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935B1 -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935B1
KR101960935B1 KR1020170107049A KR20170107049A KR101960935B1 KR 101960935 B1 KR101960935 B1 KR 101960935B1 KR 1020170107049 A KR1020170107049 A KR 1020170107049A KR 20170107049 A KR20170107049 A KR 20170107049A KR 101960935 B1 KR101960935 B1 KR 10196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opening
molten steel
fill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803A (ko
Inventor
한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07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22Closures sliding-gate type, i.e. having a fixed plate and a movable plate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for selective registry of thei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3Distributing the molten metal, e.g. using runners, floats,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8Meltabl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용강의 수용이 가능하며, 용강이 배출되는 개구인 출강구가 마련된 본체 및 본체 내부에서 상기 출강구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출강구 내부에 충진되는 필러에 충격을 가하거나, 열을 발생시켜 상기 필러가 상기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개공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슬라이드 게이트 오픈 시에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출강구가 자연 개공되지 않을 경우, 래들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또는 코일을 포함하는 개공부를 동작시켜 필러가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출강구를 개공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를 이용한 래들의 개공은, 종래의 개공 방법과 같이 화염 등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게 개공시킬 수 있으며, 용강 산화를 유발하지 않아 이로 인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Ladle and Treatment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래들 내 용강이 출강구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강을 운반하는 래들은 내화물로 제조되는 벽체와, 용강 내의 온도나 성분을 균일화시키기 위해 불활성 가스를 취입할 수 있는 플러그와, 처리가 완료된 용강을 주조하기 위해 벽체의 바닥에 형성되어 용강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래들에 마련된 배출구 내에는 탑 노즐이 삽입 설치되고, 래들의 하측에는 연주기와 연결된 쉬라우드 노즐(shroud nozzle)이 설치되며, 이러한 탑 노즐과 쉬라우드 노즐 사이에 슬라이딩 게이트가 설치된다.
래들의 용강을 턴디쉬로 공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슬라이딩 게이트를 개방하였을 때, 용강이 쏟아지는 힘에 의해 탑 노즐과 쉬라우드 노즐이 자연 개공되어, 래들의 용강이 턴디쉬로 이동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러한 자연 개공을 위해 용강을 래들에 수강시키기 전에, 래들의 배출구에 다수의 입자로 이루어진 예컨대, 모래와 같은 필러를 투입하고, 래들에 용강을 수강한다. 이때, 고온의 용강과 필러 간의 반응에 의해 소결층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용강을 출강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게이트를 개방하면,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소결층이 깨지면서 필러가 턴디시로 빠지고, 이에 배출구 및 탑 노즐이 자연 개공 됨에 따라, 래들 내의 용강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슬라이딩 게이트를 개방하더라도, 용강의 철정압에 필러가 깨지지 않아, 래들의 출강구가 개공 또는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된다. 래들이 개공 되지 않은 이유는 첫 번째, 필러의 관리 문제로 인해, 필러 수분이 다량 침투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뭉쳐질 수 있는데, 이 상태 그대로 래들에 투입됨에 따라, 소결층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조업 상황에 따라 용강의 온도가 높거나, 조업 문제 발생으로 주조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필러가 과도하게 소결되어 소결층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필러의 소결층이 과도하게 두꺼워지면, 슬라이딩 게이트를 개방하더라도,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래들이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러가 자연적으로 턴디시로 토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래들의 자연 개공에 실패하게 된다.
종래에는 자연 개공에 실패할 경우, 래들의 출강구를 두껍게 막고 있는 소결된 필러를 긴급히 제거하고 있다. 즉, 래들 하단부에 부착된 노즐을 제거한 후, 조업자가 랜스를 이용하여 래들 내 필러에 고온의 화염을 가하면, 소결층이 녹아 필러가 토출되면서 래들 내 용강이 쏟아져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필러 제거 작업의 경우, 화염이 역류하여 조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노즐이 제거된 상태로 용강이 배출되기 때문에, 용강이 비산되어, 턴디시 주변 설비가 손상되는 일이 있다. 또한, 용강이 산화되어 턴디시로 공급되기 때문에,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1-0055354
본 발명은 래들 내 용강이 출강구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러가 과도하게 소결되어 래들의 자연 개공이 힘들 때, 안정하게 개공시킬 수 있는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은 용강의 수용이 가능하며, 상기 용강이 배출되는 개구인 출강구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출강구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출강구 내부에 충진되는 필러에 충격을 가하거나, 열을 발생시켜 상기 필러가 상기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공부는 진동 가능한 진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부재는 출강구와 대응하는 위치가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이며, 상기 진동 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출강구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래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 및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부재는 출강구 상측의 용강이 상기 필러를 하측으로 누르는 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한다.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래들의 외측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초음파에 의해 진동한다.
