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53B1 -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253B1
KR101960253B1 KR1020180159941A KR20180159941A KR101960253B1 KR 101960253 B1 KR101960253 B1 KR 101960253B1 KR 1020180159941 A KR1020180159941 A KR 1020180159941A KR 20180159941 A KR20180159941 A KR 20180159941A KR 101960253 B1 KR101960253 B1 KR 10196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ooling
cooling water
chai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양훈
이홍구
최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테크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테크,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테크
Priority to KR102018015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heating or cooling articles or materials to facilitat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4Cleaning of, or removing dust from, containers, wrappers, or packaging ; Preventing of fou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6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38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425Continuous or uninterrupted load-carry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식품이 담긴 파우치 또는 치어팩을 포장이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냉각시키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는, 파우치 식품의 입구측과 출구측이 각각 구비된 냉각용 챔버와, 상기 파우치 식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파우치 식품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공급장치를 가지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챔버의 입구측에는 입구측으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불량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파우치 검사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용 챔버의 출구측에는 고압의 공기로 파우치에서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냉각수 제거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을 이용한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용 챔버 내에는 곡선 또는 꺾임구간에서 T형의 컨베이어 Chain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도록 하는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이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Refrigerator for Pouch Products}
본 발명은 고온의 식품이 담긴 파우치 또는 치어팩을 박스(BOX) 포장이 가능하도록 연속적으로 냉각시키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고온의 식품이 담겨 이송되는 상태의 파우치 또는 치어팩을 가압하여 핀홀 또는 파손되어 누설상태의 제품이 출하 되지 않도록 검사하고,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고온의 식품이 담긴 파우치 또는 치어팩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적정한 온도까지 냉각시키며, 냉각수로 냉각되어 이송되는 파우치 또는 치어팩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및 식품 등이 수용된 파우치 또는 치어팩(이하, 파우치라 총칭한다) 제품의 냉각처리는 수조에 제품이 담겨진 상태로 이송하거나 매쉬 벨트로 이루어진 컨베이어에 무작위로 적재하여 냉각수를 순환기켜 주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식 제조 및 포장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의 편리성 추구와 홀로 생활하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간편하여 음식 조리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양한 파우치 제품(예, 부대찌개 소스, 순두부찌개 소스, 스파케티 소스 등과 같은 다양한 소스 식품 또는 두유, 요커트, 아이스크림 등과 같은 음료식품 등)이 개발되오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파우치 제품은 수조에 제품을 담겨진 상태로 이송하는 방식의 경우 제품의 부력과 물의 저항 등으로 제품의 형상이 변형되어 형상 유지에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컨베이어에 무작위로 적재하여 냉각수를 뿌려 주는 방식의 경우도 후속 공정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작업인원이 투입되어 제품을 다시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인력의 소요가 더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34278호인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와, 등록특허 제1194373호인 식품용 냉각이송장치 등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으로 제공된 종래기술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품을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제품에 냉각수 또는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진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도 1과 같이 등록특허 제1034278호인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에서는 밀폐된 냉각챔버(1)와; 상기 냉각챔버(1) 내에 구비된 실온수를 사용하는 1차 컨베이어(100)와, 상기 1차 컨베이어(100)에 후방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사용하는 2차 냉각컨베이어(200)로 이루어지는 냉각이송부(2)와; 상기 1차 컨베이어(100)와 냉각컨베이어(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을 가지고, 제품을 컨베이어로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제품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34278호인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의 경우 구동수단(3)은 구동모터(40) 양측으로 수평구동축(50)을 설치하고, 상기 수평구동축(50) 양단에 각각 기어박스(30)를 설치하고, 각 상기 기어박스(30)에 수직구동축(20)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구동축(20)에 다층으로 다수개의 회전스프로킷(10)을 설치하여, 다수의 상기 회전스프로킷(10)으로 컨베이어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회전스프로킷(10)의 설치위치에 제약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켄베이어 설계 및 배치 디자인이 용이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각각의 회전스프로킷이 구동함으로써 켄베이어에 큰 장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일측의 회전스프로킷에서 치합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컨베이어에 지속적으로 장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한쌍의 수직구동축에 각각 다수의 회전스프로킷이 설치되고, 이 다수의 회전스프로킷에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켄베이어가 결합되게 됨에 따라 수직구동축에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피치의 불균일 또는 공차로 인하여 회전스프로킷에서 치합이 부정확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KR) 등록특허 10-1194373 (KR) 등록특허 10-1034278
