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37B1 - 식판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판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37B1
KR101958137B1 KR1020180003126A KR20180003126A KR101958137B1 KR 101958137 B1 KR101958137 B1 KR 101958137B1 KR 1020180003126 A KR1020180003126 A KR 1020180003126A KR 20180003126 A KR20180003126 A KR 20180003126A KR 101958137 B1 KR101958137 B1 KR 101958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
frame
units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각형
Original Assignee
정정화
조성해
조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화, 조성해, 조성호 filed Critical 정정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을 하나씩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식판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구동 유닛, 컨베이어, 세척 장치와 한 쌍의 스토퍼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들은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는 중첩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 중 맨 아래 식판을 하나씩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중첩 부분의 양쪽에서 정지 시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맨 아래 식판을 분리한다. 구동 유닛은 회전 분리 유닛들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컨베이어는 회전 분리 유닛들에 의해 분리되는 식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세척 장치는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에 잔류하는 음식찌꺼기를 세척수의 분사와 솔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들 각각은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날개를 갖는 분리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 유닛들은 회전 분리 유닛들과 연동하여 맨 아래 식판을 구속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판들의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는 것에 의해 식판의 가장자리가 약간 변형된 경우에도 식판들 사이의 틈이 충분한 크기로 확보되어 회전 분리 유닛들의 날개가 틈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므로, 식판 및 날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판과 날개의 간섭으로 구동 유닛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판 세척기{FOOD TRAY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을 하나씩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세척할 수 있는 식판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학교, 사내 식당 등에서 단체급식에 사용되는 식판에는 식사 후 잔반을 대강 처리한 상태라도 다량의 음식찌꺼기가 묻어있게 된다. 식판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는 식판 세척기에 의해 세척하고 있다. 식판 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브러시(Brush)을 이용하여 식판에 잔존하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판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나 플라스틱제가 사용되고 있다. 금속제 식판의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위해 컬링(Curling)에 의해 원형 단면의 테두리, 즉 컬(Curl)로 형성되고 있다. 스트레이트 에지(Straight edge) 식판은 컬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일컫는다.
식판 세척기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129371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27075호와 한국 등록특허 제10-1575151호 등 많은 특허 문헌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 문헌들의 식판 세척기는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을 하나씩 분리하는 분리 공급 장치와, 분리 공급 장치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는 식판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Conveyor)와, 식판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와, 식판을 솔질(Brushing)하여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브러시(Brush)를 구비한다. 분리 공급 장치는 한 쌍 이상의 분리 가이드에 의해 적층되어 있는 식판을 하나씩 분리하여 컨베이어 위로 공급한다. 식판에 잔존하는 음식찌꺼기는 세척수의 분사와 브러시 또는 브러시 롤러(Brush roller)의 솔질에 의해 식판으로부터 탈락하여 수거 박스에 수거된다. 위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허 문헌들의 식판 세척기는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 사이의 틈에 분리 가이드들의 날개가 끼워지면서 식판들을 분리시키게 된다. 금속제 식판의 가장자리는 사용 중에 쉽게 변형되면서 식판들 사이의 틈을 좁게 한다. 변형된 가장자리에 의해 좁아진 틈은 날개의 진입을 방해하거나 간섭을 일으켜 식판들을 분리할 수 없게 한다. 식판들 사이의 틈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날개가 식판들의 측단에 걸리는 경우, 식판 및 날개의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전기모터 등의 구동원이나 전동 기구에 부하가 걸리면서 고장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컬이 형성되어 있는 에지 컬 식판(Edge curl food tray)은 컬에 의해 식판들 사이의 틈이 충분히 확보되어 분리 가이드들의 날개가 틈에 원활하게 끼워져 식판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하지만, 스트레이트 에지 식판은 적층 시 가장자리가 밀착되면서 틈이 생기지 않아 분리 가이드들의 날개가 두 장의 식판 사이에 끼이지 못하여 식판들을 분리시키지 못하는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스트레이트 에지 식판은 작업자가 식판을 한 장씩 수동으로 컨베이어에 공급하고 있어 효율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 사이의 틈을 충분히 확보하여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식판 세척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식판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판 세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는, 프레임과;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는 중첩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 중 맨 아래 식판을 하나씩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중첩 부분의 양쪽에서 정지 시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맨 아래 식판을 분리하는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과;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에 의해 분리되는 식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에 잔류하는 음식찌꺼기를 세척수의 분사와 솔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장치와;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맨 아래 식판을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 유닛을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각각은,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날개를 가지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빠져나갈 수 있도록 날개의 시작점과 종점 사이에 틈이 벌어져 있고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와 그 위에 중첩되어 있는 두 번째 식판의 가장자리 사이의 틈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날개의 시작점으로부터 날개의 가장자리 일부가 제거되어 있는 분리 가이드를 구비한다. 