 네트(3)의 상부에 다수 가닥의 제1로프(4)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공정과, 제1로프(4)의 상부에 제1로프(4)와 90도 각도를 이루고 제1로프(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개의 제2로프(5)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2공정과, 제2로프(5)의 상부에 제1로프(4)와 평행되고 제1로프(4)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3로프(6)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3공정과, 제3로프(6)의 상부에 제2로프(5)와 평행되고 제2로프(5)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4로프(7)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4공정과, 상기 로프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철사로 묶어 고정하는 제5공정으로 로프 네트(8)를 형성하는 제2단계; 로프 네트(8)의 상부에 일정간격과 일정 높이로 성토하여 다수 개의 진입로(9)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 성토에 의해 진입로(9)의 하측부 측면 융기로 형성된 돌기에 의해 형성된 1차 네트(3)와 로프 네트(8) 및 점토층(2) 사이 공간을 복토재로 채워 복토해 나가는 제4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각 단계별의 작용과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1)의 상부에 형성된 점토층(2)의 상부에 1차 네트(3)를 덮어 포설하는 단계이다.
준설매립지반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표층부가 건조해져 함수비가 감소하고, 상부 고결층은 통상 1~2년 경과시점에 0.5~1m 내외의 점토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점토층(2)은 장시간 두어도 더 이상 건조되지 않아 매우 연약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연약한 점토층(2)으로는 지반 계량을 위한 장비의 출입이 불가하므로 표층부를 개량하여야 하고, 본 발명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경우 작업성과 경제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표층부 개량을 위한 본 발명의 제1단계에서는 1차 네트(3)를 포설하는 것으로, 연약지반의 상태에 따라 격자 간격(메시 간격)을 조밀하게 하거나 더 성기게 할 수도 있다. 즉, 초연약지반의 경우에 아주 조밀한 격자(메시) 간격을 가진 1차 네트(3)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물론 1차 네트(3)는 미리 그물 형상으로 제조된 것을 현장으로 가져와 그대로 포설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 겹의 1차 네트(3)를 포설할 수도 있다. 즉, 하부에 포설되는 1차 네트(3)는 로프의 굵기와 메시 간격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부에 포설되는 1차 네트(3)는 로프의 굵기와 메시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실시한다. 이와 같이 두 겹의 1차 네트(3)로 실시하면, 초연약지반의 경우 성토시에 복토가 점토 원지반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입로 성토시 전방 융기토가 1차 네트(3)의 상부로 하부 점성토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비의 출입과 사용에 보다 안정성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일조와 통풍으로 인하여 빠져나온 융기토에 대해서도 빨리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또한, 제1단계 전에 매트를 먼저 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지반이 매우 연약한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 중앙부 및 진입로(9)에 복토가 들어갈 경우 하부의 초연약 지반으로 복토가 빠지는 것을 매트가 방지하는 것이며, 또한 진입로(9) 성토시 전방융기토가 1차 네트(3) 상부로 하부 점토가 올라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2단계는 본 발명의 가장 요지가 되는 부분으로서, 로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그물형태의 로프 네트(8)를 직조하듯이 시공하여 포설하는 단계이다. 로프 네트(8)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형상으로 직조하는 제2단계는 다음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제1공정은 도 4(a)와 같이, 1차 네트(3)의 상부에 다수 가닥의 제1로프(4)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도 4(a)에서의 제1로프(4)는 세로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로프(4)는 1차 네트(3)의 로프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직접 로프 네트(8)를 직조하듯이 만들어 포설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므로, 제1로프(4)는 하나의 큰 롤에 감겨진 상태로 현장에 공급되고, 작업자가 제1로프(4)를 풀어 가면서 일정하게 배치한다.
