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426B1 -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426B1
KR101957426B1 KR1020170019603A KR20170019603A KR101957426B1 KR 101957426 B1 KR101957426 B1 KR 101957426B1 KR 1020170019603 A KR1020170019603 A KR 1020170019603A KR 20170019603 A KR20170019603 A KR 20170019603A KR 101957426 B1 KR101957426 B1 KR 10195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gold
myce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465A (ko
Inventor
윤미영
최화정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4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손상의 현상 중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피부 손상 억제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using Leatiporus sulphureus for inhibiting skin damage by ultraviole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skin aging)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행되는 자연적인 노화(내재적 노화, intrinsic aging)이고, 두 번째는 외부의 환경 및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인한 외인성 노화이다. 외인성 노화 현상으로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photoaging) 현상이라고 한다(Lee J.N., et al., 2006).
자연적인 노화는 나이가 증가하면서 피부의 구조와 기능이 퇴행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며, 잔주름이 생성되고, 탄력이 소실되는 임상적인 특징을 나타내고, 조직학적으로는 표피의 위축, 표피-진피 결합부위의 편평함 및 비정상적으로 엘라스틴(elastin)의 축적이 일어난다. 광노화는 자외선(ultraviolet)에 의하여 피부 주름이 조기에 형성되고 자연적인 노화에 비해 주름이 굵고, 깊으며 그 수가 많다. 또한, 임상적으로는 피부가 건조해지며, 색소가 침착되고, 말초혈관이 확장되는 특징을 나타내며, 조직학적으로는 세포의 비전형화, 아교질의 감소, 탄력섬유가 소실되는 특징을 나타낸다(이창현, et al., 2014; 남진주, et al., 2014).
피부 노화에 따라 일어나는 피부 두께의 변화는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자연노화의 경우, 콜라겐 등의 결합 조직 합성 저하로 인해 피부 두께가 얇아지나, 자외선 등에 의한 광노화 시에는 피부의 진피층 보호를 위해 각질층의 형성이 증가하여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자외선 등에 의한 광노화 현상으로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졌다는 것은 그만큼 광노화에 의한 피부 손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Gail J., 2002).
최근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취미 생활을 위한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동아시아 대륙이 원산지이고 한국, 중국, 시베리아 등에 주로 분포한다. 속썩은풀, 토금다금, 향수수초라고도 불리며 주 피를 벗긴 뿌리를 한약재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황금 뿌리를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하고 있다. 황금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배당체인 바이칼린(baicalin), 우고노사이드(wogonoside)가 있고, 비배당체인 바이칼레인(baicalein)과 우고닌(wogonin)은 미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배당체에 비해 비배당체 형태가 생리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상기 유효 성분들이 지니는 간세포 보호, 간경화 억제, 알코올로 인한 위 손상 억제 효과, 위산 억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균 억제, 관절 등의 통증 완화 효과 등과 같은 효능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은 담자균류의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며, 우리나라의 백두산, 월출산, 지리산, 발왕산 등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아시아의 전역에 걸쳐 분포한다. 봄부터 여름까지 침엽수의 생목, 고목, 그루터기 위에 중생하는 1년생 심재 갈색 부후성 버섯이다. 붉은덕다리버섯은 예로부터 기능 조절, 건강 증진, 항질병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내려 왔으나 정확한 약리 효과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붉은덕다리버섯 자실체에는 N-메틸레이티드 티라민 유도체, 다당류, 라노스테인 트리터페노이드류, 레티포릭산 및 다른 다양한 혼합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는 붉은덕다리버섯이 항암 효과와 인슐린 분비 조절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항암 효과로는 붉은덕다리버섯의 세포외 다당체가 암 전이 억제 및 면역력 증강을 나타내며, 이외에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세포외 다당체는 피부 세포 성장의 생성을 촉진하고 상처치유 효과 및 피부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붉은덕다리버섯은 글루코시다아제를 비롯한 기능성 효소를 다량 생성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황금 추출물의 화장료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자외선 조사를 통해 피부 광노화를 유도하였고, 이러한 피부 광노화의 현상 중 하나인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황금 추출물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발효물이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521239호는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와 같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375137호 및 제1545552호는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기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 두께의 변화 억제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521239호,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015. 05. 12.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375137호,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014. 03. 11.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545552호,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015. 08. 12. 등록.