본 발명은 이송중인 파우치 제품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이상상태의 제품을 검사하고, 연속적으로 이송중인 각각의 파우치 제품에 연속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고, 냉각수로 냉각되어 배출되는 파우치 제품 내에서 냉각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스프로킷을 사용하지 않고, 파우치 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를 구비한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는, 파우치가 유입되는 입구측과 배출되는 출구측이 각각 구비된 냉각용 챔버와, 상기 파우치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파우치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공급장치를 가지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챔버의 입구측에는 입구측으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불량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파우치 검사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용 챔버의 출구측에는 고압의 공기로 파우치 표면의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냉각수 제거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을 이용한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용 챔버 내에는 곡선 또는 꺾임구간에서 T형의 컨베이어 Chain을 안내하는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우치 검사장치는, 냉각용 챔버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검사장치 몸체와; 상기 검사장치 몸체 내에 구비되어 파우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을 받아 파우치 이송장치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컨베이어 방식의 검사장치 이송장치와; 상기 검사장치 이송장치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하는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롤러를 가지는 검사장치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수 제거장치는, 냉각용 챔버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거장치 몸체와; 상기 제거장치 몸체 내에 구비되어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양측에 체인이 구비된 사슬망 컨베이어 방식의 제거장치 이송장치과; 상기 제거장치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냉각된 파우치의 상측과 하측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다수개의 상기 공기분사노즐은 파우치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거장치 공기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는 파우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나선형으로 배치된 외측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T형의 홈이 형성된 내측가이드대로 이루어진 안내용 가이드대와; 상기 내측가이드대의 T형의 홈에 하측에 삽입되어 안내용 가이드대를 따라 이동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과; 상기 컨베이어 Chain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구동 체인휠과 종동 체인휠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Chain 구동장치와;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의 곡선구간부분에 설치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을 포함하며,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은 파우치가 안착되는 파우치 테이블이 형성되도록 상측에 테이블부와 하측에 체인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T'형의 단위 컨베이어용 Chain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은 체인부와 접촉하여 유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파우치의 이상유무 상태검사를 연속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며, 검사가 이루어진 파우치가 나선형으로 배치된 T형의 컨베이어 Chain에 안착되어 연속적으로 이송을 하며, 분사되는 냉각수로 냉각이 이루어지고, 냉각수로 냉각된 파우치는 포장이 가능하도록 고압의 공기로 냉각수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고온 상태의 파우치의 이상유무를 검사하고,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을 시킨 후 냉각수를 제거하는 한편, 파우치(제품)간에 서로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추가적으로 정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온의 파우치(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스프로킷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동력원인 구동모터로부터 각각의 스프로킷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스프로킷을 사용으로 발생하는 설비비용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기술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정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구성 중 파우치 검사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구성 중 냉각수 제거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구성 중 파우치 이송장치와 냉각수공급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구성 중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이 설치된 코너부분에 대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대신한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내부사진이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이 설치된 코너부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대신한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출구측과 냉각수 제거장치 부분의 사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대신한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냉각수 제거장치 사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고온의 식품이 담겨 이송되는 상태의 파우치 또는 치어팩을 가압의 방식으로 포장상태를 검사하고,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고온의 식품이 담긴 파우치 또는 치어팩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냉각시키며, 냉각을 위하여 사용된 냉각수를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파우치 또는 치어팩에서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의 구성은, 파우치(식품)(a)가 유입되는 입구측과 배출되는 출구측이 각각 구비된 냉각용 챔버(100)와, 상기 파우치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200)와, 상기 이송장치(200)로 이송되는 파우치 식품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공급장치(300)와,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파우치가 이송되는 상태에서 누수와 같은 포장상태를 검사하도록 하는 파우치 검사장치(400)와,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파우치에서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하는 냉각수 제거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용 챔버(100)는 밀폐상태로 이루어지며, 하측에는 사용된 냉각수가 모여지는 냉각수 수조부(110)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파우치(a)가 유입되는 입구측(10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유입된 파우치가 배출되는 출구측(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냉각수 수조부(110) 상측으로는 파우치가 이송하며 분사되는 냉각수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한 내부공간(120)을 가진다.
