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048B1 -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 Google Patents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048B1
KR101960048B1 KR1020180071662A KR20180071662A KR101960048B1 KR 101960048 B1 KR101960048 B1 KR 101960048B1 KR 1020180071662 A KR1020180071662 A KR 1020180071662A KR 20180071662 A KR20180071662 A KR 20180071662A KR 101960048 B1 KR101960048 B1 KR 10196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 gun
case
line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731A (ko
Inventor
박영식
엄남용
정햇님
방순배
이제창
Original Assignee
강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filed Critical 강원도
Priority to KR102018007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04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2003/005Removing bu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2003/007Using spray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간헐적이고 수압이 안정적인 맥동형의 물을 직분사 분무건으로 공급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는 외부에 물을 직분사 분무건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분무호스의 일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호스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이동과 멈춤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교번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무건용 수압부스터{HYDRAULIC BOOSTER FOR SPRAYER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직분사 분무건에 균일한 수압을 가진 맥동형 물을 공급하여 충격량을 극대화 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과수의 과일의 품질 향상 및 수세유지를 위해 적과 하기 전에 적뢰(꽃순 따기) 및 적화(꽃 따기) 작업을 진행하였고, 수작업으로 적뢰 및 적화를 하거나 적화제를 통해 꽃 또는 꽃순을 제거하거나 최근에는 물을 지속적으로 직분사하는 직분사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직분사 분무기를 사용하여 적화하는 방법은 일정한 수압의 직분사된 물이 지속적으로 가지에 압력을 가하여 가지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어 직분사된 물이 가지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과수 적뢰 및 적화가 가능한 발명이 필수적이다.
이와 관련되어 일본 실용신안공개 제60-131142호는 과수의 꽃이나 꽃순을 제거하는 과수 적화기를 개시하고 있고, 일본특허공개 제09-135629호는 과수의 꽃을 제거하는 적화 가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꽃이나 꽃순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은 개선하지만 원거리에 있는 꽃들과 꽃봉오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가지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분사 분무건에 연결되어 직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관통공이 형성된 회전체의 회전을 통해 수압이 안정적인 맥동형의 물을 직분사 분무건으로 공급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는 외부에 물을 직분사 분무건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분무호스의 일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분무호스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이동과 멈춤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교번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번유닛은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교번유닛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교번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진 파이프 형태의 교번관 및 상기 교번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물의 이동을 주기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교번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볼 형태의 몸체 및 상기 교번관의 일측 외부에 마련된 구동모터의 축과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관은 일자형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번관과 상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 형태의 제1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교번관과 상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 형태의 제2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라인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교번유닛의 일단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할 수 있고, 제2 라인은 상기 유출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교번유닛의 타단과 상기 유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유출구와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교번유닛의 타단과 상기 유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는 동력형 또는 무동력형 직분사 분무건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안정적이고 맥동형으로 제공하여 분무건에서 분사되는 물이 과수의 꽃 또는 꽃순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또한,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내부에 배치되는 교번유닛의 회전체는 단순한 회전구동을 통해 주기적으로 물을 정지시켜 일정한 수준의 수압을 가지도록 하고 다시 물을 분무건을 향해 이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최소한의 전력으로 맥동형의 분무 구동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을 맥동형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고압의 환경이 분무건의 외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에서 조성되므로, 분무건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는 케이스(200), 고정장치(300), 제1 라인(400), 교번유닛(500), 구동모터(600), 감속기(610), 배터리(800), 차단막(820) 및 연결단자(840)를 포함한다.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는 외부의 물을 직분사 분무건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분무호스(10)의 일 지점에 설치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로서, 케이스(200)는 분무호스(10)가 연결되도록 유입구(20)와 유출구(30)가 구비된다.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유입구(20)와 연결되어 유입구(20)에서 공급되는 물을 교번유닛(500)으로 연결하는 튜브 형태의 제1 라인(400)이 케이스(200) 내부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교번유닛(500)을 지나서 이동하는 물은 튜브 형태의 제2 라인(700)을 따라 유출구(30)로 배출된다.
