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028B1 - 버스 플레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버스 플레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028B1
KR101956028B1 KR1020160060746A KR20160060746A KR101956028B1 KR 101956028 B1 KR101956028 B1 KR 101956028B1 KR 1020160060746 A KR1020160060746 A KR 1020160060746A KR 20160060746 A KR20160060746 A KR 20160060746A KR 101956028 B1 KR101956028 B1 KR 101956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late
unit
bus
terminal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117A (ko
Inventor
김덕환
연승준
김주한
금영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028B1/ko
Priority to US15/251,617 priority patent/US1041127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9Separators, collectors or interconnectors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T90/3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버스 플레이트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은 양 측에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를 각각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용 단위 스택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플레이트 유닛에 있어서,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일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가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타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가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및 상기 (+) 버스 플레이트 및 (-) 버스 플레이트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플레이트 유닛{BUS PLATE UNIT}
본 발명은 버스 플레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화를 통해 사공간을 줄여 출력밀도를 향상시키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전지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일종의 발전 시스템으로서,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된다.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수소를 공급받는 수소 공급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연료전지 스택의 반응열과 물을 제거하고 연료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열/물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은 여러 단위 셀들을 하나로 묶은 단위 스택과, 상기 단위 스택을 보호하기 위한 인클로저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은 경우에 따라서 여러 개의 단위 스택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 스택은 수소와 공기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단위 스택 모듈은 반응 부산물로서 열과 물을 발생시키는데, 냉각매체인 냉각수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위 스택은 약 300A 이상의 고전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단위 스택은 버스 바(bus bar)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와 같은 고전류를 흘려보낸다.
상기 버스 바는 가요성이 없어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많은 양의 전기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버스 바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 때문에, 그 주위의 사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상기 단위 스택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박판 형상을 적용하여 사공간을 줄임으로써, 단위 스택의 출력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센터 버스 플레이트에 경사면을 적용하여 불필요한 사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양 측에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를 각각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용 단위 스택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플레이트 유닛에 있어서,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일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가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타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가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및 상기 (+) 버스 플레이트 및 (-) 버스 플레이트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는 절연막을 포함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 및 (-) 버스 플레이트 각각은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스택의 상부면 일정 영역을 덮도록 일정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는 측면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 통해 상기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는 측면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을 통해 상기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막은 PPE(Polyphenylene Ether) 재질로 이루어지며, 0.5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스택이 상,하측으로 복수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 단위 스택의 상면에 위치하여 절연막이 외표면 전체를 감싸고, 일측이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되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 버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되며, 양측 선단부가 상기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센터 버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양측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 및 (-) 접속홀을 통하여 상기 단위 스택 중, 하측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 및 상측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각각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 접속홀에 대응하는 측면에 (+) 볼트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막은 PPE(Polyphenylene Ether) 재질로 이루어지며, 0.5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의 (-) 접속홀에 대응하는 측면에 (-) 볼트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 버스 단자에 대응하는 상부면에 단자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 버스 단자는 상기 단자홀에 끼워진 상태로, 외부의 정션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 버스 단자와,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 버스 단자 사이에 대응하는 구간이 폭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박판 형상으로 적용하여 단위 스택과의 접촉 면적을 넓힘과 동시에 사공간을 줄여 상기 단위 스택의 출력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정션박스와 연결되는 (+) 버스 단자 및 (-) 버스 단자 사이의 센터 버스 플레이트 면을 경사면으로 적용하여 불필요한 사공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이 적용된 적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이 적용된 적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이 적용된 적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은 차량의 연료전지용 단위 스택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이 적용되는 복수개의 단위 스택은 양 측에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를 각각 가지는 하측 단위 스택(3) 및 상측 단위 스택(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스택은 하측 단위 스택(3) 및 상측 단위 스택(5)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단위 스택의 개수는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은 센터 버스 플레이트(10), (+) 버스 플레이트(20) 및 (-) 버스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단위 스택(5)의 상부에서 일측과 타측이 일방향으로 하향 절곡된다.
즉,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하방으로 개구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일측 선단부에 형성된 제1 (+) 접속홀(11)을 통해 상기 하측 단위 스택(3)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볼트 단자를 통해 하측 단위 스택(3)과 도통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이하에서 설명할 (+) 버스 플레이트(20)의 (+) 버스 단자(21)가 통과하도록 상면에 단자홀(13)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상측 단위 스택(5)의 (+) 스택 단자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 볼트 관통홀(15)이 형성된다.
상기 (+) 볼트 관통홀(15)은 볼트 단자가 관통되도록 상기 볼트 단자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타측 선단부에 형성된 제1 (-) 접속홀(17)을 통해 상측 단위 스택(5)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볼트 단자를 통해 상측 단위 스택(5)과 도통된다.