특히, 냉각용 챔버(100)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않고 단일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200)는 입구측(101)으로 유입된 파우치(a)를 배출측(102)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T형의 컨베이어 Chain을 이용한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200)는 나선형으로 배치된 안내용 가이드대(210)와, 상기 안내용 가이드대(210)를 따라 이동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과,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을 이동(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Chain 구동장치(230)와, 곡선구간에 설치된 다수개의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용 가이드대(210)는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파우치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파우치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나선형으로 배치된 외측가이드프레임(211)과,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211) 내에 구비되는 T형의 홈(213)이 형성된 내측가이드대(212)로 이루어진다(도 1 내지 3과, 도 6 참조).
또한, 상기 안내용 가이드대(210)는 냉각용 챔버(100)의 외측을 따라 올라가는 외측 안내용 가이드대부(210a)와, 냉각용 챔버(100)의 내부공간(120)에 나선형태로 돌며 내려가는 내측 안내용 가이드대부(210b)와, 리턴을 위한 리턴용 안내용 가이드대부(210c)로 이루어진다(도 1 내지 3 참조). 상기 외측 안내용 가이드대부(210a)와 내측 안내용 가이드대부(210b)는 냉각구간이며, 상기 리턴용 안내용 가이드대부(210c)는 리턴구간이다.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은 파우치(a)가 안착되는 파우치 테이블이 형성되도록 상측에 테이블부(221)와, 상기 상측에 테이블부(221) 하측으로 체인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인부(222)로 이루어진 다수의 'T'형의 단위 컨베이어용 Chain(22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 Chain 구동장치(230) 전동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모터(231)와, 출구측(102)에 설치된 구동 체인휠(232)과, 입구측(101)에 설치된 종동 체인휠(233)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이 곡선구간에서 간섭현상 등의 발생으로 이동부하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성이다.
이거한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냉각용 챔버(100)의 내부공간(120)에 자유회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3과 도 도 8과 같이 곡선구간에 설치되어, 도 7과 같이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체인부(222)과 접촉하여 안내를 하도록 한다.
보통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일측이 냉각용 챔버(100) 또는 안내용 가이드대(210)에 고정설치된 안내휠용 설치대(241)에 설치된 안내휠용 수직축(242)에 자유회전을 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자유회전을 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체인부(222)과 접촉시 상기 체인부(222)의 이동속도에 맞춰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안내용 가이드대(210)는 코너부분에서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체인부(222)과 접촉하여 안내를 할 수 있도록 절개용 홈(214)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211)은 이송되는 파우치(a)가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 상에서 미끄럼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측가이드프레임(211) 내에 설치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경사각이 보통 5~10도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총 길이는 43~47M이며, 냉각을 위하여 파우치(a)를 이동시키는 냉각구간인 입구측(101)의 종동 체인휠(233)에서부터 출구측(102)의 구동 체인휠(232)까지의 길이는 38~42M이며, 리턴구간인 출구측(102)의 구동 체인휠(232)에서부터 입구측(101)의 종동 체인휠(233)까지의 길이는 5~7M가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냉각수공급장치(300)는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200)의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파우치(a)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을 시키는 구성으로, 냉각구간인 입구측(101)의 종동 체인휠(233)에서부터 출구측(102)의 구동 체인휠(232)에 설치된 외측가이드프레임(211)을 따라 그 상측에 설치되는 냉각수 공급배관(310)과,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31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파우치(a)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노즐(320)과,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냉각수 수조부(110) 내의 냉각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 검사장치(4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입구측(101)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겨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파우치에 압력을 가하여 이상상태를 검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파우치 검사장치(4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입구측(101)에 설치되는 검사장치 몸체(410)와, 상기 검사장치 몸체(410) 내에 구비되어 파우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을 받아 파우치 이송장치(2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컨베이어 방식의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와, 상기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하는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롤러를 가지는 검사장치 가압수단(430)과, 상기 검사장치 가압수단(430)에 의하 가압시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의 컨베이어의 처침을 방지하도록 하는 지지대(440)를 포함한다(도 1과 도 4 참조).
