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795B1 -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795B1
KR101958795B1 KR1020170072309A KR20170072309A KR101958795B1 KR 101958795 B1 KR101958795 B1 KR 101958795B1 KR 1020170072309 A KR1020170072309 A KR 1020170072309A KR 20170072309 A KR20170072309 A KR 20170072309A KR 101958795 B1 KR101958795 B1 KR 101958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suction
top plate
table top
ope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512A (ko
Inventor
이기달
Original Assignee
이기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달 filed Critical 이기달
Priority to KR102017007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7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7Nail cleaners,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상판부; 상기 테이블상판부 아래에서 일정한 틀로 형성된 개방공간부; 및 상기 개방공간부 내측에 위치된 흡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상판부 일측에는 상기 테이블상판부를 관통하여 상기 개방공간부로 연통된 다수의 상판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진부는 상기 개방공간부에서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한 네일샵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A table for nailshop with suction fuction}
본 발명은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로서, 손톱 손질 중 발생되는 분진 등을 직접적으로 빨아들일 수 있도록, 테이블상판부 아래에 제1필터부 및 송풍기 등을 포함한 흡진부를 장착시키되, 흡진부는 테이블상판부 아래에 형성된 개방공간부에서 직선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흡진부 상부에 위치된 제1필터부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네일샵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흡진부 내측에 2개의 송풍기를 위치시키되, 2개의 송풍기 작동 정지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송풍기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흡진부 외측과 내측 사이의 압력차이로 인한 역류바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네일샵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 미용이라 함은 손톱을 깍는 기본적인 손질, 각질 제거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손톱 미용은 뷰티샵과 같은 장소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협소한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앉아서 관리를 받기 때문에 손톱 찌꺼기나 각질 등의 이물질이 바닥에 떨어져 있게 되면, 위생성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 좋지 않다.
따라서, 손톱 미용을 행하는 뷰티샵은, 위생성과 환경의 개선을 요구하는 수요자에 맞추어 위생적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인테리어 또는 장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 1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6445호에서는 손톱 미용시 사용되는 보조기구가 개시된다.
종래기술 1인 손톱 미용시 사용되는 보조기구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 필터부(2)와 수용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부(1)는 팔이 놓여지는 부분이고, 수용부(3)는 팔의 일부인 손이 상측에 놓여지는 부분이다.
받침부(1)와 수용부(3)는 손톱 미용시 사용자의 손목 꺽임에 의한 피로를 억제시킬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면서 그 사잇각이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부(2)는 손이 상측에 놓여지고 손에 대한 미용시술시 발생하는 손톱 찌꺼기나 각질 등의 이물질이 통과하는 구멍(21)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 구멍(21)에는 거름망(22)이 설치된다.
수용부(3)는 송풍기(31)와 수거용 커버(32)로 이루어진 것으로, 송풍기(31)는 이물질을 수거용 커버(32) 측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수거용 커버(32)는 송풍기(31)를 통해 강제 유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짐과 동시에 에어(바람)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손톱 미용시 사용되는 보조기구는, 필터부(2)의 구멍(21) 하부측에 송풍기(31)와 수거용 커버(32)가 별도의 매개체가 없이 곧바로 밀착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송풍기(31)를 통해 수거용 커버(32)로 강제 흡입된 기류가 심한 와류형상을 일으키면서 일부 역류됨에 따라 이미 수거된 이물질 일부가 필터부(2)의 구멍(21)을 통해 외부로 튕겨나가거나 역류바람에 의해 이물질이 구멍(21)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방사상으로 비산되는 등의 수거역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1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기술 2인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제20-2016-0004411호에서는 흡진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이 개시된다.
