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606B1 -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 Google Patents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606B1
KR102152606B1 KR1020190005805A KR20190005805A KR102152606B1 KR 102152606 B1 KR102152606 B1 KR 102152606B1 KR 1020190005805 A KR1020190005805 A KR 1020190005805A KR 20190005805 A KR20190005805 A KR 20190005805A KR 102152606 B1 KR102152606 B1 KR 102152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vibrating body
plate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119A (ko
KR102152606B9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90005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6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06B1/ko
Publication of KR10215260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60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01D46/00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130)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100);상부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레이 수납부(200); 트레이 수납부(200)에서 인출입되고,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트레이(300); 공기를 흡입하는 팬(400)과, 팬(4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50);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620)가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600); 및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을 가하여 필터(620)에서 걸러진 분진을 워터 트레이(300)로 낙하시키는 진동체(700);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DUS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EXPANDING THE SUCTION RANGE}
본 발명은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에 관한 것이다.
네일 표면에 색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네일 아트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는 매니큐어, 리무버, 오일, 탑코트, 드라이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성분은 주로 자극적인 냄새를 유발하거나 공기 중으로 확산될 때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독성을 함유한 화학성분이 많다.
이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네일 아트 작업을 할 때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작업환경에서 이루어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필연적으로 작업자와 사용자는 유해한 화학물질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 장시간 네일 아트 작업을 하게 될 시에는 작업환경 내 공기가 오염되고, 작업자와 사용자의 호흡기 계통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네일 표면을 매끄럽게 관리하기 위해 연삭작업을 하거나 주변 피부의 각질 제거와 같은 관리를 위한 핸드 피스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핸드피스에는 별도의 분진흡입장치가 없기 때문에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네일의 연마, 절단 등의 작업을 진행할 시에 발생하는 네일 분진이 사방으로 비산하여 옷에 묻거나 주위를 더럽히고, 호흡기로도 흡입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네일 아트 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네일용 집진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네일용 집진기는 네일 관리를 할 시에 송풍부재의 흡입력으로 인해 분진들이 흡입구로 빨려 들어가서 바닥부에 모이는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의 네일 아트용 분진 흡진기는 일반적으로 공기중에 비산된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기정화기에 적용된 공기 흡입력보다 더 강한 흡입력이 필요로 하고, 내부로 흡입된 분진등이 내부에 분진 상태로 머물러 있어 작업 후나 필터 청소시에 분진이 날려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진 흡입기는 흡입된 공기중에서 분진을 걸러주는 필터가 건식 상태임에 따라 필터 교체시에 많은 분진이 날리고, 또한 필터 청소가 필요함에 따라 관리 및 유지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진 흡입기는 흡입구에서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흡입력으로 빨려오는 중에 전면부에 충돌되면서 유속이 감소되는 정체압 구간이 발생됨에 따라 실제 분진의 흡입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35호(2018.10.22)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역학적 구조 설계를 통하여 분진의 흡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진의 흡입과 동시에 필터의 동 세척을 진행함에 따라 필터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터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착탈이 용이하여 필터의 관리가 용이한 흡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과, 상부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레이 수납부와, 트레이 수납부에서 인출입되고,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트레이와,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과,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 및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필터 어셈블리에 진동을 가하여 필터에서 걸러진 분진을 워터 트레이로 낙하시키는 진동체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측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에어 커튼을 구비하고, 공기의 흡입 각도와 배출 각도를 최적화하여 공기의 유로를 단순화 시킬 수 있어 정체압 발생구간을 제거할 수 있어 흡입 효율의 향상 및 분진의 흡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의 흡입과 동시에 필터의 자동 세척 또는 수동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필터의 청소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터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착탈이 용이하여 필터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내부 하우징 내지 팬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부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진동체 수용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워터 트레이 및 트레이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수동 진동부(64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1b는 배면 사시도, 도 2는 A-A' 단면도, 도 3은 내부 하우징 내지 팬 모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면을 이루는 상부 하우징(100)과,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400)과,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 어셈블리(600)와, 내측에서 팬(400) 및 필터 어셈블리(600)를 지지하는 내부 하우징(500)과,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체(700)와, 내측에서 물이 수용된 워터 트레이(300)와, 워터 트레이(300)를 지지 및 수용하는 트레이 수납부(200)를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00)은 공기 및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구(110)와,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제1배출구(120)와, 흡입된 공기를 흡입측으로 배출시키는 제2배출구(130)와, 상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유로를 분할 및/또는 가이드하는 가이드벽(140)과, 팬(400) 및 진동체(7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흡입구(110)는 상부 하우징(100)의 일면에서 복 수개의 통공 또는 일방향으로 개구(511)된 복 수개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분진이 포함된 외부 공기는 팬(400)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으로 흡입구(110)를 통하여 필터 어셈블리(600)로 흡입된다.
