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383B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383B1
KR100963383B1 KR1020040016490A KR20040016490A KR100963383B1 KR 100963383 B1 KR100963383 B1 KR 100963383B1 KR 1020040016490 A KR1020040016490 A KR 1020040016490A KR 20040016490 A KR20040016490 A KR 20040016490A KR 100963383 B1 KR100963383 B1 KR 100963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assembly
filter assembl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834A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383B1/ko
Priority to US11/006,619 priority patent/US7779507B2/en
Publication of KR2005009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valve means of the relay or driver controlled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어셈블리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측방으로 배기되고, 집진어셈블리의 집진통의 저면에 분리판이 설치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함유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이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바디(70)와; 상기 바디(7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하방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공기중의 이물이 분리되어 집진되는 집진통(110)과,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조립체(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측에는 필터링 된 공기를 집진통(11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안내관(18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집진통(110)의 저면에는 상하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120)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어셈블리의 착탈 및 청소와 필터교체가 용이해지고 진공청소기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통, 필터조립체, 측면배기

Description

진공청소기 {A vacuum clear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태를 보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집진어셈블리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집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집진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집진어셈블리의 내부구성을 보인 절결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요부구성인 흡입노즐체 내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진공청소기 60. 흡입노즐체
70. 바디 72. 집진장착부
74. 흡입유로 76. 배출유로
78. 착탈노브 78'. 노브홈
100. 집진어셈블리 110. 집진통
112. 흡입가이드 120. 분리판
130. 집진손잡이 140. 상면커버
142. 개방부 144. 누름버튼
150. 필터조립체 152. 필터
154. 하단고정부 156. 상단고정부
160. 액분사기 162. 몸체
164. 분사버튼 166. 분사구
170. 분사기장착대 172. 부착면
174. 지지판 176. 고정부
180. 토출안내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어셈블리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측방으로 배기되고, 집진어셈블리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은 집진통의 저면에 고정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다음 필터링된 공기가 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토출부(8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에서 집진통(10)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여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 집진통 구조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며, 내장되는 필터의 착탈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필터링된 공기가 집진통의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통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이 집진통 저면에 고정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물질이 함유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체와; 상기 흡입노즐체를 통해 이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여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하로 관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면커버와, 상기 상면커버 또는 집진통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고, 상기 상면커버의 개방부를 통해 착탈가능한 필터조립체와, 상기 집진통의 저면에 설치되어, 집진통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집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필터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배출되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는 집진통의 측면에 고정되어, 집진통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집진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된 분리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에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플라스틱 재질의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중앙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토출안내유로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상단고정부에는 상기 상면커버와의 결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조립체를 통과한 공기를 집진통 하방으로 안내하는 토출안내관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안내관은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토출안내유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안내관의 상단에는 외부의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가능한 토출관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집진어셈블리의 착탈 및 청소가 용이해지고, 필터조립체의 교체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어셈블리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장착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집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구성하는 집진어셈블리의 일부가 절결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70),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외관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60')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6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부커버(60')에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노즐체(6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62)가 상기 노즐하부커버(60') 양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흡입노즐체(60)와 상기 바디(70)의 연결부는 상기 바디(7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바디(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손잡이(80)를 잡고 바디(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바디(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바디(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디(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상기 바디(7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71)에 전선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바디(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흡입팬(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중앙부에는 바디(7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집진장착부(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진장착부(72)에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집진장착부(72)의 후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유로(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유로(74)의 상단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의 흡입가이드(112)와 결합되고, 이러한 흡입유로(74)의 하단은 상기 흡입노즐체(60)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유입되 는 공기와 이물이 상기 흡입유로(74)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착부(72)의 후면에는 배출유로(7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76)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의 토출안내관(180)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집진어셈블리(10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76)를 통해 상기 바디(70)에 구비된 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경유하여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된다.