남진주, et al., 능실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피부 광노화 억제 효능, J. Soc. Cosmet. Sci. Korea, 40(4), 321-330, 2014. 이창현, et al., 발효홍삼의 광노화 피부 억제 효과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8(2), 206-216, 2014. Gail J., Molecular mechanism of skin ageing, Mech. Ageing Dev., 123, 801-810, 2002. Lee J.M., et al., Anti-wrinkle effect of Morinda citrifolia (Noni)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 227-231,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정제수에 황금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용 배지에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용 배지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황금 추출물 0.1~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손상은 자외선에 의해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총 화장료 조성물에 0.001~30중량%가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이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이다.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에 황금 중량의 1~20배의 추출용매를 가해 상온에서 3~7일 동안 침지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에서 고형분을 제거하여 여액을 수거한 후, 상기 여액을 감압농축한 농축액 또는 동결건조, 분무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등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건조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황금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정제수에 황금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용 배지에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발효용 배지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황금 추출물을 0.1~20중량부를 혼합한 후, 멸균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금 추출물은 수용액 상태로 정제수와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상기 발효용 배지를 기준으로, 상기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또는 이를 전배양(preculture)한 배양액 0.001~10중량%가 함유되어 배양 발효된 발효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황금 추출물을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발효물로부터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의 황금 추출물은 농축물 상태로 이용하거나 건조물 상태로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 또는 건조 후, 다시 정제수에 현탁하여 수용액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황금 추출물 발효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상기 황금 추출물을 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용 배지를 이용하여 발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손상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광노화의 현상일 수 있으며, 광노화에 의한 피부 손상으로 인해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상기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은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면, 손상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 형성이 증가하여 두꺼워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총 화장료 조성물에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 이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효과를 상승시켜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발효 직후의 액상 상태로 화장료에 이용될 수도 있으며, 통상적인 건조 방법으로 건조된 건조물 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감압 건조, 동결 건조, 분무 건조, 냉풍 건조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또는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7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유용성 리퀴드, 크림, 연고 및 에센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이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현상 중 피부 손상에 의한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이용하여 우수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A는 자외선이 조사된 마우스의 등 피부 조직을 H&E 염색하여 피부의 두께를 관찰한 결과를, B는 마우스의 등 피부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황금 추출물의 제조>
황금은 제천한방약초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시판 황금 100g을 충분히 세척한 다음 잘게 파쇄하고, 70%[v/v] 에탄올 1ℓ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5일 동안 침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0.45㎛의 구멍이 있는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하고,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5.32g의 노란색 분말 형태의 황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배양>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의 초기버섯 균사체(CS0218, KFCC 1149P)는 전남 산림자원연구소에서 분양 받았다.
상기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는 PDA(potato dextrose agar) 사면배지에 접종 한 후 25℃에서 6일 동안 배양한 후, 이용하기 전까지 4℃에 보관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다.
황금 추출물을 발효하기 위한 종균 배양물은, 사면배지에 배양한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200㎖ PDB(potato dextos broth) 배지에 접종한 후 25℃,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3.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제조>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황금 추출물이 포함된 발효용 배지에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를 배양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발효물 제조를 위해 정제수 200㎖에 상기 실시예 1의 황금 추출물 500㎎을 첨가하여 녹인 후, 2기압, 121℃에서 15분간 감압멸균하여 발효용 배지를 제조하였다.
이후, 발효용 배지 200㎖에 상기 실시예 2의 배양한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5㎖을 가하여 25℃, 150rpm으로 교반하면서 7일 동안 배양하여 황금 추출물을 발효하였다. 발효를 마친 후에는 원심 분리하여 얻은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가 모두 제거된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물 상태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실험 동물 사육>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때, 6주령의 수컷 HR-1 무모(hairless)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마우스는 일본의 SLC, Inc에서 구입하였고, 1주일 동안 안정기를 가진 후에 실험에 이용하였다. 마우스 사육시 온도는 24±1℃, 습도는 50%를 유지하였고, 낮 12시간, 밤 12시간을 주기(cycle)로 하고, 먹이 및 물의 섭취는 자유롭게 하였다.
