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77B1 -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 Google Patents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77B1
KR101961277B1 KR1020170158749A KR20170158749A KR101961277B1 KR 101961277 B1 KR101961277 B1 KR 101961277B1 KR 1020170158749 A KR1020170158749 A KR 1020170158749A KR 20170158749 A KR20170158749 A KR 20170158749A KR 101961277 B1 KR101961277 B1 KR 10196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ard key
pattern
car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주)메이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이즈텍 filed Critical (주)메이즈텍
Priority to KR102017015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77B1/ko
Priority to CN201880086695.6A priority patent/CN111601939B/zh
Priority to PCT/KR2018/014454 priority patent/WO20191034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28Other locks than cylind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은 하우징과, 키 삽입부와, 작동대와, 키 인식부, 및 운동 전달부를 포함한다. 키 삽입부는 통공 카드키를 삽입하며, 통공 카드키가 삽입되어 푸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작동대는 하우징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한다. 키 인식부는 통공 카드키의 푸시 과정에서 통공 카드키의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한다. 운동 전달부는 통공 카드키에 대한 키 인식부의 인식 성공시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을 작동대의 정,역 회전 동작으로 전달한다.

Description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Door lock employing punch card key push mechanism}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공 카드키를 인식해서 잠금 또는 해정하는 방식의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door lock)은 도어에 장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어를 도어프레임(doorframe)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시키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보안 신뢰성 향상 및 사용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 방식, 지문 인식 방식, RF 방식 등의 디지털 도어록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은 회로적인 고장 또는 전원이 방전된 경우에는 도어록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카드키 인식 방식의 일례가 한국 등록특허 제052850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이 기술에 따르면, 수 개의 펀칭 공들이 형성된 형태의 카드가 마련되고, 펀칭 공들과 도어록 장치 내부의 가동 플레이트 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펀치들이 각각 일치할 때 잠금 상태로부터 해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펀칭 공 형태의 카드는 복제가 쉬울 수 있는바, 보안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 등록특허 제1262790호에 개시된 통공 카드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등의 기술을 제안한바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안성뿐 아니라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은 카드 본체와, 카드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 패턴과, 카드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비통공 패턴을 포함하는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것으로, 하우징과, 키 삽입부와, 작동대와, 키 인식부, 및 운동 전달부를 포함한다. 키 삽입부는 통공 카드키를 삽입하며, 통공 카드키가 삽입되어 푸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작동대는 하우징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한다. 키 인식부는 통공 카드키의 푸시 과정에서 통공 카드키의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한다. 운동 전달부는 통공 카드키에 대한 키 인식부의 인식 성공시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을 작동대의 정,역 회전 동작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어록 손잡이의 회전 없이도, 유효한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해서 작동대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전환시키거나 해정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보완성뿐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작동대가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키 인식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가동 가이드 이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패턴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통공 카드키의 인식 성공시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 통공 카드키의 인식 실패시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승강블록 연계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전환 고정블록 및 전환 이동블록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위치 전환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도어록이 잠겼는지 또는 열렸는지 확인하기 위한 표시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작동대가 보이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 키 인식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어록(100)은 도어 실외 쪽에 장착되어 푸시 방식으로 삽입되는 통공 카드키(10)를 인식함에 따라 도어 실내 쪽의 잠금쇠 뭉치(미도시)를 잠금 또는 해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통공 카드키(10)는 카드 본체(11)와, 카드 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 패턴(12)과, 카드 본체(11)의 일면에 형성된 비통공 패턴(13)을 포함한다.
