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231B1 -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231B1
KR101960231B1 KR1020180144980A KR20180144980A KR101960231B1 KR 101960231 B1 KR101960231 B1 KR 101960231B1 KR 1020180144980 A KR1020180144980 A KR 1020180144980A KR 20180144980 A KR20180144980 A KR 20180144980A KR 101960231 B1 KR101960231 B1 KR 101960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utting
lifting
cutter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환
Original Assignee
우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환 filed Critical 우성환
Priority to KR102018014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02C18/184Disc-shaped knives with peripherally arranged demountable cutting tip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33Feed means of ram or push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커팅분쇄유닛에서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수단이 잭(Jack)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수동으로 간편하게 승강판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에 대한 세척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대한 세척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커터조립체 및 하우징 등에 대한 장치 세부구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DEVICE FOR PULVERIZATION AND EXTRACTION OF AGRICULTURAL PRODUCT}
본 발명은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분쇄유닛에서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수단이 잭(Jack)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수동으로 간편하게 승강판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에 대한 세척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대한 세척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커터조립체 및 하우징 등에 대한 장치 세부구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 분쇄 장치는 회전비가 서로 다른 한 쌍의 분쇄롤러가 구비되고 이들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되는 농산물(예컨대, 쌀,보리 등의 곡류 또는 무, 고추 등)이 분쇄롤러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분쇄되도록 구성되고 있었다.
이러한 농산물 분쇄 장치는 분쇄횟수에 따라 입자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서, 분쇄롤러를 통과한 농산물을 수거하여 다시 분쇄롤러의 사이로 투입하는 과정을 수회 반복하면 농산물이 원하는 크기로 분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분쇄 장치는 분쇄된 농산물을 수거하여 재차 투입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작업자가 쉽게 피로해 지며 또한 농산물이 원하는 입자크기로 분쇄되기 전 까지는 자리를 비울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무, 쪽파, 대파, 미나리, 배, 고추 등과 같은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김치의 양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서도 상기와 같은 농산물 분쇄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한편,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건강을 위하여 당근, 양파, 샐러리 등의 농산물을 착즙하여 착즙된 엑기스를 레토르트 파우치 등의 포장을 통하여 유통 및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농산물의 착즙을 위하여, 특히 야채류의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농산물의 경우에는 즙을 내어 마시기 위하여 분쇄와 함께 착즙 기능을 통하여 농산물에 대한 분쇄 및 착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가 요구된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분쇄 장치는 단순히 농산물에 대한 분쇄를 위한 것으로, 착즙의 기능은 매우 미소한 것으로서 농산물에 대한 착즙을 위해서는 별도의 착즙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농산물 분쇄 장치는 분쇄를 위한 한 쌍의 분쇄롤러가 설치되는 분쇄를 위한 구동부분인 투입구 내측 및 분쇄롤러 등에 대한 세척이나 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분쇄 작업은 물론 착즙 작업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쇄를 위한 구동부분의 세척이 용이하면서 분쇄를 위한 구동부분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9761호 2000.02.15.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9121호 2013.10.10.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팅분쇄유닛에서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수단이 잭(Jack)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수동으로 간편하게 승강판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에 대한 세척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대한 세척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 및 하우징 등에 대한 장치 세부구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분쇄처리되도록 한 후에 분쇄처리된 농산물을 착즙처리되도록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있어서, 일 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및 분쇄하면서 하향 배출시키되, 하우징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팅분쇄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 상기 커팅분쇄유닛의 승강판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잭 구조가 적용되는 승강수단; 및상기 커팅분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출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잭 구조가 적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박스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하우징 내부에 안착설치된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승강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받침대 사이에 각 한 쌍의 상부암과 하부암이 마름모꼴이 되도록 한 쌍의 상부암의 마주하는 일단이 승강받침대와 힌지연결되고, 상기 승강받침대 상단은 상기 승강판의 일 측 저면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상기 승강판이 축 회전가능토록 연결고정되며, 한 쌍의 하부암의 마주하는 일단이 고정받침대와 힌지연결되는 한편, 한 쌍의 상부암의 대향되는 타단과 한 쌍의 하부암의 타단은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축은 리드스크류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상기 승강하우징을 관통하는 일단에는 회전조작을 위한 핸들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분쇄유닛은 일 측에 농산물이 공급되는 공급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축 설치되되 상단에 연동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조인트 하부에 결합프레임이 구비되는 커터축의 상기 결합프레임 