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960B1 -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 Google Patents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960B1
KR101956960B1 KR1020147023956A KR20147023956A KR101956960B1 KR 101956960 B1 KR101956960 B1 KR 101956960B1 KR 1020147023956 A KR1020147023956 A KR 1020147023956A KR 20147023956 A KR20147023956 A KR 20147023956A KR 101956960 B1 KR101956960 B1 KR 10195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weight
monomer
monomers
polymer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3528A (ko
Inventor
올리비에 브라운
폴 말로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덱스플로와따시옹 더 쁘로뒤 뿌르 레 엥뒤스트리 쉬미끄, 에스. 에. 페. 페. 이. 세.
Publication of KR2014013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 C08F283/1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siloxanes on to polysiloxane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4Free of sili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하기 (a), (b), (c), (d)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이의 제조 방법 및 국소 조성물 중 증점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a) 80질량% 이상 내지 99.5질량% 이하의, 약산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로부터의 단량체 단위;
b) 0.5질량% 이상 내지 20질량% 이하의,
- 하기 화학식 Ia의 단량체: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5

(상기 식에서, R은 1가 라디칼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6
을 나타냄),
- 또는 하기 화학식 Ib의 단량체:
Figure 112018117712417-pct00021
;
c) 임의로 0질량% 초과 내지 5질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로부터의 단량체 단위: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8
;
d) 임의로 0질량% 초과 내지 5질량% 이하의,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을 갖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

Description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NOVEL SILICONE ACRYLATE AND ACRYLIC ACID THICKENING POLYMER REDUCING THE STICKINESS OF GLYCERINE-BASED COSMETIC FORMULAS}
본 발명의 대상은 신규한 증점제 및 화장품 및 약제에서의 그의 용도이다.
화장품, 피부약제 또는 약제학적 적용을 위한 수성상을, 이에 합성 또는 천연의 친수성 중합체를 혼입함으로써 증점시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천연 중합체, 예컨대 크산탄 또는 구아 검이 매우 널리 사용되나, 이는 천연 생성물의 통상적 단점 (변동적인 품질 및 가격)을 지닌다.
이러한 이유로, 합성 증점 중합체가, 화장품, 피부약제 또는 약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된다. 넓은 pH 범위에 걸쳐 작용하며, 특히 잘 허용되는 장점을 가지는 증점제는 본 출원인 회사를 비롯한 여러 회사에 의해 이미 제공되었다.
특허 US 6 197 287, US 6 136 305, US 6 346 239 또는 또한 EP 0 503 853, 또는 또한 US 5 004 598에 기재된 합성 증점제를 특히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역상(inverse) 라텍스 또는 분말 형태로 제공된다. 이는 본질적으로, 화장품, 피부약제 또는 약제 산업의 국소 제제에서 발견될 수 있는 다양한 통상적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수성상을 증점시키기 위한 것이다. 오일, 유화제로도 지칭되는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무기 염 및 약산을 특히 언급할 수 있다.
사실상, 일부 제제, 더 특히 피부 케어를 위한 제제는, 그의 보습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또한 비교적 다량, 전형적으로 5중량% 내지 10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 안에 글리세롤이 존재하여 그의 끈적임 영향을 또한 상당히 증가시키므로, 제조자들은 이러한 끈적임 영향을 제한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그 안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한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의 첨가는 이러한 제제의 제조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시키기 위한 제제 중 실리콘 오일의 존재는 최종 소비자에 의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은 그의 사용을 제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증점 중합체 중 어느 것도 이러한 관점에서 만족스럽지 않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리콘 유도체와 같은 제3 화합물을 첨가할 필요없이, 넓은 pH 범위에 걸쳐 효과적이며 글리세롤의 존재에 의해 생기는 끈적임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신규한 증점 중합체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실리콘 단량체 및 약산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침전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중합체의 분말이 상기 문제를 해결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기 (a), (b), (c) 및 (d)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선형, 분지형 또는 가교결합형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이다:
a) 80중량% 이상 내지 99.5중량% 이하의,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b) 0.5중량% 이상 내지 20중량% 이하의,
- 1500 이상 내지 7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Ia의 단량체
<화학식 Ia>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1
(상기 식에서,
R은 1가 라디칼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2
를 나타내고,
여기서,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0 이상 내지 4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x + y는 0 초과 내지 50 미만이며,
n은 0 이상 내지 45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 또는 1000 이상 내지 4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Ib의 단량체:
<화학식 Ib>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9
(상기 식에서,
R은 화학식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4
의 1가 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서,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0 이상 내지 4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x + y는 0 초과 내지 50 미만이며,
m은 1 이상 내지 7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m과 독립적으로, 1 이상 내지 20 미만의 정수를 나타냄);
c) 임의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화학식 II>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5
(상기 식에서,
m은 0 이상 내지 5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 1가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3은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임의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
용어 "분지형 고분자전해질"은 물 중에 용해될 때 낮은 속도 구배에서 매우 높은 점도를 초래하는 높은 상태의 얽힘(entanglement)을 수득하도록 펜던트 사슬을 갖는 비선형 고분자전해질을 나타낸다.