통공 패턴(12)은 적어도 하나의 통공부(12a)를 포함한다. 통공부(12a)는 원형 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통공 패턴(13)은 적어도 하나의 비통공부(13a)를 포함한다. 비통공부(13a)는 홈이 형성되지 않고 막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비통공부(13a)는 원형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통공 패턴(13)은 홈 없이 막힌 구조의 비통공부(13a)와 홈 구조의 비통공부(1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공 카드키(10)는 고유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통공부(12a)와, 비통공부(13a)가 적어도 하나 이상씩 포함되어 다양한 패턴으로 조합되고 배열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어록(100)은 하우징(110)과, 키 삽입부(120)와, 작동대(130)와, 키 인식부(140), 및 운동 전달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록(100)은 키 삽입부(120)가 도어 실외 쪽에서 상방으로부터 통공 카드키(10)를 삽입하도록 위치되고 작동대(130)가 도어 실내 쪽에 위치된 상태로 하우징(110)을 매개로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키 삽입부(120)가 통공 카드키(10)를 수평으로 삽입하도록 위치되고 작동대(130)가 상방으로 위치된 기준으로, 도어록(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록(100)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에서 '상', '하'로 지칭한 것은 통공 카드키(10)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칭한 것이므로, 그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은 키 삽입부(120)와, 작동대(130)와, 키 인식부(140), 및 운동 전달부(150)를 지지한 상태로 도어의 실외 쪽에 장착된다.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를 삽입한다. 키 삽입부(120)는 키 인식부(140)의 고정 가이드(142)의 하측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어 고정 가이드(142)와의 사이로 통공 카드키(10)를 삽입시키는 슬롯을 형성하는 키 커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가 삽입되어 푸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우징(110)에 의해 안내된다. 하우징(110)은 좌,우측 내벽에 각각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키 삽입부용 가이드홈(111)을 가질 수 있다. 키 삽입부용 가이드홈(111)들은 키 삽입부(120)의 몸체(122) 좌,우측 부위를 각각 끼워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함으로써, 키 삽입부(120)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한 쌍의 키 삽입부용 탄성부재(123)들이 키 삽입부(120)와 하우징(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키 삽입부용 탄성부재(123)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 삽입부(120)의 몸체(122)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기준으로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봉(122a)들을 가질 수 있다. 키 삽입부용 탄성부재(123)는 지지 봉(122a)을 끼운 상태로 양단이 키 삽입부(120)의 몸체(122)와 하우징(110)의 지지 홈(112)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키 삽입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공 카드키(10)에 힘을 가해 통공 카드키(10)를 키 삽입부(120)에 삽입하여 푸시한 후, 통공 카드키(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와 함께 키 삽입부용 탄성부재(123)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 삽입부(120)로부터 통공 카드키(10)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작동대(130)는 하우징(11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한다. 작동대(130)는 통공 카드키(10)가 수평으로 푸시되는 기준으로 하우징(110)의 후방 상측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한다.
작동대(130)는 작동축(131)과, 체결편(132), 및 회전블록(133)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축(131)은 하우징(110)의 축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체결편(132)은 작동축(131)의 상측에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잠금쇠 뭉치와 체결된다. 회전블록(133)은 작동축(131)의 하측 외주 일부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회전블록(133)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전블록(133)은 외주에 회전제한홈(133a)을 갖는다. 회전제한홈(133a)은 하우징(110)의 회전제한돌기(113)를 끼워서 회전블록(133)의 회전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작동대(130)의 정,역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키 인식부(140)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과정에서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한다. 키 인식부(140)는 복수의 인식 바(141)들과, 고정 가이드(142)와, 가동 가이드(143)와, 가동 가이드 이동부(144)와, 패턴 슬라이더(145), 및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식 바(141)들은 통공 카드키(10)의 비통공 패턴(13)이 상방으로 위치된 기준으로, 각 하단부가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된다. 통공 패턴(12)과 비통공 패턴(13)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키(10)의 폭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인식 바(141)들은 하단부가 통공 패턴(12)과 비통공 패턴(13)에 대응되게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부는 통공 패턴(12)의 통공부(12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식 바(141)들은 각 측면에 돌출 핀(141a)이 형성된다. 인식 바(141)들의 돌출 핀(141a)들은 패턴 슬라이더(145)의 패턴홈(1452a)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다.
인식 바(141)들은 하방으로 탄성력을 각각 제공받는다. 인식 바용 탄성부재(1411)들은 돌출 핀(141a)들의 각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인식 바용 탄성부재(1411)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식 바용 탄성부재(1411)는 인식 바(141)의 상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이 가동 가이드(143)의 상부 프레임(1431)에 지지되고 하단이 돌출 핀(141a)의 상측 턱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인식 바(141)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인식 바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고정 가이드(142)는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을 끼워서 승강 안내하도록 키 삽입부(120)에 형성된다. 고정 가이드(142)는 키 삽입부(120)의 몸체(12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도 있다.
고정 가이드(142)는 하측에 이격된 키 커버(121)와의 사이로 통공 카드키(1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이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과 대응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를 정지시키는 스토퍼(124)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통공 카드키(10)가 키 삽입부(120)에 삽입되어 스토퍼(124)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푸시되면, 키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동 가이드(143)는 고정 가이드(142)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인식 바(141)들의 승강을 안내한다. 따라서, 가동 가이드(143)는 승강시 인식 바(141)들을 함께 승강시킴과 아울러, 인식 바(141)들이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따라 독립되게 승강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가동 가이드(143)는 상하로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가이드 홀(143a)들을 가질 수 있다. 고정 가이드(142)들은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홀(143a)들에 각각 끼워지는 가이드 봉(142a)들을 가질 수 있다. 가동 가이드(143)는 가이드 홀(143a)들에 끼워진 가이드 봉(142a)들을 따라 승강 안내될 수 있다.
