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558B1 -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558B1
KR101957558B1 KR1020170024774A KR20170024774A KR101957558B1 KR 101957558 B1 KR101957558 B1 KR 101957558B1 KR 1020170024774 A KR1020170024774 A KR 1020170024774A KR 20170024774 A KR20170024774 A KR 20170024774A KR 101957558 B1 KR101957558 B1 KR 10195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frame
linear plating
linea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943A (ko
Inventor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Original Assignee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용, 김재호, 김병근 filed Critical 김재용
Priority to KR102017002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5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 후 세워진 상태로 건조된 금속재 선형 도금체(1)를 복수개씩 묶음 포장하는 장치로서, 상단 일측에 수평회동축(22)이 전후로 형성된 메인프레임(20);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되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을 중심으로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눕혀지게 회동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부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31)과, 상기 회동프레임(31)의 하단에 구비되어 직립된 상태로 배치된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거치되는 선형 도금체(1)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34)와, 상기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전후로 이격 형성되어 선형 도금체(1)들이 각각 복수개씩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을 포함하는 직립거치부(30); 상기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40); 및 상기 회동프레임(30)을 전후로 가로지르되 안착홈(3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좌우로 형성된 링크축(51)에 의해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에 결합되어, 링크축(32)을 중심으로 안착홈(3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되면서 각 안착홈(32)에 안착되어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1)들을 안착홈(32)에서 회동 인출시키는 인출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이다.

Description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for a linear plating articles}
본 발명은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워서 건조된 선형 도금체를 일정수량씩 포장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는 부식이나 나사산의 손상 등을 방지하도록 아연과 같은 도금물질을 이용하여 표면에 도금을 하고 일정시간 건조시키게 된다. 즉, 나사가공된 복수개의 전산볼트를 도금조에서 도금하고(도금공정), 도금이 완료되면 세정조에서 세척하며(세정공정), 세척이 끝나면 건조시키고(건조공정), 건조된 전산볼트는 일정수량씩 끈으로 묶어서 포장한다(포장공정). 이때, 세척이 끝난 전산볼트들은 작업자가 대량으로 들고 세정조의 주변 벽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건조시키며, 건조가 끝나면 대략 20개씩 끈으로 묶어서 포장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벽면에 대량으로 세워진 전산볼트를 수작업을 통해 20개씩 나누고 끈으로 묶어서 포장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길이가 대략 3미터나 되는 전산볼트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20개씩 최소한 상단 및 하단을 끈으로 묶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대량의 전산볼트를 눕혀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힘이 많이 들고 작업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눕혀져서 묶음 포장된 복수개의 전산볼트를 작업자가 들고 적재장소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전산볼트만이 아니라 길이가 긴 선형 도금체 전체에서 발생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48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수량씩 나눠진 선형 도금체를 자동으로 눕혀서 포장할 수 있고 포장된 선형 도금체들을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어 종래 수작업에 비해 작업자는 힘이 덜 들어 피로감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예방되고 작업이 편리하며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금 후 세워진 상태로 건조된 선형 도금체(1)를 복수개씩 묶음 포장하는 장치로서, 상단 일측에 수평회동축(22)이 전후로 형성된 메인프레임(20);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되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을 중심으로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눕혀지게 회동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부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31)과, 상기 회동프레임(31)의 하단에 구비되어 직립된 상태로 배치된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거치되는 선형 도금체(1)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34)와, 상기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전후로 이격 형성되어 선형 도금체(1)들이 각각 복수개씩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을 포함하는 직립거치부(30); 상기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40); 및 상기 회동프레임(30)을 전후로 가로지르되 안착홈(3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좌우로 형성된 링크축(51)에 의해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에 결합되어, 링크축(32)을 중심으로 안착홈(3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되면서 각 안착홈(32)에 안착되어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1)들을 