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12B1 -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12B1
KR101956212B1 KR1020170154005A KR20170154005A KR101956212B1 KR 101956212 B1 KR101956212 B1 KR 101956212B1 KR 1020170154005 A KR1020170154005 A KR 1020170154005A KR 20170154005 A KR20170154005 A KR 20170154005A KR 101956212 B1 KR101956212 B1 KR 10195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founder
information
industry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영
Original Assignee
조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두영 filed Critical 조두영
Priority to KR102017015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12B1/ko
Priority to PCT/KR2017/015657 priority patent/WO20190984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따른 창업 업종을 추천하고, 추천 업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를 제공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할 수 있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OF START-UP SUPPORT SERVICES BASED ON SELF-DIAGNOSIS BY FOUNDER}
본 발명은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따른 창업 업종을 추천하고, 추천 업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를 제공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할 수 있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업 희망자들의 경우 업종 선택이나 창업 대상 지역 선택을 자가 정보 수집 또는 창업 전문 컨설팅 업체에서 제공해주는 정보를 기초로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최근에는 창업 희망자들을 위한 상권 분석 앱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상권 정보 제공 프로그램 등이 서비스 되고 있다.
또한, 창업 희망자를 위한 상권 분석 관련 특허 출원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99376호는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위치 및 서비스 종류가 반영된 위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위시 데이터 그룹을 이용하여 상권분석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731189호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이용 중 수집된 수요자의 상권 정보 관련 의사를 기존 상권 정보와 결합하여 설계한 최적 입지의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수요자 의사를 소단위 지역별로 그룹핑하여 지역별 그룹핑 결과와 해당 업종의 수요자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 거리를 비교하여, 창업자의 최대이익이 산출되는 창업 지역을 산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상권 분석 서비스의 경우 특정 지역에 대한 인구 분포, 유동 인구, 공공 기관, 산업 시설과 같은 지리적인 정보 또는 기존 상권에서 사용되는 카드 사용금액 등의 다소 거시적 관점의 통계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상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거시적 통계 데이터 기반의 상권 분석 서비스의 경우 창업자의 수익 추구형태 등의 성향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창업자의 성향에 맞는 업종을 선택하도록 할 수 없어 창업 성공률과 창업 후 수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단점이 있고, 수요자 의사 기반 상권 정보 제공 기술의 경우 수요자의 참여 유도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상권 분석 서비스가 거시적인 통계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나, 실제 창업에 있어서는 업종별 최적 평수, 층수, 매장 크기, 객단가 등의 등의 상세 매장 정보 뿐만 아니라,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들이 상이하여 창업을 원하는 업종에 따라 미시적 통계 관점에서의 맞춤형 정보가 필수적이나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699376호 " 애플리케이션 기반 창업 지원방법 및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731189호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배경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진단을 통하여 창업 희망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성향에 적합한 추천 업종과 추천 업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에 관련된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은 창업 지원 서버에서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사업 업종을 수익성과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여 사업성향 정보로서 저장하고, 각 사업 업종에 대하여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및 각 주요 요소에 대한 하위요소 정보를 생성하며, 각 사업 업종별로 주요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창업자 단말로 희망 수익정보 질의를 포함하는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데이터의 희망 수익 금액을 기초로 창업자의 사업 성향을 수익성과 위험도로 분류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수익성과 위험도에 해당하는 업종 분류에 속하는 사업 업종을 추천 사업업종으로 결정하고, 추천 사업 업종과 각 추천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를 우선순위로 정리하여 창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창업자의 사업 업종은 고위험-고수익 업종, 중위험-중수익 업종 및 안정형-저수익 업종으로 분류되고, 추천 사업업종은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분류에 속하는 업종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추천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는 가시성, 접근성, 유동성, 상권력, 배후수요, 서비스 품질력, 브랜드 파워성, 고객 응대 서비스, 인테리어, 청결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와 함께 주요 요소에 속하는 하위요소 정보 및 추천업종의 매장운영 정보가 같이 창업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추천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해당 업종에 속하는 매장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위매장으로 분류된 매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될 수 있고, 매장운영 정보는 객단가, 회전수, 의자수를 포함하고, 해당 정보는 해당 업종의 평균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설문 데이터에는 희망 창업 업종 및 해당 창업 업종에서 중요한 주요 요소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자가진단 결과 희망 창업 업종이 창업자의 사업 성향과 불일치할 경우 희망 업종을 비추천하는 이유에 대한 정보가 함께 창업자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창업 지원 서버는 창업자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 유형마다 창업자의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선별하여 저장하고,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하여 업종 추천을 할 때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우선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데,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은 사전 시장 조사를 통해 미리 결정되고, 설문 데이터에 포함된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 정보의 누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을 갱신할 수 있다.