가동 가이드(143)는 상부 프레임(1431)과, 하부 프레임(1432), 및 수직 프레임(1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431)은 인식 바(141)들의 각 상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하부 프레임(1432)은 상부 프레임(1431)의 하측에 이격되어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을 관통시켜 승강 안내한다. 수직 프레임(1433)은 상부 프레임(1431)과 하부 프레임(1432) 사이에서 인식 바(141)들의 돌출 핀(141a)들을 각각 끼워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동 가이드 이동부(144)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따라 가동 가이드(143)를 하강시킨다. 가동 가이드 이동부(144)는 한 쌍의 이동 핀(1441)들과, 이동 안내홈(14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핀(1441)들은 가동 가이드(143)의 좌,우측에 각각 돌출된다. 이동 안내홈(1442)들은 이동 핀(1441)들을 각각 끼운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한 가동 가이드(143)의 이동 과정에서 가동 가이드(143)의 하강을 안내하도록 하우징(110)에 형성된다. 이동 안내홈(1442)은 상측 안내홈(1442a)과, 중간 안내홈(1442b), 및 하측 안내홈(1442c)이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가이드(143)는 이동 핀(1441)이 상측 안내홈(1442a)에 위치될 때 최대로 상승해서 위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핀(1441)이 하측 안내홈(1442c)에 위치될 때 최대로 하강해서 위치된다. 가동 가이드(143)의 최대 높이는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이 키 삽입부(120)로부터 벗어난 상태로 대기하도록 설정된다.
가동 가이드(143)가 최대로 하강하면, 인식 바(141)들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통공 패턴(12)에 대응되는 인식 바(141)들은 통공부(12a)들에 삽입될 때까지 하강하며, 비통공 패턴(13)에 대응되는 인식 바(141)들은 비통공부(13a)들에 접촉될 때까지 하강함으로써, 통공 카드키(10)를 인식하게 된다.
패턴 슬라이더(145)는 인식 바(141)들의 하강시 돌출 핀(141a)들의 높낮이가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해지도록 돌출 핀(141a)들을 안내하는 패턴홈(1452a)들을 구비한다. 패턴 슬라이더(145)는 패턴 플레이트(1451)와, 패턴 블록(1452)들, 및 패턴 프레임(1453)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플레이트(1451)는 가동 가이드(143)의 수직 프레임(1433) 외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가동 가이드(143)의 상부 프레임(1431)과 하부 프레임(1432)에 지지된다. 패턴 플레이트(1451)는 장착 홀들을 통해 패턴 블록(1452)들을 각각 장착할 수 있다. 통공 패턴(12)과 비통공 패턴(13)이 조합되어 통공 카드키(10)의 폭 방향으로 2열로 배열된 경우, 패턴 플레이트(1451)는 2개로 구비되어 통공 패턴(12)과 비통공 패턴(13)의 각 조합 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패턴 블록(1452)들은 패턴홈(1452a)들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홈(1452a)들은 인식 바(141)들의 하강시 돌출 핀(141a)들의 높낮이가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에만, 패턴 플레이트(1451)들이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각각 슬라이드 인출 가능해지도록 돌출 핀(141a)들을 안내하는 형태로 설정된다. 패턴 블록(1452)들이 패턴 플레이트(1451)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통공 카드키(10)의 패턴별 종류에 맞게 패턴 블록(1452)들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패턴 슬라이더(145)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패턴 프레임(1453)은 패턴 플레이트(1451)들을 지지하여 가동 가이드(143)에 대한 패턴 플레이트(1451)들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패턴 슬라이더(145)는 가동 가이드(143)에 대한 인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는 패턴 슬라이더(145)와 하우징(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샤프트(1455)는 패턴 프레임(1453)의 인출 방향을 기준으로 패턴 프레임(1453)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가동 헤드(1456)는 지지 샤프트(1455)의 선단을 통해 끼워져 지지 샤프트(145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는 지지 샤프트(1455)에 끼워져 가동 헤드(1456)를 하우징(110)의 내벽에 밀착시킨 상태로 패턴 슬라이더(145)를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패턴 슬라이더(145)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가동 헤드(1456)는 가동 가이드(143)가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110) 내벽의 돌출편(1457)에 맞닿을 수 있다. 가동 헤드(1456)는 가동 가이드(143)가 최대로 하강하도록 위치될 때 돌출편(1457)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해서 하우징(110) 내벽에 맞닿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가 패턴 슬라이더(145)에 가하는 탄성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후술할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에 의한 패턴 슬라이더(145)의 인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가동 헤드(1456)는 선단이 볼록하게 곡면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돌출편(1457)에 대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는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시 패턴 슬라이더(145)를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인출시킨다.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는 이동 봉(1461), 및 이동 안내블록(14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봉(1461)은 패턴 슬라이더(145)의 상부로부터 돌출된다. 이동 봉(1461)은 패턴 프레임(1453)의 인출 방향을 기준으로 패턴 프레임(1453)의 선단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1462)은 외측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하우징(110)에 통공 카드키(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 안내블록(1462)은 가이드 돌기(1462a)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가이드 돌기(1462a)들을 끼워서 이동 안내블록(1462)의 좌우 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114)들을 가질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용 탄성부재(1463)는 이동 안내블록(1462)과 하우징(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용 탄성부재(1463)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이동 안내블록(1462)을 외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이동 안내블록(1462)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용 탄성부재(1463)는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보다 큰 탄성력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안내블록(1462)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한 패턴 슬라이더(145)의 이동 과정에서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시 이동 봉(1461)을 외측방으로 밀어냄에 따라 패턴 슬라이더(145)를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인출시킨다.