제2공정은 제1로프(4)의 상부에 제1로프(4)와 90도 각도를 이루고 제1로프(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개의 제2로프(5)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제2로프(5) 또한 큰 롤에 감겨져 현장에 공급된 것을 작업자가 풀어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도 4(b)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제2로프(5)를 배치하면 제1로프와 등간격의 메시 간격(격자 간격)이 형성된다.
제3공정은 제2로프(5)의 상부에 제1로프(4)와 평행되고 제1로프(4)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3로프(6)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도 4(c)와 같이, 제3로프(6)는 제1로프(4)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제1로프(4)와 제1로프(4)의 사이 가운데 부분에 위치되게 배치한다. 이 상태가 되면, 두 층의 제1로프(4)와 제3로프(6)의 사이에 제2로프(5)가 삽입된 상태가 되어 견고하고 촘촘한 직조의 전 단계가 된다.
제4공정은 제3로프(6)의 상부에 제2로프(5)와 평행되고 제2로프(5)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4로프(7)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공정이다. 이는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제5공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철사로 묶어 고정하여 로프 네트(8)를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와 같이 로프 네트(8)기 직조하듯이 형장에서 만들면, 도 7과 같이 1차 네트(3)의 상부에 포설하듯이 설치된다. 특히, 미리 형성된 그물 형상을 현장에 그대로 가져와 포설만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즉, 미래 형성된 그물은 그 넓이가 넓지 않고, 이동시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시공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로프를 감은 대형 롤을 가져와 풀면서 로프 배치만 하면 되므로, 넓은 면적을 덮을 수 있게 로프 네트(8)를 직조하듯이 형성해 나가면 되므로, 종래의 문제를 해소하게 된다.
제3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네트(8)의 상부에 일정간격과 일정 높이로 성토하여 다수 개의 진입로(9)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로프 네트(8)의 상부로 장비가 출입하여 지반을 개량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 복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진입로(9)는 로프 네트(8)의 상부에 일정간격과 일정 폭 및 일정 높이로 성토재로 성토하여 다수 개의 진입로(9)를 형성시키게 된다. 경량 덤프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진입로(9)를 1차 포설하면, 진입로(9)는 자중에 의하여 침하하고, 이로 인하여 진입로(9)와 진입로(9)의 사이에는 텐션이 작용하여 1차 네트(3) 및 로프 네트(8)는 팽팽하게 긴장된다. 그러나 1차 네트(3)와 로프 네트(8)의 격자 사이 공간으로 점토층(2)이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과도한 융기가 없고 적당한 텐션만이 네트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6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로(9)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로프 네트(8)가 촘촘하게 직조하듯이 엮어져 있고 철사로 묶여져 있으므로, 도 9와 같은 종래의 네트와 같은 벌어지는 문제가 해소된다.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의 로프 두 2종류, 수직 방향의 로프 2종류가 사용되어 서로 엮이듯이 결합되어 로프 네트(8)가 형성되므로, 진입로(9)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배분되어 지지하게 되어, 경량 덤프 등의 다양한 지반 개량 장비의 진출입에 적합하게 된다.
제4단계는 성토에 의해 진입로(9)의 하측부 측면 융기로 형성된 돌기에 의해 형성된 1차 네트(3)와 로프 네트(8) 및 점토층(2) 사이 공간을 복토재로 채워 복토해 나가는 단계이다.
복토재는 점토층(2) 상부에 포설되고, 로프 네트(8)의 사이 간격 공간을 통하여 1차 네트(3)의 하부로도 유입되어, 복토재는 하부층과 1차 네트(3)를 일체로 만들게 되어 강한 지반을 형성시켜나갈 수 있게 된다.
