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97B1 -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97B1
KR101958297B1 KR1020160143156A KR20160143156A KR101958297B1 KR 101958297 B1 KR101958297 B1 KR 101958297B1 KR 1020160143156 A KR1020160143156 A KR 1020160143156A KR 20160143156 A KR20160143156 A KR 20160143156A KR 101958297 B1 KR101958297 B1 KR 10195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bstation
power
spac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51A (ko
Inventor
안세철
김재승
장성익
박춘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4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5/00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energy from the ground by air circulation, e.g. "Canadian w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entilation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변전소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서, 급기피트와 연결되고 외기를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에 공급하는 복수의 급기덕트; 배기 피트와 연결되고 각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기덕트; 전력구의 공기를 흡입하는 전력구급기팬; 상기 전력구급기팬으로부터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제공받고, 제1 공간에 배출구가 연결되는 젼력구급기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OF SUBSTATION}
본 발명은 전력구 공기를 이용하는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성질을 바꾸기 위한 시설로서, 다양한 전력케이블, 변압기, 절연개폐장치 등의 설비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변전소에는 다양한 설비가 설치되고, 이러한 설비는 습도, 온도 등에 의해 이상 동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변전소 내의 공기를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를 수행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의 공기조화시스템은 변전소 외부의 외기를 급기피트를 통해 흡입하여 변전소 내부로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량만큼 배기피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변전소는 다양한 설비를 수용하는 복수의 공간을 포함하고 있고, 고온 동작하는 설비가 배치된 공간은 내부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변전소에는 변전소 전체를 냉방하는 냉각된 공기를 공급피트를 통해 공급하는 중앙조화 시스템 또는 실외기를 통해 냉매를 이동시켜 선택된 공간을 냉방하는 개별공조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변전소 전체를 냉각하는 중앙공조 시스템은 공간별 온도 제어가 불가능하여 실내 열불균형 및 에너지 누수가 발생할 수 있고, 개별공조 시스템은 별도의 실외기가 필요하고 외기 공급이 불가능하므로 공기조화 시스템에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4474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구의 냉기를 이용하여 변전소의 특정한 공간을 냉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변전소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서, 변전소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서, 급기피트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급기덕트; 상기 변전소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피트로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배기덕트; 전력구의 공기를 흡입하는 전력구급기팬; 상기 전력구급기팬으로부터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 중 제1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구급기덕트; 및 상기 복수의 배기덕트 중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덕트에 구비된 배기팬;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덕트에 구비된 배기팬은 상기 전력구로부터의 유입 풍량에 기초한 회전 속도로 동작하고, 상기 전력구는 상기 변전소의 지하에 건설되고, 상기 전력구급기덕트는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상기 변전소의 주변압기가 배치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은 상기 전력구에 설치된 지중송배전전력케이블을 처리하는 케이블 처리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구급기덕트는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상기 케이블 처리실보다 상기 제1 공간으로 더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전력구의 냉기를 변전소의 고온 동작하는 설비가 배치된 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간의 온도를 대기온도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냉각설비 없이 자연 방식으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변전소의 열불균형을 감소시키고, 냉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시스템은 변전소(1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전소(100)는 일반적으로 지상에 건설되나 환경적인 요인으로 지하에 건설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변전소(100)를 복층의 지하층으로 구성된 지하변전소로 가정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전소(100)는 다양한 설비를 배치하기 위한 각 층에 복수의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공간은 축전지실(101a), 부변압기가 배치된 S.Tr실(101b), 계전기실(101c), 감시실(101d), 170kV GIS(Gas Insulated Switchgear)실(102a), 주변압기가 배치된 M.Tr실(102b), 23kV GIS실(103c), 154kV 케이블 처리실(103a), M.Tr기초실(103b), 23kV GIS기초실(103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통한 변전소(100)의 공기순환을 설명한다.
변전소(100)의 공기조화시스템은 변전소(100)의 각층을 관통하는 급기피트(110) 및 배기피트(120)를 포함한다.
변전소(100) 외부의 대기에서 외기가 상기 급기피트(110)로 흡입되고(10), 상기 외기는 상기 급기피트(110)와 상기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급기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급된다. 예를 들어, 급기피트(110)와 M.Tr실(102b)을 연결하는 급기덕트(111)는 외기를 M.Tr실(102b)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해 급기덕트(111)의 일측에는 급기팬(11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공간의 공기는 상기 배기피트(120)와 상기 복수의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피트(120)로 배출된 후, 상기 배기피트(120)를 통해 외부의 대기로 배출된다(20). 예를 들어, 배기피트(120)와 M.Tr실(102b)을 연결하는 배기덕트(121)는 M.Tr실(102b) 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기 위해 배기덕트(121)의 일측에는 배기팬(122)이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복수의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를 공기의 흐름을 표시하게 위해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급기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유입된 공기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복수의 배기덕트를 통해 각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양을 감지하여, 유입된 공기의 양과 배출된 공기의 양이 균형을 이루도록 급기팬, 배기팬 등의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M.Tr실(102b)에는 고온 동작하는 발열체인 주변압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M.Tr실(102b)은 대기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내부온도가 높다. 예를 들어, M.Tr실(102b)의 내부온도는 42도 부근으로 증가할 수 있다.
전력구(200)는 지중송배전전력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하여 건설된다. 상기 전력구(200)는 변전소(1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변전소(100)에서 변환된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구조물로 터널 형태로 건설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구(200)는 지하 수십 미터 깊이에 설치되거나, 전력 케이블의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냉각관 등의 냉방 설비를 포함하여 대기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내부온도가 낮다. 예를 들어, 전력구의 내부온도는 18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전력구(200)의 공기를 흡입(11)하기 위해 전력구급기팬(2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구급기팬(212)이 흡입한 공기를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고온의 공간과 전력구(200)를 연결하는 전력구급기덕트(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의 공간은 주변압기가 배치된 M.Tr실(102b)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전력구 내의 상대적으로 찬 공기가 M.Tr실(102b)로 제공될 수 있고, 자연적으로 유지되는 전력구 내의 찬공기를 활용하여 변전소의 고온의 공간을 냉방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동기나 냉각탑 등 추가적인 냉방 설비의 구성없이 변압기실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기 M.Tr실(102b)에 연결된 급기덕트(111) 및 전력구급기덕트(211)를 통해 M.Tr실(102b)에 유입된 공기의 양을 감지하고, 상기 M.Tr실(102b)에 연결된 배기덕트(121)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양을 감지하여, 유입된 공기의 양과 배출된 공기의 양이 균형을 이루도록 전력구급기팬(212), 급기팬(112) 배기팬(122) 등의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하드웨어와 이에 탑재되어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된 제어기, 풍량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팬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10: 급기피트
111: 급기덕트
112: 급기팬
120: 배기피트
121: 배기덕트
122: 배기팬
200: 전력구
211: 전력구급기덕트
212: 전력구급기팬