용어 "가교결합형 고분자전해질"은 수불용성이지만 물 중에서 팽창될 수 있어서 화학적 겔의 달성을 초래하는 3차원 네트워크 형태로 제공되는 비선형 고분자전해질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 수득된 고분자전해질은 가교결합형 단위 및/또는 분지형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특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3-메틸-3-[(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부탄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나타낸다.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아크릴산이다.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 선형, 분지형 또는 가교결합형 고분자전해질은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의 중량 비율이 9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에서, 2가 라디칼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6
은 특히 다음을 나타낸다:
- 에톡실기로만 구성된 사슬 (R4 = H; n > 0)이거나,
- 프로폭실기로만 구성된 사슬 (R4 = CH3; n > 0)이거나,
- 부톡실기로만 구성된 사슬 (R4 = C2H5; n > 0)이거나,
- 에톡실기, 프로폭실기 및/또는 부톡실기로부터 선택되는 두 가지 이상의 기로 구성된 사슬.
이러한 사슬이 상이한 기로 구성되는 경우, 이는 순차적으로 또는 랜덤하게 모두 상기 사슬을 따라서 분포된다.
용어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은 더 특히 상기에 정의된 화학식 II의 R3에 대해 다음을 나타낸다:
- 선형 1급 알콜, 예를 들어 옥틸, 펠라르곤, 데실, 운데실, 운데세닐, 라우릴, 트리데실, 미리스틸, 펜타데실, 세틸, 헵타데실, 스테아릴, 올레일, 리놀레일, 노나데실, 아라키딜, 베헤닐, 에루실 또는 1-트리아콘틸 알콜로부터 유도되는 라디칼. 이는 따라서,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10-운데세닐,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9-옥타데세닐, 10,12-옥타데카디에닐, 13-도코세닐 또는 트리아콘타닐 라디칼; 또는
-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7
(상기 식에서, p는 2 내지 14의 정수를 나타냄)에 상응하는 분지형 1-알칸올인 게르베(Guerbet) 알콜로부터 유도된 라디칼, 예를 들어 2-에틸헥실, 2-프로필헵틸, 2-부틸옥틸, 2-펜틸노닐, 2-헥실데실 또는 2-옥틸도데실 라디칼; 또는
- 하기 화학식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8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26의 정수를 나타냄)에 상응하는 이소알칸올로부터 유도된 라디칼, 예를 들어 4-메틸펜틸, 5-메틸헥실, 6-메틸헵틸, 15-메틸펜타데실 또는 16-메틸헵타데실 라디칼; 또는
- 2-헥실옥틸, 2-옥틸데실 또는 2-헥실도데실 라디칼.
용어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은 더 특히 상기에 정의된 화학식 II의 R3에 대해 12 내지 22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 라디칼이다.
상기에 정의된 화학식 II에서, m은 더 특히 0 이상 내지 25 이하의 수를 나타낸다.