안착홈(32)에서 회동 인출시키는 인출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립거치부(30)에는 안착홈(32)의 바닥에서 입구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각 안착홈(32)의 폭(a)보다 폭(b)이 큰 복수개의 가이드홈(61)이 각 안착홈(32)과 정렬되어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각 안착홈(32)으로 안내하는 승강가이더(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의 입구 둘레부에 안착홈(32)쪽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또는 승강가이더(60)의 가이드홈(61)의 바닥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출링크부재(50)의 후방에는 상기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서 인출된 선형 도금체(1)들이 투입되는 적재대(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좌우로 연장되며 상면에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이 눕혀지는 다이부(21)와, 이 다이부(2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적재대(70)가 장착되는 적재대설치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대설치부(23)에는 가이드레일(26)이 전후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대(70)가 적재대설치부(23)에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20) 또는 직립거치부(30)에 설치되되 상기 인출링크부재(50)의 후단부 하측에 좌우로 연장된 회전축부재(81)와, 이 회전축부재(81)의 둘레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인출링크부재(50)에 의해 안착홈(32)에서 인출된 선형 도금체(1)들이 걸려지는 회전스토퍼(82)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재가이더(8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부재(81)의 회전에 의해 회전스토퍼(82)가 후방 하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선형 도금체(1)들이 상기 적재대(70)로 일시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세워진 상태로 건조된 다수의 선형 도금체(1)들을 세워진 상태 그대로 메인프레임(20)에서 직립된 직립거치부(30)에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세워진 다수의 선형 도금체(1)를 들어서 눕힐 필요가 없어 작업자는 힘이 덜 들고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직립거치부(30)가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눕혀지도록 자동으로 회동되므로, 다수의 선형 도금체(1)를 눕혀진 상태에서 묶음 포장할 수 있어 길이가 긴 선형 도금체(1)의 포장작업이 힘이 덜 들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때, 세워진 선형 도금체(1)들을 자동으로 눕히는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의 상면에 각각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들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일정수량씩 용이하게 묶음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32)의 폭(a)보다 폭(b)이 큰 가이드홈(61)이 안착홈(32)의 바닥에서 입구로 승강되는 승강가이더(60)가 구비되어,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들을 비좁은 안착홈(32)에 정렬되게 삽입하는 것에 비해 각 가이드홈(6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자동으로 안착홈(32)에 정렬되게 삽입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그리고 각 안착홈(32)에서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인출링크부재(50)에 의해 자동 인출되어 적재대(70)로 자동 투입되므로 포장 후 적재시키는 수작업이 요구되지 않아서 작업이 더욱 편리하고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때, 적재대(70)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어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적재대(70)의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경사진 인출링크부재(50)를 따라 제각각의 경로로 이동되지만, 적재가이더(80)에 의해 일단 멈춘 후 동일한 이동경로를 따라 적재대(70)로 적재되므로, 제각각의 이동경로가 짧아지기 때문에 적재대(70)에 적재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의 단부가 측방으로 많이 삐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적재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호이스트 등으로 외부로 인출할 때 선형 도금체 묶음(2) 중 일부가 이탈되는 등의 염려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고 삐져나온 선형 도금체 묶음(2)을 위치정렬시킬 필요가 없어 시간이 지연되는 것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회동프레임의 작동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회동프레임의 눕혀지게 회동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승강가이더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인출링크부재 및 적재가이더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적재대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메인프레임의 전후진을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에서 전후진되는 메인프레임(20)과, 이 메인프레임(20)에 직립된 상태로 구비되되 눕혀지게 회동되며 일면에 선형 도금체(1)가 안착되는 안착홈(32)이 형성된 직립거치부(30)와, 이 직립거치부(30)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40)과, 상기 직립거치부(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안착홈(32)에서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 묶음(2)을 인출시키는 인출링크부재(50)와, 상기 직립거치부(30)에 구비되어 선형 도금체 묶음(2)을 회동프레임(30)의 안착홈(32)으로 안내하는 승강가이더(60)와, 인출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적재되는 적재대(70)와,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적재대(70)에 정렬되게 투입시키는 적재가이더(80)와, 상기 메인프레임(20), 직립거치부(30), 인출링크부재(50), 승강가이더(60), 적재가이더(8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이 전후진되도록 해주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베이스(10)의 좌우측에는 레일(11)이 전후로 형성되며, 측면에는 랙기어(12)가 