교번유닛(500)은 케이스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파이프 형태로 설치되어 제1 라인(400)을 통해 물을 포함하는 액체가 교번유닛(500)으로 유입되면 교번유닛(500) 내부의 장치가 구동하여 액체를 제2 라인(700)을 향해 분무건으로 공급시키거나 정지시키는 맥동형의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케이스(200)는 측면지지체(210) 및 측면완충유닛(220)을 포함한다.
케이스(200)는 내부 측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케이스(2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측면지지체(210)가 형성되고, 측면지지체(210)는 케이스(200) 내부의 제1 라인(400), 교번유닛(500) 및 제2 라인(700)이 수압에 의해 흔들리고 위치가 변경되어 분무건에서 불규칙적인 물분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측면완충유닛(220)은 케이스(200) 내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케이스(200)의 측면과 내부의 공간 사이에 별도의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형태로 상기 완충공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완충공간은 제1 라인(400) 또는 제2 라인(700)을 통해 고압의 물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제1 라인(400) 또는 제2 라인(700) 각각의 변형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물의 안정적인 분사를 유도하고 케이스(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교번유닛(500)은 교번관(510) 및 회전체(520)를 포함하고, 회전체(520)는 몸체(521), 관통공(522) 및 고정축(523)을 포함한다.
교번관(510)은 케이스(200) 내부의 일측에 밀착 배치되고, 유입구(20) 및 유출구(30) 각각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체(520)는 교번관(5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물의 이동을 주기적으로 제한하며, 회전체(520)는 외부의 구동모터(600) 및 감속기(61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교번관(510)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회전한다.
회전체(520)는 회전을 통해 관통공(522)을 통과하거나 회전체(520)에 의해 정지되는 물의 이동과 멈춤을 초당 17번 반복하도록 고속으로 회전하여 분무건이나 분무장치에 고압의 맥동형 물을 공급하며, 이를 통해 꽃과 물의 반복적인 충격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분무건에서 분사되는 물은 꽃에 충돌하여 가지를 휘어지도록 하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오는 가지의 힘과 다시 분사되는 고압의 맥동형 물의 충돌(반복적 피로 충격력)에 의해 꽃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증대되어 꽃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직분사 분무건은 가지가 밀려나면서 가지의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반면, 맥동형 물 분사는 가지가 손상되기 전에 물의 분사가 중지되어 가지가 원위치로 돌아올 시간을 제공하므로 가지의 휘어짐은 지속적으로 발생하지만 가지가 부러져 손상되는 것은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감속기(610)는 구동모터(600)와 교번유닛(500)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모터(600)의 구동을 감속시켜 교번유닛(500)을 통과하는 물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고, 오작동으로 구동모터(600)의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감속기(610)를 통해 속도를 구동모터(600)의 속도를 감속시킨다.
구동모터(600)는 케이스(200)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제1 라인(400), 교번유닛(500) 및 제2 라인(70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되며, 구동모터(600)의 일측 외부에 마련된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축은 교번관(5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체(520)와 끼움 고정된다.
회전체(520)의 중앙에 형성되는 몸체(521)는 교번관(5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521)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공(522)이 형성되고, 고정축(523)은 몸체(521)에서 구동모터(600)를 향해 연장되어 몸체(521)와 구동모터(6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몸체(521)가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회전하면 관통공(522)이 교번관(5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관통공(522)이 교번관(5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제1 라인(400)에서 교번관(510)으로 유입되는 물이 관통공(522)을 지나 제2 라인(700)으로 이동하고, 분무건으로 지속적으로 분무하는 경우 몸체(521)의 회전에 의해 맥동형으로 물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교번유닛(500)을 통해 간헐적이고 주기적으로 제2 라인(700)으로 이동하는 물은 유출구(30)와 분무호스(10)를 통해 분무건으로 이동하여 분무건에서 과수의 꽃을 향해 맥동형으로 분사된다.
배터리(800)는 구동모터(6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 라인(400) 또는 제2 라인(70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600)와 배터리(800) 사이에는 차단막(820)이 형성되어 배터리(800)에서 발생하는 열이 구동모터(600)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모터(600)의 구동으로 발열되는 배터리(800)는 제1 라인(400) 또는 제2 라인(700)에서 이동하는 물을 통해 자연적으로 냉각되어 배터리 효율 및 안정성이 증가한다.