상기에 정의된 화학식 II에서, R2는 더 특히 비닐 (CH2=CH-) 라디칼 또는 이소프로페닐 [CH2=C(CH3)-] 라디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상기 화학식 II의 단량체는 다음으로부터 선택된다:
- R3은 도코사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이소프로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은 25인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인, 펜타코사에톡실화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
- R3은 도데실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비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은 4인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에 상응하는 화합물인, 테트라에톡실화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 R3은 스테아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이소프로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은 20인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인, 에이코사에톡실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 R3은 도데실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이소프로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은 4인 상기 정의된 화학식 I에 상응하는 화합물인, 테트라에톡실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 R3은 스테아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R2는 이소프로페닐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를 나타태고, n은 0인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의 화합물인,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상기 화학식 Ia의 단량체는, 분자량이 4100이고, 등록 번호 RN = 128754-61-0으로 화학문헌 초록지(Chemical Abstracts)에 참조된 실테크(Siltech)에서 시판되는 실머(Silmer)™ ACR Di-50이다.
본 발명의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상기 화학식 Ia의 단량체는, 분자량이 1100인 실테크에서 시판되는 실머™ ACR Di-10이다.
본 발명의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상기 화학식 Ib의 단량체는, 분자량이 3000이고, 등록 번호 RN = 518299-28-0으로 화학문헌 초록지에 참조된 실테크에서 시판되는 실머™ ACR D208이다.
본 발명의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상기 화학식 Ib의 단량체는, 분자량이 1400이고, 등록 번호 RN = 158061-40-6으로 화학문헌 초록지에 참조된 실테크에서 시판되는 실머™ ACR D2이다.
특정한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더 특히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기 (a), (b) 및 (c)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정의된 고분자전해질이다:
a) 85중량% 이상 내지 98중량% 이하의,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b) 1중량% 이상 내지 14중량% 이하의, 상기 정의된 화학식 Ia의 단량체 또는 상기 정의된 화학식 Ib의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c) 1중량% 이상 내지 5중량% 이하의,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고분자전해질은 가교결합형이다.
상기 마지막 측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는 특히 디알릴옥시아세트산 또는 염 중 하나, 예컨대 그의 소듐 염, 트리알릴아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알릴우레아 또는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러한 화합물 중 다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매우 특정한 측면에 따라, 적용되는 가교결합제는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이다.
이 때 가교결합제는 적용된 단량체를 기준으로 표현된 0.005중량% 내지 5중량%, 더 특히 0.5중량% 내지 2.5중량%의 몰비로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고분자전해질의 제조 방법이다:
단계 a) 목적하는 몰비로 유기 용매 (S) 중에,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 화학식 Ia의 단량체 또는 화학식 Ib의 단량체;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및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단계 b) 상기 고분자전해질의 침전물을 수득하기 위해, 단계 a)에서 제조된 상기 반응 혼합물에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혼입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하고, 이어서 완결될 때까지 수행하는 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방법의 단계 b)에서, 중합 반응은 균일분해(homolysis)에 의해서 라디칼을 생성하는 라디칼 개시제, 예컨대 디라우로일 퍼록시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또한 아조 유도체를 사용하여 50℃ 이상의 온도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서, 상기에 정의된 방법의 단계 b)에서, 중합 반응은 20℃ 이하의 온도에서, 바람직할 경우, 중합 공개시제, 예를 들어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디라우로일 퍼록시드와 함께 산화환원 짝, 예컨대 히드로겐술파이트 (HSO3) 이온을 생성하는 산화환원 짝, 예컨대 쿠멘 히드로퍼록시드/소듐 메타비술파이트 (Na2S2O5) 짝 또는 쿠멘 히드로퍼록시드/티오닐 클로라이드(SOCl2) 짝에 의해서 개시되고, 이어서, 유사단열적으로(quasiadiabatically) 수행된다.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은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된 상기 침전물을 분리에 의해서 상기 용매 (S)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및 이어서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단계 d) 단계 c)로부터 생성된 상기 침전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방법의 단계 c)에서, 상기 유기 용매로부터 수득된 침전물의 분리는 여과에 의해서 수행된다.
또 다른 특정한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유기 용매 (S)가 톨루엔, 벤젠, 시클로헥산, 헵탄, 에틸 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정의된 방법이다.
더 특정한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용매 (S)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인 상기 정의된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화장품, 피부약제 또는 약제학적 국소 조성물용 증점제 및/또는 안정화제 및/또는 유화제로서의 상기 정의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의 용도이다.