종래기술 2인 흡진 기능을 구비한 테이블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수평으로 받침부(52)가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개방공간부(54)와 폐쇄공간부(56)가 설치된 테이블본체(50)와, 받침부(52)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52a)에 설치되는 보호망(60)과, 폐쇄공간부(56)에 대하여 보호망(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받는 받이통(62)과, 폐쇄공간부(56)에 대하여 받이통(62)으로부터 먼 이격거리에 받이통(62)과 제1 호스(64)를 매개로 연결된 송풍기(66)와, 송풍기(66)의 배출구에 제2 호스(68)를 매개로 연결되어 수거된 이물질을 수납하면서 바람을 통과시키는 수거용 여과팩(70)으로 구성되어 있어, 손톱 손질시 발생되는 손톱 찌꺼기나 각질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여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2는 흡진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복잡하고 구성요소 장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모아진 분진을 처리하기 위해서 제2호스 등을 분리해서 분진을 버리고 다시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송풍기 등이 테이블상판부 아래 내측에 위치되어 송풍기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그 부분을 분해할 수 밖에 없어 사용에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송풍기가 정지된 경우,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역류바람이 발생되고, 역류바람의 유동으로 모아진 분진이 역류되어 테이블상판부 위로 비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흡진의 효율을 증가시키면서 관리가 용이한 흡진부를 구비한 네일샵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흡진시 작동되는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된 이후, 순간적인 역류바람으로 손톱 손질 등으로 발생된 분진이 다시 역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네일샵용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은, 테이블상판부(100); 상기 테이블상판부(100) 아래에서 일정한 틀로 형성된 개방공간부(200); 및 상기 개방공간부(200) 내측에 위치된 흡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상판부(100) 일측에는 상기 테이블상판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개방공간부(200)로 연통된 다수의 상판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진부(300)는 상기 개방공간부(200) 내측에서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진부(300)는, 제1필터부(320); 상기 제1필터부(320) 아래에 위치된 제1송풍기(340); 및 상기 제1송풍기(340) 아래에 위치되되, 상기 제1송풍기(34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2송풍기(3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과 상기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이 서로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보다 상기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이 더 강하며, 상기 제2송풍기(360) 작동이 정지된 이후, 상기 제1송풍기(34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계속된 이후에 작동이 정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송풍기(340) 및 상기 제2송풍기(360)는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340)와 상기 제2송풍기(36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양측면에는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진부(300)가 상기 개방공간부(200)로부터 추출되었을 때, 상기 제1필터부(320)는 상기 흡진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송풍기(340)와 상기 제2송풍기(36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송풍홀(312)을 통해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에서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으로 에어가 유입되며, 그리고 상기 제2송풍기(360)의 작동이 정지된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송풍기(340)의 작동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송풍홀(312)을 통해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서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으로 에어가 유출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테이블상판부 상에서 손톱 손질 등으로 생성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흡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방공간부로부터 흡진부를 추출시킨 상태에서 제1필터부 등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흡진부 청소 또는 관리가 용이하다.
나아가, 흡진하는 동안 2개의 송풍기가 작동됨에 따라 흡진의 효율이 더욱 증가되며, 송풍기 작동이 정지됨에 있어서 송풍력이 더 강한 제2송풍기가 정지되고, 제1송풍기가 소정의 시간 이후 작동된 이후 정지됨에 따라,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발생되는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역류가 발생되는 문제점,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이미 제1필터부 상에 걸러진 분진이 다시 테이블상판부 상으로 비산되는 문제점 등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에서 제1송풍기와 제2송풍기 사이에 해당하는 흡진부케이스 양측면에 형성된 송풍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은 테이블상판부(100), 테이블상판부(100) 아래에서 일정한 틀로 형성된 개방공간부(200) 및 개방공간부(200) 내측에 위치된 흡진부(300)을 포함한다.
테이블상판부(100) 일측에는 테이블상판부(100)를 관통하여 개방공간부(200)로 연통된 다수의 상판홀(120)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손톱 손질 등이 행해지며, 이에 따라 손톱 손질 등에 의한 분진이 발생된다.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손톱 손질이 행해지는 동안 개방공간부(200) 내측에 위치된 흡진부 내의 송풍기(320,340)가 작동되어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발생된 분진을 상판홀(120)을 통하여 빨아들인다.
