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008B1 -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 Google Patents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008B1
KR101956008B1 KR1020180065298A KR20180065298A KR101956008B1 KR 101956008 B1 KR101956008 B1 KR 101956008B1 KR 1020180065298 A KR1020180065298 A KR 1020180065298A KR 20180065298 A KR20180065298 A KR 20180065298A KR 101956008 B1 KR101956008 B1 KR 10195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jectory
movement
abnormal operation
l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훈
전창호
Original Assignee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filed Critical 쿠도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는,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생성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Trajectory and Data Bui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차량이나 사람 등의 대상물에 대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 구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사고의 원인을 쉽게 밝히거나 도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궤적(trajectory)이라 함은 사전적으로는 자동차 바퀴가 지나간 자극이라는 뜻으로, 물체가 움직이면서 남긴 움직임을 알 수 있는 자국을 이르는 말이다. 다시 말해, 자동차의 앞바퀴와 뒷바퀴가 남긴 길의 관계인데, 앞바퀴의 트레드 거리와 뒷바퀴의 트레드 거리의 중심선과의 일직선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넓게는 이동중인 물체나 유체가 연속적으로 지나간 점들을 연결한 공간상의 선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주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에 컴퓨터를 탑재하고 CD-ROM이나 전파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판독하여 현재 위치를 표시한다든지, 목적지를 입력하면 최적 경로를 표시한다든지 하는 장치인데, 이러한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서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와 현재 주행중인 차량의 정보(예: 출발지와 목적지)를 결합하여 자차 위치정보라고 판단되면 궤적 표시 모드로 변환한 후 도로를 주행하면 주행한 길을 따라 궤적이 표시되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종래에는 궤적과 관련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과적 감지 카메라 등을 통해 반사신호를 이용하여 감지구간 내를 주행하는 모든 차량에 대하여 거리궤적과 속도궤적을 확인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궤적과 관련하여 특정 위치에서 차량들의 궤적을 확인 등의 기술에만 활용되어 있어 그 활용범위가 너무 좁다. 다시 말해, 최근들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등을 위시한 4차산업혁명이 대두되면서, 궤적과 관련한 기술을 좀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8779호(2012.08.27)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1781호(2015.06.29)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1872호(2017.01.05)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4504호(2008.09.1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차량이나 사람 등의 대상물에 대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 구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사고의 원인을 쉽게 밝히거나 도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는,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객체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ID가 부여된 객체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다른 속성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색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간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서로 다른 색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영역의 제1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1 데이터 및 제2 영역의 제2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고예측 모델 및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을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여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이전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거나, 상기 대상물 이외의 타 대상물의 동일 또는 유사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객체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ID가 부여된 객체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다른 속성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색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간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서로 다른 색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영역의 제1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1 데이터 및 제2 영역의 제2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고예측 모델 및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을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여 예측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이전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거나, 상기 대상물 이외의 타 대상물의 동일 또는 유사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은,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이나 차량 등에 대한 이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적 학습이나 딥러닝을 포함하여 인공지능 등을 통해 비정상 동작 구간을 판단하여 궤적 데이터를 생성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사회 전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 사고가 발생하거나 공사 현장 등에서 사고가 발생할 때 비정상 동작 구간 및 그 전후만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그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가령 공사 관계자는 특정 도로나 골목에서 차량들의 궤적을 확인하여 도로 설계를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딥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등을 통해 누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히 통행량이 많거나 사고 다발 지역 등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분석하여 사고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생성한 예측모델을 근거로 사용자들에게 사고 예방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도 1의 사용자장치의 화면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 데이터의 검색 및 재생 화면의 일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시스템(100)은 촬영장치(110), 통신망(120), 사용자장치(130) 및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촬영장치(110)와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가 통신망(120)의 네트워크장치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촬영장치(110)는 고정 또는 회전형 카메라를 포함하며, 특정 지역(예: 서울)이나 특정 구역(예: 테헤란로, 도산대로 등)에 설치되어 지정 영역(예: 교차로, 골목길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촬영장치(110)가 차량(95)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인 경우, 이동 중인 차량(95)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통신망(120)으로 전송하게 될 것이다. 