인간 또는 동물의 피부 또는 점막에 적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수성상 및 1종 이상의 오일상을 포함하는 국소 에멀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국소 에멀젼은 수중유 (O/W), 유중수 (W/O), 유중수중유 (O/W/O) 또는 수중유중수 (W/O/W) 유형일 수 있다. 국소 에멀젼의 오일상은 1종 이상의 오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화장품 용도로 의도될 수 있거나 피부, 두피 및 점막의 질환 치료용으로 의도된 의약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또한 국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항염증제, 근육 이완제, 항진균제, 항세균제 또는 비듬방지제일 수 있는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국소 조성물이 피부, 두피 및 점막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품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경우, 이는 활성 성분, 예를 들어 보습제, 태닝제, 선스크린제, 주름방지제, 체중 감량 목적의 제제, 자유 라디칼 대항제, 항여드름제, 항진균제 또는 비듬방지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국소 조성물은 보통 0.1중량% 내지 10중량%, 더 특히 1중량% 내지 5중량%의, 상기 정의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을 포함한다.
특정한 측면에 따라, 상기 정의된 국소 조성물은 1중량% 내지 10중량%의 글리세롤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국소 조성물의 pH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국소 조성물은 이러한 유형의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향료, 방부제, 착색제, 피그먼트, 선스크린제, 활성 성분, 에몰리언트(emollient) 또는 계면활성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은 또한 밀크, 로션, 크림, 비누, 바쓰(bath), 밤(balm), 샴푸 또는 컨디셔너와 같은 제제의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다른 부형제와 양호한 상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출원인 회사에서 세피겔(Sepigel)™ 305, 세피겔™ 501, 시물겔(Simulgel)™ EG, 시물겔™ EPG, 시물겔™ NS, 시물겔™ INS 100, 시물겔™ 600, 시물겔™ A, 세피플러스(Sepiplus)™ 265, 세피플러스™ 250, 세피플러스™ 400 또는 세피플러스™ S의 명칭으로 시판되는 역상 라텍스의 유리한 대체물이다. 이는 또한 상기 세피겔™ 및/또는 시물겔™ 및/또는 세피플러스™ 제품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국제공보 WO 92/06778, WO 95/04592, WO 95/13863, WO 96/37285, WO 98/22207 또는 WO 98/47610 또는 FR 2 734 496에 기재되고 청구된 농축물, 및 WO 93/08204에 기재된 표면 활성제와 상용성이다. 이는 특히 몬타노브(Montanov)™ 68, 몬타노브™ 82, 몬타노브™ 202, 몬타노브™ L, 몬타노브™ S, 플루이다노브(Fluidanov)™ 20X 또는 이지노브(Easynov)™와 상용성이다.
이는 또한 WO 93/07856에 기재된 것과 같이 화장품용으로 또는 생리학상 허용되는 산성 pH에서 수성 겔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또한 EP 0 684 024에 기재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스타일링 겔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이온성 셀룰로스와 조합하여, 또는 EP 0 603 019에 기재된 것과 같이 모발 또는 피부를 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지방산 및 당의 에스테르와도 조합하여, 또는 WO 92/21316에 기재되고 청구된 바와 같이 샴푸 또는 컨디셔너에서도, 또는, 마지막으로, DE 19523596에 기재된 것과 같은 모발 트리트먼트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단독중합체, 예컨대 카르보폴(Carbopol)™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아미노산의 N-아실화 유도체와 상용성이고, 이로써 WO 92/21318, WO 94/27561 또는 WO 98/09611에 기재되거나 청구된 것과 같은, 특히 민감성 피부를 위한 수딩(soothing)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증점 및/또는 겔화 중합체, 예컨대 식물 또는 생합성 기원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예를 들어 크산탄 검, 검 카라야, 카라기네이트(carrageenate), 알기네이트 또는 갈락토만난; 예컨대, 실리케이트; 예컨대, 셀룰로스 및 그의 유도체; 예컨대, 전분 및 그의 친수성 유도체; 또는 예컨대 폴리우레탄과 상용성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은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중에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시도로 유발되는 끈적임 영향을 저해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종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0.1중량% 내지 10중량%, 더 특히 1중량% 내지 5중량%의, 상기 정의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및 1중량% 내지 10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하며, 실리콘 오일은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조성물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AA/ACR-D2 공중합체의 제법
88.2g의 아크릴산 (AA)을 교반하면서 25℃에서 유지시키고 270g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230g의 시클로헥산을 함유하는 반응기에 충전했다.