이동 안내블록(1462)은 하우징(110)의 중앙 쪽에 인접한 내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굽어져 연장된 안내돌기(1462b)를 갖는다. 안내돌기(1462b)는 내측을 통해 이동 봉(1461)을 진입시킨다. 안내돌기(1462b)의 내측면은 볼록 곡면 구간으로부터 통공 카드키(10)의 푸싱 방향으로 평면 구간이 이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패턴 슬라이더(145)가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으로 인해 인출 가능해진 경우, 이동 봉(1461)은 안내돌기(1462b)의 볼록 곡면 구간을 거치면서 외측방으로 밀려난 후 안내돌기(1462b)의 평면 구간으로 이동함으로써, 패턴 슬라이더(145)를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인출시킨 후 인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로, 카드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싱 방향에 따른 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슬라이더(145)가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실패로 인해 인출 불가능해진 경우, 이동 봉(1461)은 좌우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따라 직진하게 되므로, 이동 봉(1461)은 안내돌기(1462b)의 볼록 곡면 구간을 거치면서 이동 안내블록(1462)을 내측방으로 밀어낸 후 안내돌기(1462b)의 평면 구간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카드 삽입부(120)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싱 방향에 따른 이동이 계속될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1462)은 좌우 이동에 따라 하우징(110)의 가장자리 쪽에 가까운 외측단이 하우징(10)에 대해 인출입될 수 있다. 이동 안내블록(1462)의 외측단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시 하우징(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유지되며,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실패시 내측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110)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 여부는 이동 안내블록(1462)의 외측단에 대한 인출입 상태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운동 전달부(150)는 통공 카드키(10)에 대한 키 인식부(140)의 인식 성공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을 작동대(130)의 정,역 회전 동작으로 전달한다. 운동 전달부(150)는 통공 카드키(10)에 대한 키 인식부(140)의 인식 실패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을 작동대(130)의 정,역 회전 동작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운동 전달부(150)는 승강블록(151)과, 승강블록 연계부(152)와, 푸시 핀(153), 및 위치 전환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블록(151)은 키 삽입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작동대(130) 쪽으로 이동한다. 승강블록 연계부(152)는 통공 카드키(10)에 대한 키 인식부의 인식 성공시 키 인식부(140)로부터 인출되는 패턴 슬라이더(145)의 이동과 연계하여 승강블록(151)을 상승시킨다. 승강블록 연계부(152)는 연계블록(1521)과, 연계 핀(1522)들, 및 연계홀(15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계블록(1521)은 패턴 슬라이더(145)에 고정되어 패턴 슬라이더(145)와 함께 이동한다. 연계 핀(1522)들은 통공 카드키(10)의 푸싱 방향을 기준으로 연계블록(1521)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며 좌우로 이격된다.
연계홀(1523)들은 연계 핀(1522)들을 각각 끼운 상태로 패턴 슬라이더(145)의 인출 방향에 따른 연계블록(1521)의 이동시 승강블록(151)의 상승을 안내한다. 연계홀(1523)은 패턴 슬라이더(145)의 인출 방향으로 상측 연계홀(1523a)과, 중간 연계홀(1523b), 및 하측 연계홀(1523c)이 차례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록(151)은 연계 핀(1522)이 상측 연계홀(1523a)에 위치될 때 최대로 하강해서 위치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 핀(1522)이 하측 연계홀(1523c)에 위치될 때 최대로 상승해서 위치된다.
푸시 핀(153)은 승강블록(151)의 상부에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블록(151)은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핀 가이드홈(151a)을 갖는다. 푸시 핀(153)은 하단의 이탈 방지편을 통해 핀 가이드홈(151a)에 상방으로 이탈 방지된 상태로 핀 가이드홈(151a)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푸시 핀(153)은 승강블록(151)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 동작한다.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시 승강블록(151)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 위치에 따라 작동대(130)를 정,역 회전시킨다.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실패시 승강블록(151)에 의해 하강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동대(130)의 하측을 통과하여 작동대(130)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위치 전환부(154)는 푸시 핀(153)이 작동대(130)를 회전시킨 후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푸시 핀(153)의 좌우 위치를 전환한다. 위치 전환부(154)는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 1541b)과, 전환 고정블록(1542), 및 전환 이동블록(1543)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 1541b)은 푸시 핀(153)이 작동대(130)를 회전시킨 후 중앙 쪽으로 이동하도록 푸시 핀(153)의 이동을 안내한다.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 1541b)은 내측 부위들에 좌우로 대칭되는 좌,우측 경사면을 각각 갖는다.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 1541b)의 좌,우측 경사면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푸시 핀(153)을 중앙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 1541b)은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 고정블록(1542)은 좌,우측 경사면이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우측 경사면은 좌우 대칭을 이룬다. 예컨대, 전환 고정블록(1542)의 몸체(1542a)는 삼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환 이동블록(1543)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의한 푸시 핀(153)의 이동 과정에서 푸시 핀(153)에 의해 밀려 통공 카드키(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환 고정블록(1542)에 지지된다. 전환 이동블록(1543)은 푸시 핀(153)이 상승한 상태로 접근하면 푸시 핀(153)에 의해 밀려나고, 푸시 핀(153)이 하강한 상태로 접근하면 하측으로 푸시 핀(153)을 통과시킬 수 있는 높이로 배치된다.