촬영장치(110)는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전국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CCTV와 같은 카메라 등을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운영사와의 제휴에 의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110)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자원의 일부를 탑재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시 말해, 통신망(120)을 통해 촬영영상이 전송되는 경우 트래픽이 증가하여 네트워크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장치(110)는 촬영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만을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영역에 촬영장치(110)가 설치될 것이므로, 각각의 촬영장치(110)는 촬영영상이나 그 촬영영상을 분석한 분석 결과를 통신망(120)으로 전송할 때 자신의 식별정보(예: 장치ID)를 함께 전송하게 될 것이다. 기타 촬영영상의 분석과 관련해서는 이후에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나아가, 촬영장치(110)는 관리자가 운용하는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장치(130)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130)를 통해서는 관리자의 수동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를 통해서는 자동 제어되어 동작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가령 서버로서 고가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고가인만큼 고성능의 자원을 포함할 개연성이 높고 따라서 딥러닝을 포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되어 촬영장치(110)의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촬영장치(110)는 이러한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취득하여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갑자기 도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모습이 포착되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영상분석을 통해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를 반영하여 촬영장치(110)의 촬영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평시와 다르게 많은 차량(95)들이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운행하거나 차량(95)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해당 차량(95)을 줌인 또는 줌아웃하는 방식으로 촬영장치(110)를 제어하여 좀더 정확하게 차량(95)의 궤적이 추적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 통신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Node)에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AP)를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촬영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촬영장치(11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장치(130)는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PDP, 스마트폰, 스마트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MP3와 같이 음성만을 출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장치(130)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자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장치(130)는 경찰서의 경찰관이 사용하는 컴퓨터일 수 있고, 공공기관의 건설과나 토목과의 공무원이 사용하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자동차 사고를 처리하기 위하여 보험사 직원들이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장치(130)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 특정 대상물(예: 사람이나 차량 등)에 대한 궤적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궤적 데이터는 동영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궤적 데이터는 사람이나 차량(950)의 비정상 동작 구간에 상응하여 일정 시간의 전후로만 편집되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장치(130)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로부터 목록 정보를 수신한 후, 그 목록에서 선택한 특정 항목에 대한 궤적 데이터, 더 정확하게는 궤적 데이터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이 포함되는 궤적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엄격히 말해, 궤적 데이터는 궤적 신호라 명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신호라 함은 적(R), 녹(G), 청(B)로 구성되는 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도 이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궤적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만을 포함할 수 있지만,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정보란 영상과 별도로 제공되는 분석 결과, 시간, 날짜 등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사현장에 안전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한 후 해당 장소에서의 차량(95)들에 대한 궤적 데이터를 요청한 경우를 한번 가정해 보자. 그러면 사용자는 사용자장치(130)를 통해 해당 장소에 대한 키워드(예: 객체, 영역, 시간대 등)를 입력하여 해당 장소에서 비정상 동작을 보인 차량(95)들에 대한 궤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궤적 데이터는 해당 장소에서의 모든 차량(95)들에 대한 이동정보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궤적 데이터는 특정 영역, 즉 대상물이 비정상 동작을 보인 구간에서는 그 구간에 매칭되어 색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대상물의 전체 궤적 데이터를 볼 때 정상 동작구간은 색상 데이터가 매칭되어 있지 않고, 비정상 동작구간에만 색상 데이터가 매칭되어 있다. 물론 이벤트를 확인하겠다면 그 반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여 활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전자가 더 유익할 것이다. 여기서, 전체 궤적 데이터란 특정 대상물의 시간, 날짜, 연도에 관련된 데이터의 총체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특정 대상물의 이동 패턴, 혹은 생활 패턴에 관련되는 흔적을 알 수 있는 데이터라 볼 수 있다.