용액의 우수한 균질화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시간 후, 용액을 질소로 스파징하여 산소를 제거한 후, 7.1g의 실머™ ACR D2 (분자량이 1400이고 화학문헌 초록지 등록 번호 RN = 158061-40-6으로 식별되는 화학식 Ib의 화합물)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60분 동안 교반한 후, 60℃의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했다. 0.5g의 디라우로일 퍼록시드를 여기에 첨가했다. 반응 매질을 후속하여 다시 대략 60분 동안 교반한 후, 80℃로 만들고 이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냉각시킨 후, 그 뒤에 고분자전해질 1로 공지되는, 목적하는 생성물을 수득하기 위해 중합 동안 형성된 분말을 여과해내고 건조시켰다.
증점 능력의 평가
2중량%의 고분자전해질 1 (pH를 7로 조정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Brookfield) RVT, 스핀들(spindle) 6, 속도 5회전/분 (S6, R5)]: μ = 70,200mPa.s.
1중량%의 고분자전해질 1 (pH를 7로 조정함) 및 1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7400mPa.s.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수성 겔의 끈적임 성질의 평가
1.875g의 고분자전해질 1, 25g의 글리세롤 및 223.125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비교 기준으로서, 4.7g의 세피겔™ 305, 25g의 글리세롤 및 220.3g의 물을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각각의 두 겔을 손등의 다른 표면 상에 도포했을 때, 최신 기술에 따른 겔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 1을 포함하는 겔에 있어서는 끈적임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2: AA/ACR-D2 공중합체의 제법
적용되는 실머™ ACR D2의 양을 4.4g으로 감소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했다. 고분자전해질 2를 수득했다.
증점 능력의 평가
0.5중량%의 고분자전해질 2 (pH를 7로 조정함)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108,000mPa.s.
1중량%의 고분자전해질 2 (pH를 7로 조정함) 및 1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12,000mPa.s.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수성 겔의 끈적임 특성의 평가
1.875g의 고분자전해질 2, 25g의 글리세롤 및 223.125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비교 기준으로서, 4.7g의 세피겔™ 305, 25g의 글리세롤 및 220.3g의 물을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각각의 두 겔을 손등의 다른 표면 상에 도포했을 때, 최신 기술에 따른 겔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 2를 포함하는 겔에 있어서는 끈적임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AA/ACR-D2 공중합체의 제법
적용되는 실머™ ACR D2의 양을 2.6g으로 감소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했다. 고분자전해질 3을 수득했다.
증점 능력의 평가
0.5중량%의 고분자전해질 3 (pH를 7로 조정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39,800mPa.s.
1중량%의 고분자전해질 3 (pH를 7로 조정함) 및 1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15,800mPa.s.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수성 겔의 끈적임 성질의 평가
1.875g의 고분자전해질 3, 25g의 글리세롤 및 223.125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비교 기준으로서, 4.7g의 세피겔™ 305, 25g의 글리세롤 및 220.3g의 물을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각각의 두 겔을 손등의 다른 표면 상에 도포했을 때, 최신 기술에 따른 겔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 3을 포함하는 겔에 있어서는 끈적임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 AA/ACR-D2/SMA 공중합체의 제법
8.1g의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적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했다. 고분자전해질 4를 수득했다.
증점 능력의 평가
0.5중량%의 고분자전해질 4 (pH를 7로 조정함)를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15,600mPa.s.
1중량%의 고분자전해질 4 (pH를 7로 조정함) 및 1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의 점도 (μ) [브룩필드 RVT (S6, R5)]: μ = 13,100mPa.s.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수성 겔의 끈적임 성질의 평가
1.875g의 고분자전해질 4, 25g의 글리세롤 및 223.125g의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비교 기준으로서, 4.7g의 세피겔™ 305, 25g의 글리세롤 및 220.3g의 물을 혼합하여 수성 겔을 제조했다.