상기 바디(70)의 집진장착부(72)에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집진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장착부(7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일반적으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질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70)에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착탈을 위한 착탈노브(78)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착탈노브(78)의 일단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에 형성되는 노브홈(78')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에는 대략 원통형의 집진통(1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집진통(110)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이드(1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일단이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소정부분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110)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상기 집진통(110)의 외면에 비스듬히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측면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 중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가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분리판(120)이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110)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판(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120)의 외경은 상기 집진통(11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120)의 테두리와 상기 집진통(110) 내면 사이에는 틈새(120a)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120a)를 통해 상측의 이물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집진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손잡이(130)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진공청소기(50)의 바디(70)로부터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진통(110)의 상면은 상면커버(1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면커버(140)는 상기 집진통(110)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중앙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조립체(150)가 장착되는 개방부(142)가 성형된다.
상기 개방부(142)는 필터조립체(15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는 필터조립체(150)가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140)의 테두리 부근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액분사기(160)의 분사버튼(164)과 연동되는 누름버튼(144)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개방부(142)의 일측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레바안착부(146)가 형성되며, 이러한 레바안착부(146)에 체결레바(14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체결레바(148)는 일측에 형성되는 레바힌지(148')를 축으로 회전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조립체(150)의 체결리브(156')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므로써, 필터조립체(150)의 탈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방부(142)에는 필터조립체(150)가 체결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50)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길이방향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필터(152)와, 상기 필터(152)의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단고정부(154)와, 상기 필터(152)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단고정부(15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필터(152)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152)의 상부와 저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단고정부(156)와 하단고정부(154)도 필터(152)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152)의 중앙부에는 토출안내유로(152a)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는 상기 필터(152)를 통과한 공기가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필터(152)가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는 절곡필터로 이루어져 유동하는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최대로 극대화되게 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152)에 의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고정부(156)는 상기 하단고정부(154)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상면커버(140)의 개방부(142) 테두리에 걸어져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고정부(156)의 일측단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체결리브(156')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리브(156')는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개방부(142)에 안착될 때, 상기 레바안착부(146)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바(148)가 회전하여 상기 체결리브(156')를 고정하게 되면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면커버(14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단고정부(156)의 상면에는 필터손잡이(158)가 더 형성된다. 상기 필터손잡이(158)는 사용자가 필터조립체(150)를 취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토출구(156a)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일측면에는 액분사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액분사기(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몸체(162)와, 상기 몸체(162)의 상단에 구비되는 분사버튼(164) 그리고 상기 몸체(162)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분사구(16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62)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분사액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버튼(164)은 상기 몸체(162) 내부의 분사액이 상승하도록 하는 부분이 며, 상기 분사구(166)는 상기 몸체(162) 내부의 분사액이 토출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액분사기(160)의 기본적인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분사버튼(164)이 눌려지면, 상기 몸체(162) 내부의 분사액이 내부의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분사구(166)를 통해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분사기(160)의 몸체(162) 내부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물과 같은 분사액이 저장되며, 이러한 분사액에는 살충제나 살균제 또는 방향제 등이 첨가되기도 한다.
상기 액분사기(160)는 분사기장착대(170)에 의해 상기 집진통(11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분사기장착대(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110) 내면에 부착되는 부착면(172)과, 상기 부착면(172)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성형되는 지지판(174)과, 상기 부착면(172)의 중앙부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부(17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174)은 상기 액분사기(160)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액분사기(160)의 하면과 대응되도록 원형의 판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착면(172)과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고정부(176)는 상기 액분사기(160)의 몸체(162)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부착면(172)의 양측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쌍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176)는 상기 부착면(172)과 일체로 성형되므로 일정한 탄성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고정부(176) 내부 공간은 상기 액분사기(160)의 몸 체(162)보다는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120)의 하측 중앙부에는 토출안내관(180)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대략 'ㄴ'자 형상(측방에서 볼때)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집진통()의 하부 측방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단부의 내경은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하단이 상기 집진통(110)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분리판(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토출안내유로(152a)와 연통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80)의 상면에는 토출관커버(18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출안내관(180) 내부를 차폐한다. 상기 토출관커버(180')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회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출관커버(180')를 통하여 공기의 유동은 자유로이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방으로 분리될 때 필터조립체(150)에 부착되어 있던 오물은 토출관커버(180')에 의해 상기 토출안내관(180) 내부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바디(70)의 전면 하단에는 청소기의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구비되고, 이러한 램프(L)의 상측에는 배기커버(7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커버(70')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커버(70') 내측에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기필터의 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배면이나 측면에는 바닥면 외에 실내의 구석진 곳의 청소를 위한 별도의 악세사리(accessory)가 부착되기도 한다.
