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124B1 -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124B1
KR102328124B1 KR1020180010011A KR20180010011A KR102328124B1 KR 102328124 B1 KR102328124 B1 KR 102328124B1 KR 1020180010011 A KR1020180010011 A KR 1020180010011A KR 20180010011 A KR20180010011 A KR 20180010011A KR 102328124 B1 KR102328124 B1 KR 10232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input
output terminal
battery modu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049A (ko
Inventor
이영호
최종화
윤영선
김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1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124B1/ko
Priority to US16/609,920 priority patent/US11764433B2/en
Priority to EP19744531.5A priority patent/EP3605660A4/en
Priority to CN201980002218.1A priority patent/CN110603663B/zh
Priority to PCT/KR2019/000717 priority patent/WO2019146962A1/ko
Priority to JP2019561989A priority patent/JP7055431B2/ja
Publication of KR2019009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124B1/ko
Priority to US18/235,072 priority patent/US202303959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지 모듈 및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의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모듈 버스바가 확장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까지 연장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의 전지 모듈을 결합하여 하나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지 모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간소화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휴대폰, 카메라 등의 소형 디바이스에는 하나의 전지셀이 팩킹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이 사용되나, 노트북, 전기 자동차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한 전지 모듈 여러 개를 한데 묶어서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한 중형 또는 대형 전지 모듈 어셈블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전지 모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를 채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전지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전지 모듈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전지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사이에 끼우고 너트를 조임으로써 조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버스바 조립 공정은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제작함에 있어서 작업성을 저하시켜 공정 시간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조립에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하고 공정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의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모듈 버스바가 확장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끝 부분에 만입부를 가지며,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 옆에 다른 전지 모듈을 배치하였을 때, 상기 다른 전지 모듈의 상기 제2 입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단자 구멍을 가지는 너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이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단자 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뻗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2 부분의 끝에서 수평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에셈블리는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지 모듈;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의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모듈 버스바가 확장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까지 연장되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뻗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끝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지 모듈과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는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단자 구멍을 가지는 너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이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은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3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3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3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전지 모듈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전지 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제1 전지 모듈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것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이웃하는 전지 모듈과 연결할 수 있는 버스바를 모듈 자체가 가짐으로써, 전지 모듈 사이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조립에 소요되는 부품 수와 시간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지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의 좌측 커버와 모듈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지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지 모듈의 좌측 커버와 모듈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지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의 좌측 커버와 모듈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는 서로 나란하게 밀착되어 있는 6개의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은 복수의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지셀은 소정의 배열로 밀착 배치되어 있으며, 상호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들 전지셀 중 어느 하나의 전지셀의 입출력 단자는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의 모듈 버스바를 통하여 전지 모듈 외부로 인출되어 이웃하는 전지 모듈과 연결되거나,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의 입출력 단자로 사용된다. 각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은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와 제2 입출력 단자를 가지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입출력 단자를 확장된 모듈 버스바(1)로 구성한다.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 중 제1 전지 모듈(110)을 제외한 나머지 전지 모듈(120, 130, 140, 150, 160)은 이웃하는 오른쪽 전지 모듈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된 모듈 버스바(1)를 가진다. 확장된 모듈 버스바(1)는 전지 모듈(120, 130, 140, 150, 160)의 내부의 전지셀의 단자와 연결되는 모듈 버스바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직각으로 꺾여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고, 제1 입출력 단자의 역할을 하며, 그 자체가 이웃하는 오른쪽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확장된 구조이다. 확장된 모듈 버스바(1)의 끝부분에는 만입부(11)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만입부(11)에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2)가 끼워진다.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의 좌측에는 제2 입출력 단자(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입출력 단자(2)는 나사산을 가지는 몸체와 사각형 헤드(21)를 가지는 볼트의 형태를 가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입출력 단자(2)는 모듈 버스바(4)와 연결되어 있다. 모듈 버스바(4)의 상단은 U자 모양으로 아래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고, 이 부분에 제2 입출력 단자(2)의 몸체가 끼워져 있다. 제2 입출력 단자(2)는 사각형 헤드(21)가 모듈 버스바(4)에 눌려서 고정된다. 또한 확장된 모듈 버스바(1)와 모듈 버스바(4)의 하부는 측면 커버(101)에 덮여서 고정되어 있다.
확장된 모듈 버스바(1)의 만입부(11)가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2)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3)가 제2 입출력 단자(2)에 체결되어 확장된 모듈 버스바(1)와 제2 입출력 단자(2)의 연결을 공고히 한다.
