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570B1 - 이종 소재 접합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소재 접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570B1
KR101689570B1 KR1020140174319A KR20140174319A KR101689570B1 KR 101689570 B1 KR101689570 B1 KR 101689570B1 KR 1020140174319 A KR1020140174319 A KR 1020140174319A KR 20140174319 A KR20140174319 A KR 20140174319A KR 101689570 B1 KR101689570 B1 KR 10168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die
joint hole
composite plat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490A (ko
Inventor
박병학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7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5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44Joining a heated non plastics element to a plastics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60Riveting or staking
    • B29C65/606Riveting or staking the rivet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i.e. s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cavity, e.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2Aluminium or alloys of 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2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Transition metals or their alloys
    • B29C66/74283Iron or alloys of iron, e.g.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2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 B29C66/8142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being conc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이종 소재 접합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종 소재 접합체는 접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재에 복합판재가 일체로 접합된 것으로서, 금속판재의 상면에 복합판재가 배치되고,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가 금속판재의 접합홀 상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와 금속판재의 접합홀 상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언더컷부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소재 접합방법 {ADHERING METHOD OF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 소재와 금속재의 이종 소재를 접합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체의 고강도 경량화의 추세에 따라 차체 소재로 금속판재 또는 비철금속판재뿐만 아니라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이하, CFRP라 칭함)으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적용하는 사례가 빈번해 졌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CFRP는 강도, 탄성률, 경량성,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항공이나 자동차 분야에서는 주요한 재료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으며, 경제적인 조건만 해결되면 향후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CFRP의 제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의 CFRP는 탄소섬유를 주로 에폭시나 플라스틱 등의 수지의 심으로 제조하여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즉, CFRP는 탄소섬유를 와인딩 모양이나 직물 모양으로 제조한 후, 수지류에 함침하여 경화시킨 것으로서, 고강도, 고탄성의 경량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이며, 비금속재이다.
이러한 CFRP에서 수지류는 경도가 우수한 반면, 인장강도가 약해 쉽게 끊어지고, 탄소섬유는 인장강도가 높지만 굽힘 반발력이 없기 때문에 이 둘을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탄소섬유는 같은 부피의 스틸에 비해 1/4의 무게로 경량화가 가능하고, 인장강도는 10배나 강하여 강성 확보에 유리하며, 성형성 역시 좋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CFRP를 차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체하기 어려운 부분에 적용되는 강판과의 접합이 가능해야 하는데, 두 소재의 물성적 특성에 의해 레이저 용접이나 스폿 용접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주로 본딩이나 체결부품을 이용한 기계적 접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간단한 구성 및 공정으로 금속판재에 복합판재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도록 한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a) 접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재와, 접합 부위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성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판재를 제공하고, (b) 상기 접합홀 보다 큰 내경의 다이홈을 지니며 그 다이홈의 주변으로 히팅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하부 다이와, 상기 접합홀 보다 작은 외경의 가압부재를 지니며 그 가압부재에 상기 성형 돌기를 가압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다이를 제공하며, (c)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 내측으로 상기 접합홀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다이의 상면에 상기 금속판재를 안착시키고, (d) 상기 금속판재의 접합홀 내측으로 상기 성형 돌기가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에 상기 복합판재를 안착시키며, (e) 상기 히팅수단을 통해 상기 하부 다이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연화시키고, (f) 상기 상부 다이를 이동시키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성형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접합홀을 통해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으로 충진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금속판재 접합홀을 통해 그 접합홀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다이홈 사이로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히팅수단의 열에 의해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성형 돌기와 함께 연화시키며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금속판재 접합홀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다이홈 사이로 충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금속판재의 접합홀 상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언더컷부를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 