<실험예 2.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활성 확인>
실험예 2-1. 시료 투여 및 피부 광노화 유도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1에 해당되는 실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마우스는 실험 그룹 당 3마리씩 무작위적으로 나누었다.
상기 실시예 1의 황금 추출물 또는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0.4%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이 포함된 0.5% 에탄올로 녹인 후, 12주 동안, 1주일에 5일씩, 마우스의 등에 100㎎/㎏이 되도록 국소 도포하였다. 또한, 피부 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마우스의 등에 자외선 B를 조사(radiation)하였다. 자외선 B는 12주 동안 3회 조사하였고, 1~3주까지는 60mJ/㎠로, 4~6주까지는 90mJ/㎠로, 7~12주까지는 120mJ/㎠로 5~10분간 조사하였다.
실험그룹 처리 조건
정상군 정상군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음
대조군 1 피부 손상 유도군 자외선 B 처리
대조군 2 황금 추출물 처리군 실시예 1의 황금 추출물 및 자외선 B 처리
실험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 처리군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 및
자외선 B 처리
실험예 2-2. 피부 손상 억제 활성 확인
자외선에 의해 광노화가 일어나면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이러한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졌다는 것은 피부의 손상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부 두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기 실험예 2-1의 마우스의 등(dorsal) 피부를 떼어낸 후 10%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시킨 후 파라핀(paraffin) 블록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파라핀 블록을 5㎜ 두께로 절편화 하여 조직 절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조직 절편을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 과정을 통해 염색한 후 현미경을 이용해 조직을 관찰하여 피부의 두께 변화를 확인하고, 접안마이크로미터(eyepiece micr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두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피부 조직 관찰(A) 및 피부 두께 측정(B) 결과를 통해, 정상군에 비해 자외선 B를 조사한 대조군 1의 경우에는 피부의 두께가 두꺼워졌으나,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 B를 조사한 실험군의 경우에는, 자외선 B 조사에 의한 피부 두께의 두꺼워짐이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의 피부 두꺼워짐 억제 효과가 황금 추출물(대조군 2) 보다도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이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화장료 제조>
제조예 1-1. 크림 제조
상기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 5g에 시토스테롤 4g,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g, 세라마이드 0.7g, 세테아레스-4 2g, 콜레스테롤 3g, 디세틸포스페이트 0.4g, 농글리세린 5.0g, 선플라우어오일 22g,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g, 트리에탄올아민 0.5g, 방부제 및 향료 미량 및 정제수를 총 무게가 100g이 되도록 혼합하였고,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2. 화장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롤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 용해하였다. 상기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1-3. 유액 제조
세틸알코올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켰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유액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1-4. 미용액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상기 실시예 3의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의 발효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Claims (7)

  1. 정제수에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발효용 배지에 붉은덕다리버섯(Leatiporus sulphureus var. miniatus)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한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 두께가 두꺼워지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금 추출물은 황금을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황금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 배지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황금 추출물 0.1~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총 화장료 조성물에 0.001~30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70019603A 2017-02-13 2017-02-13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03A KR101957426B1 (ko) 2017-02-13 2017-02-13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603A KR101957426B1 (ko) 2017-02-13 2017-02-13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65A KR20180093465A (ko) 2018-08-22
KR101957426B1 true KR101957426B1 (ko) 2019-03-12

Family

ID=6345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603A KR101957426B1 (ko) 2017-02-13 2017-02-13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4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39B1 (ko) * 2015-03-23 2015-06-1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137B1 (ko) * 2012-07-05 2014-03-1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5552B1 (ko) 2014-06-26 2015-08-20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39B1 (ko) * 2015-03-23 2015-06-1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661, p.124-132 (2011.04.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465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876A (ko) 항산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차 발효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390465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작약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작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2113245A2 (en) Substances capable of potentiating laminin 5 productivity in epidermal cells and their use
KR101727788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지충이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10410B1 (ko) 버섯 균사체 및 청호밀 태좌의 혼합 배양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1949B1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0206538B1 (ko) 상황버섯 분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7283B1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26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2B1 (ko) 선복화 단백다당체 또는 선복화 올리고당/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73943B1 (ko)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2151A (ko) 꽃송이 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4725A (ko)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KR101865688B1 (ko) 털마삭줄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회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5534A (ko) 천연배지를 이용한 잔나비걸상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