하측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일정길이 감싸도록 커터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축의 하단에 분쇄커터가 연결되게 구성된 커팅분쇄조립체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분리가능토록 안착고정되는 마감편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되, 구동축의 하단에 상기 연동조인트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조인트가 구비되는 구동모터가 상측에 설치고정되고, 중앙으로부터 상기 구동축과 구동조인트가 하향 관통하여 돌출되며, 선택적으로 상승하여 일정각도 회전되는 승강판 및 상기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강판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잭 구조가 적용된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핸들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마름모꼴로 변화되면서 상기 승강받침대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부재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승강하우징 일 측에 선택적으로 외향 연장되게 돌출되면서 상기 핸들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핀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편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은 중앙의 연통공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공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단에 나사봉 타입의 결합봉의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며, 하단이 상기 마감편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결합봉에 결합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마감편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봉의 하단이 상기 마감편의 상면과 돌기, 홈 구조를 통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편의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은 저면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어 상향 함몰되어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지지봉의 결합봉이 상기 결합공 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봉은 상기 결합봉의 하단 둘레인 상면이 산 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은 상기 결합봉의 산 형 경사와 대응되어 산 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출관유닛은 상기 커팅분쇄유닛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압출스크류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팅분쇄유닛의 하부로부터 농산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의 하단부와 연결설치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와 농산물이 이동하는 터널 형태로 연결되며,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연결되며,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이 배출되는 깔때기 형태로 구비되되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배출부 및 상기 유입부 일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 배출부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부 일 측에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유입부, 이송부, 배출부에 걸쳐 내설된 상기 압출스크류를 거치면서 착즙된 액상을 하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마감편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외향 확장 형성된 상부플랜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마감편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착편이 돌출되어 상기 결착편 중앙에 결착홈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플랜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을 결착고정하는 결착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착구는 상기 상부플랜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을 결착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결착편의 결착홈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봉 타입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나사봉 타입의 일단이 상기 상부플랜지와 힌지 연결되는 한편,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는 나사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 복귀하면서 상기 마감편의 결착편 상면에 대한 결착홈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마감편의 둘레가 상기 상부플랜지의 둘레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부재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결착구는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 적용되는 너트부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너트부재를 관통하는 오링 타입의 조작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팅분쇄유닛에서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수단이 잭(Jack)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수동으로 간편하게 승강판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둘째,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에 대한 세척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대한 세척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연결축과 베어링 구조를 통해 승강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 및 하우징 등에 대한 장치 세부구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승강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사용상태로서, 커터부재들의 설치부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커터, 보조커터, 분쇄커터의 커터부재들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요부인 승강수단에 대한 설치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의 사용상태로서, 커터부재들의 설치부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커터, 보조커터, 분쇄커터의 커터부재들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1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분쇄처리되도록 한 후에 분쇄처리된 농산물을 착즙처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분류하면 커팅분쇄유닛(100), 승강수단(150) 및 압출관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은 일 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및 분쇄하면서 하향 배출시키되, 하우징(110)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130)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110) 내의 커팅분쇄조립체(1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70)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편(130)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잭 구조가 적용된다.