상판홀(120)은 테이블상판부(100)에서 흡진부(300)가 위치된 개방공간부(200)에 대응하는 일측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판홀(120)은 다수의 홀로 구성되되, 홀의 크기를 달리하거나 크기가 다른 여러 홀의 배열 형태를 달리하여 외부에서 느끼는 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판홀(120)이 위치된 부분은,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형성된 것으로, 테이블상판부(100)와 분리되어 위치되는 부분이 아니라 나머지 테이블상판부(100)와 일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개방공간부(200)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흡진부(300)는 개방공간부(200)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개방공간부(200) 틀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흡진부(300)가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흡진부(300)가 개방공간부(200) 내측에서 직선왕복이동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흡진부(300)는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손톱 손질이 행하여질 경우, 개방공간부(200)로 삽입된 상태에서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발생된 분진을 빨아들인다. 흡진부(300) 청소가 필요하거나 후술할 제1필터부(320)를 분리하여 걸러진 분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흡진부(300)를 개방공간부(200)로부터 추출한 상태에서 제1필터부(320)를 분리하고 새로운 제1필터부(320)로 교체할 수 있다.
흡진부(300)가 개방공간부(200)에서 삽입되거나 개방공간부(200)로부터 추출됨에 따라 흡진부(300) 관리가 용이해진다.
흡진부(300)는 제1필터부(320), 제1필터부(320) 아래에 위치된 제1송풍기(340), 제1송풍기 아래에 위치된 제2송풍기(360), 제2송풍기 아래에 위치된 제2필터부(380)를 포함한다.
흡진부(300)는 흡진부케이스(310)를 포함하며, 상술한 제1필터부(320), 제1송풍기(340), 제2송풍기(360), 제2필터부(380)가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 위치된다.
흡진부케이스(3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면에는 제2송풍기(360)에 의한 에어 유출을 위한 부분만이 아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양측면에는 송풍홀(3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진부케이스(310) 내측 최상에는 제1필터부(320)가 위치되어 테이블상판부(100) 상에서 생성된 분진이 상판홀(120)을 통해 빨려 들어가면서 제1필터부(320)에 걸러지며, 제1필터부(320) 아래에는 이러한 흡입력을 위한 제1송풍기(320) 및 제2송풍기가 위치되어 있다.
제1송풍기(320) 및 제2송풍기(340)에 의해 빨려 들어온 에어는 제2필터부(380)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제2송풍기(340)에 의해 빨려 들어온 에어가 외부로 유출됨에 있어 에어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2필터부(380)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는 육안으로 보일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흡진부케이스(310)에 제1필터부(320)가 위치됨에 따라 상판홀(120)로 빨려 들어온 에어는 제1필터부(320)를 통과하지 않고서는 제1송풍기(320) 및 제2송풍기(340)를 거칠 수 없도록, 흡진부케이스(310) 상부면은 제1필터부(320)로 밀폐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제1필터부(320) 바로 아래에 위치된 제1송풍기(320)는 일정한 틀(345)로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1송풍기 틀(345)은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 형성된 소정의 틀에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1송풍기(320)는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
제2송풍기(340)는 제1송풍기(32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아래에 위치된다. 제2송풍기(340)는 흡진부케이스(310) 하부면에 형성된 홀의 테두리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흡진부케이스(310) 하부면 일측에 제2송풍기(3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송풍기(340)를 거친 에어가 흡진부(300) 외부(개방공간부(200) 아래)로 배출된다.
흡진부케이스(310) 양측면에는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송풍홀(312)의 위치는 제1송풍기(320)와 제2송풍기(340) 사이에 해당하는 흡진부케이스(310)의 양측면이다. 이러한 송풍홀(312)로 에어가 유입되거나 유출됨으로써 역류바람으로 제1필터부(310)에 걸러진 분진이 다시 위로 비산되는 문제점을 차단할 수 있다.
송풍홀(312)이 형성됨에 따라 제1송풍기(320)와 제2송풍기(340) 작동과 정지에 따른 역류바람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적 특징에 설명한다.