한 쌍의 스토퍼 유닛 각각은,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각각의 회전축이나 분리 가이드의 날개에 장착되어 있는 캠과,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그리퍼 핑거와, 캠과 캠 운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그리퍼 핑거를 연결하고 있는 태핏을 갖는 슬라이드 그리퍼와, 슬라이드 그리퍼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식판의 이송 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이나 식판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는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분리되는 맨 아래 식판을 컨베이어의 가운데로 밀어 정렬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푸시 유닛과,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맨 아래 식판을 구속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스토퍼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는 복수의 식판을 검출한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복수의 식판이 설정값 이하의 개수로 판단되면 구동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는,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식판들을 회전 분리 유닛들에 의해 하나씩 분리한 후, 컨베이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깨끗하고 정확하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식판들의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는 것에 의해 식판의 가장자리가 약간 변형된 경우에도 식판들 사이의 틈이 충분한 크기로 확보되어 회전 분리 유닛들의 날개가 틈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므로, 식판 및 날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판과 날개의 간섭으로 구동 유닛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 의해 세척되는 식판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서 회전 분리 유닛, 스토퍼 유닛과 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서 회전 분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서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와 제1 내지 제3 브러시 롤러의 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서 제1 내지 제3 브러시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에서 푸시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에서 회전 분리 유닛, 스토퍼 유닛, 컨베이어와 위치 정렬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에서 회전 분리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와 식판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20)을 하나씩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면서 세척한다.
도 2, 도 3와 도 5을 참조하면, 식판(20)들은 제1 방향(X1)과, 제1 방향(X1)에 직교하는 제2 방향(Y2)을 갖는다. 식판(20)들은 제1 방향(X1) 또는 가로 방향의 크기가 제2 방향(Y2) 또는 세로 방향의 크기보다 큰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식판(20)들은 사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판(20)들은 음식물이 담기는 복수의 칸(Compartment: 22) 또는 윗면, 밑면(24)과 가장자리(26)을 갖는다. 칸(22)들은 밥, 국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넓은 칸(22a, 22b)들과 반찬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좁은 칸(22c)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도 3와 도 5에 넓은 칸(22a, 22b) 각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넓은 칸(22a, 22b) 각각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형과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도 3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식판(20)들은 칸(22)들이 아래를 향하고, 밑면(24)이 위를 향하도록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중첩되는 중첩 부분(28)을 갖는다. 중첩 부분(28)은 넓은 칸(22a, 22b)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넓은 칸(22a, 22b)의 중첩에 의해 가장자리(26)는 좁은 칸(22c)들의 외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두 개의 식판(20-1, 20-2)의 가장자리(26) 사이에 형성되는 틈(30)은 식판(20)들이 정합되도록 적층할 때 형성되는 틈보다 넓게 형성된다.
도 1,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외관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 40)과, 프레임(40) 또는 캐비닛(Cabinet)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20)을 하나씩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 공급 장치로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50, 52)을 구비한다. 식판(20)들은 중첩 부분(28)의 양쪽이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나란하도록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을 배치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은 중첩 부분(28)의 한쪽과 이웃하여 한쪽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프레임(4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52)은 회전 분리 유닛(5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다른 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프레임(40)의 다른 쪽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은 중첩 부분(28)에서 정지 시 식판(20)들 중 맨 아래 식판(20-1) 또는 첫 번째 식판의 양쪽 가장자리(26)를 지지함과 아울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맨 아래 식판(20-1)을 분리한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각각은 회전축(60)과 분리 가이드(70)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60)은 프레임(4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분리 가이드(70)는 보스(Boss: 72)와, 보스(72)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날개(74)로 구성되어 있다. 보스(72) 또는 허브(Hub)는 볼트(76)의 체결에 의해 분리할 수 있도록 회전축(60)의 위쪽에 결합되어 있으며, 프레임(40)의 위쪽에 노출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의 날개(74)는 왼나사 형태로 감겨져 있다. 회전 분리 유닛(52)의 날개(74)는 오른나사 형태로 감겨져 있다.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는 정지되어 있는 날개(74)의 윗면에 지지된다. 날개(74)는 회전축(60)의 중심축선을 따라 서로 정렬되어 있는 시작점(74a)과 종점(74b)을 갖는다.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가 끼워져 빠져나갈 수 있도록 틈(74c)이 시작점(74a)과 종점(74b) 사이에 벌어져 있다. 날개(74)는 시작점(74a)으로부터 날개(74)의 가장자리 일부가 제거되어 있는 절취부(74d)를 갖는다. 절취부(74d)는 날개(74)의 폭, 즉 바깥지름을 감소시켜 날개(74)가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와 그 위에 중첩되어 있는 두 번째 식판(20-2)의 가장자리(2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30)에 원활하게 끼워지게 한다.