Claims (4)

  1. 변전소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으로서,
    급기피트로부터 흡입된 외기를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급기덕트;
    상기 변전소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피트로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배기덕트;
    전력구의 공기를 흡입하는 전력구급기팬;
    상기 전력구급기팬으로부터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 중 제1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력구급기덕트; 및
    상기 복수의 배기덕트 중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덕트에 구비된 배기팬;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덕트에 구비된 배기팬은 상기 전력구로부터의 유입 풍량에 기초한 회전 속도로 동작하고,
    상기 전력구는 상기 변전소의 지하에 건설되고,
    상기 전력구급기덕트는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상기 변전소의 주변압기가 배치된 상기 제1 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변전소의 각 공간은 상기 전력구에 설치된 지중송배전전력케이블을 처리하는 케이블 처리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구급기덕트는 상기 전력구의 공기를 상기 케이블 처리실보다 상기 제1 공간으로 더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43156A 2016-10-31 2016-10-31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58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56A KR101958297B1 (ko) 2016-10-31 2016-10-31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156A KR101958297B1 (ko) 2016-10-31 2016-10-31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51A KR20180047251A (ko) 2018-05-10
KR101958297B1 true KR101958297B1 (ko) 2019-03-15

Family

ID=6218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156A KR101958297B1 (ko) 2016-10-31 2016-10-31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525A (zh) * 2019-06-10 2019-09-20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风机的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97179B1 (ko) 2020-12-30 2021-09-02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공기순환 시스템
KR102535023B1 (ko) 2022-12-26 2023-05-26 강원숙 변전소의 공기 정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793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給排気空調制御システム
JP2006067677A (ja) * 2004-08-26 2006-03-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絶縁開閉装置への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KR200461565Y1 (ko) * 2011-11-18 2012-07-27 조익선 변압기 냉각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설비
JP2014055691A (ja) * 2012-09-11 2014-03-27 Hitachi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65A (ko) * 2010-03-09 2011-09-16 임서환 그린 무동력 버스정거장 냉온방 시스템
KR101654474B1 (ko) 2015-06-16 2016-09-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고층 건물의 자연 냉방·환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793A (ja) * 2000-05-26 2001-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給排気空調制御システム
JP2006067677A (ja) * 2004-08-26 2006-03-0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ガス絶縁開閉装置への電力ケーブル接続構造
KR200461565Y1 (ko) * 2011-11-18 2012-07-27 조익선 변압기 냉각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설비
JP2014055691A (ja) * 2012-09-11 2014-03-27 Hitachi Ltd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596813B1 (ko) * 2015-11-06 2016-02-23 (주)서부전기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0525A (zh) * 2019-06-10 2019-09-20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风机的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97179B1 (ko) 2020-12-30 2021-09-02 (주)이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공기순환 시스템
KR102535023B1 (ko) 2022-12-26 2023-05-26 강원숙 변전소의 공기 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51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97B1 (ko) 변전소의 공기조화 시스템
JP4558177B2 (ja) 通信機器室等の空調システム
ATE322653T1 (de) Klimaanlage
JP2011242011A (ja) サーバ用空調システム
KR101979443B1 (ko) 공기순환식 습기제거 기능을 갖는 배전반
JP2002168479A (ja) 通信機器室等の空調方法および空調システム
US20190170414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CN105101737B (zh) 数据中心模块、数据中心冷却系统及方法
JP2011149654A (ja) 省エネルギーシステム
KR20110129514A (ko) 그린컴퓨팅 환경을 실현한 인터넷데이터센터 공조시스템
EP3101361B1 (en) Electric equipment housing
EP3354119A1 (en) Cooling arrangement for example for cooling a converter valve hall
CN203481652U (zh) 一种高压开关柜
CN105790132A (zh) 一种具有自动除湿控温功能的配电箱
JP2009133617A (ja) 空調システム
GB201002845D0 (en) Building ventilation system
CN104654496B (zh) 采用抽热与换热制冷相结合的节能基站机房及其冷却方法
KR200461565Y1 (ko) 변압기 냉각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설비
JP4788776B2 (ja) 排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及び給排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
CN204438728U (zh) 一种绝缘工具柜
JP5705015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JPH07169481A (ja) 燃料電池発電プラント
JP5745671B1 (ja) 制御盤の冷却システム
CN216312486U (zh) 节能散热型高低压成套配电柜
JP2014152971A (ja) 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