손톱 손질 등으로 발생된 분진이 필터부 아래에 위치된 송풍기의 작동으로 아래로 빨려들어가면서 필터부에 걸러지게 되는데, 갑자기 송풍기 작동이 정지되거는 경우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역류바람이 발생하게 된다. 즉, 송풍기에 의해 송풍기 아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동되고, 이에 따라 송풍기 위의 에어 중에 포함된 분진이 빨려들어가면서 필터부에 걸러지게 되는데, 송풍기가 정지되면 바람의 유동 때문에 순간적인 압력 차이가 발생되고, 이러한 압력 차이로 인하여 아래에서 위로 유동하는 바람인 역류바람이 순간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역류바람으로 인하여 필터부 상에 걸러진 분진이 다시 바람과 함께 위로 비산되어 테이블상판 위로 비산되어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에서는 제1송풍기(340)와 제2송풍기(360)가 구비되고, 제1송풍기(340) 및 제2송풍기(360)가 정지되는 시간을 달리하며, 숭풍력에 있어서도 차이를 두고 있고, 제1송풍기(340)와 제2송풍기(360) 사이에 해당되는 흡진부케이스(310) 양측면에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과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은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이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보다 강하다.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이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보다 강하다면, 제2송풍기(360) 작동이 계속되어 아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동되더라도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보다 송풍력이 더 강한 제1송풍기(340)의 순간적인 작동 정지로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역류(위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송풍기 작동 정지에 따른 순간적인 역류바람 세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이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보다 약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송풍기(340)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강한 송풍력의 제2송풍기(360)의 작동에 의해 제1송풍기(340) 작동 정지에 따른 역류(위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가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아래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에 의해 감쇄될 수 있다.
또는, 송풍력이 더 강한 제2송풍기(360)의 작동이 정지되어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역류바람이 발생되더라도 여전히 제1송풍기(340)는 제1필터부(320) 바로 아래에서 아래 방향으로 바람을 유동시킴에 따라 역류바람의 세기를 최소화한다. 이에 따라 제1필터부(320) 상에 걸러진 분진 등이 다시 위로 비산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흡진부케이스(310)에는 제1송풍기(340)와 제2송풍기(360) 사이에 해당되는 양측면에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송풍기 작동 정지에 따른 역류바람에 의한 분진의 비산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1송풍기(340) 및 제2송풍기(360) 작동 계속 중에는 아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동되기 때문에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송풍홀(312)을 통하여 에어가 유입되어 아래 방향으로 바람이 유동된다.
제2송풍기(340)가 작동 정지됨에 따라 순간적인 역류바람(위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의 세기는 제1송풍기(340)가 여전히 작동되면서 아래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 때문에 감쇄되며, 나아가 순간적인 역류바람(위 방향으로 유동되는 바람)이 유동되더라도 제1송풍기(340)에 도달하기 전에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서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으로 송풍홀(312)을 통해 에어가 유출되면서 제1필터부(320)까지 유동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1필터부(320)에 대한 역류바람의 영향이 최소화되고, 제1필터부(320) 상의 분진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최소화된다.
결론적으로, 송풍기가 하나만 위치되어 작동되는 경우, 작동 정지에 따른 순간적인 압력차이로 역류바람이 발생되어 분진 등이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네일샵용 테이블은 순차적으로 제1필터부(320), 제1송풍기(340), 제2송풍기(360)를 위치시키고 있으며, 항상 제2송풍기(360) 작동 정지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제1송풍기(340)가 작동된 다음 정지되도록 하였고, 송풍력이 강한 제2송풍기(360)의 작동 정지에 따른 순간적인 역류바람의 세기를 최소화하고자 송풍홀(312)을 제1송풍기(340)와 제2송풍기(360) 사이에 해당하는 흡진부케이스(310) 양측면에 위치시켰다.
