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176B1 -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176B1
KR101959176B1 KR1020180133266A KR20180133266A KR101959176B1 KR 101959176 B1 KR101959176 B1 KR 101959176B1 KR 1020180133266 A KR1020180133266 A KR 1020180133266A KR 20180133266 A KR20180133266 A KR 20180133266A KR 101959176 B1 KR101959176 B1 KR 10195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unting
support plate
b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연
Original Assignee
조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연 filed Critical 조용연
Priority to KR1020180133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8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에 따르면,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1연결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측부가 거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절곡되어 연장된 타측면에 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제1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부 및 상기 제2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CTIONAL SHELF}
본 발명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목재 등으로 제작된 받침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조립, 해체 및 운반의 용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프레임 및 다양한 부품들로 제작된 받침판을 사용하는 것이 점차 일반화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볼트, 나사, 공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도 편리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제품이 제안되었다. 출원 번호 제 20-2012-002372호 “조립식받침판” 에서는 체결슬릿 등을 이용하여 가로빔을 세로빔에 각각 결합시키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세로빔과 멀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한 받침판을 제안하였으나, 이는 가로빔의 일단만이 세로빔에 고정되어 있고 그 타측이 세로빔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받침판 및 받침판 위의 물품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도장이나 도금, 니스칠 등의 후 가공이 필요없이 원하는 색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사무실 탁자나 상가의 진열장 창고의 받침판 등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색상의 선택 및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금이 벗겨지거나 녹과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에 따르면,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1연결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측부가 거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절곡되어 연장된 타측면에 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제1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부 및 상기 제2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거치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며 일측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거치판과, 상기 제1거치판의 관통공을 기준으로 외측이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된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측이 상기 제1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부에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받침판의 일단 또는 타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제1지지판의 타측이 상기 제1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거치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판과, 상기 제2거치판의 외측이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3지지판과, 상기 제3지지판의 일측이 상기 제2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지지판의 타측이 상기 제2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 및 상기 제3지지판과 제4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거치판을 지지하는 제4지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끝단에 상기 끼움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하부가 상기 끼움부의 직경과 대응되게 내입되어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돌출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를 끼움공으로 억지끼울 때 가하는 가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차단하는 충격차단캡;을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분체도장이나 도금, 니스칠 등의 후 가공이 필요없이 원하는 색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사무실 탁자나 상가의 진열장 창고의 받침판 등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색상의 선택 및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도금이 벗겨지거나 녹과 부식의 염려가 없으며,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1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2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1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조립식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1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2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1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제2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기둥부(10), 제1연결부(20), 제2연결부(40) 및 받침판을 포함한다.
먼저, 기둥부(10)는 다수개가 구비되고, 서로 이격된다.
예를 들어, 기둥부(10)는 다각기둥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4개로 이루어져 후술할 받침판의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된다.
또한, 기둥부(1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무한 확장이 가능하다.
또한, 기둥부(10)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후술할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40)가 구비된다.
이때, 기둥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서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면으로, 기둥부(10)의 일측면 좌우폭이 기둥부(10)의 타측면 좌우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기둥부(10) 4개가 구비될 때, 기둥부(10)의 일측면은 일측면끼리, 타측면은 타측면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구비된다.
또한, 기둥부(10)는, 일측면과 타측면에 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제1연결부(20)는, 마주보는 기둥부(10)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기둥부(10)의 일측면을 연결한다.
이러한, 제1연결부(20)는,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는 제1거치부(21)를 포함한다.
제1거치부(21)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거치부(21)는, 제1거치판(22) 및 제1연장부(23)를 포함한다.
제1거치판(22)은,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며 일측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제1연장부(23)는, 제1거치판(22)의 관통공(24)을 기준으로 외측이 기둥부(10)의 타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제1연결부(20)는, 제1거치부(21)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결합공에 결합되며, 제1거치부(21)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25)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5)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고정부(25)는, 제1지지판(26), 제1절곡부(27), 걸림부(28), 제2절곡부(29) 및 제2지지판(30)을 포함한다.
제1지지판(26)은, 기둥부(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때, 돌기는, 끼움부(31)와 끼움부(31)의 끝단에 상기 끼움부(31)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돌출부(32)를 포함한다.