제1배출구(120)는 상부 하우징(100)의 반대면에서 복 수개의 통공 또는 일방향으로 연장 및 개구(511)된 복 수개의 장공으로 형성되어 필터 어셈블리(600)에 의해 분진이 제거된 정화 공기를 토출시킨다. 여기서 제1배출구(120)는 흡입구(110)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향된 유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유로가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유로를 단순화시킴과 동시에 필터 어셈블리(600)의 배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배출구(130)는 흡입구(110)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00)읠 일면 상측에 설치되어 필터 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정화 공기를 흡입구(110)측으로 배출시켜 에어 커튼을 구현한다. 이와 같은 정화 공기에 의한 에어 커튼은 흡입구(110) 주변에서 흡입된 공기와 부딪히면서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와류는 흡입구 주변에서 공기가 회전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잡아당길 수 있어 실질적으로 흡진기의 흡입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배출구(130)는 흡입구 주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며, 이와 같은 에어 커튼은 흡입구(110)에 와류를 형성함에 따라 흡입 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와류는 흡입구(110) 주변으로 확산되는 분진을 회전시켜 재차 흡입구(110)측으로 안내함에 따라 흡입구(110) 주변의 정체압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와류는 흡입구(110) 주변의 정체압에 따른 분진의 확산과 유속 감속를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벽(140)은 상부 하우징(10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중 일부가 제2배출구(130)측으로 토출되도록 유로를 분할한다. 즉, 가이드벽(140)은 팬(400)의 전면으로 하향 연장되어 제1배출구(120)와 제2배출구(130) 사이로 공기가 분할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유로를 분할한다.
구동부(150)는 팬(400)과 진동체(7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나, 전원공급 장치(예를 들면, 배터리), 상부 하우징(100)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에 따른 명령으로 모터 및/또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 장치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임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팬(400)은 내부 하우징(500)에 의해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제1배출구(120) 측을 지향한다. 팬(400)은 구동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어 외부의 분진을 흡입 및 배출시킨다.
내부 하우징(500)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내부 하우징(500)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5는 내부 하우징(500)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진동체 수용부(520)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내부 하우징(500)은 경사진 상면을 이루어 개구(511)가 형성된 개구부(510), 개구부(510)에서 하향 직립되는 직립판으로 이루어져 흡진기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530)와, 개구부(510)에서 연장되어 진동체(700)를 수용 및 지지하는 진동체 수용부(520)를 포함한다.
이중, 개구부(510)는 내부 하우징(500)의 상면을 이룬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개구부(510)는 경사진 상면(512)에서 상향 돌출되는 돌출벽(513)들에 의해 경사진 상면과 단차 형성되는 개구판(514)의 중심부에 개구(511)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511)는 팬(400)의 하측, 필터 어셈블리(6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 유로는 흡입구(110), 필터 어셈블리(600), 개구(511), 팬(400),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130)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판은 팬(400)이 밀착된다. 즉, 팬(400)은 나사공(514a)을 연통하는 나사가 체결되어 상판에 고정된다.
구획부(530)는 일측이 개방되고, 개구부(510)의 상면(512)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1직립판(531)과, 제1직립판(531)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된 한 쌍의 제2직립판(532)을 포함한다.
제1직립판(531)은 흡입구(110)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하향 연장되어 구동부(150)이 설치되는 공간과, 워터 트레이(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상호 구획한다. 또한, 제1직립판(531)은 제2직립판(532)과 연계되어 필터 어셈블리(600), 팬(400), 진동체(700)를 지지한다.
한 쌍의 제2직립판(532)은 개구부(510)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연장되어 워터 트레이(300) 또는 트레이 수납부(200)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2직립판(532)은 제1직립판(531)의 양측 끝단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진동체 수용부(520)는 진동체(700)가 밀착 및/또는 수용되는 수용판(523)과, 개구(511) 내면에서 연장되어 수용판(523)을 지지하는 복 수개의 고정바(524)와, 수용판(523)과 고정바(524)를 연결시키는 연결단(521)과, 수용판(523)의 외면에 형성된 복 수개의 결합구(522)를 포함한다.