유입구(20) 및 유출구(30)에 형성되는 호스연결부(40)들 각각은 분무호스(10)를 제1 라인(400) 및 제2 라인(700) 각각에 물이 새지 않도록 연결시키고, 외부에 노출된 볼트를 회전시켜 분무호스(10)와 제1 및 제2 라인(400, 700) 각각이 밀착 결합하도록 하고 회전 동작으로 편리하게 분무호스(10)를 탈부착 할 수 있다.
차단막(820)은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고, 구동모터(600)의 구동 충격이 배터리(8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 및 내부의 쿠션 공간을 통해 구동 충격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제1 라인(400)으로 공급되는 물은 교번유닛(500)의 구동으로 일시적으로 회전체(520)에 의해 물의 이동이 정지되어 제1 라인(400)에서의 수압이 증가하고, 회전체(520)의 회전으로 관통공(522)이 제1 라인(400)과 제2 라인(700)의 물의 이동경로가 오픈되면 소정의 값 이상으로 수압이 상승한 물이 제1 라인(400)에서 교번관(510)을 지나 신속하고 강하게 제2 라인(700)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측면완충유닛(220)은 일시적으로 제1 라인(400) 내부의 수압이 증가하여 부풀어오르거나 순간적인 이동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제1 라인(400)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일정한 수압의 물을 제2 라인(7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520)의 회전은 구동모터(600)의 조정으로 제어할 수 있고, 구동모터(600) 및 배터리(800)들 각각은 연결단자(840)를 통해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를 통해 출력이 제어되거나, 외부전원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교번유닛(500)을 통해서 수압이 상승한 물이 제2 라인(700)을 거쳐 분무건으로 이동하면, 지속적인 분무로 수압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는 분무건에 고압의 물이 공급되면서 물 분사를 통한 꽃 또는 꽃순의 제거효과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는 안정적이고 균일한 수압을 유지하는 고압의 물을 제공하기 위해 직분사 분무건으로부터 1m 내지 3m 범위내인 지점에 설치되고, 이격되는 거리를 통해 과수의 꽃 또는 꽃순은 제거하면서 가지의 손상은 최소화 하는 수압의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교번유닛(500)의 회전체(520)는 초당 1회 내지 3회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도록 설정하면 회전체(520)의 회전으로 맥동형으로 분사되는 고압의 물이 과수의 꽃 또는 꽃순은 제거하면서 가지의 손상은 최소화하는 분무 환경으로 설정된다.
또한, 기존의 직분사 분무건은 물을 직분사로 지속적으로 분사하므로 소비되는 물의 양이 분당 7.8L인 반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과 연결된 직분사 분무건을 사용하면 소비되는 물의 양은 분당 5.8L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는 유출구(30)에 결합되는 분무호스(10)의 일단에 맥동형으로 물을 공급하고, 분무호스(10)의 타단은 직분사 분무건(50)에 연결되어 직분사 분무건(50)으로 물을 공급한다.
직분사 분무건(50)은 과수의 적화 작업시 꽃 또는 꽃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무동력형 직분사 분무건(50)으로서, 펌프에 의해 일정한 수압의 물을 공급받아 직분사 방식으로 분무되도록 형성된다.
직분사 분무건(50)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지만, 펌프와 연결된 분무호스(10)가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물공급구(51), 물공급구(51)가 하부에 결합되고 물공급구(51)로 유입된 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부(52), 상기 하우징부(52) 전방에 관통 돌출된 분사부 결속구에 결합되고, 물이 분사되도록 노즐분사공이 형성된 물분사부(53)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우징부(5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개폐노즐과 상기 개폐노즐의 후단 내부공간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압밀폐구, 수압밀폐구의 중앙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개폐노즐 중앙의 노즐분사공에 삽입되어 노즐분사공에서의 물의 이동을 차단하며 물공급구(51)에서 하우징부(52) 내부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에 따라 수압밀폐구가 뒤로 후진되면 노즐분사공에 틈이 형성되어 상기 물분사부를 개방시키는 물개폐부 및 상기 물개폐부 및 수압밀폐구를 탄성지지하는 개폐탄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분무호스(10)를 통해 간설적으로 직분사 분무건(50)으로 공급되는 물은 물공급구(51)를 통해 하우징부(52)로 이동하고, 물분사부(53)를 통해 주기적으로 공급 또는 중지되는 물을 과수의 꽃 또는 꽃눈에 분사한다.