각각의 두 겔을 손등의 다른 표면 상에 도포했을 때, 최신 기술에 따른 겔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 4를 포함하는 겔에 있어서는 끈적임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전해질을 사용하여 제조한 글리세롤을 포함하며 실리콘 오일은 포함하지 않는 제제의 예
Figure 112014081581035-pct00009
실시예에 사용되는 상품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몬타노브™ 68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는 셉픽(SEPPIC)에서 시판되는 WO 92/06778에 기재된 바와 같은 자가-유화가능 조성물이다.
아를라셀™ P135는 크로다(Croda)에서 시판되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이다.
세피사이드™ CI,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는 셉픽에서 시판되는 방부제이다.
라놀™ 1688은 셉픽에서 시판되는 번들거리지 않는 효과를 갖는 에몰리언트 에스테르이다.
페녹시에탄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부틸파라벤의 혼합물인 세피사이드™ HB는 셉픽에서 시판되는 방부제이다.
마이크로펄™ M 310은 마쓰모(Matsumo)에서 시판되는 매우 부드러운 감촉 및 매티파잉(mattifying) 작용을 갖는 초미세 분말이다.
프리몰 352는 엑손(Exxon)에서 시판되는 미네랄 오일이다.

Claims (12)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기 (a), (b), (c) 및 (d)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선형, 분지형 또는 가교결합형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a) 80중량% 이상 내지 99.5중량% 이하의,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b) 0.5중량% 이상 내지 20중량% 이하의,
- 1500 이상 내지 7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Ia의 단량체
<화학식 Ia>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0

(상기 식에서,
R은 1가 라디칼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1
를 나타내고,
여기서,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0 이상 내지 4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x + y는 0 초과 내지 50 미만이며,
n은 0 이상 내지 45 이하의 정수를 나타냄);
- 또는 1000 이상 내지 4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하기 화학식 Ib의 단량체:
<화학식 Ib>
Figure 112018117712417-pct00020

(상기 식에서,
R은 화학식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3
의 1가 라디칼을 나타내고,
여기서, x 및 y는, 서로 독립적으로, 0 이상 내지 40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x + y는 0 초과 내지 50 미만이며,
m은 1 이상 내지 7 이하의 정수를 나타내고,
p는, m과 독립적으로, 1 이상 내지 20 미만의 정수를 나타냄);
c) 임의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하기 화학식 II의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화학식 II>
Figure 112018117712417-pct00014

(상기 식에서,
m은 0 이상 내지 50 이하의 수를 나타내고, R2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 1가 지방족 라디칼을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 라디칼 또는 에틸 라디칼을 나타내고, R3은 8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나타냄);
d) 임의로 0중량% 초과 내지 5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3-메틸-3-[(1-옥소-2-프로페닐)아미노]부탄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가 아크릴산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의 단량체가 펜타코사에톡실화 베헤닐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톡실화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에이코사에톡실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톡실화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기 (a), (b) 및 (c)의 중합으로부터 생성되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a) 85중량% 이상 내지 98중량% 이하의,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b) 1중량% 이상 내지 14중량% 이하의, 상기 정의된 화학식 Ia의 단량체 또는 상기 정의된 화학식 Ib의 단량체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c) 1중량% 이상 내지 5중량% 이하의, 상기 정의된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교결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가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분자전해질의 제조 방법:
단계 a) 목적하는 몰비로 유기 용매 (S) 중에, 약산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 화학식 Ia의 단량체 또는 화학식 Ib의 단량체;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생성된 단량체 단위; 및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디에틸렌계 또는 폴리에틸렌계 가교결합 단량체 또는 단량체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단계 b) 상기 고분자전해질의 침전물을 수득하기 위해, 단계 a)에서 제조된 상기 반응 혼합물에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혼입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하고, 이어서 완결될 때까지 수행하는 단계,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단계 c) 단계 b)에서 수득된 상기 침전물을 분리에 의해서 상기 용매 (S)로부터 단리하는 단계, 및 이어서 필요할 경우 또는 바람직할 경우,
단계 d) 단계 c)로부터 생성된 상기 침전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제8항에 있어서, 용매 (S)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인 방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장품, 피부약제 또는 약제학적 국소 조성물용 증점제 또는 안정화제 또는 유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1중량% 내지 5중량%의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이온성 고분자전해질 및 1중량% 내지 10중량%의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화장품 조성물.