수용판(523)은 편평한 평면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각각 돌출되는 벽면을 이루어 그 내측에 진동체(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바(524)는 수용판(523)을 중심으로 개구(511)의 내면에서 연장 및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바(524)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이 일 방향에서 연장되어 수용판(523)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정바(524)가 수용판(523)의 일측과 타측의 개구(511) 내면으로 부터 각각 연장되어 개구(511)의 중심에 수용판(523)을 고정한다.
연결단(521)은 고정바(524)의 끝단에서 수용판(523)으로 연장되되, 역 'U' 자 형으로서 수평판(632)이 양측의 고정바(524) 사이에서 진동에 의한 떨림이 발생될 수 있도록 연결시킨다. 즉, 연결단(521)은 수용판(523)의 일면과 반대면, 고정바(524)의 일면과 반대면 사이로 연결되어 수용판(523)의 단부와 고정바(524)의 단부 사이가 이격되도록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연결단(521)의 연결구조는 수용판(523)의 단부와 고정바(524)의 단부 사이가 밀착될 경우에 발생되는 진동체(700)의 진동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진동체(700)는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면서 진동되면, 그 진동이 하측의 필터 어셈블리(6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수용판(523)에 설치되고, 수용판(523) 및 고정바(524)는 진동체(700)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호간의 접촉 부위가 최소화 되었다.
결합구(522)는 수용판(523)의 외면에서 복 수개가 형성되며, 진동체(700)에서 연통된 나사 또는 기타 고정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진동체(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판(523)에 고정되되, 하측에서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필터 어셈블리(600)와 접촉되어 설치된다. 이는 필터 어셈블리(600)의 구성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필터 어셈블리(6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 어셈블리(600)는 필터(620)와, 필터(620)를 수용하는 필터 커버(610)와, 필터 커버(6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30)을 포함한다.
필터 커버(610)는 필터(620)를 수용하여 지지 프레임(63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필터 커버(610)는 상면과 하면에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위하여 개방된 개구창(613)과, 개구창(613)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611)와, 연장바(611)에 의해 지지되는 전달판(612)과, 하향 돌출된 필터 손잡이(614)를 포함한다.
연장바(611)는 필터 커버(610)의 상면에서 내측의 필터(620)가 노출되는 개구창(613)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필터 커버(61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과, 전달판(61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달판(612)은 개구창(613)에서 연장바(611)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전달판(612)은 내부 하우징(500)의 진동체 수용부(520)에 고정된 진동체(700)를 하측에서 지지하거나 또는 접촉된 상태로서 설치된다. 따라서 전달판(612)은 진동체(700)의 진동을 필터(620)로 전달한다. 진동은 필터(620)에 의해 포집된 분진을 하측의 워터 트레이(300)로 낙하시킨다.
필터 손잡이(614)는 전면에서 하향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손잡이(614)는 상부 하우징(100)의 외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터(620)가 수용된 필터 커버(610)를 자유롭게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체(700)는 팬(400)과 동시에 구동되어 분진이 흡입된 공기에서 걸러지자 마다 워터 트레이(300)로 낙하시켜 필터(620)에 분진이 접착된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620)는 접착된 분진량이 많이 질수록 정화율이 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진을 필터(620)에서 즉시 낙하시킬 수 있어 필터(620)의 사용 수명 연장이 가능하고, 별도 세척이 필요하지 않아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다.
지지 프레임(630)은 필터 커버(6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수평판(632)과, 수평판(632)에서 직립된 직립벽(631)으로 이루어져 내부 하우징(5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직립벽(631)은 외측에서 내부 하우징(50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홀(512a)에 일치되는 홀이 형성된 복 수개의 고정구(633)가 형성된다.
즉, 지지 프레임(630)은 내부 하우징(500)의 경사진 상면에 고정되어 필터 커버(6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필터 커버(610)는 지지 프레임(63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필터 커버(610)는 상부 하우징(100)의 외측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다.