한편, 결합공은, 상부에 돌출부(32)가 삽입되도록 삽입공(11)과 삽입공(11)의 하부가 상기 끼움부(31)의 직경과 대응되게 내입되어 끼움부(31)가 끼워지는 끼움공(12)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공은, 일측면과 타측면에 수평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돌기를 이용하여 제1고정부(25)는 기둥부(10)의 일측면에 착탈이 가능하다.
제1절곡부(27)는, 제1지지판(26)의 일측이 제1거치판(22)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제1절곡부(27)와 제1연장부(23)는 측면이 서로 맞닿게 구비된다.
이때, 제1절곡부(27)와 제1연장부(23)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제1절곡부(27)와 제1연장부(23)가 결합된다.
걸림부(28)는, 제1절곡부(27)의 상부에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받침판의 일단 또는 타단을 지지한다.
이때, 걸림부(28)는 받침판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받침판의 양측면은 기둥부(10)에 의해 지지되고, 일단과 타단은 걸림부(28)에 지지되어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4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절곡부(29)는, 제1지지판(26)의 타측이 제1거치판(22)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2절곡부(29)는, 제1절곡부(27)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다.
제2지지판(30)은, 제1지지판(26)과 제2절곡부(29)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거치부(21)를 지지한다.
또한, 제2지지판(30)의 상측면과 제1거치판(22)의 하측면이 서로 맞닿게 구비된다.
이때, 제2지지판(30)과 제1거치판(22)을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제2지지판(30)과 제1지지판(26)이 결합된다.
제2연결부(40)는, 마주보는 기둥부(10)의 타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기둥부(10)의 타측면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2연결부(40)의 폭은 기둥부(10)의 타측면 좌우폭보다 길게 형성되되 제1연결부(20)의 좌우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연결부(40)는, 기둥부(10)의 타측면에서 기둥부(10)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마주보는 제1연결부(20)의 측면을 연결한다.
제2연결부(40)는,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부(41)를 포함한다.
제2거치부(41)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거치부(41)는,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판(42)을 포함한다.
또한, 제2거치부(41)는, 제2거치판(42)의 외측이 기둥부(10)의 일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된 제2연장부(43)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40)는, 제2거치부(41)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고, 결합공에 결합되어 제2거치부(41)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44)를 포함한다.
또한, 제2고정부(44)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고정부(44)는, 제3지지판(45), 제3절곡부(46), 제4절곡부(47) 및 제4지지판(48)을 포함한다.
제3지지판(45)은, 기둥부(1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제3지지판(45)의 좌우폭은 기둥부(10)의 타측면의 좌우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2절곡부(29)의 외측면과 서로 맞닿게 된다.
그리고, 제3지지판(45)과 제2절곡부(29)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제3지지판(45)과 제2절곡부(29)가 결합된다.
제3절곡부(46)는, 제3지지판(45)의 일측이 제2거치판(42)의 내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제3절곡부(46)와 제2연장부(43)는 서로 맞닿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3절곡부(46)와 제2연장부(43)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제3절곡부(46)와 제2연장부(43)가 결합된다.
제4절곡부(47)는, 제3지지판(45)의 타측이 제2거치판(42)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제4지지판(48)은, 제3지지판(45)과 제4절곡부(47)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2거치판(42)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4지지판(48)과 제4절곡부(47)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체결공에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제4절곡부(47)와 제4지지판(48)이 결합된다.
받침판은, 제1연결부(20)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거치되고, 제2연결부(40)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측부가 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충격차단캡(50)을 더 포함한다.
충격차단캡(50)은,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끼움부(31)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돌출부(32)의 내측면과 돌출부(3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끼움부(31)를 끼움공(12)으로 억지끼울 때 가하는 가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차단한다.
즉, 섬유강화플라스틱에 금속재를 결합할 때, 금속재에 가해지는 충격이 섬유강화플라스틱에 전달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충격차단캡(5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제1고정부(25)와 제2고정부(44)에 형성된 돌기에 구비되어, 섬유강화플라스틱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차단시킨다.
이때, 연질의 플라스틱은, 섬유강화플라스틱 보다 연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10), 제1연결부(20)의 제1거치부(21)와, 제2연결부(40)의 제2거치부(41)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은 (FRP : fiber reinforced plastics)로써, 유리 및 카본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로, 경량ㆍ내식성ㆍ성형성(成型性) 등이 뛰어난 고성능ㆍ고기능성 재료이다.
참고로, FRP는 섬유로 강화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로,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약자이다. FRP의 특성은 뛰어난 기계적 특성과 플라스틱의 내식성에다 우수한 성형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새로운 강화재(强化材)의 개발로 보다 넓은 응용범위가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뛰어난 특성을 토대로 새로운 구조용 재료 및 기능재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리-불포화(不飽和) 폴리에스테르과 카본에폭시 등이 있지만, 그 외에도 열가소성(熱可塑性) 플라스틱을 매트릭스로 한 FRTP(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도 있다.
따라서 FRP는 협의로는 열경화성(熱硬化性) 플라스틱을 매트릭스한 플라스틱계 복합재료로 볼 수도 있다. 또 FRP는 다른 공업재료와는 달리, 여러 가지 성형법이 실용화 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량에 적합한 성형법을 택할 수 있고, 대형 제품의 일체 성형도 가능하다.
또한, 경량 구조용 재료로 그 응용범위가 넓다. 비중은 일반 FRP가 약 2.0 정도로 철강 재료의 1/4 정도로 가볍고, 카본 섬유(CF)를 강화한 FRP의 경우 비중은 약 1.5로 더욱 가벼워, 뛰어난 기계특성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계 매트릭스의 내식성을 살린 토목ㆍ건축 관계, 경량 구조재료로서는 우주 항공관계를 비롯하여 각종 수송기기 관계에의 용도가 다양하다. CF와 SiC(실리콘 카바이드)섬유의 개발로 뛰어난 기능성 재료로서도 주목 받고 있으며 에너지 저장용 프라이호일과 풍차 등 에너지의 유효한 이용에도 활용되고 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첨단산업기술사전, 1992. 5. 1., 겸지사)
또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은 강도가 높아 잘 휘거나 깨지지 않는다. 즉, 종래에는 받침판을 지지하기 위해서 나무 또는 금속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은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됨으로써, 분체도장이나 도금, 니스칠 등의 후 가공이 필요없이 원하는 색상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즉, 사무실 탁자나 상가의 진열장 창고의 받침판 등으로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다양한 색상의 선택 및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종래와 같이 도금이 벗겨질 염려가 없으며 녹과 부식의 염려가 없다.
더불어, 본 발명의 조립식 선반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기둥부 11 : 삽입공
12 : 끼움공 20 : 제1연결부
21 : 제1거치부 22 : 제1거치판
23 : 제1연장부 24 : 관통공
25 : 제1고정부 26 : 제1지지판
27 : 제1절곡부 28 : 걸림부
29 : 제2절곡부 30 : 제2지지판
31 : 끼움부 32 : 돌출부
40 : 제2연결부 41 : 제2거치부
42 : 제2거치판 43 : 제2연장부
44 : 제2고정부 45 : 제3지지판
46 : 제3절곡부 47 : 제4절곡부
48 : 제4지지판 50 : 충격차단캡
60 : 받침판