또, 추천 사업 업종 결정은 기설정된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 중에서도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과 관련성이 있는 업종을 우선으로 추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진단을 통하여 창업 희망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성향에 적합한 추천 업종과 추천 업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에 관련된 정보를 상세하게 제공하고, 추천 업종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손익 분기점 등 상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분류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업자 단말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업 지원 시스템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창업 지원 서버에서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창업 지원 시스템은 창업 지원 서버(100)와 창업자 단말(200)로 구성된다.
창업 지원 서버(100)는 다수의 업종별 연관 정보를 업종 분류표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데이터베이스는 서버 내 또는 외부에 구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종 분류표 예시도로서, 업종 분류표에 표시된 정보는 예시일 뿐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업종 분류표는 상위 업종코드, 상위 업종명, 하위 업종코드, 하위 업종명, 창업자 성향, 관련 프랜차이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창업자의 성향은 각 하위 업종별 투자 대비 수익성을 기초로 한 유형으로서, 고위험-고수익 업종, 중위험-중수익 업종 및 안정형-저수익 업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아울러, 업종 분류표에는 각 하위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가 우선 순위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가시성, 접근성, 유동성, 상권력, 배후수요, 서비스 품질력, 브랜드 파워성, 고객 응대 서비스, 인테리어, 청결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종 분류표에 저장되는 주요 요소는 예시적으로 1순위~ 3순위에 해당하는 요소일 수 있으며,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해당 업종에 속하는 매장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위매장으로 분류된 매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위매장 분류 기준은 전체 매장 개수, 매출액, 종업원 수 등을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당 업종에서 매장 개수가 가장 많은 상위 5개 브랜드 업체가 상위 매장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았지만 업종 분류표에는 각 주요 요소에 대한 하위요소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업종 분류표에는 해당 업종의 매장 운영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매장운영 정보는 객단가, 회전수, 의자수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해당 업종의 평균값을 기초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해당 업종 평균 수준의 매장에서 판매되는 음식의 객단가, 평균 테이블 회전 수 및 해당 매장의 의자수 정보가 매장운영 정보로서 산출되어 창업자 단말(200)로 제공된다.
아울러, 창업 지원 서버(100)는 창업자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 유형마다 창업자의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선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후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하여 업종 추천을 할 때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우선적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은 사전 시장 조사를 통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창업자의 자가 진단 과정에서 창업자가 희망하는 창업 업종 정보의 누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을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창업자 단말(200)은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창업 지원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로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창업 지원 서버(1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말한다.
이에, 창업자는 창업자 단말(200)을 통해 창업 지원 서버(100)에 접속하여 창업 컨설팅을 위한 정보 입력을 할 수 있고, 창업 컨설팅 관련 정보를 창업 지원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창업자 단말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화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우선 상권 분석 서버(100)는 다수의 사업 업종을 수익성과 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후 이를 창업자의 사업 성향과 연관시켜 저장한다(S100).
이때, 수익성과 위험도는 희망 매출액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자 금액 대비 희망 매출액 또는 기대수익 정보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권 분석 서버(100)는 창업자의 사업 성향 이외에 각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S102)한다.
본 발명자는 다년간의 리테일 컨설팅 업무를 경험하면서 업종마다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의 우선 순위가 각기 상이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여러 업종의 종사자의 의견과 관련 업체의 매장 환경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업종별로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에 대한 우선 순위를 산출하였다.