워터 트레이(300) 및 트레이 수납부(20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워터 트레이(300) 및 트레이 수납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워터 트레이(300)는 물이 수용되어 상부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인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워터 트레이(300)는 필터 어셈블리(600)의 하측에서 설치되고, 트레이 수납부(2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워터 트레이(300)는 전면에 내향된 홈으로 형성된 트레이 손잡이(310)가 전면에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00)의 하측에서 트레이 수납부(200)에 슬라이딩 되어 인출입 되며, 바닥면의 외측에 직립된 벽면들 사이에 공간(320)을 형성하여 물을 수용한다.
즉, 워터 트레이(300)는 물을 수용한 상태로 트레이 수납부(200)에 수납되어 진동체(70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필터(620)로부터 낙하된 분진을 수용한다.
트레이 수납부(200)는 워터 트레이(300)가 슬라이딩 되는 하부 바닥판(210)과, 하부 바닥판(210)에서 직립되어 상부 하우징(100)의 하단에 체결되는 결합벽(220)과, 워터 트레이(300)의 전진을 차단하는 스토퍼(230)와, 구동부(150)를 수용하는 수용홈(240)을 포함한다.
하부 바닥판(210)은 워터 트레이(300)를 수용 가능한 면적과 길이로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하부 바닥판(210)은 스토퍼(230)에 의하여 구동부(150)이 설치되는 공간과, 워터 트레이(300)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분할된다.
결합벽(220)은 하부 바닥판(210)의 각 변에서 직립되어 내측에서 워터 트레이(300)를 안내하도록 직립된 벽면을 이룬다. 여기서 결합벽(220)은 워터 트레이(300)가 인출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입구측에서 상호 대향된 벽면의 끝단에서 워터 트레이(300)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돌출된 가이드턱(222)과,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중심부에 결합돌기(221a)가 형성되는 복 수개의 결합판(221)을 포함한다.
결합판(221)의 결합돌기(221a)는 상부 하우징(1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결합구(101)에 체결된다.
가이드턱(222)은 워터 트레이(300)가 인출입되는 입구측에서 워터 트레이(300)의 벽면을 가압하여 인출입을 안내하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인출이 방지되도록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턱(222)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수용홈(240)은 구동부(1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룬다. 즉, 수용홈(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직립된 벽으로 둘러쌓인 공간을 형성하여 모터나 배터리와 같은 구동부(150)를 수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워터 트레이(300)의 트레이 손잡이(310)를 잡고 트레이 수납부(200)에서 인출시킨 뒤에 물을 충진하고, 다시 워터 트레이(300)를 가압하여 트레이 수납부(200)로 수납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명령을 입력한다.
따라서 구동부(150)는 팬(400)과 진동체(700)를 각각 구동시킨다. 그러므로 팬은 구동되어 흡입력을 발생하여 흡입구(110)를 통하여 분진을 흡입한다. 분진은 필터 어셈블리(600)에서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는 내부 하우징(500) 및 제1배출구(120)로 연장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유로는 가이드벽(140)에 의하여 제1배출구(120)와 제2배출구(130)로 분할된다.
이때, 제2배출구(130)는 흡입구(110)의 상측에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함에 따라 흡입구(110)의 상측 및/또는 주변에서 와류를 생성한다. 와류는 흡입구(110) 주변의 정체압을 해소함에 따라 흡입구(110)의 유속을 증대시킬 수있다.
또한, 진동체(700)는 팬(400)과 동시에 구동되어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을 가한다. 이때, 진동체(700)는 수용판(523)과 고정바(524) 사이의 연결단(521)에 의하여 연결된 부위가 최소화됨에 따라 손실 없이 전달판(612)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분진은 진동체(700)에 의한 필터(620)의 진동으로 필터(620)에서 걸러짐과 동시에 워터 트레이(300)로 낙하 된다. 그러므로 분진은 워터 트레이(300)에 수용된 물로 낙하되기에 흡진기 내부에서 2차 확산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분진이 자동으로 필터(6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필터(620)의 세척이 필요하지 않고, 분진의 누적으로 인한 필터(620)의 정화효율일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필터(6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관리 및 유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620)가 내부 하우징(500)의 전면에서 지지 프레임(6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부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필터(620)는 수시로 인출입될 수 있어 교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의 안내 및 와류를 보다 확대할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다. 이는 도 9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 하우징(100)에서 흡입구(110)가 형성된 전면에서 힌지(161) 결합된 회전판(160)을 더 포함한다.