전후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좌우로 연장되며 상단 일측에 수평회동축(22)이 전후로 형성된 다이부(21)와, 이 다이부(2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적재대(70)가 설치되는 적재대설치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메인프레임(20)은 베이스(10)의 레일(11)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진 작동은 메인프레임(20)에 구비되어 베이스(10)의 랙기어(12)와 치합되는 피니언(25) 및 이 피니언(25)을 구동시키는 모터(24)에 의해 구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을 베이스(10)에서 위치 이동시키는 이유는 작업장소의 다양한 작업상황 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직립거치부(30)는 메인프레임(20)에 직립된 상태로 구비되되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눕혀지게 회동되는 것으로, 세워진 상태로 건조공정을 거친 선형 도금체(1)들을 세워진 상태로 거치시킨 후 눕혀서 편리하게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직립거치부(30)는 회동프레임(31), 받침대(34) 및 복수개의 안착홈(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프레임(31)은 도 1과 같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부가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2 및 도 3과 같이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눕혀지게 회동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회동프레임(31)은 수직면에 대해 약간 경사지게 세워져서 일면에 선형 도금체(1)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대(34)는 직립된 회동프레임(3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 도금체(1)의 하단을 받쳐준다.
한편, 복수개의 안착홈(32)은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형성되어 선형 도금체(1)들이 복수개씩 나뉘어서 안착되도록 전후로 이격 형성된다. 이때, 대략 20개의 선형 도금체(1)가 각 안착홈(32)에 안착되며, 도 3과 같이 회동프레임(31)이 눕혀지게 회동되면 작업자는 눕혀진 대략 20개의 선형 도금체(1)를 묶음 포장하게 된다. 안착홈(32)은 묶음 포장이 용이하도록 선형 도금체(1)들이 모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와 같이 반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안착홈(32)은 회동프레임(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지만, 도 1과 같이 회동프레임(31)의 전후 폭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대(33)가 회동프레임(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33)의 상면에 안착홈(32)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지지대(33)가 회동프레임(3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안착홈(32)의 입구 양측 둘레부에는 선형 도금체(1)들이 안착홈(32)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경사면(32a)이 안착홈(32)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메인프레임(20)에 설치되어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을 메인프레임(20)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회동시킨다. 구동수단(40)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2와 같이 수평설치된 제1실린더(41)와, 이 제1실린더(41)와 회동프레임(30)의 하측부를 연결하는 연결체인(42)과,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에 축결되며 상기 연결체인(42)을 안내하는 원호형가이더(43)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인출링크부재(50)는 직립거치부(30)에 설치되며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 안착되어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외부로 인출시킨다. 도 1 및 도 5와 같이 인출링크부재(50)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직립거치부(30)를 전후로 가로지르되 안착홈(32)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후단부가 좌우로 연장된 링크축(51)에 의해 직립거치부(30)의 지지대(33)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5와 같이 인출링크부재(50)가 링크축(51)을 중심으로 직립거치부(30)의 지지대(33)의 안착홈(3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되어 상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각 안착홈(32)에서 인출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인출링크부재(50)의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인출링크부재(50)는 제2실린더(52)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승강가이더(60)는 선형 도금체(1)가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 보다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해주는 것으로, 안착홈(32)의 바닥에서 입구 방향으로 승강가능하도록 직립거치부(30)에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가이더(60)의 선단에는 직립거치부(30)의 각 안착홈(32)과 정렬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홈(61)이 형성되는데, 도 4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디귿자 형상의 채널부재(63)가 승강가이더(60)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61)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각 가이드홈(61)의 폭(b)은 각 안착홈(32)의 폭(a)보다 크게 형성되며, 안착홈(32)의 둘레부에 경사면(32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가이드홈(61)의 바닥에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승강가이더(60)는 제3실린더(62)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적재대(70)는 메인프레임(20)의 적재대설치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적재시키는 것으로, 상면에 선형 도금체 묶음(2)이 투입되는 투입구(7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적재대(70)는 복수개의 U자형 프레임을 이격 설치한 것으로 예시하였고, 메인프레임(20)의 적재대설치부(23)의 가이드레일(26)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적재대(70)는 제4실린더(72)에 의해 전후진된다.