도 1,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유닛(Drive unit: 80)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전기모터(82), 전동 기구(Transmission mechanism: 84), 중간축(86)과 기어열(88)로 구성되어 있다. 전기모터(82)는 프레임(4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전기모터(82)의 구동력은 체인, 벨트, 기어 등의 전동 기구(84)에 의해 중간축(86)에 전달된다. 중간축(86)의 회전력은 기어열(88)에 의해 회전축(60)에 전달된다. 기어열(88)은 베벨기어(Bevel gear)로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50, 52)과 연동하여 맨 아래 식판(20-1)을 구속할 수 있는 한 쌍의 스토퍼 유닛(Stopper unit: 90)을 구비한다. 스토퍼 유닛(90)들 각각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각각에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를 지지하여 구속 있다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회전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이 분리되기 직전에 맨 아래 식판(20-1)의 구속을 해제하여 맨 아래 식판(20-1)의 분리를 허용한다. 스토퍼 유닛(90)들은 캠(Cam: 92), 슬라이드 그리퍼(Slide griper: 94),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 96)와 한 쌍의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98)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92)은 회전축(60)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다. 캠(92)은 회전축(60)의 외면에 장착되는 레이디얼 캠(Radial c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그리퍼(94)는 캠(92)의 캠 운동(Cam motion)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그리퍼(94)는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양쪽에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그리퍼 핑거(Gripper finger: 94a)와, 캠(92)과 캠 운동할 수 있도록 그리퍼 핑거(94a)들의 후단을 연결하고 있는 태핏(Tappet: 94b)을 갖는다. 스토퍼(94c)가 그리퍼 핑거(94a)들 각각의 선단과 이웃하는 윗면에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94c)는 식판(20)의 측단을 지지하여 식판(20)들을 정렬시킨다.
리니어 가이드(96)는 슬라이드 그리퍼(94)의 전·후진을 직선 운동으로 안내한다. 리니어 가이드(96)는 그리퍼 핑거(94a)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슬롯(Guide slot: 96a)과, 가이드 슬롯(96a)에 끼워지도록 프레임(40)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핀(Guide ping: 96b)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니어 가이드(96)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과 슬라이더(Slider)를 갖는 모노레일 타입(Monorail type), 가이드 바(Guide bar)와 가이드 부시(Guide bush)를 갖는 바 타입(Bar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98)들은 슬라이드 그리퍼(94)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프레임(40)과 슬라이드 그리퍼(94)의 양쪽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터 스프링(98)들은 한쪽 끝이 프레임(40)에 걸려 있고, 다른 쪽 끝이 슬라이드 그리퍼(94)에 걸려 있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는 식판(20)을 이송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100)를 구비한다. 컨베이어(100)는 식판(20)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두 줄 이상의 도그 체인(Dog chain: 102)을 갖는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로 구성되어 있다. 도그 체인(102)들 각각은 식판(20)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도그(Dog: 104) 또는 푸셔 도그(Pusher dog)를 갖는다. 도그 체인은 어태치먼트 체인(Attachment chain)이라 부르고도 있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식판(20)을 세척수의 분사와 솔질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장치(110)를 구비한다. 세척 장치(110)는 컨베이어(100)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식판(20)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112)를 구비한다. 분사 장치(112)는 탱크(Tank: 114), 펌프(116), 필터(118),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로 구성되어 있다.