즉, 이러한 승강수단(150)은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출관유닛(200)은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요부인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은 크게 분류하면 하우징(110)과, 커팅분쇄조립체(120)와, 마감편(130)과, 승강판(140) 및 승강수단(15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10)은 일 측에 농산물이 공급되는 공급구(113)를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팅분쇄조립체(12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축 설치되되 상단에 연동조인트(122)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조인트(122) 하부에 결합프레임(123)이 구비되는 커터축(121)의 상기 결합프레임(123) 하측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일정길이 감싸도록 커터(125)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축(121)의 하단에 분쇄커터(127)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팅분쇄조립체(120)는 특히, 상기 커터축(121)의 상기 결합프레임(123) 하측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일정길이 감싸도록 커터(125)가 구비되되, 상기 커터(125)의 스크류 타입 상부 및 하부에 외향 연장되는 보조커터(126)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분쇄커터(127)는 원판 타입으로 적용되어 상기 커터축(121)의 하단에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편(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에 분리가능토록 안착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판(140)은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배치되되, 구동축(171)의 하단에 상기 연동조인트(12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조인트(172)가 구비되는 구동모터(170)가 상측에 설치고정되고, 중앙으로부터 상기 구동축(171)과 구동조인트(172)가 하향 관통하여 돌출되며, 선택적으로 상승하여 일정각도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마감편(130)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잭 구조가 적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150)은 상기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잭 구조가 적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박스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하우징(151) 내부에 안착설치된 고정받침대(152)와 상기 고정받침대(152)의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승강하우징(151)의 개방된 상부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받침대(153) 사이에 각 한 쌍의 상부암(154)과 하부암(155)이 마름모꼴이 되도록 한 쌍의 상부암(154)의 마주하는 일단이 승강받침대(153)와 힌지연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150)에서, 상기 승강받침대(153) 상단은 상기 승강판(140)의 일 측 저면에 연결축(153a)과 베어링(140a) 구조를 통해 상기 승강판(140)이 축 회전가능토록 연결고정되며, 한 쌍의 하부암(155)의 마주하는 일단이 고정받침대(152)와 힌지연결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승강수단(150)은 한 쌍의 하부암(155)의 마주하는 일단이 고정받침대(152)와 힌지연결되는 한편, 한 쌍의 상부암(154)의 대향되는 타단과 한 쌍의 하부암(155)의 타단은 힌지축(156)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축(156)은 리드스크류(157)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157)의 상기 승강하우징(151)을 관통하는 일단에는 회전조작을 위한 핸들(158)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수단(150)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핸들(158)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상부암(154)과 하부암(155)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마름모꼴로 변화되면서 상기 승강받침대(153)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158)을 선택적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재(미도시)는 예컨대, 상기 승강하우징(151) 일 측에 선택적으로 외향 연장되게 돌출되면서 상기 핸들(158)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핀의 구조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승강수단(150)을 통해 상승시킨 후의 상기 연결축(153a)과 베어링(140a) 구조를 통한 승강판(140)의 회전 작동은 상기 연결축(153a)과 베어링(140a) 구조가 없이 상기 승강받침대(153)의 상단이 상기 승강판(140) 일 측 저면에 용접고정된 구조로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설치프레임(150a)을 조작하여 회전시키는 작동을 통해 승강판(140)이 회전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예컨대 상기 설치프레임(150a)의 일 측을 회전축이 되도록 하여 타 측을 회전시켜 작동됨이 바람직하며,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작동은 별도의 상기 설치프레임(150a) 타 측 단부가 수동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대(미도시)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 측 단부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와 같은 승강판(140)의 회전 작동은 상기 설치프레임(150a) 타 측 단부는 자동으로 회전가능토록 별도의 설치대(미도시) 상에 링크 구조로 예컨대, 실린더 로드(미도시)의 출몰하는 단부가 링크 구조로 연결되어 실린더 로드의 출몰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커팅분쇄유닛(100)은 상기 마감편(130)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140)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판(140)은 중앙의 연통공(14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공(142)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공(142)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단에 나사봉 타입의 결합봉(161)의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며, 하단이 상기 마감편(130)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결합봉(161)에 결합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마감편(130)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140)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봉(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지지봉(160)의 하단이 상기 마감편(130)의 상면과 돌기, 홈 구조를 통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편(13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135)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160)은 저면에 상기 고정돌기(135)와 대응되어 상향 함몰되어 고정홈(16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봉(160)은 하단이 단순히 용접을 통해 상기 마감편(13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지봉(160)의 결합봉(161)은 상기 결합공(142) 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결합공(142)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봉(160)은 상기 결합봉(161)의 하단 둘레인 상면이 산 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142)은 상기 결합봉(161)의 산 형 경사와 대응되어 산 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 상기 압출관유닛(2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압출관유닛(200)은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압출스크류(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압출관유닛(200)은 크게 분류하면, 유입부(210)와, 이송부(220)와, 배출부(230) 및 배출하우징(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부(210)는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로부터 농산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단부와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유입부(210)와 농산물이 이동하는 터널 형태로 연결되며,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30)는 상기 이송부(220)와 연결되며,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이 배출되는 깔때기 형태로 구비되되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하우징(250)은 상기 유입부(210) 일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220), 배출부(2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부 일 측에 배출구(25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251)를 통하여 상기 유입부(210), 이송부(220), 배출부(230)에 걸쳐 내설된 상기 압출스크류(미도시)를 거치면서 착즙된 액상을 하향 회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미설명부호인 114는 하우징(1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수시로 하우징(110) 내부에 대하여 물을 공급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구이며, 115는 상기 세척구(114)를 선택적으로 밀폐하거나 개방시키는 세척캡의 구성이다.