제11항에 있어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7023956A 2012-03-08 2013-02-18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KR101956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2106A FR2987839B1 (fr) 2012-03-08 2012-03-08 Nouveau polymere d'acrylate de silicone et d'acide acrylique epaississant et reduisant le caractere collant des formules cosmetiques a base de glycerine
FR1252106 2012-03-08
PCT/FR2013/050327 WO2013132169A1 (fr) 2012-03-08 2013-02-18 Nouveau polymère d'acrylate de silicone et d'acide acrylique épaississant et réduisant le caractère collant des formules cosmétiques à base de glycér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528A KR20140133528A (ko) 2014-11-19
KR101956960B1 true KR101956960B1 (ko) 2019-03-11

Family

ID=4790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956A KR101956960B1 (ko) 2012-03-08 2013-02-18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26889B2 (ko)
EP (1) EP2822980B1 (ko)
JP (1) JP2015514820A (ko)
KR (1) KR101956960B1 (ko)
CN (1) CN104159936B (ko)
FR (1) FR2987839B1 (ko)
WO (1) WO2013132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0321B1 (fr) 2016-12-16 2020-01-03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Procede d'amelioration des proprietes sensorielles d'emulsions huile-dans-eau pour reduire l'effet collant desdites emulsions huile-dans-eau a base de glycerine
FR3113057B1 (fr) * 2020-08-03 2023-09-29 Coatex Sas Agent épaississant pour composition hydro-alcoolique
CN114573768B (zh) * 2022-03-10 2023-05-12 北京马普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分散型聚合物、包含该聚合物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6914B1 (en) 2001-06-14 2006-08-02 Kusumoto Chemicals, Ltd. Flow-and-levelling agents for waterborne coatings
EP1486516B1 (en) 2003-06-12 2010-03-03 Akzo Nobel N.V. Glass adhesion promoter
EP1750157B1 (en) 2004-05-28 2010-10-13 Menicon Co., Ltd. Contact len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4598A (en) 1986-11-10 1991-04-02 The B. F. Goodrich Company Stable and quick-breaking topical skin compositions
FR2668080B1 (fr) 1990-10-17 1993-08-13 Seppic Sa Compositions auto-emulsionnables a base d'alcools gra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our la realisation d'emulsions.
GB9104878D0 (en) 1991-03-08 1991-04-24 Scott Bader Co Thickeners for personal care products
FR2676922B1 (fr) 1991-06-03 1995-01-20 Givaudan Lavirotte Applications en cosmetique de derives n-acyles de melanges d'acides amines issus d'hydrolysats de proteines vegetales.
FR2676923B1 (fr) 1991-06-03 1995-04-21 Oreal Composition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 base de silicone et de latex.
JP3555762B2 (ja) 1991-10-16 2004-08-18 リチャードソン、ビ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非イオン性ポリアクリルアミド誘導体を含有した低pH水性化粧品ゲル
FR2682679B1 (fr) 1991-10-17 1995-06-16 Seppic Sa Nouveaux derives d'alkylpolyosides,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s comme agents de surface.
FR2698004B1 (fr) 1992-11-13 1995-01-20 Oreal Dispersion aqueuse cosmétique ou dermatologique pour le traitement des cheveux ou de la peau, à base d'esters d'acide gras de sucre ou d'alkylsucre et de copolymères réticulés d'acrylamide.
FR2705673B1 (fr) 1993-05-25 1995-07-28 Givaudan Lavirotte Compositions comportant des dérivés d'acides aminés,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FR2709679B1 (fr) 1993-08-06 1995-10-06 Seppic Sa Compositions aqueuses concentrées d'alkylpolyglycosides et leurs utilisations.
FR2712595B1 (fr) 1993-11-19 1995-12-22 Seppic Sa Un concentré comportant des alkylglycosides et ses utilisations.
DE4414426C1 (de) 1994-04-26 1995-09-21 Zsuzsa Cserhati Gelenkprothese
FR2721511B1 (fr) 1994-06-22 1996-07-19 Seppic Sa Composition topique comprenant une phase aqueuse et un agent épaississant.