전환 이동블록(1543)은 좌우로 각각 길게 연장된 이동블록용 가이드홀(1543a)들을 갖는다. 전환 고정블록(1542)은 몸체(1542a)의 상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고정블록용 가이드 봉(1542b)들을 갖는다. 고정블록용 가이드 봉(1542b)들은 이동블록용 가이드홀(1543a)들에 각각 끼워져 전환 이동블록(1543)의 좌우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블록용 가이드홀(1543a)의 길이는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좌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좌측에서 접근하는 푸시 핀(153)에 의해 밀려 우측으로 이동하며,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우측에 위치되어 있을 때 우측에서 접근하는 푸시 핀(153)에 의해 밀려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정된다.
전환 고정블록(154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유지돌기(1542c)를 가질 수 있다. 전환 이동블록(1543)은 위치유지홀(1543b)들을 가질 수 있다. 좌측의 위치유지홀(1543b)은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좌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위치유지돌기(1542c)를 끼워서 전환 이동블록(1543)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우측의 위치유지홀(1543b)은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우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위치유지돌기(1542c)를 끼워서 전환 이동블록(1543)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전환 이동블록(1543)은 제1,2 전환 홈(1543c, 1543d)을 갖는다. 제1 전환 홈(1543c)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동작에 의한 푸시 핀(153)의 이동을 중앙 쪽으로 안내한다. 제1 전환 홈(1543c)은 좌,우측 내벽 부위에 좌,우측 경사면을 갖는다. 제1 전환 홈(1543c)의 좌,우측 경사면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푸시 핀(153)을 중앙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 전환 홈(1543d)은 제1 전환 홈(1543c)과 이어져 좌우 위치에 따라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우측 경사면들과 선택적으로 통로를 형성하여 통공 카드키(10)의 계속된 인출 동작에 의한 푸시 핀(153)의 이동을 안내한다. 제2 전환 홈(1543d)은 좌,우측 내벽 부위에 좌,우측 경사면을 갖는다. 제2 전환 홈(1543d)의 좌,우측 경사면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환 홈(1543d)의 좌,우측 경사면은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우측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설정된다.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좌측으로 이동하면, 제2 전환 홈(1543d)의 우측 경사면이 전환 고정블록(1542)의 우측 경사면과 맞닿아 제2 전환 홈(1543d)의 좌측 경사면과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측 경사면 사이에 푸시 핀(153)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전환 이동블록(1543)이 최우측으로 이동하면, 제2 전환 홈(1543d)의 좌측 경사면이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측 경사면과 맞닿아 제2 전환 홈(1543d)의 우측 경사면과 전환 고정블록(1542)의 우측 경사면 사이에 푸시 핀(153)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위치 전환부(154)에 의해 푸시 핀(153)의 위치를 좌우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핀(153)은 좌측에서 상승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환 이동블록(1543)을 최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대(130)를 회전시킨 후, 좌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의 좌측 경사면에 의해 중앙 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전환 홈(1543c)의 좌측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한 후, 제2 전환 홈(1543d)의 우측 경사면과 전환 고정블록(1542)의 우측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거쳐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푸시 핀(153)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위치 전환될 수 있다.
푸시 핀(153)은 우측에서 상승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환 이동블록(1543)을 최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대(130)를 회전시킨 후, 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b)의 우측 경사면에 의해 중앙 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전환 홈(1543c)의 우측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동한 후, 제2 전환 홈(1543d)의 좌측 경사면과 전환 고정블록(1542)의 좌측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거쳐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푸시 핀(153)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위치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도어록(100)의 작용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작동대(130)가 시계방향 회전시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전환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해정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 경우, 푸시 핀(153)과 전환 이동블록(1543)은 작동대(130)의 잠금 위치에서 최좌측에 대기하며, 작동대(130)의 해정 위치에서 최우측에 대기한다.