도 7에는 상기 흡입노즐체(60)의 노즐상부커버(60")가 탈거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좌우폭은 12 내지 16인치(inch)의 크기로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노즐체(60)의 내부에는 바닥면의 이물질을 긁어내는 아지테이터(61)가 구비된다. 상기 아지테이터(61)는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회전몸체(61')와 상기 회전몸체(61')에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러시(6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61")에 의해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이 탈거된다.
상기 아지테이터(61)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노즐하부커버(60')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60'a)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지테이터(61)는 상기 흡입구(60'a)를 통해 하부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61")로 바닥면의 이물을 탈거시킨 다음, 상기 흡입구(60'a)를 통해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아지테이터(61)는 상기 바디(70)에 설치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디(70)의 하단부에 내장되는 모터의 회전축(Ms)이 우측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이러한 회전축(Ms)과 상기 아지테이터(61)가 연결벨트(V)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Ms)과 아지테이터(61)는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연결벨트(V)는 고무와 같은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더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과열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온도센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공급선에 설치되어 바이메탈 원리에 의해 상기 모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과열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와 집진어셈블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청소기(50)를 동작시키면, 상기 바디(70)에 내장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흡인력이 생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저면 흡입구(60'a)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고, 이러한 흡입공기와 이물은 상기 바디(70)의 흡입유로(74)와 집진어셈블리(100)의 흡입가이드(112)를 통해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중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질은 상기 틈새(120a)를 통해 분리판(120)의 하측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이물질은 회전하면서 상기 필터조립체(15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질량이 작은 이물질은 상기 토출안내관(18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기 위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조립체(1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집진통(110)의 내부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152)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된 다음, 상기 토출안내관(180)을 거쳐 상기 집진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바디(70)에 형성된 배출유로(76)를 통과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한 다음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액분사기(160)를 이용하여 분사액을 분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면커버(140)에 형성된 상기 누름버튼(144)을 하방으로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액분사기(160)의 분사버튼(164)이 상기 누름버튼(144)과 연동하여 하방으로 내려간다. 따라서 상기 분사구(166)를 통해 내부의 분사액이 집진통(110)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진공청소기(50)의 바디(7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착탈노브(78)를 하방으로 누른다. 상기 착탈노브(78)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노브홈(78')에 삽입되어 있는 착탈노브(78)의 일단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처럼 상기 착탈노브(78)의 일단이 상기 노브홈(78')에서 분리된 다음에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집진손잡이(130)를 잡고 전방으로 당기면 집진어셈블리(100)가 바디(7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착탈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장착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바(148)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리브(156')가 체결레바(148)를 벗 어나게 한 다음, 상기 필터손잡이(158)를 잡고 상방으로 당기면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상면커버(14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의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터조립체(150)를 장착하는 과정은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 즉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려 상기 개방부(142)에 장착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체결레바(148)가 상기 상면커버(140)의 레바안착부(146)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바(148)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리브(156')와 겹쳐지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상면커버(140)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상기 바디(70)에 장착하는 과정도 상기에서 설명한 분리의 역순에 의한다. 따라서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하단을 먼저 상기 집진장착부(72) 하단에 일치시킨 다음, 상단부를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착탈노브(78)의 하단이 일정부분 유동하다가 상기 노브홈(78')에 삽입되어 집진어셈블리(10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필터조립체(150)의 필터(152)가 절곡필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절곡필터 외에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망필터로 구성되거나, 망필터와 절곡필터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절곡필터 대신 망필터와 스펀지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절곡필터 또는 망필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외에 다수개가 겹으로 사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상면커버(14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분리판(120)의 상면에 장착되도록 구성하거나, 별도의 필터지지대를 상기 집진통(110) 내부에 구비하여 필터조립체(150)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집진어셈블리(100)가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1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본체(200)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200')와, 상기 하부몸체(200')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20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집진어셈블리(100)가 수용되는 