예를 들어, 대형 커피 업종의 경우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가 가시성-접근성-유동성… 순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권 분석 서버(100)는 각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해당 업종에 속하는 매장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위매장으로 분류된 매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한다. 이는 업종의 매출은 현장의 요소들이 녹아들어 있기 마련이고, 창업자들은 각기 원하는 또는 성향에 맞는 업종을 선택했을 때 당연히 잘되는 매장의 특징을 기존에 하려던 입지와 비교해 그런 요소가 많이 있는지 살펴야 함은 창업성패의 바로미터이기 때문이다.
또한, 도 2의 업종분류표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권 분석 서버(100)는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와 함께 주요 요소에 속하는 하위요소 정보를 함께 생성하여 저장한다.
이때, 주요 요소에 속하는 하위 요소는 예시적으로 가시성이 주요 요소일 경우, 하위 요소는 입지한 건물이 들어가 있지 않음, 1층이며 진입이 용이함, 입지한 건물이 교차로 대로변임 등과 같이 매장의 가시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해당된다.
다음으로, 상권 분석 서버(100)는 창업자 단말로 적어도 희망 수익정보 질의를 포함하는 설문 데이터를 전송한다(S104).
이때, 창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업자 단말(200) 화면에 표시된 희망 수익 정보 질의에 따라 희망 수익 정보를 선택하고, 창업 지원 서버(100)는 창업자가 선택한 희망 수익 금액 정보를 기초로 창업자의 사업 성향을 판단한다.
이때, 창업자가 희망하는 수익 정보는 화면에 제시된 희망 수익 금액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창업자 단말(200)을 통하여 희망 수익 금액을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설문 데이터에 포함된 질의 중 하나는 창업자가 희망하는 업종 및 해당 창업 업종에서 중요한 주요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택하도록 하는 질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창업 지원 서버(100)는 창업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응답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업자의 사업 성향을 결정한다(S106).
이때, 창업자의 사업 성향은 고위험-고수익 업종, 중위험-중수익 업종 및 안정형-저수익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업자가 선택한 희망 수익이 500~700만원 이라면 해당 창업자의 사업 성향이 중위험-중수익인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창업 지원 서버(100)는 결정된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추천 사업업종을 결정한다(S108).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업 지원 서버(100)는 결정된 추천 사업업종 정보를 창업자 단말로 제공한다(S110).
이때, 추천 사업업종은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분류에 속하는 업종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창업자의 사업 성향이 중위험-중수익 형인 것으로 판단 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식당 및 탕류, 피자치킨, 화장품 판매점을 추천 업종으로 결정하고, 이를 창업자 단말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업종 추천은 기 설정된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 중에 선택적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업자의 사업 성향이 중위험-중수익 형인 경우, 기 설정된 중위험-중수익 업종 중 창업 희망 선호가 높은 업종들 중에서 추천 업종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 중에서도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과 관련성이 있는 업종을 우선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이 도 2에 도시된 업종 분류표에서 고위험-고수익 형태의 세계 맥주(업종코드 : 520)일 경우 중위험-중수익 형태 업종으로서 유형은 다르지만 유사하게 주류를 취급하는 생맥주(업종코드 : 530) 업종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창업 지원 서버(100)는 창업자 단말에 추천 사업 업종 정보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예상 매출액과 순수익 및 손익 분기점 그래프와 같은 각종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창업 지원 서버(100)는 추천 사업업종에 있어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를 우선 순위별로 창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해당 업종에 속하는 매장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위매장으로 분류된 매장에서 수집된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형 커피가 추천 업종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대형 커피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 순위 요소가 가시성-접근성-유동성임을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창업 지원 서버(100)는 추천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와 함께 주요 요소에 속하는 하위요소 정보 및 추천업종의 매장운영 정보를 함께 창업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114).