제1 전지 모듈(110)은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의 가장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전지 모듈이 더 이상 없다. 따라서 제1 전지 모듈(110)의 제1 입출력 단자(8)는 제2 입출력 단자(2)와 마찬가지로 나사산을 가지는 몸체와 사각형 헤드를 가지는 볼트의 형태를 가진다. 제1 전지 모듈(110)의 제1 입출력 단자(8)는 전지 모듈 내부와 연결되는 모듈 버스바(5)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전지 모듈(110)의 제1 입출력 단자(8)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100)의 입출력 단자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 모듈을 사용하면, 별도의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확장된 모듈 버스바(1)를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2)에 끼우고 너트(3)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에 필요한 공정 수도 절감할 수 있어서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마지막 단계에서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8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전지 모듈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전지 모듈의 좌측 커버와 모듈 버스바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제2 입출력 단자(2)가 볼트의 형태를 가지고, 여기에 너트를 체결하여 확장된 모듈 버스바(1)를 고정하는 구조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구멍(6)을 가지는 단자 너트(22)를 전지 모듈 내부에 설치하고, 볼트(7)를 단자 구멍(6)에 체결함으로써 확장된 모듈 버스바(1)를 고정하고 제2 입출력 단자를 구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모듈 버스바(1)의 만입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단자 구멍(6)이 위치하도록 단자 너트(22)를 모듈 버스바(4) 안쪽에 배치하고, 이 단자 구멍(6)에 볼트(7)를 체결함으로써 제2 입출력 단자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 모듈을 사용하면, 확장된 모듈 버스바(1)의 만입부를 이웃하는 전지 모듈의 단자 구멍(6)에 위치시키고 볼트(7)를 단자 구멍(6)에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전지 모듈(110, 120, 130, 140, 150, 16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조립에 필요한 공정 수도 절감할 수 있어서 공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어셈블리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확장된 모듈 버스바 11: 만입부
2: 제2 입출력 단자 8: 제1 입출력 단자
5: 제2 모듈 버스바 3: 너트
6: 단자 구멍 7: 볼트
110, 120, 130, 140, 150, 160: 전지 모듈
100: 전지 모듈 어셈블리

Claims (15)

  1.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 및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의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모듈 버스바가 확장되어 상기 모듈 케이스를 벗어난 위치까지 연장되어 이루어져 있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끝 부분에 만입부를 가지며,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 옆에 다른 전지 모듈을 배치하였을 때, 상기 다른 전지 모듈의 상기 제2 입출력 단자가 상기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끼워지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지 모듈.
  4. 제2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단자 구멍을 가지는 너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이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지 모듈.
  5. 제4항에서,
    상기 단자 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6. 제2항에서,
    상기 제1 입출력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뻗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만입부는 상기 제2 부분의 끝에서 수평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전지 모듈.
  7.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전지 모듈;
    복수의 전지셀을 내장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입출력 단자 및 제2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전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부의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1 모듈 버스바가 확장되어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까지 연장되어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수직 방향으로 뻗은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꺾여서 수평 방향으로 뻗은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는 끝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전지 모듈과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와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 또는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0. 제9항에서,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는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끼워져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몸체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1. 제8항에서,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단자 구멍을 가지는 너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이 상기 제2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은 상기 제1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만입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2 입출력 단자의 단자 구멍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3. 제8항에서,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전지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있는 제3 모듈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는 나사선을 가지는 몸체와 그에 연결되어 있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3 모듈 버스바는 상단에 아래로 향하는 만입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의 제1 입출력 단자의 몸체가 상기 제3 모듈 버스바의 만입부에 끼워져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전지 모듈을 2개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지 모듈들은 순차적으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전지 모듈은 상기 제1 전지 모듈들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것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있는 전지 모듈 어셈블리.