아울러, 미설명부호인 B는 하우징(110) 내에 커터조립체(120)가 내설되도록 한 후에 마감편(130)을 하우징(110)의 상부플랜지(110) 상에 안착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조립체(120)의 결합프레임(123)을 상기 커터축(121)이 가능토록 마감편(130) 중앙 부분 둘레를 따라 볼팅 고정하는 결합볼트의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서의 요부인 커팅분쇄유닛(100)은 상기 마감편(13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외향 확장 형성된 상부플랜지(11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감편(130)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착편(131)이 돌출되어 상기 결착편(131) 중앙에 결착홈(1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상부플랜지(1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130)을 결착고정하는 결착구(1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착구(112)는 상기 상부플랜지(1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130)을 결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결착구(112)는 상기 결착편(131)의 결착홈(132)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봉 타입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나사봉 타입의 일단이 상기 상부플랜지(111)와 힌지 연결되는 한편,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는 나사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 복귀하면서 상기 마감편(130)의 결착편(131) 상면에 대한 결착홈(132)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마감편(130)의 둘레가 상기 상부플랜지(111)의 둘레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부재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결착구(112)는 특히,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 적용되는 너트부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너트부재를 관통하는 오링 타입의 조작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마감편(130)을 분리하여 하우징(110) 내의 커팅분쇄조립체(120)를 분리하기 위한 승강판(140)의 상승 및 회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판(140)의 상부에 구동모터(170)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70)와 함께 승강판(140)을 상승시켜 회전시킨 후에 구동모터(17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나, 구동모터(170)의 중량을 고려하여 상승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승강판(140)을 상승시키기 이전에 구동모터(170)를 분리한 후, 승강판(140)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의하면, 커팅분쇄유닛에서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감편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수단이 잭(Jack) 구조로 적용됨으로써 수동으로 간편하게 승강판을 상승시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설치프레임을 조작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에 대한 세척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대한 세척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의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의 커터축, 커터, 보조커터 및 분쇄커터로 구성된 커터조립체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을 선택적으로 잭(Jack) 구조로 구성된 승강수단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승시킨 후에 설치프레임을 조작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커터조립체 및 하우징 등에 대한 장치 세부구성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커팅분쇄유닛
110: 하우징 111: 상부플랜지
112: 결착구 113: 공급구
114: 세척구 115: 세척캡
120: 커터조립체 121: 커터축
122: 연동조인트 123: 결합프레임
125: 커터 126: 보조커터
127: 분쇄커터 130: 마감편
131: 결착편 132: 결착홈
135: 고정돌기 140: 승강판
141: 연통공 142: 결합공
140a: 베어링
150a: 설치프레임 150: 승강수단
151: 승강하우징 152: 고정받침대
153: 승강받침대 153a: 연결축
154: 상부암
155: 하부암 156: 힌지축
157: 리드스크류 158: 핸들
160: 지지봉
161: 결합봉 165: 고정홈
170: 구동모터 171: 구동축
172: 구동조인트
200: 압출관유닛
210: 유입부 220: 이송부
230: 배출부 250: 배출하우징
251: 배출구
N: 결합너트 B: 결합볼트

Claims (10)

  1.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분쇄처리되도록 한 후에 분쇄처리된 농산물을 착즙처리되도록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에 있어서,
    일 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농산물이 공급되어 커팅 및 분쇄하면서 하향 배출시키되, 하우징(110)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편(130)을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하우징(110) 내의 커팅분쇄조립체(1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70)가 설치고정되는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커팅분쇄유닛(100);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편(130)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잭 구조가 적용되는 승강수단(150); 및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출관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잭 구조가 적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박스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는 승강하우징(151) 내부에 안착설치된 고정받침대(152)와 상기 고정받침대(152)의 상부에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상기 승강하우징(151)의 개방된 상부로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받침대(153) 사이에 각 한 쌍의 상부암(154)과 하부암(155)이 마름모꼴이 되도록 한 쌍의 상부암(154)의 마주하는 일단이 승강받침대(153)와 힌지연결되고, 상기 승강받침대(153) 상단은 상기 승강판(140)의 일 측 저면에 연결축(153a)과 베어링(140a) 구조를 통해 상기 승강판(140)이 축 회전가능토록 연결고정되며, 한 쌍의 하부암(155)의 마주하는 일단이 고정받침대(152)와 힌지연결되는 한편,