탱크(114)는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세척수는 물이나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펌프(116)는 탱크(114) 안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탱크(114)의 바깥쪽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118)는 탱크(114)로부터 펌프(116)로 펌핑(Pumping)되는 세척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탱크(114) 안에 진입되어 있는 펌프(116)의 유입관(116a)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 각각은 복수의 노즐 구멍(126a)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플레이트(Nozzle plate: 126)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 각각은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Pipeline: 128)에 의해 펌프(116)의 유출관(116b)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분사 기구(120)는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분사 기구(122)는 제1 분사 기구(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분사 기구(124)는 제2 분사 기구(12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 각각은 복수의 노즐, 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분사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 기구의 개수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세척 장치(110)는 식판(20)의 솔질을 위한 제1 및 제2 브러시 롤러(130, 132)와 한 쌍의 제3 브러시 롤러(134)를 구비한다. 제1 브러시 롤러(130)는 제1 분사 기구(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20)의 칸(22)들을 솔질할 수 있도록 식판(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브러시 롤러(130)의 중심축선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에 대해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브러시 롤러(132)는 제1 브러시 롤러(130)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뒤집혀있는 식판(20)의 밑면(24)을 솔질할 수 있도록 식판(2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브러시 롤러(132)의 중심축선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에 대해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브러시 롤러(134)는 식판(20)의 이송 방향(X)에 대해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간격을 두고 제2 브러시 롤러(132)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브러시 롤러(134)들의 중심축선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브러시 롤러(134)들 각각은 칸(22)들에 잔류하는 음식찌꺼기를 식판(2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솔질하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 브러시 롤러(130, 132)와 제3 브러시 롤러(134)들은 구동 유닛(80)으로 전기모터(82)와, 전기모터(8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벨트, 기어 등의 전동 기구(126)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브러시 롤러(130, 132)와 제3 브러시 롤러(134)들 각각은 전기모터를 갖는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브러시 롤러들의 개수 및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10)는 구동 유닛(80)의 전기모터(82)와 세척 장치(110)의 펌프(116)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로 센서(Sensor: 140)와 컨트롤러(Controller: 150)를 더 구비한다. 센서(140)는 식판(20)들의 가장자리(26)를 검출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센서(140)는 근접센서, 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식판(20)들의 개수가 설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구동 유닛(80)의 전기모터(82)와 세척 장치(110)의 펌프(116) 등과 같은 식판 세척기(10)의 구동원을 정지시킨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3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식판(20)은 넓은 칸(22a, 22b)이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된 상태로 거꾸로 엎어져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놓여진다. 넓은 칸(22a, 22b)이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되는 것에 의해 식판(20)들의 가장자리(26)가 약간 변형된 경우에도 중첩 부분(28)에서 가장자리(26) 사이의 틈(30)은 날개(74)의 진입에 충분한 크기로 확보된다. 중첩 부분(28)에 배치되어 있는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는 날개(74)와 전진되어 있는 그리퍼 핑거(94a)들의 선단 윗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게 된다.
전기모터(82)의 구동력은 전동 기구(84)에 의해 중간축(86)에 전달되고, 중간축(86)의 회전력은 기어열(88)에 의해 회전축(60)에 전달된다. 회전축(60)과 함께 회전되는 캠(92)이 슬라이드 그리퍼(94)의 태핏(94b)을 밀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그리퍼(94)가 완전히 후퇴되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로부터 그리퍼 핑거(94a)들이 벗어나 맨 아래 식판(20-1)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회전축(60)과 함께 날개(74)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는 날개(74)를 타고 내려가다가 틈(74c) 사이로 빠지게 된다. 가장자리(26)가 틈(74c)을 지나면, 맨 아래 식판(20-1)은 두 번째 식판(20-2)으로부터 분리되어 도그 체인(102)들 위에 놓이게 된다.
