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355A -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355A
KR20120006355A KR1020100067043A KR20100067043A KR20120006355A KR 20120006355 A KR20120006355 A KR 20120006355A KR 1020100067043 A KR1020100067043 A KR 1020100067043A KR 20100067043 A KR20100067043 A KR 20100067043A KR 20120006355 A KR20120006355 A KR 2012000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mat
support
fix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317B1 (ko
Inventor
변상봉
Original Assignee
(주)정도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도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정도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0006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3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발목고정부의 구성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발목의 조임을 미세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 매트부를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허리매트의 각도회전에 의한 허리 뒤틀기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등받이 매트부를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허리매트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허리매트 회전수단으로 연결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APPARATUS EXERCISE FOR UPSIDE DOWN HANGING}
본 발명은 사람이 등받이 매트부에 누운자세에서 윗몸일으키기 운동이나 거꾸로 매달려서 척추 및 경추관절을 이완시키어 허리교정 및 허리요통의 예방, 혈류의 흐름을 증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발목의 조임을 미세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보장되며, 등받이 매트부를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허리매트의 각도회전에 의한 허리뒤틀기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의 극대화를 제공할 수 있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학생이나 직장인은 장기잔 의자에 앉아서 공부나 업무에 의해 허리부분에 많은 무리가 가게되어 허리디스크나 요통과 같은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최근에 물구나무서기와 같은 거꾸로 매달리기운동이 척추병 디스크 예방 및 치료에 좋은 점, 혈류량을 증가시켜서 척추부위의 건강을 회복하게하고 신진대사를 원할하게 촉진시킨다는 점, 수험생의 경우에는 뇌의 피로를 풀어 주어 학습 능률에 매우 효과적인 점, 무릎 및 발목관절의 관절염 예방에 효과적인 점, 하체를 날씬하게 해준다 점이 널리 알려지면서 가정에서 설치하여 사용가능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가정의 좁은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간 제약을 덜 받고 간편하게 설치 사용은 물론 경량화에 의한 견고성 및 보관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최근에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으나, 그 기본구조는 삼각대 지지기능의 지지다리부와, 지지다리부의 상측 선단에 회전가능케 조립된 등받이 매트부와, 등받이 매트부의 선회 지지 및 회전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와, 등받이 매트부의 길이방향에 높낮이조절이 가능케 조립되는 조절대의 선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고정부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기구의 사용방법은 다리고정부에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지지부에 의해 등받이매트를 선회시키고 일정각도에서 고정한 상태, 즉 수평상태에서 거꾸로 매달기 사이의 각도에서 고정하고 윗몸일으키기 운동 및 거꾸로 매달기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등받이 매트부가 단일몸체로 구성되어 단순히 거꾸로 매달기 및 윗몸일으키 운동에 한정되어 효과적인 운동기능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발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고정부에 있어 발목의 조임간격이 톱니고정식으로 제공되어 각도조절을 위한 구성부재의 복잡 및 날카로운 톱니 노출에 의한 부주의시에 신체접촉으로 상처를 입히거나 다치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 매트부를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하고 간단한 손잡이 조작에 의해 자유롭게 허리의 뒤틀기 운동을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과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허리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다리고정부의 발목 고정간격을 작동레버의 당김작동으로 미세한 각도조절 후 고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각도조절 구성부품의 외부노출이 최대한 차단되어 안전성 및 외관성이 보장되며, 구성부품의 간소화 및 경량화로 제조원가의 절감 및 설치이동에 따른 노고가 적게드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양측 지지다리의 상단이 축조립에 의해 절첩가능한 삼각대 지지기능의 지지다리부와, 상기 지지다리부의 상단 양측에 단계별 회전 및 회전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회전고정부의 양측 회전바에 조립된 등받이 매트부와, 상기 등받이 매트부에 조립되어 길이방향에 높낮이조절이 가능케 조립되는 조절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고정부를 구비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매트부는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허리매트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허리매트 회전수단으로 연결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허리매트 회전수단은 상기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의 쿠션을 지지고정하는 각 지지프레임에 구축된 고정브라켓과 축관을 상호 연결하여 조립된 회전축, 상기 축관의 하부에 구축된 지지함체, 상기 지지함체에 수납지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공을 로킹하는 볼플런저, 상기 볼플런저의 전진상태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볼플런저의 측면과 조립되어 후진 및 후진해제에 의해 상기 고정공과의 로킹해제 및 로킹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조절손잡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조절손잡이는 