또한, 직분사 분무건(50)은 지속적인 분사를 통해서 피로가 누적되는 하우징부(52) 내부의 장치의 분사력 약화에 의해 점진적으로 물의 분사력이 감소하므로,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를 통해 고압의 물을 맥동형으로 공급하면, 물의 분사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분사 분무건(50)은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를 통해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하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유입되므로 직분사 분무건(50)의 내부에서 고압의 물을 조성하기 위해 장시간 동안 내부 공간을 고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직분사 분무건(50)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분사 분무건(50)의 고장으로 직분사 분무건(50)의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의 구동으로 물이 맥동형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물분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는 유출구(30)에 결합되는 분무호스(10)의 일단에 맥동형으로 물을 공급하고, 분무호스(10)의 타단은 직분사 분무건(60)에 연결되어 직분사 분무건(60)으로 물을 공급한다.
직분사 분무건(60)은 과수의 적화 작업시 꽃 또는 꽃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동력형 직분사 분무건(60)으로서, 펌프에 의해 일정한 수압의 물을 공급받아 직분사 방식으로 분무되도록 형성된다.
직분사 분무건(60)은 일단에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와 연결된 분무호스(10)의 타단이 결합되는 하우징부(61), 하우징부(61)의 타단에 결합되고 하우징부(61) 내부의 공간과 연결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물분사부(62) 및 하우징부(61)의 하부에 결합되는 동력부(63)를 포함한다.
분무호스(10)에서 공급되는 물은 하우징부(61)를 통해 물분사부(62)에서 맥동형으로 분사되어 꽃 또는 꽃순을 제거하고, 가지의 손상은 최소화하며, 하우징부(61)의 내부에 형성되는 물개폐부는 동력부(63)의 제어를 통해 맥동형으로 공급되는 고압의 물을 2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부(63)를 통해 구동하는 물개폐부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 내부의 교번유닛(500)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고압의 물을 2차적으로 제어하여 맥동형으로 분사되는 물의 주기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직분사 분무건(60)은 지속적인 분사를 통해서 피로가 누적되는 동력부(63) 내부의 장치의 분사력 약화에 의해 점진적으로 물의 분사력이 감소하므로,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를 통해 고압의 물을 맥동형으로 공급하면, 물의 분사력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직분사 분무건(60)은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를 통해 안정적인 수압을 유지하는 고압의 물이 공급되어 유입되므로 직분사 분무건(60)의 내부에서 고압의 물을 조성하기 위해 장시간 동안 내부 공간을 고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 직분사 분무건(60)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하우징부(61) 내부에 추가로 형성되는 교번유닛(500)과 동일한 구조의 교번유닛이 형성되므로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와 함께 물을 분사하는 분사력이 증가하고 용이하게 물의 분무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동 직분사 분무건(60)이나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도 물의 간헐적인 분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동 직분사 분무건(60)은 일정 압력에서 직분사 분무할 경우 내부 압력이 2bar 정도 감소하지만,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와 연결되면 내부압력의 변화없이 안정적으로 물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의 활용 방법으로 물이 채워진 500L의 물통과 유입구(20)를 분무호스(10)로 연결하고, 500L 물의 압력이 교번유닛(500)의 내부에서 20Kg 상당의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체(520)의 구동으로 제2 라인(700)으로 고압의 물이 맥동형으로 이동하고 맥동형으로 이동하는 고압의 물은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와 연결된 직분사 분무건(50) 또는 전동 직분사 분무건(60)으로 공급된다.