상기 개공부는 자장 발생이 가능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자장에 의해 상기 필러가 가열된다.
상기 코일은 상기 출강구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래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 및 상기 철피 및 연와 내부에서 상기 출강구 주변에 설치되며, 내화물로 이루어진 웰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웰블록 외측 주변에 상기 코일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강의 처리 방법은 래들 내로 필러를 투입하여 상기 래들의 출강구를 충진하는 과정; 상기 래들 내로 용강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래들 하부에 설치된 게이트를 오픈하여, 상기 출강구를 개공시키고, 상기 용강을 배출시키는 과정; 및 상기 게이트가 오픈된 후, 상기 출강구 개공 여부에 따라, 상기 필러에 충격을 가하거나 가열하여, 상기 필러를 배출하고, 상기 출강구를 개공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출강구를 개공시키는 과정은,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필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 발생은 상기 출강구 상측의 용강이 상기 필러를 하측으로 누르는 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강구를 개공시키는 과정은, 상기 필러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필러는 자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필러는 Cr2O3 및 Fe2O3 중 적어도 하나의 자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하면, 슬라이드 게이트 오픈 시에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출강구가 자연 개공되지 않을 경우, 래들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또는 코일을 포함하는 개공부를 동작시켜 필러가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출강구를 개공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를 이용한 래들의 개공은, 종래의 개공 방법과 같이 화염 등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게 개공시킬 수 있으며, 용강 산화를 유발하지 않아 이로 인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들을 가지는 연속주조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들을 가지는 연속주조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주조설비는 용강(molten steel; M)이 저장되는 래들(100), 래들(100)로부터 용강(M)을 공급받는 턴디쉬(400), 래들(100) 내의 용강을 턴디쉬(400)에 공급하는 노즐(200), 래들(100)과 노즐(200) 간의 연통을 제어하는 게이트(또는 슬라이딩 게이트)(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턴디쉬(40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턴디쉬(400)로부터 용강을 제공받아 용강(M)을 1차 냉각시키는 주형(미도시), 턴디쉬(400)와 주형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턴디쉬(400)의 용강(M)을 주형으로 공급하는 노즐(미도시)을 포함한다.
노즐(200)은 래들(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래들의 출강구와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가 턴디쉬(400) 내로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시라우드 노즐(shroud nozzle)(200)일 수 있다.
게이트(300)는 래들(100)의 하측에서 탑노즐(14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탑노즐(14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이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310)와, 시라우드 노즐(2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하부 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320)에는 상부 플레이트(310)에 마련된 홀 및 시라우드 노즐(20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홀이 구비되며, 하부 플레이트(320) 및 시라우드 노즐(200)은 별도의 이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들은 외관을 형성하며,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용강의 배출이 가능한 개구(이하, 출강구(113))가 마련된 본체(110), 출강구(113)와 연통가능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는 탑노즐(140) 및 본체(110) 내에서 출강구(113) 주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필러(F)에 의해 출강구(113)가 자연 개공이 되지 않을 경우, 출강구(113)를 개공시키는 개공부를 구비한다.
필러(F)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물질일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러는 표 1과 같이, SiO2, Cr2O3, Al2O3, MgO, Fe2O3, Na2O, K2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iO2 Cr2O3 Al2O3 MgO Fe2O3 Na2O Na2O
함량(wt%) 36
~55
20~28 1~12 4~6 10~16 2~3 0.3 이하
본체(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111),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철피(111)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와(11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철피(111)의 내측면에 축조되는 제 1 연와(또는 영구장 연와)와, 제 1 연와의 내측면에 축조되어 래들(100)의 내벽면을 이루면서 용강과 접촉되는 제 2 연와(또는 내화연와)를 포함한다.
연속 주조를 실시하기 전, 또는 래들(100)로 용강을 장입하기 전에 래들(100)의 출강구로 필러(filler)(F)를 투입 또는 채운다. 이후, 래들(100)로 용강을 수강시키면, 래들(100)의 출강구(113) 내를 채우도록 투입된 필러(F)는 용강의 열에 의해 소결되며, 소결된 필러(F)는 래들(100) 내 용강이 배출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주조 개시를 위해, 게이트(300)를 개방한다. 즉, 하부 플레이트(3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하부 플레이트(320)의 개구와 상부 플레이트(310)의 개구가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이때, 래들(100) 내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소결되어 있던 필러(F)가 파괴 또는 깨지면서, 래들(100) 출강구(113)가 자연 개공됨에 따라, 래들(100) 내 용강이 시라우드 노즐(200)을 따라 이송되어 턴디시(T)로 공급된다.