Claims (5)

  1.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기둥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마주보는 기둥부의 타측면과, 마주보는 제1연결부의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거치되고, 상기 제2연결부에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측부가 거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절곡되어 연장된 타측면에 결합공이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제1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부 및 상기 제2거치부의 하부 양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거치하며 일측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1거치판과, 상기 제1거치판의 관통공을 기준으로 외측이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된 제1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측이 상기 제1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상부에 상기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받침판의 일단 또는 타단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상기 제1지지판의 타측이 상기 제1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 및 상기 제1지지판과 제2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거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판의 측부를 거치하는 제2거치판과, 상기 제2거치판의 외측이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 반대 측면과 평평하도록 절곡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제3지지판과, 상기 제3지지판의 일측이 상기 제2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와, 상기 제3지지판의 타측이 상기 제2거치판의 내측으로 절곡된 제4절곡부 및 상기 제3지지판과 제4절곡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거치판을 지지하는 제4지지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끝단에 상기 끼움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은,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하부가 상기 끼움부의 직경과 대응되게 내입되어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5. 제4항에 있어서,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을 감싸고, 일단이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과 돌출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끼움부를 끼움공으로 억지끼울 때 가하는 가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차단하는 충격차단캡;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선반.

KR1020180133266A 2018-11-02 2018-11-02 조립식 선반 KR10195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66A KR101959176B1 (ko) 2018-11-02 2018-11-02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266A KR101959176B1 (ko) 2018-11-02 2018-11-02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176B1 true KR101959176B1 (ko) 2019-03-15

Family

ID=657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266A KR101959176B1 (ko) 2018-11-02 2018-11-02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28B1 (ko) 2019-05-02 2019-08-06 주식회사 제이빅 조립식 선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542A (ja) * 2006-08-17 2008-02-28 Sanyo Super Stand Co Ltd 商品陳列用バー受け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3542A (ja) * 2006-08-17 2008-02-28 Sanyo Super Stand Co Ltd 商品陳列用バー受け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128B1 (ko) 2019-05-02 2019-08-06 주식회사 제이빅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1988B (zh) 框體
US8397463B2 (en) 3-dimensional universal tube connector system
KR101959176B1 (ko) 조립식 선반
US997528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made ornament
KR20150116373A (ko) 친환경 초경량 소음 및 충격감쇠용 하이브리드구조의 거푸집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폼
EP3419887A1 (en) Bicycle crank with spindle attachment structure
CA2792255A1 (en) Robust lightweight electronic rack enclosure
KR101832741B1 (ko) 플라스틱 복합소재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8128B1 (ko) 조립식 선반
JP2005127359A (ja) 防振架台および防振架台用コーナー部材
US11046137B2 (en) Fiber-reinforced resin structure body
KR100402973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109164568B (zh) 一种碳纤维复合材料望远镜
JP2017125600A (ja) バネ構造体
KR101689570B1 (ko) 이종 소재 접합방법
JPH05138743A (ja) 軽量構造体及びその接続部の構造
KR102671241B1 (ko) 리벳 및 이를 이용한 판재의 접합방법
KR20100019187A (ko)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에 이용되는 지지대용 빔 및 이를구비한 디스펜서
CN112878519A (zh) 一种便于拆卸安装的结构稳固性强的保温板
JP2005305569A (ja) 機械用構造材およびロボットアーム装置用ハンド
US20130219687A1 (en) Fastening method
KR200488270Y1 (ko) 자전거 크랭크셋 브래킷
JP4414184B2 (ja) 取付部材の固定構造
KR200356124Y1 (ko) 전자제품의 조립 검사 라인용 파렛트
CN209031559U (zh) 一种带有紧固组件的架体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