집진기장착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기장착부(202)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외형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후면 또는 측면에는 집진어셈블리(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배출통로(20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200")의 선단부에는 상기 집진 어셈블리(100)의 착탈을 제어하는 누름버튼(204)이 구비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상기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50)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각 구성요소의 부호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원통형의 집진통(110)과, 집진통(110)을 차폐하는 상면커버(140)와,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조립체(150) 그리고 상기 집진통(110)의 취부를 용이하게 하는 집진손잡이(13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140)에는 상기 누름버튼(204)의 하단에 걸어지는 노브홈(78')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W)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W)에는 흡입노즐(210)을 통하여 흡입된 다음 필터링된 공기가 본체(200)로부터 배출되는 토출부(2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와 흡입노즐(210) 사이에는, 상기 흡입노즐(21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흡입호스(220)와, 상기 흡입호스(220)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230)와, 상기 조작부(230)와 흡입노즐(210)을 연결하는 연장관(240)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20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1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2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전선(250)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230)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200)에 내장되 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본체(200)의 흡입연결부(260)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220) 및 연장관(240)을 거쳐 흡입노즐(210)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10)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조립체(15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상기 집진기장착부(202)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로(202')를 통하여 내부의 모터(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된 다음 외부로 배츨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청소가 이루어지면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에는 이물이 쌓이게 되므로, 일정기간 사용후에는 상기 누름버튼(204)을 하방으로 눌러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분리한 다음 내부의 이물을 제거하고 다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는, 집진어셈블리의 필터조립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토출안내유로가 하방으로 연통되도록 토출안내유로의 하측에는 토출안내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토출안내관의 상단에 분리판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관의 하단이 집진통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필터조립체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집진어셈블리의 측방으로 토출이 가능하게 되며, 집진어셈블리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집진어셈블리의 상면커버에 필터조립체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필터조립체만을 상방으로 분리하여 이물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집진어셈블리의 청소 및 필터의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집진어셈블리의 내부에 분사장치를 구비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시 누름버튼을 눌러 액분사기를 작동시키면, 액분사기에서 분사액이 나와 필터조립체 주변의 습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집진통 내부의 정전기가 방지되므로 필터조립체 분리시 사용자의 전기적인 쇼크(shock)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조립체에 다양한 필터가 사용된다. 즉 절곡필터 또는 망필터를 사용하거나, 절곡필터와 망필터 또는 스펀지를 동시에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공기중의 이물에 따라 다양한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진공청소기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물질이 함유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체와;
    상기 흡입노즐체를 통해 이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여 집진시키기 위한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하로 관통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면커버와,
    상기 상면커버 또는 집진통의 내부에 장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고, 상기 상면커버의 개방부를 통해 착탈가능한 필터조립체와,
    상기 집진통의 저면에 설치되어, 집진통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집진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필터조립체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의 측면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배출되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는 집진통의 측면에 고정되어, 집진통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고, 집진통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성형된 분리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에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플라스틱 재질의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중앙에는 필터링된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토출안내유로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상단고정부에는 상기 상면커버와의 결합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조립체의 하측에는 상기 필터조립체를 통과한 공기를 집진통 하방으로 안내하는 토출안내관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안내관은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토출안내유로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토출안내관의 상단에는 외부의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착탈가능한 토출관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의 일면에는 상기 체결리브와 대응되도록 결합하는 체결레버와 레바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40016490A 2004-03-11 2004-03-11 진공청소기 KR100963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90A KR100963383B1 (ko) 2004-03-11 2004-03-11 진공청소기
US11/006,619 US7779507B2 (en) 2004-03-11 2004-12-08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490A KR100963383B1 (ko) 2004-03-11 2004-03-11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34A KR20050091834A (ko) 2005-09-15
KR100963383B1 true KR100963383B1 (ko) 2010-06-14

Family