상기 적재가이더(80)는 메인프레임(20)의 다이부(21)의 후단 또는 눕혀진 회동프레임(30)의 후단에 좌우로 연장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부재(81)와, 이 회전축부재(81)의 둘레부에서 돌출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회전스토퍼(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이 회전스토퍼(82)는 인출링크부재(50)의 후방에 위치되되 상향 돌출되어 인출링크부재(50)에 의해 지지대(33)의 각 안착홈(32)에서 순차 인출되는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회전스토퍼(82)에 걸려지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회전축부재(81)의 회전에 의해 회전스토퍼(82)가 후방으로 하향되게 회전되면 회전스토퍼(82)에 걸려졌던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낙하된다. 회전축부재(81)는 제5실린더(8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어부(90)는 메인프레임(20)을 전후진시키는 모터(24), 직립거치부(30)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40)의 제1실린더(41), 인출링크부재(50)를 회동시키는 제2실린더(52), 승강가이더(60)를 승강시키는 제3실린더(62), 적재대(70)를 전후진시키는 제4실린더(72), 적재대가이더(80)의 회전축부재(81)를 회동시키는 제5실린더(83)의 작동을 제어하며, 도 1과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컨트롤할 있는 버튼, 핸들 등으로 구성되거나 마이컴 등으로 자동 컨트롤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는 도 3과 같이 직립거치부(30)가 메인프레임(20)에 눕혀진 상태로 대기되며, 세워진 상태로 건조된 선형 도금체(1)들을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 안착시키기 위해 도 1과 같이 직립거치부(30)를 메인프레임(20)에서 직립되도록 회동시킨다. 그리고 선형 도금체(1)들을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 대략 20개씩 나누어서 안착시킨다. 이때, 도 1 및 도 3에서는 안착홈(32)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안착홈(32)에서 선형 도금체(1)를 도시생략하였다. 한편, 도 4의 (a)와 같이 승강가이더(60)의 가이드홈(61)이 안착홈(32)의 입구 상측으로 상승되어, 선형 도금체(1)들을 상대적으로 폭(b)이 큰 복수개의 각 가이드홈(61)에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이 승강가이더(60)가 안착홈(32)의 바닥쪽으로 하강됨에 따라 선형 도금체(1)들이 안착홈(32) 둘레의 경사면(32a)을 따라 안착홈(32)으로 수납된다.
그런 후, 도 3과 같이 직립거치부(30)를 메인프레임(20)에 눕혀지게 회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각 안착홈(32)에 안착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들을 묶음 포장하므로, 눕혀진 선형 도금체(1)의 양 단부를 끈으로 용이하게 묶음 포장할 수 있다. 이때, 묶음포장도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묶음포장이 완료되면, 도 5의 (a)와 같이 인출링크부재(50)가 상향 회동되면서 각 안착홈(32)에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외부로 인출시키며, 인출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은 경사진 인출링크부재(50)를 따라 직립거치부(30)의 후방으로 미끄러진다. 이때, 도 5의 (a)와 같이 미끄러지는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은 적재가이더(80)의 회전스토퍼(82)에 걸려져서 양단부가 위치정렬되며, 도 5의 (b)와 같이 회전스토퍼(82)가 회전되면서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일시에 적재대(70)로 낙하된다.