회전판(160)은 흡입구(110)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61) 결합된다. 회전판(160)은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회전되어 흡입구(110)를 개폐시키거나, 모터와 같은 기구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판(160)은 사용중이 아닐 때에서는 흡입구(110)를 노출시키지 않고, 외측에 디자인(예를 들면, 문양, 부호,그림, 숫자, 문자 또는 그 조합에 의한 형상)을 추가하여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아울러 흡입구(110) 및 내측으로 이물질의 침투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와류 발생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 하우징(100)의 전면이 함몰된 오목형의 나선판(170)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오목형의 나선판(170)은 흡입구(110)가 수직면이 아닌 상향 또는 하향된 경사면에 형성됨에 따라 흡입구(110) 주변의 공기와 제2배출구(130)에서 배출되는 정화 공기간의 상호 작용이 보다 원활하여 와류의 증가를 이룰 수 있다.
아울러, 유로는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배출구(130)로 분할이 용이하고, 공기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와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오목형의 나선판(170)을 이루는 상부 하우징(100)과, 회전판(160)을 구비한 상부 하우징(100)은 별개로 구성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진동체를 구동시켜 필터로부터 분진을 워터 트레이로 낙하시키는 구성을 포함하였고,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필터에서 걸러진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동 진동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진동부(640)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는 진동체와 결합된 필터 어셈블리와, 상호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동 진동부(640)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로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진동부가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수동 진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는 필터(620)와, 필터(620)를 수용하는 필터 커버(610')와, 필터(620)를 타격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수동 진동부(640)를 포함한다.
필터 커버(610')는 커버판(615)과, 커버판(615)의 외측에서 직립된 커버 외벽(614)과, 필터(620)가 수용되도록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필터 수용홈(617)과,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에서 필터(620)의 노출 및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개구창(613')과,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에서 수동 진동부(640)를 안내하는 이동바 가이드(616)를 포함한다.
필터 수용홈(617)은 커버판(615)에서 상향된 벽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형성하고,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수용홈(617)은 커버판(615)에서 상향된 공간을 형성하여 필터(620)를 수용한다.
커버 외벽(614)은 커버판(615)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직립된 벽면이고, 일측에서 수동 진동부(640)의 선단(후술되는 손잡이(641))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구(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창(613')은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에서 개방된 영역으로서 내측에 수용된 필터를 노출시키고,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동바 가이드(616)는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에서 개구창(613')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바 가이드(616)는 직립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벽면으로서 그 사이에 후술되는 이동바(642)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수동 진동부(640)는 외부로 인출되는 손잡이(641)와, 손잡이(6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구창(613')을 횡단하여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642)와, 이동바(64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44)과, 스프링(644)을 고정시키는 스프링 고정수단(645)과, 이동바(642)의 하단에 고정되어 필터(620)를 타격하는 타격물(642)을 포함한다.
손잡이(641)는 필터 커버(610')( 및 상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로 손잡이(641)는 선단이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이동바(642)는 손잡이(64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개구창(613')을 가로 질러 이동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동바(642)는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손잡이(641)의 끝단에서 분기되어 각각 끝단이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손잡이(641) 및 하나 이상의 이동바(642)는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을 가로 질러 커버 외벽에서 절개된 인출구(도면번호 표시되지 않음)에서 필터 수용홈(617)의 상면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이동바(642)는 상술한 이동바 가이드(616)에 의해 개구창(613')을 가로 질러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아울러, 이동바(642)는 하면에서 타격물(642)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는 고정단(642b)과, 필터 수용홈(617)의 벽면에 걸림되도록 선단과 끝단 영역에서 하향 돌출되는 걸림턱(642a, 642a')과, 끝단에서 관통되어 스프링(644)이 연결되는 연결공(642c)을 포함한다.
걸림턱(642a, 642a')은 이동바(642)의 선단과 끝단에서 각각 하향 돌출되어 일측으로 이동시에는 끝단의 걸림턱(642a')이 필터 수용홈(617)의 벽면에 걸림되어 이동바(642)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이동바(642)가 스프링(644)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때는 선단에서 하향 돌출된 걸림턱(642a)이 필터 수용홈(617)의 벽면에 걸림되면서 이동이 저지된다.
타격물(642)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또는 종이와 같은 소재들로 제작되어 이동바(642)의 고정단(642b)에 결합 된다. 여기서 타격물(642)은 이동바(642)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과, 이동 후 스프링(644)에 의해 원위치로 복구되는 과정에서 필터(620)의 산들을 타격한다. 이와 같은 타격물(642)의 타격은 필터(620)를 자극하여 필터(620)의 외면에 잔류된 분진을 워터 트레이로 낙하시킨다.