즉,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일측면에 제1 (+) 접속홀(11)을 가지고, 상부면에 단자홀(13)을 가지며, 타측면에 제1 (-) 접속홀(17)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는 이하에서 설명할 (+) 버스 단자(21)와 (-) 버스 단자(31) 사이의 상면이 폭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9)를 가진다.
이때,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경사부(19)는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두께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 버스 단자(21)와 (-) 버스 단자(31) 사이의 단차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일측 하부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한쪽이 일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는 상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21)가 구성된다.
이러한 (+) 버스 단자(21)는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단자홀(13)을 통해 끼워져 상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는 하향 절곡된 선단부에 제2 (+) 접속홀(2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 접속홀(23)을 통해 상측 단위 스택(5)의 (+) 스택 단자와 연결된다.
즉,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는 상면에 (+) 버스 단자(21)를 가지고, 측면에 제2 (+) 접속홀(23)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타측 상부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한쪽이 일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는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31)가 구성된다.
이러한 (-) 버스 단자(31)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의 (+) 버스 단자(21)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는 하향 절곡된 선단부에 제2 (-) 접속홀(3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 접속홀(33)을 통해 하측 단위 스택(3)의 (-) 스택 단자와 연결된다.
이때, (-) 버스 플레이트(30)는 볼트 단자를 통해 하측 단위 스택(3)과 도통된다.
이러한 (-) 버스 플레이트(30)는 센터 버스 플레이트(10)의 제1 (-) 접속홀(17)에 대응하는 측면에 (-) 볼트 관통홀(35)이 형성된다.
상기 (-) 볼트 관통홀(35)은 볼트 단자가 관통되도록 상기 볼트 단자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버스 플레이트(30)는 상면에 (-) 버스 단자(31)를 가지고, 측면에 제2 (-) 접속홀(33)과 (-) 볼트 관통홀(35)을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은 절연막(40)이 외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막(40)은 단위 스택들로부터 외부의 전력분배 장치 및 전력변환 장치 또는 전기부하에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의 전기적 절연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막(40)은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의 양측 선단부에서 상호 겹쳐져 봉합되도록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막(40)은 센터 버스 플레이트(10), (+) 버스 플레이트(20) 및 (-) 버스 플레이트(30)의 외표면에 각각 감싼 후,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 플레이트 유닛(1)은 하부표면에 절연막(40)을 감싼 (+) 버스 플레이트(20)를 하측 단위 스택(5)에 조립한 후, 외표면 전체를 감싼 센터 버스 플레이트(10)를 그 상부에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상부표면에 절연막(40)을 감싼 (-) 버스 플레이트(30)를 조립하여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40)은 PPE(Polyphenylene Ether) 재질로 이루어지며, 0.5t의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절연막(40)은 PPE 재질로 이루어지고, 0.5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재질과 두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100)은 양 측에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를 각각 가진 하나의 단위 스택(1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버스 플레이트 유닛(100)은 (+) 버스 플레이트(200) 및 (-) 버스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위 스택(103)의 일측 상부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한쪽이 일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0)는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2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0)는 하향 절곡된 선단부에 구성되는 (+) 접속홀(230)을 통해 단위 스택(103)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 버스 플레이트(200)와 단위 스택(103)은 볼트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0)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단위 스택(103)의 타측 상부 모서리에 밀착되도록 한쪽이 일방향으로 하향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0)는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31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 버스 단자(310)는 (+) 버스 플레이트(200)의 (+) 버스 단자(210)와 인접한 일직선 상에 있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0)는 하향 절곡된 선단부에 구성되는 (-) 접속홀(330)을 통해 단위 스택(103)의 (-) 스택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 버스 플레이트(300)와 단위 스택(103)은 볼트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버스 플레이트 유닛(100)은 PP재질로 이루어진 0.5t 두께의 절연막(400)이 외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버스 플레이트 유닛은 박판 형태으로 이루어져, 단위 스택과 조립 시, 사공간을 줄이며, 접촉 면적을 넓혀 출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버스 플레이트 유닛 3 ... 하측 단위 스택
5 ... 상측 단위 스택 10 ... 센터 버스 플레이트
11 ... 제1 (+) 접속홀 13 ... 단자홀
15 ... (+) 볼트 관통홀 17 ... 제1 (-) 접속홀
20 ... (+) 버스 플레이트 21 ... (+) 버스 단자
23 ... 제2 (+) 접속홀 30 ... (-) 버스 플레이트
31 ... (-) 버스 단자 33 ... (-) 접속홀
35 ... (-) 볼트 관통홀 40 ... 절연막

Claims (16)

  1. 양 측에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를 각각 가진 적어도 하나의 연료 전지용 단위 스택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기 위한 버스 플레이트 유닛에 있어서,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일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을 통해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한쪽이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단위 스택의 타측 상부에 밀착되고, 상부면 선단 일측에 (-) 버스 단자가 구성되며, 측면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을 통해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버스 플레이트;