나아가, 제2송풍기(360) 위에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테이블상판부(100) 상의 분진을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1송풍기(340)와 제2송풍기(360)를 두고 있어 흡입력 약화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테이블상판부
200: 개방공간부
300: 흡진부
310: 흡진부케이스
312: 송풍홀
320: 제1필터부
340: 제1송풍기
360: 제2송풍기
380: 제2필터부

Claims (5)

  1. 테이블상판부(100);
    상기 테이블상판부(100) 아래에서 일정한 틀로 형성된 개방공간부(200); 및
    상기 개방공간부(200) 내측에 위치된 흡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블상판부(100) 일측에는 상기 테이블상판부(100)를 관통하여 상기 개방공간부(200)로 연통된 다수의 상판홀(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진부(300)는 상기 개방공간부(200) 내측에서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흡진부(300)는,
    제1필터부(320);
    상기 제1필터부(320) 아래에 위치된 제1송풍기(340); 및
    상기 제1송풍기(340) 아래에 위치되되, 상기 제1송풍기(34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2송풍기(3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과 상기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이 서로 상이한 네일샵용 테이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340)의 송풍력보다 상기 제2송풍기(360)의 송풍력이 더 강하며,
    상기 제2송풍기(360) 작동이 정지된 이후, 상기 제1송풍기(34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계속된 이후에 작동이 정지되는 네일샵용 테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풍기(340) 및 상기 제2송풍기(360)는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송풍기(340)와 상기 제2송풍기(36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양측면에는 송풍홀(312)이 형성되어 있는 네일샵용 테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300)가 상기 개방공간부(200)로부터 추출되었을 때, 상기 제1필터부(320)는 상기 흡진부(30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제1송풍기(340)와 상기 제2송풍기(36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송풍홀(312)을 통해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에서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으로 에어가 유입되며, 그리고
    상기 제2송풍기(360)의 작동이 정지된 이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제1송풍기(340)의 작동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송풍홀(312)을 통해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내측에서 상기 흡진부케이스(310) 외측으로 에어가 유출되는 네일샵용 테이블.

KR1020170072309A 2017-06-09 2017-06-09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KR101958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09A KR101958795B1 (ko) 2017-06-09 2017-06-09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09A KR101958795B1 (ko) 2017-06-09 2017-06-09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12A KR20180134512A (ko) 2018-12-19
KR101958795B1 true KR101958795B1 (ko) 2019-03-15

Family

ID=6500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09A KR101958795B1 (ko) 2017-06-09 2017-06-09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019B1 (ko) 2019-04-24 2020-04-27 오충록 네일샵용 공기 순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304B1 (ko) * 2020-08-31 2022-06-02 이상관 손톱 또는 발톱의 튐 방지와 시야 확보 기능이 있는 손톱깎이 상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10Y1 (ko) * 2003-12-08 2004-02-25 이철호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책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411U (ko) * 2015-06-15 2016-12-23 강문종 손톱 미용용 흡진테이블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010Y1 (ko) * 2003-12-08 2004-02-25 이철호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하는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019B1 (ko) 2019-04-24 2020-04-27 오충록 네일샵용 공기 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12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09872C (en) Air filtering device
KR101196128B1 (ko) 집진 유니트의 개폐장치
KR101631818B1 (ko) 트리밍 박스
US10258915B2 (en) Collapsible air filtering device
US20140331625A1 (en) Air filtering device
KR101958795B1 (ko)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EP3154659B1 (en) Air filter bag
JP2008536547A (ja) 柔軟な表面の修復用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H0652749U (ja) 真空クリーナ
JP2016540546A (ja) ダスト容器
KR102152606B1 (ko)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20200072436A (ko) 네일 관리시 발생하는 분진 흡입장치
KR20150125223A (ko) 청소기
JP6133170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200397193Y1 (ko) 제화용 그라인더 집진장치
JP4212582B2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KR200331097Y1 (ko) 작업대가 부설된 집진장치
KR200484195Y1 (ko) 네일아트용 작업 테이블
KR200254938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 미용 테이블
JP3756355B2 (ja)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KR100575316B1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200310133Y1 (ko) 작업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일인용 작업대 겸용 집진장치
JP2014031993A (ja) ナノマテリアル取扱施設用エアシャワー室及びナノマテリアルの取扱施設
CN219599023U (zh) 一种义齿打磨装置
TWM638054U (zh) 集塵泡腳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