이때, 매장운영 정보는 객단가, 회전수, 의자수를 포함하고, 해당 정보는 해당 업종의 평균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자가진단 결과 희망 창업 업종이 창업자의 사업 성향과 불일치할 경우 희망 업종을 비추천하는 이유에 대한 정보가 함께 창업자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창업자가 선택한 업종이 고위험-고수익 또는 안정형-저수익 형태의 업종을 선택한 경우, 창업자의 사업 성향 판단 결과 중위험-중수익 형태로 판단되면 창업자가 선택한 업종의 상업 성향 유형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창업자가 본인의 성향과 맞지 않는 업종은 선택했음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창업자가 희망하는 업종에서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중 우선 순위에 속하는 주요 요소 정보를 제공하여 희망 창업 업종의 주요 요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창업자가 자가 진단을 통하여 창업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창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을 추천함과 동시에 해당 추천 업종에서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성공적인 창업을 유도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창업 지원 서버
200 : 창업자 단말

Claims (11)

  1. 창업 지원 서버에서 창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사업 업종을 수익성과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여 사업성향 정보로서 저장하고, 각 사업 업종에 대하여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및 각 주요 요소에 대한 하위요소 정보를 생성하며, 각 사업 업종별로 주요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창업자 단말로 희망 수익정보 질의를 포함하는 설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창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데이터의 희망 수익 금액을 기초로 창업자의 사업 성향을 수익성과 위험도로 분류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수익성과 위험도에 해당하는 업종 분류에 속하는 사업 업종을 추천 사업업종으로 결정하고, 추천 사업 업종과 각 추천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를 우선순위로 정리하여 창업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업자의 사업 업종은 고위험-고수익 업종, 중위험-중수익 업종 및 안정형-저수익 업종으로 분류되고, 상기 추천 사업업종은 상기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상기 업종분류에 속하는 업종 중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는
    가시성, 접근성, 유동성, 상권력, 배후수요, 서비스 품질력, 브랜드 파워성, 고객 응대 서비스, 인테리어, 청결성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 정보와 함께 상기 주요 요소에 속하는 하위요소 정보 및 상기 추천 사업업종의 매장운영 정보가 같이 상기 창업자 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천 사업 업종별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해당 업종에 속하는 매장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위매장으로 분류된 매장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운영 정보는 객단가, 회전수, 의자수를 포함하고, 해당 정보는 해당 업종의 평균값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문 데이터에는 희망 창업 업종 및 해당 창업 업종에서 중요한 주요 요소에 대한 질의를 포함하고,
    자가진단 결과 희망 창업 업종이 창업자의 사업 성향과 불일치할 경우 희망 업종을 비추천하는 이유에 대한 정보가 함께 상기 창업자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업 지원 서버는 창업자 사업 성향에 대응되는 업종 유형마다 창업자의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선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창업자의 사업 성향에 대응하여 업종 추천을 할 때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을 우선적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은 사전 시장 조사를 통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설문 데이터에 포함된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 정보의 누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업 희망 선호도가 높은 업종을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사업 업종 결정은 기설정된 선호도가 높은 업종들 중에서도 창업자의 희망 창업 업종과 관련성이 있는 업종을 우선으로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54005A 2017-11-17 2017-11-17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5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05A KR101956212B1 (ko) 2017-11-17 2017-11-17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7/015657 WO2019098455A1 (ko) 2017-11-17 2017-12-28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005A KR101956212B1 (ko) 2017-11-17 2017-11-17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212B1 true KR101956212B1 (ko) 2019-06-24

Family

ID=6653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005A KR101956212B1 (ko) 2017-11-17 2017-11-17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6212B1 (ko)
WO (1) WO201909845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521B1 (ko) 2021-02-19 2021-08-18 주식회사 렛츠 산업변화 트랜드 환류형 스타트업 역량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894A (ko) 2020-08-31 2022-03-08 강만수 설문조사를 이용한 점포 개설 컨설팅 제공 시스템
KR102395837B1 (ko) * 2021-12-20 2022-05-10 주식회사 라프라스 공방과 연관된 시뮬레이션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7635B1 (ko) 2021-11-03 2022-11-17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Ai를 이용한 컨설팅 제공 시스템
KR102472454B1 (ko) 2021-09-15 2022-11-30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가 공실률 추정과 분석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83902B1 (ko) 2021-09-15 2023-01-03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권분석 서비스 구축시 필요 제공 정보시스템