상기 지지함체의 측면에 관통된 ㄱ형 안내공에 의해 당김과 꺽음에 의해 상기 고정공과의 로킹해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관을 관통하여 후단이 너트에 의해 이탈방지로 조립되고, 전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공에 끼움되고 고정볼트로 연결조립되며, 상기 볼플런저는 상기 지지함체의 전단에 선단의 볼을 돌출하는 상태로 수납되고 후단이 축볼트로 지지되어 수평이동가능케 조립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엉덩이매트의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의 양측 회전바의 단부에 구축된 고정판에 조립되는 조립판과 상기 다리고정부의 조절대가 조립되는 고정관이 구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조절대의 하측 상부에 조립되는 발목지지대의 양측에 조립된 발목받침쿠션, 상기 조절대의 단부 상측에 구축된 지지바에 조립브라켓으로 조립되는 발받침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용착되고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연결고리형으로 관통 형성된 각도조절안내판, 상기 발등걸림쿠션이 조립되는 발등걸림대을 양측에 조립하고 상기 조립브라켓에 축결합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부 지지축관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의 전단에 복수의 지지링 사이에 개재 된 상태로 끼움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하단의 지지링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조절레버의 전단과 나사조립되고 상기 각도조절공에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로크볼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당김에 의한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 상태로 로크볼을 상기 각도조절공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브라켓을 축회전하여 상기 발등걸림쿠션과 상기 발목받침쿠션과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혀서 발목조임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당김해제에 의해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각도조절공에 로크볼을 고정시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 매트부를 엉덩이매트에서 허리매트를 좌우 일정각도로 회전가능케 구성함으로서 허리 뒤틀기 운동을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과 겸용할 수 있어 단순 매달리기 및 윗몸 굽히기 운동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운동효과를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목고정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발목을 간편하고 미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부재의 외부노출의 최대한 차단으로 외관미는 물론 기존의 톱니고정식의 안전성 문제를 해소하여 제품의 신뢰성도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등받이 매트부가 상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등받이 매트부가 수평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등받이 매트부의 허리매트가 엉덩이매트에서 회전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로서, 등받이 매트부의 허리매트가 엉덩이매트에서 회전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등받이 매트부와 다리고정부를 지지다리부에서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등받이 매트부를 발췌한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등받이 매트부의 조립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리고정부의 발췌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조절레버의 각도조절를 예시한 작동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17은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등받이 매트부의 단계별 각도조절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보관을 위하여 지지다리부의 양측 지지다리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핵심요지는 등받이 매트부를 허리매트와 엉덩이매트로 분리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간편한 조작에 의해 엉덩이매트에서 허리매트가 축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허리 뒤틀기운동을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과 병행할 수있어 운동효과를 배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또한, 다리고정부의 구성을 기존의 톱니방식에서 비롯된 사용 안전성의 문제를 작동레버와 이의 회전각도를 안내 고정하는 각도조절판으로 구성하여 간소한 구성 및 경량화한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는 병렬로 구축된 양측 지지다리(110,120)의 상단이 축조립에 의해 절첩가능한 삼각대 지지기능의 지지다리부(100)와, 지지다리부(100)의 상단 양측에 단계별 회전 및 회전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200)와, 회전고정부(200)의 양측 회전바(210)에 조립된 등받이 매트부(300)와, 등받이 매트부(300)에 조립되어 길이방향에 높낮이조절이 가능케 조립되는 조절대(410)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고정부(40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다리부(100)는 일측의 지지다리(110)의 상측에 타측의 지지다리(120)가 상단에 용착된 지지브라켓(121)을 통하여 결합되고 축볼트(B)에 의해 절첩가능케 조립된다. 그리고 일측의 지지다리(110)의 하부프레임에는 이동바퀴(125)가 병열로 부착되고, 타측의 지지다리(120)의 하부프레임에는 간격봉(126)가 병열로 부착되어 절첩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지지다리(110)의 상부에는 각각의 유선형 손잡이(150)가 병열로 조립된다.
지지다리(110)의 상부에 구성되는 회전고정부(200)는 지지다리(110)의 상단에 내향으로 대향 부착된 베어링(210), 베어링(210)에 회전축(230)으로 축결합한 회전바(220), 회전축(230)에 부착되어 당김작동에 의해 회전축(230)을 축으로 회전바(220)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240)을 포함하고, 일측의 유선형 손잡이(150)에 일체 부착된 각도조절판(260), 각도조절판(260)에 단계별 각도공에 조립된 각각의 고정대(270)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다리부(100)와 회전고정부(200)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요지기술인 등받이 매트부(300)는 엉덩이매트(310)와 허리매트(320)로 분리 구성되고, 허리매트(320)는 엉덩이매트(310)와 허리매트 회전수단(350)으로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케 조립된다.