한편, 맨 아래 식판(20-1)의 분리되기 전에 회전되는 날개(74)의 시작점(74a)은 맨 아래 식판(20-1)과 두 번째 식판(20-2) 사이의 틈(30)으로 진입된다. 절취부(74d)에 의해 폭이 좁아져 있는 날개(74)의 시작점(74a) 부분은 틈(30)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고, 두 번째 식판(20-2)의 가장자리(26)는 날개(74)의 윗면에 지지된다. 맨 아래 식판(20-1)의 분리 후, 회전되는 캠(92)이 태핏(94b)으로부터 벗어난다. 캠(92)이 태핏(94b)으로부터 떨어지면, 슬라이드 그리퍼(94)는 리턴 스프링(90)들의 탄성력에 의해 리니어 가이드(96)를 따라 전진되고, 두 번째 식판(20-2)의 가장자리(26)는 그리퍼 핑거(94a)의 윗면에 지지된다. 스토퍼(94c)는 식판(20)들의 측단을 지지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도그 체인(102)들의 도그(104)는 맨 아래 식판(20-1)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이송시킨다. 식판(20)이 거꾸로 엎어져 도그 체인(102)들에 의해 이송되면, 탱크(114)의 세척수가 펌프(116)의 펌핑에 의해 제1 내지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에 공급된다. 제1 및 제3 분사 기구(120, 124)는 세척수를 칸(22)들에 분사하여 칸(22)들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제2 분사 기구(122)는 세척수를 밑면(24)에 분사하여 밑면(24)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제1 내 제3 분사 기구(120, 122, 124)의 세척수 분사와 함께 제1 및 제2 브러시 롤러(130, 132)와 제3 브러시 롤러(134)들이 회전된다. 제1 브러시 롤러(1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칸(22)들을 솔질하여 칸(22)들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제2 브러시 롤러(1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밑면(24)을 솔질하여 밑면(24)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제3 브러시 롤러(134)들 각각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칸(22)들에 묻어있는 음식찌꺼기를 식판(20)의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솔질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은 제1 내 제3 분사 기구(124)의 세척수 분사와 더불어 제1 및 제2 브러시 롤러(130, 132)와 제3 브러시 롤러(134)들의 솔질하는 것에 의해 식판(20)으로부터 음식찌꺼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스토퍼 유닛(90)들과 컨베이어(100)의 작동에 의해 적층되어 있던 식판(20)들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되면서 식판(20)들이 줄어들게 된다.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이 2~4개 남는 경우, 중첩 부분(28)의 넓은 칸(22a, 22b)들이 서로에 대해 빠지면서 맨 위 식판의 가장자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식판들이 흐트러져 식판의 분리를 방해할 수 있다. 센서(140)는 식판(20)들의 가장자리를 검출한 신호를 컨트롤러(150)에 입력한다. 컨트롤러(150)는 센서(14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남아 있는 식판(20)들의 개수가 설정값 이하, 예를 들면 2~4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기모터(82), 펌프(116) 등을 정지시킨다. 작업자는 남은 2~3개 식판을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서 빼내고, 10여개 이상 쌓은 식판(20)들을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공급한 후, 식판 세척기(10)를 재가동시킬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A)와 앞에서 설명한 식판 세척기(10)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A)가 식판 세척기(10)와 다른 점은 식판(20)의 일부 중첩, 적층 및 배치 형태에 따라 회전 분리 유닛(50, 52)들과 스토퍼 유닛(90)들의 배치가 변경되는 것에 있다.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A)에 있어서 식판(20)들은 좁은 칸(22c)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좁은 칸(22c)들의 중첩은 넓은 칸(22a, 22b)이 사각형과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유용하다. 사각형과 원형의 넓은 칸들은 그 형상에 의해 서로 어긋나도록 중첩 시 잘 맞지 않을 수 있다. 중첩 부분(28)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을 따라 도그 체인(102)들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과 스토퍼 유닛(90)들 각각은 식판(20)의 이송 방향 선단 및 후단에서 중첩 부분(28)과 이웃하도록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 있어서, 좁은 칸(22c)들이 중첩되어 있는 식판(20)들의 경우도 앞에서 설명한 식판 세척기(10)에 의해 하나씩 분리하여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A)는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로부터 분리되는 맨 아래 식판(20-1)을 회전 분리 유닛(50, 52)들과 연동하여 컨베이어(100)의 가운데로 밀어서 정렬시키는 한 쌍의 푸시 유닛(Push unit: 152, 162)을 더 구비한다. 푸시 유닛(152, 162)들 각각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을 배치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푸시 유닛(152, 162)들 각각은 회전축(164)과 푸시 바(Push bar: 166)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164)은 프레임(40)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푸시 바(166)는 맨 아래 식판(22-1)의 측단을 밀어줄 수 있도록 회전축(164)에 결합되어 있다. 회전축(164)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과 푸시 유닛(152, 162)의 연동을 위해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각각의 회전축(60)에 연결되는 벨트, 체인, 기어 등의 전동 기구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회전축(60)과 푸시 유닛(152, 162)들의 회전축(164)은 전기모터(82)의 구동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푸시 바(166)는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작동에 의해 분리되는 맨 아래 식판(20-1)의 측단을 도그 체인(102)들의 가운데로 밀어 정렬시킨다. 푸시 유닛(152, 162)들은 필요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식판 세척기(10)에 적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 있어서, 푸시 유닛(152, 162)들은 전기모터를 갖는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푸시 유닛(152, 162)들은 전·후진에 의해 식판(20)의 측단을 밀어주는 푸셔(Pusher)를 갖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Solenoid actuat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4에 본 발명에 따른 식판 세척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B)와 앞에서 설명한 식판 세척기(10)의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B)가 식판 세척기(10)와 다른 점은 한 쌍의 스토퍼 유닛(290)의 구성에 있다.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B)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50, 52)과 한 쌍의 스토퍼 유닛(290)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간격을 두고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다.