그런데, 게이트(300)를 오픈하더라도, 용강(M)의 철정압에 필러가 깨지지 않아, 래들(100)의 출강구(113)가 개공 또는 개방되지 않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된다. 다른 말로 하면, 소결된 필러(F)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래들(100)의 출강구(113)로부터 배출되지 않아, 출강구(113)를 폐쇄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수분이 다량 침투되어 뭉친 상태의 필러(F)가 투입되었거나, 조업 상황에 따라 용강(M)의 온도가 높거나, 조업 문제 발생으로 주조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 필러(F)가 과도하게 소결되어 소결층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출강구(113)를 채운 필러(F) 중 용강과 접촉한 면인 상부면에서 얇게 소결이 일어나고, 상부면 안쪽으로는 용강이 스미지 않았거나 소결되지 않았을때, 게이트(300)를 오픈하면, 용강(M)의 철정압에 의해 필러(F)가 깨져 흩어지면서 출강구(113)가 개방된다. 그러나, 필러(F)의 상부면뿐만아니라, 그 내부까지 깊게 소결이 된 경우, 래들(100)과 필러(F)가 접촉된 부분의 접합력이 강해져, 용강(M)의 철정압을 이겨내거나, 출강구(113) 주변에 해당하는 래들(100) 본체(110)에 걸려 필러(F)가 배출되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게이트(300)를 오픈시키더라도 필러(F)가 파괴되지 않아 출강구(113)가 자연 개공되지 않을 때, 출강구(113)를 개공시킬 수 있는 개공부를 가지는 래들(100)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개공부는 래들(100)을 구성하는 본체(110) 내부에서 출강구 주변에 설치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공부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는 래들(100)의 본체 내부에서 출강구 주변에 설치된 진동 부재(121)이다.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121)는 인가되는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진동 가능한 것으로, 래들(100)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초음파 발생부(400)와 연결된다.
한편, 래들(100) 내 용강이 채워지면, 필러(F)에 용강(M)에 의한 철정압이 가해진다. 즉, 필러(F)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 또는 중력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에,소결된 필러는 상하 방향 또는 중력 방향과 교차 또는 수직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취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발생부(4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진동 부재(121)를 상하 방향 또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이에, 용강(M)에 의해 상하 방향 또는 중력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고 있던 과잉 소결된 필러(F)가 진동 부재(121)에 의한 진동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괴되며, 이로 인해 필러가 흩어짐에 따라 출강구(113)가 개공 또는 개방된다.
한편, 종래의 래들의 본체에는 출강구 주변에 내화물로 이루어진 웰블록이 설치되고, 탑노즐이 웰블록의 하부에 연결되었다. 그리고, 웰블록 내부에 필러를 충전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진동 부재(121)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그 내측면이 출강구(113)로 노출되도록 또는 충진되는 필러(F)와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연와(112) 내부에서 출강구(113) 주변에 진동 부재(121)를 설치하고, 진동 부재(121) 내부에 필러를 충전한다. 다른 말로 하면, 출강구(113) 주변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웰블록의 자리에 진동 부재(121)를 설치하고, 진동 부재(121)의 하측에 탑노즐(140)이 연결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출강구(113)의 상하 방향 중, 출강구(113)의 상부 영역 주변을 둘러싸도록 진동 부재(121)가 설치되고, 진동 부재(121)의 내측면이 출강구(113) 상부 영역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진동 부재(121)의 하측에 해당하는 출강구(113)의 하부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는 웰블록(130)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래들의 본체(110)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철피(111),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112)를 포함한다. 또한, 출강구의 하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웰블록(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진동 부재(121)의 내측면이 출강구(113)에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진동 부재(121)의 개방부에 필러를 투입하면, 진동 부재(121)의 내측면과 필러(F)가 직접 접촉된다. 그리고, 게이트(300) 오픈시 필러(F)가 자연 개공되지 않았을 때, 초음파 발생부(400)를 통해 진동 부재(121)에 진동을 가하면, 진동 부재(121)의 진동이 필러(F)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이에, 진동 부재(121)의 진동에 의한 충격에 의해 두껍게 소결되어 있는 필러(F)가 쉽게 파쇄 또는 깨지며, 이로 인해 뭉쳐저 있던 필러(F)가 흩어지면서 래들(100)이 개공된다.