    한 쌍의 상부암(154)의 대향되는 타단과 한 쌍의 하부암(155)의 타단은 힌지축(156)에 의해 결합되고, 힌지축(156)은 리드스크류(157)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157)의 상기 승강하우징(151)을 관통하는 일단에는 회전조작을 위한 핸들(158)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은 일 측에 농산물이 공급되는 공급구(113)를 가지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축 설치되되 상단에 연동조인트(122)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조인트(122) 하부에 결합프레임(123)이 구비되는 커터축(121)의 상기 결합프레임(123) 하측 외면에 스크류 타입으로 일정길이 감싸도록 커터(125)가 구비되며, 상기 커터축(121)의 하단에 분쇄커터(127)가 연결되게 구성된 커팅분쇄조립체(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에 분리가능토록 안착고정되는 마감편(130)과,
    상기 하우징(110) 상부에 배치되되, 구동축(171)의 하단에 상기 연동조인트(12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조인트(172)가 구비되는 구동모터(170)가 상측에 설치고정되고, 중앙으로부터 상기 구동축(171)과 구동조인트(172)가 하향 관통하여 돌출되며, 선택적으로 상승하여 일정각도 회전되는 승강판(140) 및
    상기 마감편(130)의 일 측 상부에 하단이 배치되는 설치프레임(150a) 일 측 상면에 하단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승강판(140)을 상승시킨 후에 승강판(140)의 일 측을 기준으로 승강판(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잭 구조가 적용된 승강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50)은 상기 핸들(158)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상부암(154)과 하부암(155)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마름모꼴로 변화되면서 상기 승강받침대(153)가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158)을 선택적으로 회전이 방지되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부재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승강하우징(151) 일 측에 선택적으로 외향 연장되게 돌출되면서 상기 핸들(158)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핀의 구조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편(130)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140)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140)은 중앙의 연통공(14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합공(142)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142)과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단에 나사봉 타입의 결합봉(161)의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돌출되며, 하단이 상기 마감편(130)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결합봉(161)에 결합너트(N)를 체결하여 상기 마감편(130)의 상부에 상기 승강판(140)이 다점 지지를 통해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지지봉(1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의 하단이 상기 마감편(130)의 상면과 돌기, 홈 구조를 통해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편(130)의 상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고정돌기(135)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봉(160)은 저면에 상기 고정돌기(135)와 대응되어 상향 함몰되어 고정홈(16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의 결합봉(161)이 상기 결합공(142) 측으로 안내되면서 상기 결합공(142)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봉(160)은 상기 결합봉(161)의 하단 둘레인 상면이 산 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142)은 상기 지지봉(160)의 산 형 경사와 대응되어 산 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관유닛(200)은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을 통해 커팅 및 분쇄된 농산물이 유입되어 일 측으로 이송하여 배출되도록 하면서 액상은 하향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은 이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내부에 압출스크류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부로부터 농산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커팅분쇄유닛(100)의 하단부와 연결설치되는 유입부(210)와,
    상기 유입부(210)와 농산물이 이동하는 터널 형태로 연결되며,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이송부(220)와,
    상기 이송부(220)와 연결되며, 착즙된 농산물 고형물이 배출되는 깔때기 형태로 구비되되 메쉬망이 내설된 타공판 타입으로 제공되는 배출부(230) 및