ID=3727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490A KR100963383B1 (ko) 2004-03-11 2004-03-11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99303A1 (en)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10401246A1 (en) 2016-04-11 2021-12-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090205161A1 (en) 2007-12-19 2009-08-20 Wayne Ernest Conrad Configuration of a cyclone assembly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WO2010102394A1 (en) 2009-03-11 2010-09-16 G.B.D. Corp. Hand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dirt chamber
US10722086B2 (en) 2017-07-06 2020-07-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74884B2 (en) 2013-02-28 2020-06-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140237764A1 (en) 2013-02-28 2014-08-28 G.B.D. Corp. Cyclone such as for use in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29294B2 (en) 2013-02-28 2020-08-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456721B2 (en) 2013-02-28 2016-10-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775484B2 (en) 2013-03-01 2017-10-0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91889B2 (en) 2016-01-08 2020-10-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50745B2 (en) 2014-12-17 2024-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22027B2 (en) 2014-12-17 2018-07-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883781B2 (en) 2014-12-17 2018-02-0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All in the hea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59391B2 (en) 2016-01-08 2018-12-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962048B2 (en) 2016-01-08 2018-05-0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165914B2 (en) 2016-01-08 2019-01-0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 carry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918170B2 (en) 2016-04-11 2024-03-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41124B2 (en) 2016-08-29 2019-10-1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13141B2 (en) 2016-08-29 2019-09-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14349B2 (en) 2016-12-28 2019-02-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64746B2 (en) 2016-12-28 2019-11-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09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244910B2 (en) 2016-12-28 2019-04-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322873B2 (en) 2016-12-28 2019-06-1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Dust and allergen control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02113B2 (en) 2017-07-06 2020-07-0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631693B2 (en) 2017-07-06 2020-04-28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06904B2 (en) 2017-07-06 2019-12-17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42330B2 (en) 2017-07-06 2020-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750913B2 (en) 2017-07-06 2020-08-2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537216B2 (en) 2017-07-06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andheld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75861B2 (en) 2018-04-20 2022-07-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827889B2 (en) 2018-05-30 2020-11-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932634B2 (en) 2018-05-30 2021-03-0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779178B2 (en) 2021-08-05 2023-10-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cyclone and a cyclone for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238A (ko) * 1998-12-11 2000-07-0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434785B1 (en) 2000-04-19 2002-08-20 Headwaters Research & Development, Inc Dual filter wet/dry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445470B1 (ko) * 2001-10-09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KR100578332B1 (ko) 2001-10-18 200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238A (ko) * 1998-12-11 2000-07-0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6434785B1 (en) 2000-04-19 2002-08-20 Headwaters Research & Development, Inc Dual filter wet/dry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445470B1 (ko) * 2001-10-09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하는 청소기 본체
KR100578332B1 (ko) 2001-10-18 200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용 분리판 및 그것을 이용한집진케이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34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383B1 (ko) 진공청소기
KR10093413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44746B1 (ko) 진공청소기
KR100912314B1 (ko) 진공청소기
KR100963382B1 (ko) 진공청소기
KR100936064B1 (ko) 진공청소기
KR100933188B1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29A (ko) 진공청소기
KR10117829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KR10106407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0836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6338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30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10461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1828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2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1832A (ko) 진공청소기
KR20050091831A (ko) 진공청소기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344840Y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고정구조
KR2005009182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18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