허리매트 회전수단(350)은 엉덩이매트(310)와 허리매트(320)의 쿠션(311,321)을 지지고정하는 각 지지프레임(312,322)에 구축된 고정브라켓(351)과 축관(352)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회전축(360), 축관(352)의 하부에 구축된 지지함체(370), 지지함체(370)에 수납 지지되어 고정브라켓(351)의 고정공(353)을 로킹하는 볼플런저(380), 볼플런저(380)의 전진상태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381), 볼플런저(380)의 측면과 조립되어 후진 및 후진해제에 의해 고정공(353)과의 로킹해제 및 로킹으로 회전축(360)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조절손잡이(39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회전축(360)은 축관(352)을 관통하여 후단이 너트(N)와 나사조립으로 이탈방지로 조립되고, 전단은 고정브라켓(351)의 축공(354)에 끼움되고 저면에서 조립되는 고정볼트(355)로 연결 조립되며, 볼플런저(380)는 지지함체(370)의 전단에 선단의 볼을 돌출하여 고정브라켓(351)의 고정공(353)에 로킹하는 상태로 수납되고 후단은 압축스프링(381)을 관통하여 나사조립되는 축볼트(382)로 지지되어 수평이동가능케 조립된다.
이때, 조절손잡이(390)는 지지함체(370)의 측면에 관통된 ㄱ형 안내공(371)을 통하여 볼플런저(380)에 전단이 조립되고, 조절손잡이(390)을 당기고 꺽음에 의해 ㄱ형안내공(371)에 의하여 조절손잡이(390)의 후진 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볼플런저(380)가 고정브라켓(351)의 고정공(353)과의 로킹해제로 허리매트(320)가 회전축(36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엉덩이매트(310)의 지지프레임(311)에는 회전고정부(200)의 양측 회전바(220)의 단부에 구축된 고정판(221)에 조립되는 조립판(313)과 다리고정부(400)의 조절대(410)가 조립되는 고정관(332)이 부착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리고정부(400)는 엉덩이매트(310)의 지지프레임(311)의 저부에 일정각도로 부착된 고정관(332)과 조절대(410)가 길이(높이)가 조절가능케 조립된다.
이러한 구조 역시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서는 주지된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다리고정부(400)는 조절대(410)의 하측 상부에 조립되는 발목지지대(420)의 양측에 조립된 발목받침쿠션(421)이 조립된다.
그리고 조절대(420)의 단부 상측에 구축된 지지바(430)에는 발받침대(440)가 조립브라켓(441)으로 조립되고, 지지바(430)의 상부에는 다수의 각도조절공(451)이 연결고리형으로 관통 형성된 각도조절안내판(450)이 부착된다.
이때, 조립브라켓(441)에는 양측의 발등걸림대(460)에 발등걸림쿠션(461)이 조립된 회전브라켓(471)이 축회동가능케 볼트(B)로 조립된다.
회전브라켓(471)은 상부에 조립된 지지축관(472)을 관통하여 조절레버(473)가 조립되고, 이렇게 관통된 조절레버(473)의 전단에는 복수의 지지링(474,475) 사이에 압축스프링(476)이 개재 된 상태로 끼움되고, 하단의 지지링(475)을 지지하는 상태로 조절레버(473)의 전단과 나사조립되어 각도조절공(451)에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로크볼(477)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리고정부(4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절레버(473)의 당김에 의해 압축스프링(476)을 압축 상태로 로크볼(477)을 각도조절판(450)의 각도조절공(451)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회전브라켓(471)을 축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회전브라켓(471)의 발등걸림쿠션(461)과 상기 발목받침쿠션(421)과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혀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발목의 조임간격을 조절하고, 조절레버(473)의 당김해제에 의해 압축스프링(476)의 탄발력으로 각도조절공(451)에 로크볼(477)을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다리부(100)의 양측 지지다리(110,120)가 펼쳐져 지지된 상태에서 등받이 매트부(300)가 상부에 위치된 최초의 세워진 상태나,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등받이 매트부(300)가 수평상태로 위치된 상태나,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단계별로 등받이 매트부(300)가 각도가변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통상의 거꾸로 운동기구와 같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별 사용에 있어, 등받이 매트부(300)의 허리매트(320)가 엉덩이매트(310)와 동일한 수평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허리매트(320)의 조절손잡이(390)의 조작으로 회전고정을 풀어 허리 뒤틀기운동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어 허리 운동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허리매트(320)의 회전을 위한 엉덩이매트(310)와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허리매트 회전수단(350)의 조절손잡이(390)의 조작은 상기한 구성 설명에서 상세히 언급하였음으로 생략한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다리부(100)의 양측 지지다리(110,120)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물론, 보관장소의 이동시에는 지지다리(110)의 하부프레임에 부착된 이동바퀴(125)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100: 지지다리부 110, 120: 지지다리
200: 회전고정부 220: 회전바
240: 작동레버 260: 각도조절판
300: 등받이 매트부 310: 엉덩이매트
320: 허리매트 350: 허리매트 회전수단
390: 조절손잡이 400: 다리고정부
450: 각도조절안내판 473: 조절레버

Claims (5)

  1. 양측 지지다리의 상단이 축조립에 의해 절첩가능한 삼각대 지지기능의 지지다리부와, 상기 지지다리부의 상단 양측에 단계별 회전 및 회전상태를 고정하는 회전고정부와, 상기 회전고정부의 양측 회전바에 조립된 등받이 매트부와, 상기 등받이 매트부에 조립되어 길이방향에 높낮이조절이 가능케 조립되는 조절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지지 고정하는 다리고정부를 구비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매트부는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허리매트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허리매트 회전수단으로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매트 회전수단은,