컨베이어 방식의 상기 검사장치 이송장치(420)는 검사장치용 모터(421)와, 상기 검사장치용 모터(421)와 연결되어 파우치(a)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검사장치용 컨베이어(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사장치 가압수단(430)는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파우치(a)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가압용 롤러(431)와, 상기 가압용 롤러(431)가 설치되는 가압용 롤러 설치대(4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용 롤러 설치대(432)는 검사장치 몸체(410)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가압용 롤러(431)와 검사장치용 컨베이어(4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파우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용 롤러 설치대(432)는 첨부된 도면과 같이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핀,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 방식으로 가압용 롤러(43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냉각수 제거장치(5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출구측(102)에 설치되어 냉각수로 냉각된 파우치에 고압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냉각수를 파우치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냉각수 제거장치(5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출구측(102)에 설치되는 제거장치 몸체(510)와, 상기 제거장치 몸체(510) 내에 구비되어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양측에 체인이 구비된 사슬망 컨베이어 방식의 제거장치 이송장치(520)과, 상기 제거장치 이송장치(520)로 이송되는 냉각된 파우치의 상측과 하측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공기분사노즐설치대(531)와, 상기 공기분사노즐설치대(531)에 설치된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532)로 이루어져 이송하는 파우치(a)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거장치 공기분사장치(530)와, 이송하는 상기 파우치(a)의 상측을 눌러 공기분사노즐(532)에서 분사되는 압력공기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파우치 고정용 롤러대(540) 및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거장치 이송장치(520)는 제거장치용 구동모터(521)과, 상기 제거장치용 구동모터(521)의 동력으로 이동하도록 양측에 체인이 구비된 사슬망 컨베이어(522)와, 상기 사슬망 컨베이어(522)에 동력을 전달하고 안내하도록 하는 다수개 체인휠(52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는,
냉각용 챔버(100) 입구측(101)으로 파우치(a)가 공급되기 전에 파우치 검사장치(400)에서 제품인 파우치(a)에 발생한 핀 홀 체크(Pin hole check) 등 파우치 포장의 접착불량 등의 검사를 이송되는 상태에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냉각용 챔버(100) 출구측(102)으로 냉각이 이루어진 상태로 배출되는 파우치(a)가 냉각수 제거장치(500)를 통과하여 세척수가 제거되어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배출이 이루어지되 파우치 검사장치(400)에서 부터 냉각되어 냉각수 제거장치(500)를 통과하기까지 파우치의 뒷집어지거나 겹치는 등과 같은 정렬상태가 변화지 않아 후처리 작업이 간단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냉각용 챔버(100) 내에 배치된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곡선 또는 꺾임구간에서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을 안내하는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이 설치됨에 따라 곡선 또는 꺾임구간에서 발생하는 마찰, 간섭현상 등에 의한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이송부하를 줄일 수 있어,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가 절단 또는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100 : 냉각용 챔버
200 : 파우치 이송장치
220 : T형의 컨베이어 Chain
240 :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
300 : 냉각수공급장치
400 : 파우치 검사장치
500 : 냉각수 제거장치

Claims (4)

  1. 파우치가 유입되는 입구측과 배출되는 출구측이 각각 구비된 냉각용 챔버(100)와, 상기 파우치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방식의 파우치 이송장치(200)와, 상기 이송장치(200)로 이송되는 파우치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공급장치(300)를 가지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입구측에는 입구측으로 공급되는 파우치를 이송하는 상태에서 가압하여 불량유무를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파우치 검사장치(400)가 구비되며, 상기 냉각용 챔버(100)의 출구측에는 고압의 공기로 파우치에서 냉각수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냉각수 제거장치(500)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 이송장치(200)는 파우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나선형으로 배치된 외측가이드프레임(211)과,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211) 내에 구비되는 T형의 홈(213)이 형성된 내측가이드대(212)로 이루어진 안내용 가이드대(210)와; 상기 내측가이드대(212)의 T형의 홈(213)에 하측에 삽입되어 안내용 가이드대(210)를 따라 이동하는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과; 상기 컨베이어 Chain(22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31)와 구동 체인휠(232)과 종동 체인휠(233)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Chain 구동장치(230)와; 상기 외측가이드프레임(211)의 곡선구간부분에 설치되어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을 안내하는 다수의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을 포함하며,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은 파우치가 안착되는 파우치 테이블이 형성되도록 상측에 테이블부(221)와 하측에 체인부(222)로 이루어진 다수의 'T'형의 단위 컨베이어용 Chain(220a)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 Chain용 안내휠(240)은 체인부(222)와 접촉하여 유도하도록 하며, 상기 T형의 컨베이어 Chain(220)의 길이는 총 43~47M이며, 냉각구간의 길이는 38~42M이며, 리턴구간의 길이는 5~7M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검사장치(4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검사장치 몸체(410)와;