여기서, 적재가이더(80)가 없는 경우 즉,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이 안착홈(32)에서 인출되면서 경사진 복수개의 인출링크부재(50)를 따라 적재대(70)로 곧바로 낙하될 경우, 복수개의 인출링크부재(50)가 정확히 동일한 경사로 배치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각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은 제각각의 서로 다른 이동경로를 따라 적재대(70)까지 곧바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각각의 이동경로가 길어져서 적재대(70)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각 단부가 서로 많이 어긋날 수 있다. 즉, 선형 도금체 묶음(2)이 적재대(70)에서 많이 삐져나올 수 있다. 하지만, 적재가이더(80)가 있는 경우 즉,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 묶음(2)이 적재가이더(80)의 회전스토퍼(82)에 걸려 일단 멈춘 후 적재대(70)로 동시에 낙하될 경우, 동시에 낙하될 때는 동일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제각각의 서로 다른 이동경로가 짧아서 적재가이더(80)가 없는 경우에 비해 적재대(70)에 적재된 상태에서는 각 단부가 상대적으로 덜 어긋나게 된다. 즉, 선형 도금체 묶음(2)이 적재대(70)에서 많이 삐져나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적재대(70)에 적재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의 단부가 거의 어긋나지 않고 위치정렬되므로, 도시안된 호이스트 등으로 적재대(70)에 적재된 선형 도금체 묶음(2)들을 견인할 때 선형 도금체 묶음(2)이 삐져나와서 이탈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삐져나온 선형 도금체 묶음(2)을 위치정렬시켜야 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편리하고 비가동시간이 줄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호이스트의 이동경로를 여러 번 변경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의 (a)와 같이 선형 도금체 묶음(2)은 적재대(70)의 일측에만 계속적으로 적재될 수 있으므로 적재대(70)의 타측에는 빈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때, 도 6의 (b)와 같이 적재대(70)를 제4실린더(72)에 의해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대(70)의 빈공간에 선형 도금체 묶음(2)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도금체 묶음(2)을 적재대(70)에 골고루 적재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선형 도금체 2 : 선형 도금체 묶음
10 : 베이스 20 : 메인프레임
22 : 회동축 30 : 직립거치부
32 : 안착홈 40 : 구동수단
50 : 인출링크부재 60 : 승강가이더
71 : 가이드홈 80 : 적재가이더

Claims (4)

  1. 도금 후 세워진 상태로 건조된 금속재 선형 도금체(1)를 복수개씩 묶음 포장하는 장치로서,
    상단 일측에 수평회동축(22)이 전후로 형성된 메인프레임(20);
    상기 선형 도금체(1)가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되되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을 중심으로 메인프레임(20)의 상면에 눕혀지게 회동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며 하측부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수평회동축(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프레임(31)과, 상기 회동프레임(31)의 하단에 구비되어 직립된 상태로 배치된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거치되는 선형 도금체(1)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대(34)와, 상기 회동프레임(31)의 일면에 전후로 이격 형성되어 선형 도금체(1)들이 각각 복수개씩 안착되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을 포함하는 직립거치부(30);
    상기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구동수단(40); 및
    상기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을 전후로 가로지르되 안착홈(3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좌우로 형성된 링크축(51)에 의해 상기 회동프레임(31)에 결합되어, 링크축(51)을 중심으로 안착홈(3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되면서 각 안착홈(32)에 안착되어 묶음 포장된 선형 도금체(1)들을 안착홈(32)에서 회동 인출시키는 인출링크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거치부(30)에는 안착홈(32)의 바닥에서 입구 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선단에는 각 안착홈(32)의 폭(a)보다 폭(b)이 큰 복수개의 가이드홈(61)이 각 안착홈(32)과 정렬되어 복수개의 선형 도금체(1)를 각 안착홈(32)으로 안내하는 승강가이더(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의 입구 둘레부에 안착홈(32)쪽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또는 승강가이더(60)의 가이드홈(61)의 바닥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링크부재(50)의 후방에는 상기 직립거치부(30)의 안착홈(32)에서 인출된 선형 