스토퍼 유닛(290)들은 캠(292), 슬라이드 그리퍼(294), 한 쌍의 리니어 가이드(296)와 한 쌍의 리턴 스프링(298)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292)은 회전축(6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날개(74)의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캠(292)은 날개(74)의 틈(74c)으로부터 대략 120도(Degree)의 각도(θ)를 이루는 날개(74)의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다. 캠(292)은 날개(74)의 아랫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Arm: 292a)과, 아암(292a)의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자(Contactor: 292b)로 구성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자(292b)는 아암(292a)의 말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롤러(Roller)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그리퍼(294)는 캠(292)의 캠 운동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어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그리퍼(194)는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양쪽에 서로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그리퍼 핑거(294a)와, 캠(292)과 캠 운동할 수 있도록 그리퍼 핑거(294a)들의 후단을 연결하고 있는 태핏(294b)을 갖는다. 그리퍼 핑거(294a)들의 전진 시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는 그리퍼 핑거(294a)들의 윗면에 지지되어 구속된다. 캠(292)은 태핏(294b)과의 캠 운동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이 분리되기 전에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맨 아래 식판(20-1)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된다.
한 쌍의 스토퍼(294c)가 슬라이더 그리퍼(294)의 초기 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그리퍼 핑거(284a)들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푸시 바(294d, 294e)가 그리퍼 핑거(294a)들 각각의 선단과 이웃하는 윗면에 결합되어 있다. 푸시 바(294d, 294e)들은 식판(20)의 양쪽 측단을 밀어 식판(20)들을 컨베이어(100)의 가운데로 정렬시킨다. 식판(20)의 이송 방향 선단과 이웃하는 푸시 바(294e)의 길이는 식판(20)의 이송 방향 후단과 이웃하는 푸시 바(294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식판(20)이 컨베이어(100)의 작동에 의해 세척 장치 쪽으로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리니어 가이드(296)들은 슬라이드 그리퍼(294)의 전·후진을 직선 운동으로 안내한다. 리니어 가이드(296)들은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296a)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96a)은 그리퍼 핑거(294a)들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 296b)를 갖는다. 스토퍼(294c)들은 가이드 레일(296a)의 후단에 걸려 그리퍼 핑거(284a)들의 전진 위치를 구속한다. 리턴 스프링(298)들은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전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스토퍼(294c)들과 가이드 레일(296a)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핀(Pin: 298a) 또는 브래킷(Bracket)들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리터 스프링(298)들은 한쪽 끝이 핀(298a)들 각각에 걸려 있고, 다른 쪽 끝이 스토퍼(294c)들에 걸려 있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핀(298a) 또는 브래킷은 프레임(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B)는 회전 분리 유닛(50, 52)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정렬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 정렬 기구(Positioning mechanism: 300)를 더 구비한다. 위치 정렬 기구(300)는 회전 분리 유닛(50, 32) 사이에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정렬시킬 수 있도록 식판(20)의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서포트 바(Support bar: 302)로 구성되어 있다. 서포트 바(302)들은 프레임(40)에 장착되어 있는 빔(Beam: 304)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다.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놓이는 식판(20)들의 이송 방향 후단은 서포트 바(302)들에 지지되어 구속 및 정렬되므로, 회전 분리 유닛(50, 52)들의 작동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이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렬 기구(300)는 식판(20)들의 이송 방향 후단을 지지하여 구속 및 정렬시킬 수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렬 기구(300)는 리니어 스테이지(Linear stage), X-Y 스테이지(X-Y stage) 등에 의해 식판(20)의 이송 방향(X) 또는 이송 방향(X)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Y)을 따라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또 다른 실시예의 식판 세척기(10B)에 있어서,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20)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놓여진다.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는 날개(74)와 전진되어 있는 그리퍼 핑거(294a)들의 선단 윗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게 된다. 적층되어 있는 식판(20)들의 양쪽 측단은 푸시 바(294d, 294e)들에 의해 밀어져 컨베이어(100)의 가운데로 정렬된다. 식판(20)들의 이송 방향 후단은 서포트 바(302)들에 의해 지지되어 구속 및 정렬된다. 따라서 식판(20)들은 회전 분리 유닛(50, 52)들 사이에 정확하게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다.