작동대(1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키 삽입부(120)에 통공 카드키(10)를 삽입한다. 이때, 통공 카드키(10)는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이 인식 바(141)들의 각 하단과 대응된 상태로 선단이 키 삽입부(120) 내의 스토퍼(124)에 의해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공 카드키(10)를 계속적으로 푸시하면, 키 삽입부(120)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에 따라 하우징(110)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키 인식부(140)가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가동 가이드(143)가 가동 가이드 이동부(144)에 의해 하강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인식 바(141)들이 하강하게 된다. 인식 바(141)들의 하강시 인식 바(141)들의 돌출 핀(141a)들의 높낮이가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 패턴 슬라이더(145)가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패턴 슬라이더(145)는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에 의해 가동 가이드(143)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면, 운동 전달부(150)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승강블록 연계부(152)는 패턴 슬라이더(145)의 인출 동작과 연계하여 승강블록(151)을 상승시킴에 따라 푸시 핀(153)을 상승시킨다. 푸시 핀(153)은 최좌측에서 상승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푸시 핀(153)은 위치 전환부(154)의 전환 이동블록(1543)을 최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대(1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전환시킨 후, 위치 전환부(154)의 좌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a)에 의해 중앙 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통공 카드키(10)를 푸시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키 삽입부(120)가 키 삽입부용 탄성부재(123)에 의해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이동한다. 이때,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환 이동블록(1543)과 전환 고정블록(1542) 사이의 우측 통로를 거쳐 최우측으로 위치된다.
패턴 슬라이더(145)는 키 삽입부(120)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146)로부터 벗어나게 된 후, 패턴 슬라이더용 탄성부재(1454)에 의해 가동 가이드(143)로 인입된다. 그러면, 푸시 핀(153)은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 가이드(143)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동 가이드 이동부(144)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인식 바(141)들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통공 카드키(10)는 사용자가 키 삽입부(120)로부터 회수 가능한 상태로 된다.
작동대(130)가 해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공 카드키(10)를 키 삽입부(120)에 삽입하여 푸시하게 되면, 키 인식부(140)가 통공 카드키(10)의 통공 패턴(12) 및 비통공 패턴(13)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며,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성공시 전술한 과정들에 의해 푸시 핀(153)을 상승시킨다. 푸시 핀(153)은 최우측에서 상승된 상태로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푸시 핀(153)은 위치 전환부(154)의 전환 이동블록(1543)을 최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작동대(1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해정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시킨 후, 위치 전환부(154)의 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1541b)에 의해 중앙 쪽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통공 카드키(10)를 푸시하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푸시 핀(153)은 통공 카드키(10)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환 이동블록(1543)과 전환 고정블록(1542) 사이의 좌측 통로를 거쳐 최좌측으로 위치된다. 그 다음, 전술한 과정들에 의해 통공 카드키(10)는 사용자가 키 삽입부(120)로부터 회수 가능한 상태로 된다. 한편, 통공 카드키(10)의 인식 실패시, 푸시 핀(153)은 하강한 상태로 작동대(130)의 하측을 통과한 후 복귀하게 되므로, 작동대(130)는 잠금 위치 또는 해정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록(100)에 의하면, 통공 카드키(10)가 유효한 경우, 사용자는 도어록 손잡이의 회전 없이 통공 카드키(10)의 푸시 동작만으로 통공 카드키(10)를 인식해서 작동대(130)를 잠금 위치로부터 해정 위치로 전환시키거나 해정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뿐 아니라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어록(100)은 작동대(130)의 정,역 회전 동작에 따른 잠금쇠 뭉치의 잠금 또는 해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도어록이 잠겼는지 또는 열렸는지 확인하기 위한 표시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구동부(160)는 자석(161)과, 코일(162)과, 신호 발생기(163)와, 필터(164)와, 스위치쌍(165a, 165b), 및 LED쌍(166a, 166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161)은 통공 카드키(10)의 푸시에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해 자계를 변화시킨다. 예컨대, 자석(161)이 키삽입부(120)에 장착되어, 키삽입부(120)에 통공 카드키(10) 삽입에 따라 왕복되는 키삽입부(120)와 함께 왕복됨으로써 자계를 변화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코일(162)은 자석(161)의 왕복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자계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류를 유도한다. 예컨대, 코일(162)이 하우징(110)에 패턴되어 키삽입부(120)에 장착되는 자석(161)의 왕복시 변화되는 자계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류를 유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163)는 코일(162)에 의해 유도되는 순간적인 전류에 따라 구동되어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너레이터 등과 같은 정격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회로는 이 출원 전에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164)는 신호 발생기(163)에 의해 발생되는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안정화한다. 예컨대, 필터(164)가 저항(R)과 캐패시터(C)로 이루어진 RC 필터일 수 있다.
스위치쌍(165a)(165b)은 잠금쇠 뭉치의 잠금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 또는 잠금쇠 뭉치의 해정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는 온(on)되고, 다른 하나는 오프(off)된다.