도금체(1)들이 투입되는 적재대(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좌우로 연장되며 상면에 직립거치부(30)의 회동프레임(31)이 눕혀지는 다이부(21)와, 이 다이부(2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적재대(70)가 장착되는 적재대설치부(23)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대설치부(23)에는 가이드레일(26)이 전후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대(70)가 적재대설치부(23)에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 또는 직립거치부(30)에 설치되되 상기 인출링크부재(50)의 후단부 하측에 좌우로 연장된 회전축부재(81)와, 이 회전축부재(81)의 둘레부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인출링크부재(50)에 의해 안착홈(32)에서 인출된 선형 도금체(1)들이 걸려지는 회전스토퍼(82)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재가이더(8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부재(81)의 회전에 의해 회전스토퍼(82)가 후방 하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선형 도금체(1)들이 상기 적재대(70)로 일시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KR1020170024774A 2017-02-24 2017-02-24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KR101957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74A KR101957558B1 (ko) 2017-02-24 2017-02-24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774A KR101957558B1 (ko) 2017-02-24 2017-02-24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43A KR20180097943A (ko) 2018-09-03
KR101957558B1 true KR101957558B1 (ko) 2019-06-19

Family

ID=6360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774A KR101957558B1 (ko) 2017-02-24 2017-02-24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5151B (zh) * 2022-03-04 2023-01-06 无锡瑞进智能工程有限公司 一种棒材打捆用夹紧机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982A (en) * 1973-03-30 1976-05-18 Morgan Construction Company Bundle forming apparatus
KR101280600B1 (ko) * 2011-12-30 2013-07-02 박현우 선재 자동 결속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99A (ko) * 1972-04-20 1974-01-08
KR0174808B1 (ko) 1996-03-13 1999-02-18 옥치환 도금용 지그
JPH1081309A (ja) * 1996-09-06 1998-03-31 Muto Senkaki Seisakusho:Kk 花卉の結束装置および結束方法
KR100829805B1 (ko) * 2001-12-12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포장용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982A (en) * 1973-03-30 1976-05-18 Morgan Construction Company Bundle forming apparatus
KR101280600B1 (ko) * 2011-12-30 2013-07-02 박현우 선재 자동 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943A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EP2368818A1 (en) Magazine for a bar loader
KR101957558B1 (ko) 선형 도금체 포장장치
AU201120166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wrapping a film around a stack of objects
FI91378B (fi) Pakkausyksikköjen sidelankojen poistolaite
IT201800002676A1 (it) Macchina avvolgitrice
IT201800002669A1 (it) Macchina avvolgitrice
CN109794700A (zh) 铁网自动焊接机
CN111321539B (zh) 一种筒子纱上料提升装置
CN210635422U (zh) 一种高速理管机
KR100938741B1 (ko) 라셀 편직물 적재장치
KR101962036B1 (ko) 선형 도금체의 이송 및 거치장치
RU2812938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хранения прутков
EP4021657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store bars
KR101874009B1 (ko) 분배수단이 구비된 생선포장 작업장치
JPH04308104A (ja) 材料搬出入装置
KR101220780B1 (ko) 커버체 투입장치
CN218908610U (zh) 一种栏杆自动上料装置
KR101184062B1 (ko) 각대 자동 투입기
CN217836342U (zh) 一种装盒机下说明书夹钳装置
CN215098559U (zh) 自动打包流水线
CN213620483U (zh) 一种雪糕棒储料捆绑装置
CN217497829U (zh) 抓取控制装置及具有其自动抓纺机
JP2566320B2 (ja) 精紡ボビン搬送装置
CA2930841C (en) System for loading elongated members such as tubes onto a conveyor for later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