회전축(60)의 회전에 의해 분리 가이드(70)와 캠(292)이 함께 회전되면, 날개(74)의 틈(74c)으로부터 120도의 각도(θ)를 이루는 캠(292)의 접촉자(292b)는 슬라이드 그리퍼(294)의 태핏(294b)을 밀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태핏(294b)과 연결되어 있는 그리퍼 핑거(294a)들은 가이드 레일(296a)의 가이드 그루브(296b)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후퇴된다.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완전히 후퇴되면, 맨 아래 식판(20-1)의 가장자리(26)로부터 그리퍼 핑거(294a)들이 벗어나 맨 아래 식판(20-1)의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회전축(60)과 함께 날개(74)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맨 아래 식판(20-1)이 두 번째 식판(20-2)으로부터 분리되면, 접촉자(292b)가 태핏(294b)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리턴 스프링(298)들의 탄성력에 의해 식판(20)들에 접근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전진되면서 스토퍼(294c)들은 가이드 레일(296a)의 후단에 걸려 슬라이드 그리퍼(294)를 정지시키게 된다. 슬라이드 그리퍼(294)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두 번째 식판(20-2)의 가장자리(26)는 그리퍼 핑거(294a)들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구속되고, 분리되어 있는 맨 아래 식판(20-1)은 컨베이어(100)에 의해 세척 장치 쪽으로 이송되어 깨끗하게 세척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10A, 10B: 식판 세척기 20: 식판
28: 중첩 부분 40: 프레임
50, 52: 회전 분리 유닛 60: 회전축
70: 분리 가이드 74: 날개
80: 구동 유닛 82: 전기모터
90, 290: 스토퍼 유닛 92, 292: 캠
94, 294: 슬라이드 그리퍼 96, 296: 리니어 가이드
98, 298: 리턴 스프링 100: 컨베이어
110: 세척 장치 112: 분사 장치
120: 제1 분사 기구 122: 제2 분사 기구
124: 제3 분사 기구 130: 제1 브러시 롤러
132: 제2 브러시 롤러 134: 제3 브러시 롤러
140: 센서 150: 컨트롤러
152, 162: 푸시 유닛 166: 푸시 바
300: 위치 정렬 기구 302: 서포트 바

Claims (13)

  1. 프레임과;
    한 부분이 서로 엇갈려 중첩되는 중첩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식판 중 맨 아래 식판을 하나씩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첩 부분의 양쪽에서 정지 시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함과 아울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맨 아래 식판을 분리하는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에 의해 분리되는 식판을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식판에 잔류하는 음식찌꺼기를 세척수의 분사와 솔질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세척 장치와;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맨 아래 식판을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는 날개를 가지며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날개의 시작점과 종점 사이에 틈이 벌어져 있고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와 그 위에 중첩되어 있는 두 번째 식판의 가장자리 사이의 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날개는 상기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날개의 가장자리 일부가 제거되어 있는 분리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스토퍼 유닛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캠과,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그리퍼 핑거와, 상기 캠과 캠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리퍼 핑거를 연결하고 있는 태핏을 갖는 슬라이드 그리퍼와, 상기 슬라이드 그리퍼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식판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식판의 이송 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식판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분리되는 상기 맨 아래 식판을 상기 컨베이어의 가운데로 밀어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푸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판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푸시 유닛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축과;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가장자리를 밀어줄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푸시 유닛 각각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푸시 바로 이루어지는 식판 세척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한 쌍의 회전 분리 유닛 각각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분리 가이드의 날개에 장착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태핏과의 캠 운동에 의해 상기 맨 아래 식판이 분리되기 전에 상기 슬라이드 그리퍼가 상기 맨 아래 식판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의 틈으로부터 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상기 날개의 아랫면에 장착되어 있는 식판 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그리퍼 핑거를 전·후진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리니어 가이드와, 상기 리니어 가이드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 그리퍼의 초기 위치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리퍼 핑거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스토퍼와, 적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식판의 양쪽 측단을 밀어 상기 컨베이어의 가운데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그리퍼 핑거의 선단과 이웃하는 윗면에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푸시 바를 더 포함하는 식판 세척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판을 검출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식판이 설정값 이하의 개수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식판 세척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상기 복수의 식판의 이송 방향을 후단을 지지하여 정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위치 정렬 기구를 더 포함하는 식판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렬 기구는 상기 식판의 이송 방향과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서포트 바로 이루어지는 식판 세척기.