    상기 유입부(210) 일단으로부터 상기 이송부(220), 배출부(23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하부 일 측에 배출구(25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251)를 통하여 상기 유입부(210), 이송부(220), 배출부(230)에 걸쳐 내설된 상기 압출스크류를 거치면서 착즙된 액상을 하향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하우징(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편(13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외향 확장 형성된 상부플랜지(111)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마감편(130)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결착편(131)이 돌출되어 상기 결착편(131) 중앙에 결착홈(13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상부플랜지(1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130)을 결착고정하는 결착구(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112)는 상기 상부플랜지(111)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힌지 구조로 회전을 통해 상기 마감편(130)을 결착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결착편(131)의 결착홈(132)에 선택적으로 회전을 통해 삽입되는 나사봉 타입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나사봉 타입의 일단이 상기 상부플랜지(111)와 힌지 연결되는 한편,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는 나사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 일정거리 이동, 복귀하면서 상기 마감편(130)의 결착편(131) 상면에 대한 결착홈(132) 둘레를 가압하여 상기 마감편(130)의 둘레가 상기 상부플랜지(111)의 둘레와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너트부재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112)는 나사봉 타입의 타단에 적용되는 너트부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너트부재를 관통하는 오링 타입의 조작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20180144980A 2018-11-22 2018-11-22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96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80A KR101960231B1 (ko) 2018-11-22 2018-11-22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80A KR101960231B1 (ko) 2018-11-22 2018-11-22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231B1 true KR101960231B1 (ko) 2019-07-15

Family

ID=6725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80A KR101960231B1 (ko) 2018-11-22 2018-11-22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15A (ko) * 2020-05-04 2021-11-12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하우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61A (ko) 1998-07-28 2000-02-15 김몽필 농산물 분쇄장치
KR100462908B1 (ko) * 2004-02-27 2004-12-24 손용구 재료 분쇄기
JP2005245375A (ja) * 2004-03-08 2005-09-15 Kanto Kongoki Kogyo Kk 食材の攪拌装置
KR20120020547A (ko) * 2010-08-30 2012-03-08 전병우 야채 분쇄장치
KR101319121B1 (ko) 2012-06-29 2013-10-29 서상운 음식물 분쇄장치용 커터
JP2013252130A (ja) * 2012-05-10 2013-12-1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裏漉し装置
KR20140061088A (ko) * 2012-11-13 2014-05-21 김희길 맷돌
KR101440235B1 (ko) * 2013-06-12 2014-09-12 서상운 농산물 착즙기
KR101586467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761A (ko) 1998-07-28 2000-02-15 김몽필 농산물 분쇄장치
KR100462908B1 (ko) * 2004-02-27 2004-12-24 손용구 재료 분쇄기
JP2005245375A (ja) * 2004-03-08 2005-09-15 Kanto Kongoki Kogyo Kk 食材の攪拌装置
KR20120020547A (ko) * 2010-08-30 2012-03-08 전병우 야채 분쇄장치
JP2013252130A (ja) * 2012-05-10 2013-12-19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裏漉し装置
KR101319121B1 (ko) 2012-06-29 2013-10-29 서상운 음식물 분쇄장치용 커터
KR20140061088A (ko) * 2012-11-13 2014-05-21 김희길 맷돌
KR101440235B1 (ko) * 2013-06-12 2014-09-12 서상운 농산물 착즙기
KR101586467B1 (ko) * 2015-09-30 2016-01-19 우성환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15A (ko) * 2020-05-04 2021-11-12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하우징
KR102326727B1 (ko) 2020-05-04 2021-11-15 우성환 농산물 착즙기용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230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026358B1 (ko) 분쇄기의 망체 설치구조
CN210252465U (zh) 一种染料生产用研磨装置
CN210357480U (zh) 一种马铃薯全粉加工用破碎装置
CN114593580B (zh) 一种谷子茶加工生产线用烘干设备
CN105233917B (zh) 一种豆沫加工机
KR101960231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960232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210496584U (zh) 一种饲料加工粉碎装置
KR102294462B1 (ko) 메주 제조용 콩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메주 제조 장치
KR101923830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13600313A (zh) 餐厨及厨余垃圾卧式制浆分选机
CN212069010U (zh) 一种蔬果粉碎机
CN209885930U (zh) 一种垃圾破碎、分选和打浆的一体机
CN215179029U (zh) 一种农食产品药液残留检测装置
US4303206A (en) Debon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496675B (zh) 一种中药粉剂的粉碎研磨设备
CN211216806U (zh) 一种辣椒研磨装置
CN219273613U (zh) 一种谷物加工筛分装置
CN208465977U (zh) 一种可便捷更换碾米室的碾米粉碎组合机
US1349739A (en) Fruit and vegetable pulping machine
CN221085390U (zh) 一种防尘效果好的食品加工设备
CN219024994U (zh) 一种谷物碾碎机的筛选装置
KR200384254Y1 (ko) 고추분쇄기
CN212681233U (zh) 一种营养酱料制备用多功能清洗粉碎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