특히 진입로(9) 성토후 2차로 추가 성토를 할 때에는 그 하중에 의하여 중앙부가 융기되는데, 이 때 1차 복토재와 더불어 로프 네트(8)가 거푸집과 같은 역할을 하여 융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로프 네트(8)의 사이 공간으로 돌기처럼 형성되는 복토재와, 복토재와 로프 네트(8)의 거푸집 역할로 인하여, 복토재의 융기를 방지하는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1차 네트(3)를 포설하고, 그 상부에 로프를 이용하여 직조하듯이 로프 네트(8)를 현장에서 만들어 포설하게 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이 증대되며, 중앙부 복토시 침하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표층처리가 가능해지고, 진입로(9)에 대해서도 1차 네트(3)와 복토재가 점토층(2)과 압착이 되어 지지력이 증대되어 소정의 지지력을 확보하게 되어, 연약지반처리를 위한 장비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1 : 연약지반 2 : 점토층
3 : 1차 네트 4 : 제1로프
5 : 제2로프 6 : 제3로프
7 : 제4로프 8 : 로프 네트
9 : 진입로

Claims (1)

  1. 네트를 포설하여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는 연약지반 상부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조와 같은 방식으로 현장에서 직조하여 형성된 로프 네트(8)이고; 상기 로프 네트(8)는 다수 가닥의 제1로프(4)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공정과, 제1로프(4)의 상부에 제1로프(4)와 90도 각도를 이루고 제1로프(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다수 개의 제2로프(5)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2공정과, 제2로프(5)의 상부에 제1로프(4)와 평행되고 제1로프(4)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3로프(6)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3공정과, 제3로프(6)의 상부에 제2로프(5)와 평행되고 제2로프(5) 간격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다수 개의 제4로프(7)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4공정과, 상기 로프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철사로 묶어 고정하는 제5공정으로 형성되며; 상기와 같은 로프 네트(8)를 형성하는 것이 연약지반 상부에 로프 네트(8)를 포설하는 것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KR1020140094513A 2014-07-25 2014-07-25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KR20160012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13A KR20160012650A (ko) 2014-07-25 2014-07-25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513A KR20160012650A (ko) 2014-07-25 2014-07-25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650A true KR20160012650A (ko) 2016-02-03

Family

ID=5535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513A KR20160012650A (ko) 2014-07-25 2014-07-25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616B1 (en) 2019-12-19 2022-09-06 Robert Anderson Erosion b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4616B1 (en) 2019-12-19 2022-09-06 Robert Anderson Erosion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336B2 (en)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354911B (zh) 一种生态柔性土工格栅加筋码头施工方法
KR20160108299A (ko) 지오셀 및 지오그리드를 갖는 포장도로 시스템
RU122393U1 (ru) Дренажный гео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дренажный мат)
CN104164853A (zh) 石笼网装生态袋和废旧轮胎的生态航道驳岸挡墙及其方法
AU2018216633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 foundation
JP5379857B2 (ja)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RU2338834C2 (ru)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основания, основание и грунтовый модуль
CN201695378U (zh) 一种具有土工格栅堆石进占结构的丁坝
KR20120137437A (ko) 옹벽 성토 구조체
KR20160012650A (ko) 로프 네트 직조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US20100215441A1 (en) Reinforced Mass of Material and Method of Forming
CN111005278A (zh) 一种局部加筋路堤、施工方法及其快速修复加固方法
JP6676462B2 (ja) 堤防補強工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4827165B2 (ja) 長尺土嚢ドレーン補強工法
CN105544463A (zh) 一种土工膜面板坝复合面板的施工方法
KR100932970B1 (ko) 연약지반 표층보강을 위한 대발매트(Mat)구조 및 이를이용한 연약지반 표층보강공법
TWI558887B (zh) Construction methods and filling methods for weak sites and sites with liquefaction concerns, as well as structural bags
RU2600426C1 (ru) Грунтовый модуль (варианты)
KR20150131569A (ko) 로프망과 매트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KR100647784B1 (ko) 옹벽용 단섬유 보강복합 성토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20150131704A (ko) 로프망을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처리 방법
JP4620408B2 (ja) 築堤用土嚢及びそれを用いた築堤工法
JP6301421B2 (ja) 既設盛土の液状化対策メンテナンス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