KR1020180003126A 2017-11-30 2018-01-10 식판 세척기 KR101958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3743 2017-11-30
KR1020170163743 2017-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137B1 true KR101958137B1 (ko) 2019-03-14

Family

ID=6575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126A KR101958137B1 (ko) 2017-11-30 2018-01-10 식판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CN111689242A (zh) * 2020-06-21 2020-09-22 广西南宁富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功能的碗碟盘分离装置
CN112604755A (zh) * 2020-11-20 2021-04-06 淮北市宝泽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育种垃圾处理设备
CN112978365A (zh) * 2021-05-13 2021-06-18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物流运输的货物自动抓取提升装置
KR102289757B1 (ko) * 2020-04-20 2021-08-18 주식회사 문일티앤에스 석쇠 세척장치
KR102632678B1 (ko) * 2023-05-02 2024-02-02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949A (ja) * 2000-07-04 2002-01-23 Ishino Seisakusho:Kk 洗浄装置における食器皿の供給装置
KR101129371B1 (ko) * 2011-08-22 2012-03-26 정규설 식판세척기
JP2014080266A (ja) * 2012-10-16 2014-05-08 Fabrica Toyama Corp 物品切り離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949A (ja) * 2000-07-04 2002-01-23 Ishino Seisakusho:Kk 洗浄装置における食器皿の供給装置
KR101129371B1 (ko) * 2011-08-22 2012-03-26 정규설 식판세척기
JP2014080266A (ja) * 2012-10-16 2014-05-08 Fabrica Toyama Corp 物品切り離し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77B1 (ko) * 2019-10-23 2020-05-26 주식회사아풍오닉스 식판 자동 분리장치
KR102289757B1 (ko) * 2020-04-20 2021-08-18 주식회사 문일티앤에스 석쇠 세척장치
CN111689242A (zh) * 2020-06-21 2020-09-22 广西南宁富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功能的碗碟盘分离装置
CN111689242B (zh) * 2020-06-21 2024-05-14 广西南宁富翔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监测功能的碗碟盘分离装置
CN112604755A (zh) * 2020-11-20 2021-04-06 淮北市宝泽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育种垃圾处理设备
CN112604755B (zh) * 2020-11-20 2022-04-19 淮北市宝泽农牧科技有限公司 一种家禽育种垃圾处理设备
CN112978365A (zh) * 2021-05-13 2021-06-18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物流运输的货物自动抓取提升装置
KR102632678B1 (ko) * 2023-05-02 2024-02-02 주식회사프라임 식판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137B1 (ko) 식판 세척기
AU2011338832B2 (en) Loading apparatus for a conveyor dishwasher
US20080217216A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oducts
KR101129371B1 (ko) 식판세척기
EP1897807A2 (en) Continuous loading system
KR20080063391A (ko) 긴 음식물 제품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94566A (ko) 식품 운송을 위한 터닝 장치 및 방법
CZ2006566A3 (cs) Presunovací stanice u stroju na zpracování nádob a zpusob privádení takových nádob
RU2454363C1 (ru) Устройство-накопитель изделий
US4577651A (en) Device for cleaning containers
US6106219A (en) Stack forming and conveying apparatus
WO2018020664A1 (ja) 製品搬送装置
KR20180121868A (ko) 달걀의 스트림을 수령 및 운반하기 위한 장치
KR101940772B1 (ko) 식판 자동 투입장치
US20170320606A1 (en) Apparatus for Delivering Product Carriers and Apparatus for Pivoting a Cover Section of a Product Carrier
JP2014508025A (ja) 完全な洗浄設備
JP2011105396A (ja) 物品搬送装置
KR101265415B1 (ko) 자동식판세척장치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FI110416B (fi) Laite painotuotteiden liimanidontaa varten
RU2437808C2 (ru) Аппарат для упаковк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148180B1 (ko) 김 이절장치
EP1462396B1 (de) Zwischenspeicher
JP2004261439A (ja) 皿洗浄装置
JP2019094160A (ja) 食器整理装置および食器の整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