중앙으로 상기 접합홀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다이의 상면에 상기 금속판재를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접합홀의 중앙으로 상기 성형 돌기가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에 상기 복합판재를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성형 돌기가 상기 접합 부위에 산 형태로 돌출된 복합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상기 성형 돌기에 대응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커지는 형상의 상기 가압홈을 지닌 가압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복합판재를 연화시키며 금속판재의 접합홀 가장자리 측을 감싸는 언더컷부를 형성하며 그 복합판재를 금속판재에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딩이나 접착제 테이핑 또는 체결부품을 통한 기계적 접합에 비하여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고, 체결부품 등과 같은 접합부재료를 배제할 수 있어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 소재의 조립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와 금속판재의 접합홀 상하 가장자리 부분과의 사이에 언더컷부를 형성하므로,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도 복합판재와 금속판재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FRP 복합판재와 접합되는 판재를 금속판재 외에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판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차체 패널과 같은 차체 조립용 부품들을 조립하는 차체 부품 조립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은 차체 패널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차체 부품 조립 공정에서 복합판재(1)와 금속판재(3)의 이종 소재를 일체로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복합판재(1)는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판재(1)는 섬유(탄소섬유)를 강화재로 하는 고강도/고탄성의 경량 구조재로 주목을 받고 있는 첨단 복합 재료로서,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복합판재(1)는 스틸 소재 대비 강도 및 탄성율이 우수하고 반복 피로에 뛰어나며, 열팽창 계수가 작기 때문에 치수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기 전도성, 내식성, 진동 감쇠 성능이 우수한 특성도 있다.
여기서, 복합판재(1)는 (탄소)섬유 소재에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수지가 함침된 다수 매의 소재 레이어들이 적층되며, 그 수지가 경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금속판재(3)는 일반적인 강판,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소재 및 비철 합금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간단한 구성 및 공정으로 금속판재(3)에 복합판재(1)를 일체로 접합할 수 있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종 소재 접합체(100)(이하 도 4 참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금속판재(3)의 상면에 복합판재(1)를 겹쳐 놓은 상태에서 그 복합판재(1)와 금속판재(3)를 일체로 접합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복합판재(1)와 금속판재(3)의 기준 위치 및 접합 방향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 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설명하면,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부 다이(11)의 상면에 금속판재(3)를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금속판재(3)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복합판재(1: 이하 도 2 참조)를 접합하기 위한 소정 직경의 접합홀(5)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다이(11)는 금속판재(3)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금속판재(3)에 복합판재(1)를 접합하기 위한 다이홈(13)이 형성되는 바, 예를 들면 상기 다이홈(13)은 하부 다이(11)의 상면에 금속판재(3)의 접합홀(5) 보다 큰 내경을 지니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금속판재(3)의 접합홀(5)이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 내측, 더 나아가서는 다이홈(13) 중앙으로 접합홀(5)이 위치하도록 하부 다이(11)의 상면에 금속판재(3)를 안착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 주변에는 그 하부 다이(11)의 상면을 히팅하기 위한 히팅수단(15)이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히팅수단(15)은 전원을 인가받아 전기적인 저항으로서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수단(15)은 열선(17)을 포함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하부 다이(11)에 삽입 설치되는 통상적인 구조의 히터봉 또는 히팅 램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하부 다이(11)의 상측에는 그 하부 다이(11)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부 다이(2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다이(21)는 작동 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부 다이(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다이(21)에는 복합판재(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3)는 하부 다이(11)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부 다이(21)의 하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23)는 금속판재(3)의 접합홀(5)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지니며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에 대응하는 상부 다이(21)의 하면에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재(23)에는 가압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홈(25)은 가압부재(23)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복합판재(1)의 성형 돌기(7)에 대응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금속판재(3)의 상면으로 복합판재(1)를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산 형태의 성형 돌기(7)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성형 돌기(7)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가압부재(23)의 가압홈(25)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금속판재(3)의 접합홀(5) 내측, 더 나아가서는 그 접합홀(5)의 중앙으로 성형 돌기(7)가 위치하도록 금속판재(3)의 상면에 복합판재(1)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히팅수단(15)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을 통해 하부 다이(11)의 상면을 가열한다. 