    상기 엉덩이매트와 허리매트의 쿠션을 지지고정하는 각 지지프레임에 구축된 고정브라켓과 축관을 상호 연결하여 조립된 회전축; 상기 축관의 하부에 구축된 지지함체; 상기 지지함체에 수납지지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의 고정공을 로킹하는 볼플런저; 상기 볼플런저의 전진상태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볼플런저의 측면과 조립되어 후진 및 후진해제에 의해 상기 고정공과의 로킹해제 및 로킹으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회전을 고정하는 조절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손잡이는 상기 지지함체의 측면에 관통된 ㄱ형 안내공에 안내되어 당김과 꺽음으로 상기 고정공과의 로킹해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축관을 관통하여 후단이 너트에 의해 이탈방지로 조립되고, 전단은 상기 고정브라켓의 축공에 끼움되고 고정볼트로 연결조립되며, 상기 볼플런저는 상기 지지함체의 전단에 선단의 볼을 돌출하는 상태로 수납되고 후단이 축볼트로 지지되어 수평이동가능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매트의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의 양측 회전바의 단부에 구축된 고정판에 조립되는 조립판과 상기 다리고정부의 조절대가 조립되는 고정관이 부착되되,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조절대의 하측 상부에 조립되는 발목지지대의 양측에 조립된 발목받침쿠션; 상기 조절대의 단부 상측에 구축된 지지바에 조립브라켓으로 조립되는 발받침대;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용착되고 다수의 각도조절공이 연결고리형으로 관통 형성된 각도조절안내판; 상기 발등걸림쿠션이 조립되는 발등걸림대을 양측에 조립하고 상기 조립브라켓에 축결합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부 지지축관을 관통하여 조립되는 조절레버; 상기 조절레버의 전단에 복수의 지지링 사이에 개재 된 상태로 끼움되는 압축스프링; 상기 하단의 지지링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조절레버의 전단과 나사조립되고 상기 각도조절공에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로크볼;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당김에 의한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 상태로 로크볼을 상기 각도조절공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브라켓을 축회전하여 상기 발등걸림쿠션과 상기 발목받침쿠션과의 간격을 좁이거나 넓혀서 발목조임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레버의 당김해제에 의해 압축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각도조절공에 로크볼을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20100067043A 2010-07-12 2010-07-12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196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43A KR101196317B1 (ko) 2010-07-12 2010-07-12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43A KR101196317B1 (ko) 2010-07-12 2010-07-12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55A true KR20120006355A (ko) 2012-01-18
KR101196317B1 KR101196317B1 (ko) 2012-11-01

Family

ID=45612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043A KR101196317B1 (ko) 2010-07-12 2010-07-12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08B1 (ko) * 2015-11-20 2017-02-28 임성우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101957171B1 (ko) * 2017-11-21 2019-03-13 김국진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230B1 (ko) 1997-07-12 2000-04-01 김형준 헬스용 기구의 구동장치
KR100614838B1 (ko) 2004-10-19 2006-08-28 김석규 다목적 전신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208B1 (ko) * 2015-11-20 2017-02-28 임성우 허리트위스트가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KR101957171B1 (ko) * 2017-11-21 2019-03-13 김국진 혈관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317B1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US20140221881A1 (en) Device for repetitive spine extension at selectable lumbar levels for stimulation of vertebral segments
JP7023271B2 (ja) 調整可能な抵抗バンドシステムを使用したエクササイズチェアー
KR101140009B1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CN109984892A (zh) 多功能室内活动椅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KR20180076299A (ko) 체력단련을 겸한 의자
KR20060027454A (ko) 운동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101537195B1 (ko) 척추 견인용 다기능 의자
EP3488838B1 (en) Armchair with passive limb-exercising elements
KR101623738B1 (ko)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JP2014514952A (ja) 自重牽引椅子
WO2022036319A1 (en) Chairs for facilitating stretching and active physical movement by a user
US20030126686A1 (en) Intercourse aiding apparatus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1522174B1 (ko) 키 성장 촉진 기구
KR20160053862A (ko) 회전의자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99954Y1 (ko) 허리운동 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RU10061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ачалка
KR101386314B1 (ko) 기마자세유지 및 자세교정용 의자보조장치
KR102587805B1 (ko) 거꾸로 매달리는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