    상기 (+) 버스 플레이트 및 (-) 버스 플레이트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는 절연막; 및
    상기 단위 스택이 상,하측으로 복수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 단위 스택의 상면에 위치하여 절연막이 외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밀착되고, 타측이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 버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밀착되며, 양측 선단부가 상기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 스택 단자에 각각 연결되어 적층된 복수개의 상기 단위스택을 직렬로 연결하는 센터 버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버스 플레이트 및 (-) 버스 플레이트 각각은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 스택의 상부면 일정 영역을 덮도록 일정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PPE(Polyphenylene Ether) 재질로 이루어지며, 0.5t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박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양측 선단부에 형성된 (+) 접속홀 및 (-) 접속홀을 통하여 상기 적층된 복수개의 단위 스택 중, 일측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 및 타측 단위 스택의 (-) 스택 단자와 각각 볼트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 접속홀에 대응하는 측면에 (+) 볼트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의 (-) 접속홀에 대응하는 측면에 (-) 볼트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 버스 단자에 대응하는 상부면에 단자홀이 관통 형성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 버스 단자는
    상기 단자홀에 끼워진 상태로, 외부의 정션 박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는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 버스 단자와 상기 (-) 버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 버스 단자 사이에 대응하는 구간이 폭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센터 버스 플레이트의 두께만큼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 플레이트 유닛.
KR1020160060746A 2016-05-18 2016-05-18 버스 플레이트 유닛 KR101956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46A KR101956028B1 (ko) 2016-05-18 2016-05-18 버스 플레이트 유닛
US15/251,617 US10411270B2 (en) 2016-05-18 2016-08-30 Bus plat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46A KR101956028B1 (ko) 2016-05-18 2016-05-18 버스 플레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117A KR20170130117A (ko) 2017-11-28
KR101956028B1 true KR101956028B1 (ko) 2019-03-08

Family

ID=6033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46A KR101956028B1 (ko) 2016-05-18 2016-05-18 버스 플레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11270B2 (ko)
KR (1) KR101956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989B1 (ko) * 2021-12-02 2023-02-06 주식회사 미코파워 연료전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3747A (ja) 2013-04-08 2014-10-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モジュール
JP2015069729A (ja) *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019A (ja) 2000-04-28 2001-11-09 Yazaki Corp バスバーを用いた電気接続箱
US20110117408A1 (en) * 2009-11-13 2011-05-19 Lennox Stuart B Battery Assembly
JP5595821B2 (ja) 2010-07-30 2014-09-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ユニット
EP2662913B1 (en) 2011-11-28 2016-04-2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bus bar applied to battery module
KR101521776B1 (ko) * 2012-08-07 2015-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72689A (ko) * 2012-12-05 2014-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
US9577233B2 (en) * 2013-03-29 2017-02-21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and fasten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3747A (ja) 2013-04-08 2014-10-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モジュール
JP2015069729A (ja) * 2013-09-26 2015-04-13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1270B2 (en) 2019-09-10
KR20170130117A (ko) 2017-11-28
US20170338498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8432B2 (en) Battery module
JP441839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5825264B2 (ja) 電池システム
US11349181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injection molded busbar assembly
KR102160342B1 (ko) 일체형 버스바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KR20190118017A (ko) 팩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20013302A (ko) 자켓을 구비한 배터리 셀
KR102328124B1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KR102116187B1 (ko) 개선된 셀홀더를 구비한 에너지저장용 배터리팩
JP2019057459A (ja) 電気接続部材
KR20120027226A (ko) 플랫 셀 및 히트 싱크를 구비한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KR20200106538A (ko)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160077146A (ko) 전지의 형태인 적어도 하나의 전압원 및/또는 전원 싱크를 외부 전기 컴포넌트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및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
KR101956028B1 (ko) 버스 플레이트 유닛
CN112787043B (zh) 电池模组以及用电装置
EP3790080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EP1418637A3 (en) Solid-oxide fuel cell assembly having simplified arrangement of current collectors
CN112054233A (zh) 燃料电池单元
KR101537000B1 (ko) 이차 전지 모듈
CN111435714B (zh) 电池模组和电池包
EP3783686B1 (en) Battery module
KR20150077830A (ko)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KR10237966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12625953U (zh) 具有散热功能的电连接片
CN202564456U (zh) 一种用于软包装电池组的绝缘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