이에 상기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는 열에 의해 연화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다이(21)를 하부 다이(11) 측으로 하강시키며 그 하부 다이(11)의 가압부재(23)를 통해 복합판재(1)의 성형 돌기(7)를 가압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압부재(23)의 가압홈(25)에 의해 복합판재(1)의 성형 돌기(7)를 가압하여 그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를 금속판재(3)의 접합홀(5)을 통해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으로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를 금속판재(3)의 접합홀(5)을 통해 그 접합홀(5)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다이홈(13) 사이로 충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 과정에서는 히팅수단(15)의 열에 의해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를 성형 돌기(7)와 함께 연화시키며 그 접합 부위와 함께 성형 돌기(7)를 가압부재(23)의 가압홈(25)에 의해 금속판재(3)의 접합홀(5)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다이홈(13) 사이로 충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판재(3)의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언더컷부(UC)를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에 형성하는 바, 그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는 열에 의해 연화된 상태로 금속판재(3)의 접합홀(5)을 통해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으로 충진되며, 그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과의 사이에 언더컷부(UC)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부 다이(21)를 하부 다이(11)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금속판재(3)에 복합판재(1)를 일체로 접합한 이종 소재 접합체(100: 이하 도 4 참조)를 하부 다이(11)로부터 분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금속판재(3)에 복합판재(1)를 일체로 접합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체(100)는 금속판재(3)의 상면에 복합판재(1)가 배치되고,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가 금속판재(3)의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며 그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와 금속판재(3)의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언더컷부(UC)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히팅수단(15)의 열에 의해 연화된 상태로 금속판재(3)의 접합홀(5)을 통해 하부 다이(11)의 다이홈(13)으로 충진되며, 그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과의 사이에 언더컷부(UC)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가압부재(23)에 의해 가압되고, 금속판재(3)의 접합홀(5)에 충진되며 그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과의 사이에 언더컷부(UC)를 형성하되,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에는 가압부재(23)에 상응하는 성형홈(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합판재(1)의 성형홈(51)에는 금속판재(3)의 접합홀(5)로 충진되고 남은 성형 돌기(7) 즉, 가압부재(23)의 가압홈(25)에 상응하는 크기의 성형 돌기(7)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소재 접합방법을 통해 조립된 이종 소재 접합체(100)에 의하면,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복합판재(1)를 연화시키며 금속판재(3)의 접합홀(5) 가장자리 측을 감싸는 언더컷부(UC)를 형성하며 그 복합판재(1)를 금속판재(3)에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딩이나 접착제 테이핑 또는 체결부품을 통한 기계적 접합에 비하여 자동화 라인의 구현이 쉽고, 체결부품 등과 같은 접합부재료를 배제할 수 있어 설계치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이종 소재의 조립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합판재(1)의 접합 부위와 금속판재(3)의 접합홀(5) 상하 가장자리 부분과의 사이에 언더컷부(UC)를 형성하므로, 별도의 본딩이나 체결부품 없이 복합판재(1)와 금속판재(3)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FRP 복합판재(1)와 접합되는 판재를 금속판재(3) 외에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 금속판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복합판재 3... 금속판재
5... 접합홀 7... 성형 돌기
11... 하부 다이 13... 다이홈
15... 히팅수단 17... 열선
21... 상부 다이 23... 가압부재
25... 가압홈 51... 성형홈
UC... 언더컷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접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재와, 접합 부위에 일정 높이로 돌출된 성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복합판재를 제공하고;
    상기 접합홀 보다 큰 내경의 다이홈을 지니며 그 다이홈의 주변으로 히팅수단이 내장되어 있는 하부 다이와, 상기 접합홀 보다 작은 외경의 가압부재를 지니며 그 가압부재에 상기 성형 돌기를 가압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다이를 제공하며;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 내측으로 상기 접합홀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다이의 상면에 상기 금속판재를 안착시키고;
    상기 금속판재의 접합홀 내측으로 상기 성형 돌기가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에 상기 복합판재를 안착시키며;
    상기 히팅수단을 통해 상기 하부 다이에 열을 제공하여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연화시키고;
    상기 상부 다이를 이동시키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성형 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접합홀을 통해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으로 충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금속판재 접합홀을 통해 그 접합홀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다이홈 사이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의 열에 의해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성형 돌기와 함께 연화시키며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를 상기 금속판재 접합홀의 하측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다이홈 사이로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의 접합홀 상하 가장자리 부분을 감싸는 언더컷부를 상기 복합판재의 접합 부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다이의 다이홈 중앙으로 상기 접합홀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 다이의 상면에 상기 금속판재를 안착시키며,
    상기 접합홀의 중앙으로 상기 성형 돌기가 위치하도록 상기 금속판재의 상면에 상기 복합판재를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돌기가 상기 접합 부위에 산 형태로 돌출된 복합판재를 제공하며,
    상기 성형 돌기에 대응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커지는 형상의 상기 가압홈을 지닌 가압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방법.