또한, 직분사와 멈춤이 자동으로 반복되는 간헐적인 직분사를 통해 꽃이나 꽃눈에 충격을 가하여 꽃눈과 꽃이 제거되고 과수의 손상은 최소화하며 사용자의 작업 능률이 개선되고,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를 통해 물의 압력이 증가하여 효과적인 적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사다리를 통해 일일이 꽃이나 꽃눈을 제거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꽃이나 꽃눈을 제거할 수 있어 노동력과 작업비용 및 시간이 절약되고, 사다리 이용에 따른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직분사 분무건의 경우 물의 직분사를 위해 방아쇠를 지속적으로 잡거나 놓는 동작을 반복하여 피로도가 높은 단점이 있지만, 분무건용 수압부스터(100)의 경우 방아쇠 구동이 필요 없어 피로도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200: 케이스
300: 고정장치 400: 제1 라인
500: 교번유닛 600: 구동모터
700: 제2 라인 800: 배터리

Claims (1)

  1. 외부의 물을 직분사 분무건에 공급하도록 구비된 분무호스의 일 지점에 설치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에 있어서,
    상기 분무호스가 연결되도록 일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이 이동과 멈춤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고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교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교번유닛은, 일정 길이를 가진 파이프 형태의 교번관과, 상기 교번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물의 이동을 주기적으로 제한하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교번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볼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교번관의 일측 외부에 마련된 구동모터의 축과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교번관의 내부에서 주기적으로 회전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교번관은, 일자형 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번관과 상기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 형태의 제1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교번관과 상기 유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튜브 형태의 제2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측면지지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의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측벽 형태로 배치되는 측면완충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완충유닛은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을 통해 고압의 물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상기 완충공간을 통해 완화시켜 물의 안정적인 분사를 유도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라인, 상기 교번유닛 및 상기 제2 라인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는 배터리가 상기 제1 라인 또는 상기 제2 라인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구동모터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KR1020180071662A 2018-06-21 2018-06-21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KR10196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62A KR101960048B1 (ko) 2018-06-21 2018-06-21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62A KR101960048B1 (ko) 2018-06-21 2018-06-21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50 Division 2017-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731A KR20180112731A (ko) 2018-10-12
KR101960048B1 true KR101960048B1 (ko) 2019-03-20

Family

ID=63876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662A KR101960048B1 (ko) 2018-06-21 2018-06-21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0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Y1 (ko) * 2002-10-09 2003-01-14 최우영 동력 분무기의 압력 조절장치
KR101565520B1 (ko) * 2014-04-15 2015-11-04 (주)윈앤텍코리아 소구경 공급용 오일미스트 생성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49Y1 (ko) * 2002-10-09 2003-01-14 최우영 동력 분무기의 압력 조절장치
KR101565520B1 (ko) * 2014-04-15 2015-11-04 (주)윈앤텍코리아 소구경 공급용 오일미스트 생성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731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5661B1 (en)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both wet and dry blasting and method for oprrating such an apparatus
NZ586425A (en) Electrostatic painting robot with paint cartridge and feeding mechanisim
RU2007119710A (ru) Распылитель со средством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быточного давления на распыляемую жидкость
KR101821312B1 (ko) 과수 적화용 무동력형 직분사 분무장치
KR101464480B1 (ko) 팁 드레서 크리너
KR100772938B1 (ko) 도관 도장장치
KR101960048B1 (ko) 분무건용 수압부스터
KR20180049472A (ko) 헬멧 세척장치
CN109588096B (zh) 用于种植山林地树种的水肥一体化微喷灌溉系统
KR20190037654A (ko) 장단거리분사형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노즐장치
JP2004068773A (ja) 塗料供給用シリンジポンプ
KR19990011216A (ko) 전자식 약액 살포장치
KR100848984B1 (ko) 방역 소독장치
KR101791838B1 (ko) 과수 적화용 동력형 직분사 분무장치
KR101822623B1 (ko) 에어 컴프레서 겸용 분무장치
KR102003533B1 (ko) 비료살포기용 잔량 확인 장치
JP2013233330A (ja) 化粧水噴霧器及び化粧水噴霧装置
CN202479067U (zh) 自动喷雾器
RU2324348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KR101889461B1 (ko) 액화탄산가스를 이용한 직분사 세척장치
CN100355503C (zh) 用于灌溉系统的喷射管
JP2017164742A (ja) 果樹摘花用の動力型直噴射噴霧装置
US20070147945A1 (en) Fluid applicator assembly
KR101941825B1 (ko) 온수를 이용하여 글루토출건을 세척하는 자동접착시스템
KR101904887B1 (ko) 연마재 필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