예컨대, 잠금쇠 뭉치의 잠금 또는 해정시 정,역 방향 회전되는 작동대(130)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시계방향)일 때 스위치(165a)는 온(on), 스위치(165b)는 오프(off)되고, 작동대(130)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반시계방향)일 때 스위치(165a)는 오프(off), 스위치(165b)는 온(on)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LED쌍(166a, 166b)은 잠금쇠 뭉치의 잠금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 또는 잠금쇠 뭉치의 해정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가 순간적으로 점멸된다. LED쌍(166a, 166b)은 하우징(110)에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예컨대, 잠금쇠 뭉치의 잠금 또는 해정시 정역 방향 회전되는 작동대(130)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시계방향)일 때의 스위치(165a) 온(on)에 따라, 신호 발생기(163)에 의해 발생되어 필터(164)에 의해 안정화된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LED(166a)에 인가하여 LED(166a)를 순간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잠금쇠 뭉치가 해정되었음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잠금쇠 뭉치의 잠금 또는 해정시 정역 방향 회전되는 작동대(130)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반시계방향)일 때의 스위치(165b) 온(on)에 따라, 신호 발생기(163)에 의해 발생되어 필터(164)에 의해 안정화된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LED(166b)에 인가하여 LED(166b)를 순간적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잠금쇠 뭉치가 잠금되었음을 알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LED(166a)는 초록색 등과 같은 제1색으로, LED(166b)는 빨간색과 같은 제2색으로 상이하게 점멸되어 사용자가 잠금쇠 뭉치가 해정되었는지 또는 잠금쇠 뭉치가 잠금되었는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LED를 통해 사용자에게 도어록이 해정되었는지 또는 도어록이 잠금되었는지 알릴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통공 카드키 110..하우징
120..키 삽입부 130..작동대
140..키 인식부 141..인식 바
142..고정 가이드 143..가동 가이드
144..가동 가이드 이동부 145..패턴 슬라이더
146..패턴 슬라이더 이동부 150..운동 전달부
151..승강블록 152..승강블록 연계부
153..푸시 핀 154..위치 전환부

Claims (8)

  1. 카드 본체와, 상기 카드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 패턴과, 상기 카드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비통공 패턴을 포함하는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도어록으로서,
    하우징;
    상기 통공 카드키를 삽입하며, 상기 통공 카드키가 삽입되어 푸시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키 삽입부;
    상기 하우징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잠금쇠 뭉치를 잠금 또는 해정하는 작동대;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과정에서 상기 통공 카드키의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에 대한 인식 작용을 수행하는 키 인식부; 및
    상기 통공 카드키에 대한 상기 키 인식부의 인식 성공시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을 상기 작동대의 정,역 회전 동작으로 전달하는 운동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대는 상기 통공 카드키가 수평으로 푸시되는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의 후방 상측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며,
    상기 운동 전달부는,
    상기 키 삽입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대 쪽으로 이동하는 승강블록;
    상기 통공 카드키에 대한 상기 키 인식부의 인식 성공시 상기 키 인식부로부터 인출되는 패턴 슬라이더의 이동과 연계하여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시키는 승강블록 연계부;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승강블록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대를 정,역 회전시키는 푸시 핀; 및
    상기 푸시 핀이 상기 작동대를 회전시킨 후 상기 통공 카드키의 인출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핀의 좌우 위치를 전환하는 위치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전환부는,
    상기 푸시 핀이 상기 작동대를 회전시킨 후 중앙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푸시 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측 푸시 핀 안내블록;
    좌,우측 경사면이 상기 통공 카드키의 인출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호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전환 고정블록; 및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의한 상기 푸시 핀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푸시 핀에 의해 밀려 상기 통공 카드키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환 고정블록에 지지되며, 제1 전환 홈이 상기 통공 카드키의 인출 동작에 의한 상기 푸시 핀의 이동을 중앙 쪽으로 안내하며, 제2 전환 홈이 상기 제1 전환 홈과 이어져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전환 고정블록의 좌,우측 경사면들과 선택적으로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 카드키의 계속된 인출 동작에 의한 상기 푸시 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전환 이동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인식부는,
    상기 통공 카드키의 비통공 패턴이 상방으로 위치된 기준으로, 각 하단부가 상기 통공 카드키의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에 각각 대응되게 배열되며, 각 측면에 돌출 핀이 형성되며, 하방으로 탄성력을 각각 제공받는 복수의 인식 바들;
    상기 인식 바들의 각 하단을 끼워서 승강 안내하도록 상기 키 삽입부에 형성된 고정 가이드;
    상기 고정 가이드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상기 인식 바들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동 가이드;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가이드를 하강시키는 가동 가이드 이동부;
    상기 인식 바들의 하강시 상기 돌출 핀들의 높낮이가 상기 통공 패턴 및 비통공 패턴에 맞게 위치되어 인식 성공될 때 상기 가동 가이드로부터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해지도록 상기 돌출 핀들을 안내하는 패턴홈들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가이드에 대한 인입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패턴 슬라이더; 및
    상기 통공 카드키의 인식 성공시 상기 패턴 슬라이더를 상기 가동 가이드로부터 인출시키는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가이드 이동부는,