    상기 검사장치 몸체(410) 내에 구비되어 파우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을 받아 파우치 이송장치(200)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진 컨베이어 방식의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와;
    상기 검사장치 이송장치(420)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송하는 파우치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가압롤러를 가지는 검사장치 가압수단(4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제거장치(500)는,
    냉각용 챔버(10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거장치 몸체(510)와;
    상기 제거장치 몸체(510) 내에 구비되어 출구측에서 배출되는 파우치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양측에 체인이 구비된 사슬망 컨베이어 방식의 제거장치 이송장치(520)과;
    상기 제거장치 이송장치(520)로 이송되는 냉각된 파우치의 상측과 하측에서 공기를 분사하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을 구비하며, 다수개의 상기 공기분사노즐은 파우치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거장치 공기분사장치(5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4. 삭제
KR1020180159941A 2018-12-12 2018-12-12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KR10196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41A KR101960253B1 (ko) 2018-12-12 2018-12-12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41A KR101960253B1 (ko) 2018-12-12 2018-12-12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253B1 true KR101960253B1 (ko) 2019-03-20

Family

ID=6603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41A KR101960253B1 (ko) 2018-12-12 2018-12-12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48A (ko) 2019-11-26 2021-06-03 최종남 수온을 이용한 제품 온도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819A (ja) * 2007-04-20 2008-11-06 Toppan Printing Co Ltd 液漏れ検知装置を設けた充填機
KR20110006573A (ko) * 2009-07-14 2011-01-20 강용수 Uv살균이 가능한 파우치 포장시스템
KR101034278B1 (ko) 2010-12-06 2011-05-16 김의근 식품용 냉각이송장치
KR101194373B1 (ko) 2012-09-19 2012-10-25 김의근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819A (ja) * 2007-04-20 2008-11-06 Toppan Printing Co Ltd 液漏れ検知装置を設けた充填機
KR20110006573A (ko) * 2009-07-14 2011-01-20 강용수 Uv살균이 가능한 파우치 포장시스템
KR101034278B1 (ko) 2010-12-06 2011-05-16 김의근 식품용 냉각이송장치
KR101194373B1 (ko) 2012-09-19 2012-10-25 김의근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548A (ko) 2019-11-26 2021-06-03 최종남 수온을 이용한 제품 온도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501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ременного хранения изделий
WO2010150497A1 (ja) 食品の連続凍結装置および食品の連続凍結方法
KR101960253B1 (ko) 파우치 제품용 냉각장치
US53701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gitating and thermally conditioning filled containers
KR20080087754A (ko) 이동 체인용 전도 장치
KR101194373B1 (ko) 치어팩 및 파우치용 냉각장치
KR100922610B1 (ko) 회전식 컨베이어 장치
FI72959B (fi) Rulldrivningsmekanism till en behandlingsanordning foer glasskivor.
US5317818A (en) Pouch chiller
CN115649572A (zh) 一种均匀升温工业微波杀菌设备
JP3286561B2 (ja) 容器詰め流動体の冷却装置
CN210479877U (zh) 一种隧道冷冻机的输送装置
RU2318413C2 (ru) Аппарат для ротационной стерилизации консервов
US2569656A (en) Apparatus for treating the contents of closed containers
KR102481536B1 (ko) 살균기
KR102573841B1 (ko) 살균 모듈 및 개폐 모듈
CN213604232U (zh) 一种咸蛋裹浆设备
CN216806881U (zh) 用于网带间瓶子转运的提瓶机及输送系统
TWI641537B (zh) Container processing device
CN219545783U (zh) 一种滚筒式物流输送机
CN207476795U (zh) 单饼烙制水分蒸发控制装置
JP2005143316A (ja) パストライザ
US2192181A (en) Apparatus for treating canned goods
US1418574A (en) Canning apparatus
JP5016987B2 (ja) 容器の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