이렇게 진동 부재(121)가 출강구(113)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경우, 진동 부재(121)가 출강구(113)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 경우에 비해, 필러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 두껍게 소결된 필러(F)를 보다 쉽게 파쇄 또는 소분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부재(121)는 적어도 그 내측면이 내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진동 부재(121)는 다른 예로, 내열성을 가지는 내화물로 이루어진 몸체 및 몸체 내부에 설치된 진동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개공부가 진동 부재(121)이며, 초음파 발생부(400)로 진동 부재(121)에 초음파 에너지를 인가하여, 진동 부재(121)를 진동시킴으로써, 과도하게 소결된 필러(F)에 물리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래들(100)을 개공시켰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공부는 자장이 발생되는 수단인 코일(coil)(122)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전 코일일 수 있다. 그리고 래들(100)의 외부에는 코일(122)에 자장 발생을 위한 전원 즉,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500)가 배치되고, 상기 코일(122)과 연결된다.
그리고, 코일(122)은 래들(100) 내 연와(112) 내부에 설치되는데, 출강구(113) 주변에 설치된 웰블록(1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들(100)의 본체(110)는 철피(111),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철피(111)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112) 및 출강구(113) 주변에 설치되며, 내화물로 이루어진 웰블록(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웰블록에 시라우드 노즐(200)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들(100)은 출강구(113) 상하 방향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웰블록(130)이 설치되고, 웰블록(130)의 상부 영역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코일(122)이 설치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인 코일(122)은 웰블록(13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연와(112) 내에 설치되어,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출강구(113) 내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부(500)에 의해 코일(122)에 전류가 흐르면, 개공부를 둘러싸고 있는 코일(122)의 내측에 자장이 발생되어 필러(F)로 전달되며, 이 자장이 필러(F)에 포함된 자성체 또는 자성체 산화물이 유전 가열된다. 이에, 필러(F) 소결층이 일부 용융되거나, 융점에 가까운 온도가 되도록 가열됨으로써, 필러(F) 소결층의 경도를 떨어뜨리게 되어, 필러(F)가 흩어짐에 따라 래들(100) 출강구(113)가 개공된다.
한편, 자성체 산화물은 금속과 같이 유도 전류가 형성되지 않으나, 코일(122)에 의해 자장에 노출되면, 자성체 산화물의 원자들이 반응하여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된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개공부가 자장이 발생되는 또는 필러(F)로 자장을 전달하는 코일(122)을 포함하는 경우, 자성체가 함유된 필러(F)를 사용한다. 즉, 필러(F) 내 자성체 함량이 30 wt% 이상일 때, 코일(122)로부터 전달되는 자장에 의해 가열되는 자성체 성분 함량이 충분하여, 필러(F)의 두꺼운 소결층의 용융이 용이하거나, 융점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이 용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자성체가 3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wt% 이상, 44 wt% 이하 함유된 필러를 사용한다.
한편, 예를 들어 자성체가 30 wt% 미만인 경우, 코일(122)로부터 전달되는 자장에 의해 가열되는 자성체 성분 함량이 낮아, 필러의 소결층이 용융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래들 사용 시, 필러(F)는 예컨대 자성체로 Cr2O3 및 Fe2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필러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O2, Cr2O3, Al2O3, MgO, Fe2O3, Na2O, K2O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인 Cr2O3의 함량과 Fe2O3의 함량의 합이 30 wt%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Cr2O3가 20 wt% 이상, Fe2O3가 10 wt%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r2O3가 20 wt% 이상, 28 wt% 이하, Fe2O3가 10 wt% 이상, 16 wt%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SiO2는 36 wt% 이상, 55 wt% 이하, Al2O3는 1 wt% 이상, 12wt% 이하, MgO는 4 wt% 이상, 6 wt% 이하, Na2O는 2 wt% 이상, 3 wt% 이하, 수분이 0.3 wt% 이하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산화물들을 포함하는 필러 사용시에, 코일로 인가되는 고주파 전류는 20MHz 내지 50Mhz로 한다. 코일에 20MHz 내지 50Mhz의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면, 필러에 포함된 자성체 즉, Cr2O3, Fe2O3가 가열되며, 이에 따라 소결층이 용융되거나 융점에 가깝도록 가열된다.