여기서 타격물(642)은 상면에서 이동바(642)의 고정단(642b)이 삽입되도록 내향된 삽입홈(643a)과, 하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복 수개의 타격돌기(643b)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643a)은 고정단(642b)이 억지 끼움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폭과 길이가 조절되어 타격물(642)의 상면에서 내향 형성된다.
타격돌기(643b)는 하면에서 복 수개가 상호 이격 및 돌출형성되어 이동바(642)의 이동시에 필터(620)의 산을 타격한다.
스프링(644)은 이동바(642)의 끝단에 형성된 연결공(642c)과, 스프링 고정수단(645) 사이에서 고정되어 이동바(642)를 탄성 지지한다. 즉, 이동바(642)는 사용자가 손잡이(641)를 잡아당기면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사용자가 손잡이(641)를 놓으면 스프링(644)에 의한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스프링 고정수단(645)은 커버판(615)에서 직립된 봉으로서 스프링(644)의 끝단이 감겨지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진동체에 의한 진동으로 필터(620)에 묻은 분진을 낙하시키는 것과 달리 사용자가 외측으로 인출된 손잡이(641)를 잡아 당겨서 이동바(642)의 하단에 고정된 타격물(642)이 필터(620)를 직접 타격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620)의 청소를 진동체(700)를 구동시켜 필터에 잔류된 분진을 워터 트레이로 자동 낙하시키거나, 손잡이(641)를 잡아당겨서 수동으로 필터(620)를 타격하여 분진을 낙하시킬 수 있거나, 자동과 수동이 모두 조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상부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제1배출구 130 : 제2배출구
140 : 가이드벽 150 : 구동부
160 : 회전판 170 : 나선판
200 : 트레이 수납부 210 : 하부 바닥판
220 : 결합벽 221 : 결합판
221a : 결합돌기 222 : 가이드턱
230 : 스토퍼 240 : 수용홈
300 : 워터 트레이 310 : 손잡이
400 : 팬 500 : 내부 하우징
510 : 개구부 511 : 개구
520 : 진동체 수용부 521 : 연결단
522 : 결합구 523 : 수용판
524 : 고정바 530 : 구획부
600 : 필터 어셈블리 610, 610' : 필터 커버
611 : 연장바 612 : 전달판
613, 613' : 개구창 614 : 커버 외벽
615 : 커버판 616 : 이동바 가이드
617 : 필터 수용홈 620 : 필터
630 : 지지 프레임 631 : 직립벽
632 : 수평판 633 : 고정구
640 : 수동 진동부 641 : 손잡이
642 : 이동바 642a, 642a' : 걸림턱
642b : 고정단 642c : 연결공
643 : 타격물 643a : 삽입홈
643b : 타격돌기 644 : 스프링
645 : 스프링 고정수단 700 : 진동체

Claims (8)

  1.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0) 및 제2배출구(130)가 구비된 상부 하우징(100);
    상부 하우징(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트레이 수납부(200);
    트레이 수납부(200)에서 인출입되고,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워터 트레이(300);
    공기를 흡입하는 팬(400)과, 팬(4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50);
    흡입된 공기에서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620)가 구비되는 필터 어셈블리(600);
    상부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필터 어셈블리(600)에서 워터 트레이(300)로 분진이 낙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부 하우징(500); 및
    구동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필터 어셈블리(600)에 진동을 가하여 필터(620)에서 걸러진 분진을 워터 트레이(300)로 낙하시키는 진동체(700);를 포함하고,
    내부 하우징(500)은 진동체(700)를 수용하는 진동체 수용부(520)을 포함하고,
    진동체 수용부(520)는
    개구(511) 내에 고정되어 진동체(70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판(523);
    개구(511)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수용판(523)을 지지하는 복 수개의 고정바(524); 및
    고정바(524)에서 수용판(523)으로 연장되는 연결단(521);을 구비하고,
    연결단(521)은
    고정바(524)의 일면과 반대면중 어느 하나에서 수용판(523)의 일면과 반대면중 어느 하나로 연장되어 고정바(524)와 수용판(523)의 단부 사이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 어셈블리(600)는
    필터(620)와, 필터(620)가 수납되는 필터 커버(610)와, 상부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필터 커버(610)가 인출입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30);을 포함하고,
    필터 커버(610)는
    공기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하도록 양면에서 개방된 개구창(613)과, 개구창(613)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611)와, 연장바(611)에 의해 지지되어 진동체(700)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는 전달판(6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부 하우징(500)은
    흡입구(110)측의 일면이 개방되고, 흡입구(110)와 대향된 일면에서 직립된 제1직립판(531)과, 제1직립판(531)의 양측 끝단에서 절곡되어 측벽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직립판(532)을 구비하여 상부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530); 및