  11. 제5 항에 있어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 접합 방법.
KR1020140174319A 2014-12-05 2014-12-05 이종 소재 접합방법 KR10168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19A KR101689570B1 (ko) 2014-12-05 2014-12-05 이종 소재 접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319A KR101689570B1 (ko) 2014-12-05 2014-12-05 이종 소재 접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490A KR20160068490A (ko) 2016-06-15
KR101689570B1 true KR101689570B1 (ko) 2016-12-26

Family

ID=5613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319A KR101689570B1 (ko) 2014-12-05 2014-12-05 이종 소재 접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0653A (zh) * 2018-09-20 2021-10-22 乐金华奥斯株式会社 用于电动汽车用电池模块的下部保护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714A (ja) 1999-01-29 2000-08-11 Read Rite Corp ヘッド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1293747A (ja) 2000-04-14 2001-10-23 Togo Seisakusho Corp 異材成形のための成形装置
JP2014208459A (ja) 2013-03-22 2014-11-06 マツダ株式会社 異種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9740A (ja) * 1985-04-29 1986-11-06 Toyota Motor Corp 異種材料の機械的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714A (ja) 1999-01-29 2000-08-11 Read Rite Corp ヘッド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1293747A (ja) 2000-04-14 2001-10-23 Togo Seisakusho Corp 異材成形のための成形装置
JP2014208459A (ja) 2013-03-22 2014-11-06 マツダ株式会社 異種部材の接合方法及び接合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490A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483B1 (ko)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US10336010B2 (en) Resi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body
JP6341156B2 (ja) 樹脂接合体、樹脂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構造体
US9403319B2 (en) Reinforced thermoplastic structural joint assembly for a vehicle
JP6229881B2 (ja) 繊維強化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JP5793216B2 (ja) 異種材料接合部および異種材料の接合方法
WO2018078501A2 (en) Process and/or substrate and/or sheet for a composite article
KR101689570B1 (ko) 이종 소재 접합방법
KR101832741B1 (ko) 플라스틱 복합소재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8041A (ko) 이종소재 접합방법
KR101247778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프레임
EP2825366B1 (en)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KR102300339B1 (ko) 금속판재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102605914B1 (ko) 판재의 접합방법
KR20180044623A (ko) 이종소재 접합 구조체 및 접합 방법
KR101457469B1 (ko) 복합 소재와 금속재의 접합 유닛
CN106335183B (zh) 用于塑料和复合接头强度改进的接头设计
KR101558208B1 (ko) 패널의 스폿 용접 방법
KR101428974B1 (ko) 복합 소재와 금속재의 접합 유닛 및 접합 방법
JP2014151558A (ja)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一体化構造体の製造方法
KR102131777B1 (ko) 복합판재 및 이의 접합 방법
KR20190009988A (ko) 이종 판재의 접합 방법
KR20170014258A (ko) 복합판재의 접합방법
KR20170073135A (ko) 패널 접합 구조체 및 패널 플랜지 접합 방법
US10981337B2 (en) Bonding of thermoplastic components to a thermoset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