FR2734496B1 (fr) 1995-05-24 1997-07-04 Seppic Sa Composition emulsionnante a base d'alkylpolyglycosides, et ses utilisations
DE19523596A1 (de) 1995-07-03 1997-01-09 Henkel Kgaa Zubereitung zur Behandlung keratinischer Fasern
EP0925058A1 (fr) 1996-09-09 1999-06-30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tilisation cosmetique de composes a structure lipoaminoacide et compositions cosmetiques a activite apaisante incorporant certains de ces composes
FR2756195B1 (fr) 1996-11-22 1999-02-12 Seppic Sa Nouvelles compositions a base d'alkylglycosides et d'alcools gras
FR2762317B1 (fr) 1997-04-21 1999-07-09 Seppic Sa Composition a base d'alkylpolyglycosides et d'alcools gras, et ses utilisations
EP1047716B1 (fr) 1998-01-16 2006-12-06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Seppic Latex epaississant, procede de fabrication et applications en cosmetique
EP1010708B1 (fr) 1998-12-18 2004-03-31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tilisation en cosmétique d'un latex inverse stable aux électrolytes
US6264934B1 (en) * 1999-11-03 2001-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surface tension cosmetic copolymers
KR100419864B1 (ko) * 2001-11-15 2004-03-04 한국화학연구원 신규 가교제와 이를 함유하는 가교형 고체 고분자 전해질
US20070231354A1 (en) * 2005-04-21 2007-10-04 Atsushi Sogabe Water-Soluble Thickener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Same
US9624334B2 (en) * 2009-10-23 2017-04-18 Dow Corning Corporation Hydrophilically-modified silicone compositions
WO2012030750A2 (en) * 2010-09-02 2012-03-08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Polymers an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6914B1 (en) 2001-06-14 2006-08-02 Kusumoto Chemicals, Ltd. Flow-and-levelling agents for waterborne coatings
EP1486516B1 (en) 2003-06-12 2010-03-03 Akzo Nobel N.V. Glass adhesion promoter
EP1750157B1 (en) 2004-05-28 2010-10-13 Menicon Co., Ltd.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2980B1 (fr) 2016-07-20
WO2013132169A1 (fr) 2013-09-12
CN104159936B (zh) 2016-08-24
KR20140133528A (ko) 2014-11-19
US20150011658A1 (en) 2015-01-08
CN104159936A (zh) 2014-11-19
FR2987839A1 (fr) 2013-09-13
EP2822980A1 (fr) 2015-01-14
JP2015514820A (ja) 2015-05-21
FR2987839B1 (fr) 2014-05-09
US9226889B2 (en)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4331B2 (ja) 新規の粉末状ポリマー、その調製方法および増粘剤としてのその使用
JP5426013B2 (ja) 粉体フォームの新規な濃厚化ポリマー
JP5976687B2 (ja) スルホン酸、アミド及び特定の架橋剤をベースとするポリマー
FR2910899A1 (fr) Nouveau polymere en poudre comportant un monomere tensio-actif,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utilisation comme epaississant
JP2014508835A (ja) 架橋されたポリマー
FR2861397A1 (fr) Nouveau latex inverse concentre,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utilisation dans l&#39;industrie
US20190209453A1 (en) Use in cosmetics of polymers obtained by low-concentration, inverse emulsion polymerisation with a low level of neutralised monomers
KR101956960B1 (ko) 글리세린-기재 화장품 포뮬러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 증점 중합체
KR101956416B1 (ko) 신규한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트리플루오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이의 제조 및 화장품에서 이의 용도
KR20130079377A (ko) 신규한 자가-가역적 리버스 라텍스, 및 화장품 조성물에서 증점제로서의 그의 용도
US9072684B2 (en) Cationic thickeners, free of oil and surfactants,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2103037B1 (ko) 글리세린계 미용용 제형의 점착성을 감소시키는 신규한 증점 중합체
EP2718339B1 (de) Assoziativverdicker auf basis von (meth)acrylat
CN104144955B (zh) 硅氧烷丙烯酸酯和甲基丙烯酸三氟乙酯聚合物,其制备及其在化妆品中的用途
FR2987362A1 (fr) Nouveau polymere d&#39;acrylate de silicone epaississant et reduisant le caractere collant des formules cosmetiques a base de glycer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