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171B1 -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171B1
KR101957171B1 KR1020170155683A KR20170155683A KR101957171B1 KR 101957171 B1 KR101957171 B1 KR 101957171B1 KR 1020170155683 A KR1020170155683 A KR 1020170155683A KR 20170155683 A KR20170155683 A KR 20170155683A KR 101957171 B1 KR101957171 B1 KR 10195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support
user
rotation axis
rota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진
Original Assignee
김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진 filed Critical 김국진
Priority to KR102017015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1Apparatus for applying movements to the whole body
    • A61H1/003Rocking or oscill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transverse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93Hanging by hanging the patient upside down or inclined downward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강력한 상하 운동과 구르기로 인하여 동맥경화증과 위하수병을 치료할 수 있는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 상기 제3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신체 지지대; 및 상기 제3프레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 당겨 상기 신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용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Heath apparatus for improvement of blood flow}
본 발명은 강력한 상하 운동과 구르기로 인하여 동맥경화증과 위하수병을 치료할 수 있는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에 골고루 혈액 순환이 되어야 영양소와 산소가 온 몸에 공급이 잘 될 수가 있으며, 신체에 골고루 혈액 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체 일부가 막히게 되고 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몸을 거꾸로 세우는 등 평소 직립하는 것과 다른 자세를 취하게 되면 막혔던 것이 뚫리게 되면서 혈액 순환에 많은 도움이 된다.
종래에도 신체의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거꾸로 매달리게 하는 운동기구가 개발되기도 했으나, 이러한 운동도 일정한 방향으로의 혈액 순환을 일으킬 뿐 다양한 방향으로의 혈액 순환을 일으키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운동이 지나치게 단순하여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고 근력 운동이나 유산소 운동을 겸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달리기 등의 운동은 항상 피가 도는 한쪽으로만 순환을 시키기 때문에 혈액 순환을 골고루 하게 하는 운동 효과는 거두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좌우상하 회전 운동기구는 있었으나 그러한 방법으로는 손과 발의 운동효과는 있으나 인체에 가장 중요한 동맥경화증과 위하수가 생긴 경우 치료가 불가능한 하였다. 의학적으로도 기록되어 있는 상체와 하체가 뒤바뀐 상태에서 상하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계속 충격을 줌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누워서 구르기를 함으로써 혈관 흐름의 소통이 원활하게 되는 운동기구가 없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40405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체와 하체가 뒤바뀐 상태에서 상하 스프링에 의해 계속 충격을 줌과 동시에 평상시에는 누워서 구르기를 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 상기 제3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신체 지지대; 상기 제3프레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 당겨 상기 신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체 지지대에는 측면에 상하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3프레임에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체 지지대와 상기 탄성수단 사이에는 탄성수단과 신체 지지대를 분리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톱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체 지지대와 상기 스톱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볼트가 설치되되, 상기 조정볼트의 일단은 상기 신체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톱패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정볼트에는 상기 스톱패널에 밀착하는 조정너트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하로 회전된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계속 진동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혈관 흐름을 개선하여 동맥경화증과 위하수 치료에 조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거꾸로 회전한 상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는, 제1프레임(1), 제2프레임(10), 제3프레임(20), 신체 지지대(40), 복수개의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체적으로 운동기구를 지지하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즉 지상에 운동기구의 전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프레임들(20,30)과 신체 지지대(40)의 회전을 감안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프레임(1)에 구비된 수평 회전축(1a)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람이 타고 있다면 물구나무서기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2프레임(10)은 대략 신체지지대(40)의 외곽 형태를 따라 프레임이 구성된 형태를 이루고, 높이 중간 부분이 상기 수평 회전축(1a)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10)의 회전에 의해 사용자가 바로 서거나 거꾸로 서 있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0)에는 상기 수평 회전축(1a)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손잡이(11)가 설치된다. 따라서 바로 선 상태 또는 거꾸로 선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손잡이(11)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로 스프링(25,28)에 의해 요동하는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고정 손잡이(11)의 한쪽은 제1프레임(1)에, 다른 한쪽은 제2프레임(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이다.
상기 제3프레임(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0)에 구비된 수직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20)은 상기 신체 지지대(40)가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신체 지지대(40)는 상기 제3프레임(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체 지지대(40)는 상하 회전과 좌우 회전이 가능하여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신체 지지대(4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3프레임(2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25,28)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신체 지지대(40)에는 측면에 상하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43)가 롤러 지지대(42)를 통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3프레임(20)에는 상기 롤러(43)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22)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신체 지지대(40)는 상기 제3프레임(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신체 지지대(40)와 상기 탄성수단(25,28) 사이에는 탄성수단과 신체 지지대를 분리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톱패널(24,27)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신체 지지대(40)와 상기 스톱패널(24,27)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볼트(30)가 설치되되, 상기 조정볼트(30)의 일단은 상기 신체 지지대(4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톱패널(24)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정볼트(30)에는 상기 스톱패널(24)에 밀착하는 조정너트(31)가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신체 지지대(40)에는 사용자의 등 쪽을 마사지하기 위한 회전 등받이(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3프레임(20)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 당겨 상기 신체 지지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상기 신체 지지대(40)와 상기 제3프레임(20)과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신체 지지대(40)에 발고정집(41)에 발을 고정하고 손잡이(23)를 잡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수직으로 서 있는 자세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후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신체 지지대(40)에 고정된 경우, 그 하중에 의해 신체 지지대(40)는 하강하게 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스톱패널(27)까지 하강하게 되고, 그 다음부터는 상기 스프링(28)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위아래 흔들거나,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바로 선 자세에서 위이래 진동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프레임(10)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3의 상태로 된다. 즉, 사용자가 물구나무를 선 상태인 거꾸로 선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몸을 위아래로 흔들거나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위아래로 이동하여 스프링(25,28)에 충격을 가하면 거꾸로 선 채로 진동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스톱패널(24,27)은 신체 지지대(40) 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걸림부재(26,29)에 의해 각각 제한되고, 특히 조정너트(31)를 사용하여 스프링(25,28)의 길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사용이 끝나면, 손잡이(23)와 높이 조절용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다음 기구로부터 벗어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제1프레임
10 : 제2프레임 11 : 고정 손잡이
20 : 제3프레임 21 : 수직 회전축
22 : 레일 23 : 손잡이
24, 27 : 스톱패널 25, 28 : 스프링
30 : 조정볼트 31 : 조정너트
32 : 높이 조절용 손잡이 40 : 신체 지지대