KR102510463B1 (ko) 2021-11-09 2023-03-16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권 분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567499B1 (ko) 2022-12-30 2023-09-06 주식회사 알파랩 예비 창업자에게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추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96554B1 (ko) 2022-11-11 2023-10-31 주식회사 매일벤처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창업 가이드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71A (ko) * 2014-10-29 2016-05-11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99376B1 (ko) 2014-11-28 2017-01-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애플리케이션 기반 창업 지원방법 및 시스템
KR101726202B1 (ko) * 2015-05-09 2017-04-12 전영준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 지원방법
KR20170057985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유누스 창업을 위한 사업성 평가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896A (ko) * 2010-06-24 2011-12-30 노아에이티에스 (주) 금융 상품 추천 방법
KR20120044748A (ko) * 2010-10-28 2012-05-08 주식회사 씨앤티쓰리컨설팅 프랜차이즈 가치평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271A (ko) * 2014-10-29 2016-05-11 조두영 업종 맞춤형 입지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99376B1 (ko) 2014-11-28 2017-01-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애플리케이션 기반 창업 지원방법 및 시스템
KR101726202B1 (ko) * 2015-05-09 2017-04-12 전영준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 지원방법
KR20170057985A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유누스 창업을 위한 사업성 평가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등록특허 제1731189호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894A (ko) 2020-08-31 2022-03-08 강만수 설문조사를 이용한 점포 개설 컨설팅 제공 시스템
KR102290521B1 (ko) 2021-02-19 2021-08-18 주식회사 렛츠 산업변화 트랜드 환류형 스타트업 역량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472454B1 (ko) 2021-09-15 2022-11-30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가 공실률 추정과 분석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483902B1 (ko) 2021-09-15 2023-01-03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권분석 서비스 구축시 필요 제공 정보시스템
KR102467635B1 (ko) 2021-11-03 2022-11-17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Ai를 이용한 컨설팅 제공 시스템
KR102510463B1 (ko) 2021-11-09 2023-03-16 주식회사 하이퍼리서치 상권 분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95837B1 (ko) * 2021-12-20 2022-05-10 주식회사 라프라스 공방과 연관된 시뮬레이션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96554B1 (ko) 2022-11-11 2023-10-31 주식회사 매일벤처스 인공지능 기반 사용자 맞춤형 창업 가이드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7499B1 (ko) 2022-12-30 2023-09-06 주식회사 알파랩 예비 창업자에게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추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8455A1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212B1 (ko) 창업자 자가 진단 결과를 반영한 창업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73973B1 (ko)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70097763A1 (en) Sports and concert event ticket pricing and visualization system
US724607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purchase profiles and sales guidance to a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US20110066472A1 (en) Internet-Based Benchmarking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nd Comparing Businesses Using Metrics
US10176483B2 (en)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purchase concentration data for unique items based on consumer-specified constraints
KR100834467B1 (ko)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CN101061498A (zh) 用于执行零售分析的方法
US20120246029A1 (en) Product comparison and selection system and method
CN102272758A (zh) 因果驱动和市场响应弹性或提升因素的自动规范、估计和发现
US20030033195A1 (en) Retail site location void analysis system and method
JP2009086941A (ja) 飲食店用メニュー表示装置
JPWO2005024689A1 (ja) 消費者の購買行動分析方法及び装置
KR101726202B1 (ko)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 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 지원방법
Laosirihongthong et al. Improving supply chain operations by adopting RFID technology: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enabling factors
JP2005235139A (ja) 化粧品評価情報分析システム及び方法
JP5364184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114035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n item assortment
US20180018687A1 (en) Method of Improving Accuracy of Competitive Pricing Intelligence
US20050209907A1 (en) 3-D customer demand rat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05799A (ko) 실시간 상담 및 저장이 가능한 웹서비스 사용자의 검색행태에 기반한 능동형 프랜차이즈창업지원방법
JP4688025B2 (ja) 需要分析・提案システム
JP2002304555A (ja) 製品提案方法及びシステム
CN114730435A (zh) 管理服务器以及商品搜索方法
US200502782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inventory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