    상기 가동 가이드의 좌,우측에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이동 핀들과,
    상기 이동 핀들을 각각 끼운 상태로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의한 상기 가동 가이드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가동 가이드의 하강을 안내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이동 안내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슬라이더 이동부는,
    상기 패턴 슬라이더의 상부로부터 돌출된 이동 봉; 및
    외측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상기 통공 카드키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통공 카드키의 푸시 동작에 의한 상기 패턴 슬라이더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통공 카드키의 인식 성공시 상기 이동 봉을 외측방으로 밀어냄에 따라 상기 패턴 슬라이더를 상기 가동 가이드로부터 인출시키는 이동 안내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의 정,역 회전 동작에 따른 상기 잠금쇠 뭉치의 잠금 또는 해정 상태를 표시 제어하는 표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부는,
    통공 카드키의 푸시에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해 자계를 변화시키는 자석;
    상기 자석의 왕복 이동에 의해 변화되는 자계에 의해 순간적으로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순간적인 전류에 따라 구동되어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되는 LED 순간 점멸을 위한 구동 신호를 안정화시키는 필터;
    잠금쇠 뭉치의 잠금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 또는 잠금쇠 뭉치의 해정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는 온(on)되고, 다른 하나는 오프(off)되는 스위치쌍; 및
    잠금쇠 뭉치의 잠금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 또는 잠금쇠 뭉치의 해정을 위한 통공 카드키 조작인지에 따라, 어느 하나가 순간적으로 점멸되는 LED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KR1020170158749A 2017-11-24 2017-11-24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KR10196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49A KR101961277B1 (ko) 2017-11-24 2017-11-24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CN201880086695.6A CN111601939B (zh) 2017-11-24 2018-11-22 穿孔卡钥匙推式门锁
PCT/KR2018/014454 WO2019103489A1 (ko) 2017-11-24 2018-11-22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749A KR101961277B1 (ko) 2017-11-24 2017-11-24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277B1 true KR101961277B1 (ko) 2019-03-25

Family

ID=6590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749A KR101961277B1 (ko) 2017-11-24 2017-11-24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61277B1 (ko)
CN (1) CN111601939B (ko)
WO (1) WO201910348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881B1 (ko) * 1994-11-17 1998-06-15 김경수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KR20100132571A (ko) * 2009-06-10 2010-12-20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KR101262790B1 (ko) * 2011-12-06 2013-05-15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KR101706285B1 (ko) * 2016-08-22 2017-02-23 (주)씨리얼 실내 통합관리형 도어 락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729A (ja) * 1996-04-26 1997-11-11 N K Parts Kogyo:Kk カード式錠
CN201087607Y (zh) * 2007-09-18 2008-07-16 韩雪伟 直推式弹子锁
CN201265293Y (zh) * 2008-10-16 2009-07-01 陈炳良 一种锁具防盗装置及其配用的钥匙
EP2586939A1 (en) * 2010-06-23 2013-05-01 Mazetech Co., Ltd. Device for unlocking lock recognizing punched card
CN201794385U (zh) * 2010-08-10 2011-04-13 欧阳满桂 外锁式安全防盗锁
CN202596304U (zh) * 2012-05-11 2012-12-12 蒋浩 直推式防盗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881B1 (ko) * 1994-11-17 1998-06-15 김경수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KR20100132571A (ko) * 2009-06-10 2010-12-20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KR101262790B1 (ko) * 2011-12-06 2013-05-15 (주)메이즈텍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KR101706285B1 (ko) * 2016-08-22 2017-02-23 (주)씨리얼 실내 통합관리형 도어 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3489A1 (ko) 2019-05-31
CN111601939B (zh) 2021-11-12
CN111601939A (zh)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543B1 (ko) 통공 카드 키 인식 방식의 도어록, 및 그 도어록용 손잡이 장치
JP2008138501A (ja) ドアロック装置
KR0137881B1 (ko) 카드키를 이용한 시건장치
KR101961277B1 (ko) 통공 카드키 푸시 방식의 도어록
CN109403736A (zh) 锁芯受控型工业智能锁
CA2121583C (en) Mechanical card lock
KR101262790B1 (ko) 통공 카드 키, 및 이를 인식하는 록킹 해정장치
JPS5844164A (ja) 錠止め可能な機構用作動装置
CN107905637B (zh) 电子挂锁
DE212017000170U1 (de) Intelligenter Messerhalter
US5884511A (en) Mechanical card lock
US20130091908A1 (en) Device for unlocking lock recognizing punched card
CN209976237U (zh) 挂锁
CN216744853U (zh) 空调器及其室内机
CN212834612U (zh) 一种洗衣机门锁及具有其的洗衣机
US6680447B2 (en) Mounting unit for insertion into a mounting opening
KR920006008B1 (ko) 현금 배출기용 현금카세트의 개폐 및 개폐상태 표시장치
US20240153723A1 (en) Safety switch for guarding accesses
CN211572973U (zh) 一种电子锁具
JP3387899B2 (ja) スーツケース錠
KR101051881B1 (ko) 통공 카드 인식 록킹 해정장치
KR20190120025A (ko)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주차 구역 저장 무선 자동차 키 케이스 및 그 방법
CN111614810B (zh) 电子设备
JP3367851B2 (ja) カードリーダのカードロック機構
KR200367540Y1 (ko) 디지털 도어록의 키입력부 슬라이드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