Claims (5)

  1.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구비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에 구비된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
    상기 제3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고정할 수 있는 신체 지지대;
    상기 제3프레임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잡아 당겨 상기 신체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높이 조절용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은 지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물구나무 설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수평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2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물구나무 선 상태에서 상기 제3프레임의 회전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다음 고정하기 위한 고정 손잡이가 설치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지지대에는 측면에 상하 방향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3프레임에는 상기 롤러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지지대와 상기 탄성수단 사이에는 탄성수단과 신체 지지대를 분리하여 지지하기 위한 스톱패널이 구비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지지대와 상기 스톱패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볼트가 설치되되, 상기 조정볼트의 일단은 상기 신체 지지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톱패널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정볼트에는 상기 스톱패널에 밀착하는 조정너트가 나사 결합된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KR1020170155683A 2017-11-21 2017-11-21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KR10195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683A KR101957171B1 (ko) 2017-11-21 2017-11-21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683A KR101957171B1 (ko) 2017-11-21 2017-11-21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171B1 true KR101957171B1 (ko) 2019-03-13

Family

ID=6576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683A KR101957171B1 (ko) 2017-11-21 2017-11-21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1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3308A1 (en) * 2005-08-22 2007-02-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limb rehabilitation
JP2007301373A (ja) * 2006-04-11 2007-11-22 Hirotetsu Kogyo Kk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US20110152032A1 (en) * 2009-12-22 2011-06-23 Michael Charles Barnett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KR20120006355A (ko) * 2010-07-12 2012-01-18 (주)정도인터내셔날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404053B1 (ko) 2013-06-24 2014-06-27 김국진 굴림식 운동기구
JP2014151173A (ja) * 2013-02-06 2014-08-25 Apples:Kk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KR101631798B1 (ko) * 2015-04-16 2016-06-24 이선일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3308A1 (en) * 2005-08-22 2007-02-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limb rehabilitation
JP2007301373A (ja) * 2006-04-11 2007-11-22 Hirotetsu Kogyo Kk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US20110152032A1 (en) * 2009-12-22 2011-06-23 Michael Charles Barnett Fitness machine with automated variable resistance
KR20120006355A (ko) * 2010-07-12 2012-01-18 (주)정도인터내셔날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JP2014151173A (ja) * 2013-02-06 2014-08-25 Apples:Kk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KR101404053B1 (ko) 2013-06-24 2014-06-27 김국진 굴림식 운동기구
KR101631798B1 (ko) * 2015-04-16 2016-06-24 이선일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494B1 (ko) 인체 밸런스의 평가 및 트레이닝 장치
KR100902602B1 (ko) 요추관절 재활치료 운동기구
US20160338901A1 (en) Massaging Board Assembly
CN106691819A (zh) 熏蒸牵引床
KR102306334B1 (ko) 필라테스 운동기구
CN106943712B (zh) 一种康复机
US9375599B1 (en) Assisted apparatus for lower back exercise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JP5345855B2 (ja) 背骨矯正用運動器具
KR101946783B1 (ko) 수동식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20090084983A (ko) 대체의학 물리치료기
KR101957171B1 (ko)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KR20170000039U (ko) 다리찢기 운동기구
JP2012139481A (ja) 運動補助器具
JP2007301373A (ja)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US20180207056A1 (en) Configurable Massaging Apparatus
CN105030439B (zh) 康复训练轮椅
KR20210092955A (ko) 멀티 코어운동을 위한 헬스장치
CN106924937B (zh) 一种康复机的腿脚运动调节装置
JP4339012B2 (ja) 揺動型リハビリ装置
KR102331911B1 (ko) 재활 운동용 스트레칭 장치
EP1955735B1 (de) Trampolin
JP2008167864A (ja) 健康運動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