  15. 제7항의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80010011A 2018-01-26 2018-01-26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KR102328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11A KR102328124B1 (ko) 2018-01-26 2018-01-26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US16/609,920 US11764433B2 (en) 2018-01-26 2019-01-17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EP19744531.5A EP3605660A4 (en) 2018-01-26 2019-01-17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RRANGEMENT
CN201980002218.1A CN110603663B (zh) 2018-01-26 2019-01-17 电池模块、电池模块组件和包括电池模块组件的装置
PCT/KR2019/000717 WO2019146962A1 (ko) 2018-01-26 2019-01-17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JP2019561989A JP7055431B2 (ja) 2018-01-26 2019-01-17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
US18/235,072 US20230395925A1 (en) 2018-01-26 2023-08-17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011A KR102328124B1 (ko) 2018-01-26 2018-01-26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049A KR20190091049A (ko) 2019-08-05
KR102328124B1 true KR102328124B1 (ko) 2021-11-17

Family

ID=6739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011A KR102328124B1 (ko) 2018-01-26 2018-01-26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64433B2 (ko)
EP (1) EP3605660A4 (ko)
JP (1) JP7055431B2 (ko)
KR (1) KR102328124B1 (ko)
CN (1) CN110603663B (ko)
WO (1) WO2019146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587A (ko) * 2018-12-04 2020-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KR20210046340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KR20210052984A (ko) * 2019-11-01 2021-05-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시스템
CN112397832B (zh) * 2020-11-25 2023-01-24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CN114976446A (zh) * 2021-02-25 2022-08-30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一体式水冷电池模组
GB2612807A (en) * 2021-11-12 2023-05-17 Jaguar Land Rover Ltd Battery module for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4337A (ja) 2013-02-08 2014-08-25 Toyota Motor Corp 接続部材
KR101524002B1 (ko) 2012-09-24 2015-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 전자 개폐기를 적용한 전지팩
JP2016225065A (ja) 2015-05-28 2016-12-28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91B1 (ko) * 2004-12-24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EP2382679B1 (en) 2009-01-23 2020-04-22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chemical cells with integrally formed terminals
CN103238232A (zh) 2010-11-30 2013-08-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池模块和电池组
JP5694843B2 (ja) * 2011-04-25 2015-04-01 Jm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US9118069B2 (en) 2011-05-10 2015-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cell with integrated busbar
JP2013020855A (ja) * 2011-07-12 2013-01-31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CN102916153B (zh) 2011-08-04 2015-06-10 深圳市雄韬电源科技股份有限公司 无对焊件铅酸电池组
JP2013073929A (ja) * 2011-09-29 2013-04-22 Gs Yuasa Corp 電池パック
KR101294188B1 (ko) 2011-11-30 2013-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전압배터리의 안전구조
WO2013103244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KR101533991B1 (ko) * 2012-09-18 2015-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JP5965348B2 (ja) 2013-04-11 2016-08-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WO2014178114A1 (ja) * 2013-04-30 2014-11-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組電池用バスバおよび組電池
KR20150031093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
KR101720618B1 (ko) * 2013-12-17 2017-03-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버스바 홀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9653720B2 (en) 2013-12-19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assembly
JP6216254B2 (ja) * 2014-01-28 2017-10-18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PL3109925T3 (pl) 2014-03-31 2022-07-18 Lg Energy Solution, Ltd. Moduł akumulatorowy i zawierający go pakiet akumulatorowy
KR101749721B1 (ko) 2014-04-04 2017-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퓨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JP6359362B2 (ja) * 2014-07-07 2018-07-18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KR101750487B1 (ko) 2014-10-31 2017-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233933B1 (ko) 2015-08-26 2021-03-3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397218B1 (ko) * 2015-08-27 2022-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449864B1 (ko) 2015-09-04 2022-09-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002B1 (ko) 2012-09-24 2015-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 전자 개폐기를 적용한 전지팩
JP2014154337A (ja) 2013-02-08 2014-08-25 Toyota Motor Corp 接続部材
JP2016225065A (ja) 2015-05-28 2016-12-28 豊田合成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03663B (zh) 2022-06-14
JP2020520061A (ja) 2020-07-02
US20200203697A1 (en) 2020-06-25
EP3605660A1 (en) 2020-02-05
KR20190091049A (ko) 2019-08-05
US11764433B2 (en) 2023-09-19
US20230395925A1 (en) 2023-12-07
WO2019146962A1 (ko) 2019-08-01
JP7055431B2 (ja) 2022-04-18
EP3605660A4 (en) 2020-05-06
CN110603663A (zh)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124B1 (ko)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JP5504979B2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JP5784136B2 (ja) 新規構造を有するバスバーアセンブリ
KR101326196B1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JP5584820B2 (ja) 新規構造を備えた検知部材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US885913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5566719B2 (ja) 二次電池装置
US9484591B2 (en) Voltage sens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CN103430351A (zh) 汇流排模块及包含该汇流排模块的电源设备
JP2013533579A (ja) 新規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JP2012099477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2013152814A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CN105706272A (zh) 配备有具有改进的联接结构的感测模块的电池模块
JP2022524739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04733A (ko) 리셉터클 구조의 전압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579897B1 (ko) 태양광모듈용 프레임 와이어링 구조 및 조립방법
KR102386201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14170B1 (ko) 차량용 배터리
CN203134834U (zh) 接线盒和太阳能光伏装置
US20200365865A1 (en) Bus Bar Module
US20150056483A1 (en) Power supply device
KR20190101263A (ko) 배터리 팩의 외함,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79665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807693B1 (en) Pow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