하지만, 20MHz 미만의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자성체 즉, Cr2O3 및 Fe2O3가 가열되지 않아, 소결층이 용융되거나 융점에 가깝도록 용융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게이트 오픈 시에 용강의 철정압에 의해 출강구가 자연 개공되지 않을 경우, 래들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진동 부재 또는 코일을 포함하는 개공부를 동작시켜 필러가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출강구를 개공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공부를 이용한 래들의 개공은, 종래의 개공 방법과 같이 화염 등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게 개공시킬 수 있으며, 용강 산화를 유발하지 않아 이로 인해 제품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 필러 113: 출강구
121: 진동부재 122: 코일

Claims (15)

  1. 용강의 수용이 가능하며, 상기 용강이 배출되는 개구인 출강구가 마련된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출강구 주위에 설치되어, 상기 출강구 내부에 충진되는 필러에 충격을 가하여, 상기 필러가 상기 출강구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개공부;
    상기 개공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출강구를 둘러싸며, 내화물로 이루어진 웰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공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초음파 에너지에 의해 진동 가능하고, 상기 필러가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출강구와 대응하는 위치가 개구된 중공형의 형상인 진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출강구 주변에 위치되어, 내측면이 상기 출강구로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 내부 설치되며,
    상기 웰블록은 상기 진동 부재의 하측에 위치된 래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들은,
    외관을 형성하는 철피; 및
    내화물로 이루어진 벽돌을 상기 철피의 내측면에 축조하여 형성된 연와;
    를 포함하는 래들.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출강구 상측의 용강이 상기 필러를 하측으로 누르는 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래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래들의 외측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부와 연결된 래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107049A 2017-08-24 2017-08-24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KR10196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49A KR101960935B1 (ko) 2017-08-24 2017-08-24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49A KR101960935B1 (ko) 2017-08-24 2017-08-24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03A KR20190021803A (ko) 2019-03-06
KR101960935B1 true KR101960935B1 (ko) 2019-03-21

Family

ID=6576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049A KR101960935B1 (ko) 2017-08-24 2017-08-24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13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장입 방법
KR20210154410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개공장치 및 래들의 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607A (ja) * 1996-10-25 2001-02-27 デイデイエル―ヴ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液状溶融物を注入する方法、装置及び閉鎖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3269A5 (de) * 1981-06-01 1985-12-31 Metacon Ag Verfahren zum verhindern des einfrierens von metallischen schmelzen im auslaufkanal eines giessgefaesses.
WO2001067745A2 (en) 2000-03-03 2001-09-13 Avaz Networks Synchronization for digital cable network
KR101736582B1 (ko) * 2015-07-22 2017-05-17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필러 및 이를 이용한 래들 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2607A (ja) * 1996-10-25 2001-02-27 デイデイエル―ヴ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液状溶融物を注入する方法、装置及び閉鎖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813A (ko)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장입 방법
KR20210154410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 개공장치 및 래들의 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03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5878A (en) Method of casting metals by induction heating
KR101960935B1 (ko) 래들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처리 방법
US10260810B2 (en) Channel electric inductor assembly
CN105492142A (zh) 形成金属部件的方法
CN209043023U (zh) 一种感应熔炼炉及其炉体
CN105834395B (zh) 用于压铸工艺的金属浇注方法
EP3202522B1 (en) Method for the alumino-thermite welding of rail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1790002B1 (ko) 노즐, 이를 구비하는 연속주조장치 및 연속주조방법
JP5170353B1 (ja) 溶鋼の供給開始方法
JP2021074976A (ja) 積層造形方法
KR100759310B1 (ko) 이중 구조의 내화물을 포함하는 용해로 및 용해로의 내화물형성 방법
KR102368564B1 (ko) 래들 개공장치 및 래들의 개공방법
JP5164781B2 (ja) 硫黄固化体の打設方法及び打設装置
KR100857581B1 (ko) 플라스틱 제품 사출방법 및 사출장치
KR100433345B1 (ko) 리바운드 로스 제거 방법
KR101977359B1 (ko) 주조장치
JP2007511731A (ja) 高温度炉
KR20160125529A (ko) 금속의 연속 주조 방법
KR102227831B1 (ko) 용기 처리 방법 및 용융물 장입 방법
KR102244023B1 (ko) 래들의 개공부의 개공 장치
KR20110046668A (ko) 단조용 강괴 제조 방법 및 단조용 강괴 제조 장치
KR101927770B1 (ko) 냉각 커버
KR102043518B1 (ko) 래들필러의 소결 특성 평가 장치
JPS61117210A (ja) 浸漬管の耐火ライニング補修方法
KR101257264B1 (ko) 주철 제조용 접종제 투입기 및 접종제 투입용 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