    구획부(530)의 경사진 상면에서 필터 어셈블리(600)가 노출되는 개구(511)가 구비되는 개구부(510); 를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배출구(120)는
    흡입구(110)에서 필터 어셈블리(600) 및 팬(400)에서 연장되는 유로를 통하여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고,
    제2배출구(130)는 제1배출구(120)에서 분할된 유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화 공기를 흡입구(110)측으로 토출시켜 흡입구(110) 주변에 와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100)은
    상측에서 팬(400)의 출력측으로 하향 연장되어 제1배출구(120)와, 제2배출구(130)로 연결되는 유로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벽(140);을 더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필터 어셈블리(600)는
    필터(620)가 수납되는 필터 커버(610')의 개구창(613')을 통하여 노출된 필터를 타격하여 분진을 낙하시키는 수동 진동부(640);를 포함하고,
    수동 진동부(640)는
    필터 커버(610')에서 필터(620)가 노출된 개구창(613')에서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바(642);
    하나 이상의 이동바(6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으로 인출되는 손잡이(641);
    이동바(642)의 하면에서 고정되어 필터(620)를 타격하는 타격물(642); 및
    이동바(64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44);을 포함하는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1020190005805A 2019-01-16 2019-01-16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10215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05A KR102152606B1 (ko) 2019-01-16 2019-01-16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05A KR102152606B1 (ko) 2019-01-16 2019-01-16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19A KR20200089119A (ko) 2020-07-24
KR102152606B1 true KR102152606B1 (ko) 2020-09-07
KR102152606B9 KR102152606B9 (ko) 2020-09-07

Family

ID=7189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05A KR102152606B1 (ko) 2019-01-16 2019-01-16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789A (ko) 2021-05-12 2022-11-21 김정란 네일 케어용 흡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6001B1 (fr) * 2020-11-12 2023-01-06 Tallano Tech Système de filtration avec bac collecteur
CN116764384A (zh) * 2023-06-13 2023-09-19 南京德厚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多级处理废气的沸石分子筛转轮装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72A (ja) * 1998-12-16 2000-06-27 Tornex Inc 竜巻式排気清浄装置を備えた椅子
KR200349931Y1 (ko) * 2004-02-04 2004-05-12 이경옥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2528A (ko) * 2005-06-30 2007-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0487735Y1 (ko) 2017-08-24 2018-10-29 김경남 네일 관리용 흡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772A (ja) * 1998-12-16 2000-06-27 Tornex Inc 竜巻式排気清浄装置を備えた椅子
KR200349931Y1 (ko) * 2004-02-04 2004-05-12 이경옥 집진기용 필터의 분진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789A (ko) 2021-05-12 2022-11-21 김정란 네일 케어용 흡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19A (ko) 2020-07-24
KR102152606B9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606B1 (ko)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KR100413988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RU2609211C2 (ru) Увлаж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AU2021266191A1 (en) Cleaning apparatus
RU2255643C2 (ru) 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3B1 (ko) 진공청소기
CN209252673U (zh) 真空吸尘器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8185A (ko) 집진 유니트의 개폐장치
KR20050091830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37A (ko) 진공청소기
EA001254B1 (ru) Всасыва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0779052B1 (ko) 진공 청소기용 장치
CN207462019U (zh) 吸尘器吸嘴以及吸尘器具
KR20110100481A (ko) 애완동물 털 청소기
CN108968797A (zh) 清洁设备
KR101958795B1 (ko) 흡진 기능이 구비된 네일샵용 테이블
KR102125360B1 (ko) 흡입 범위의 확장이 가능한 흡진기
JP7416733B2 (ja) 電気掃除機
CN211416773U (zh) 一种自动擦黑板机
CN204445699U (zh) 一种地面清洁器
CN210631151U (zh) 真空吸尘器
JP3756355B2 (ja) 吸引式無用物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