사용자장치(130)가 궤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궤적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설계되느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사용자들은 통상 비정상 동작구간에 대하여만 관심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비정상 동작구간의 전후 일정 시간에 해당하는 동영상과, 그 동영상이 재생될 때 화면상에 함께 표시될 수 있는 색상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설계되었다면 그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장치(130)는 동작하게 될 것이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목록 정보를 먼저 제공한 후, 목록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비정상 동작구간의 영상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장치(130)는 생성된 궤적 데이터를 객체(예: 차량, 사람 등), 영역(예: 테헤란로, 도산대로 등), 시간대를 주요 키워드로 사용하여 검색하되, 설계 의도에 따라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궤적 데이터 중심으로 검색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분석 결과는 인접 영역으로 확장되어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장치(130)는 테헤란로에 위치하는 제1 교차로에서의 차량 이동이 제2 교차로에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객체 추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95)의 통행량이나 사람의 유동성 등을 좀더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가령 차량(95)이나 사람들에 대한 이동 경로나 패턴 등과 관련한 데이터를 촬영장치(110)를 통해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며, 이의 과정에서 기계적 학습이나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을 통해 좀더 정확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예측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촬영장치(110)에서 제공한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수신한 촬영영상을 매크로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매크로블록 단위의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우선,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수신된 영상에서 사람, 차량(95), 미확인 물체 여부를 구분해 낸다. 그리고, 구분한 객체에 고유 ID를 부여하게 된다. 정확한 이동 궤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가령, 4륜 차량은 영상에서 분석된 두개의 앞바퀴의 중앙, 이륜차량은 앞바퀴, 미확인 물체는 몸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이동 궤적을 확보하고, 각 객체에 따른 이동 궤적을 생성하며, 각 객체의 이동궤적에 따른 속도 정보도 생성하게 된다. 물론 각 구분된 객체에 대한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각 객체에 대한 활용이 더욱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속도는 영상 분석에서 단위 시간에 대한 이동거리를 연산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의 두 지점에 대한 좌표를 알 수 있고, 촬영 시간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각 객체에 대한 속도는 계산될 수 있을 것이다.
최초에 객체별로 ID가 부여되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그 이후에는 속성만을 매칭시킴으로써 해당 객체별로 추적 즉 이동 궤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객체의 속성이 파악되면 시간도 함께 확인함으로써 차량(95)의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서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고, 또 차량(95)의 가령 하루 동안의 이동 패턴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차량(95)에 대한 이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차량(95)의 운전자에 대한 피로도, 또 사고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해 볼 수 있는 것과도 관련된다. 또한, 특정 영역, 가령 골목길을 통과하는 사람들의 경우, 그 사람의 속성을 알 수 있는 의류 등은 매일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얼굴 등을 중심으로 특징점을 분석하여 사람들을 구분하고, 구분한 사람들의 이동 궤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객체들이 가지는 고유의 특징점을 속성 정보로서 확보하고, 이를 근거로 객체별로 이동궤적을 확보하는 것이 데이터의 분석 측면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가령, 사람은 얼굴의 특징점(혹은 특이점)이라면, 차량(95)은 사고 흔적이나 차량 색상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각 영역에서 촬영장치(110)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해 해당 영역에서의 시간대별 차량(95)의 통행량이나 유동 인구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95)의 시간대별, 날짜별 등으로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함으로써 차량(95)의 통행량 등을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령,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운전자나 차량(95)의 비정상 동작구간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비정상 동작구간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정상동작과 관련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기준값(예: 규칙)으로 기저장한 후 이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또한, 특정 차량에 대하여 학습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것이다. 예컨대, 동일 차량(95)의 며칠간의 이동경로를 확인해 보니, 특정 일에 조금 다른 이동경로가 감지되면 그 조금 다름이 비정상이라 판단하여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비정상적인 속도가 감지되는 구간을 비정상 동작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변의 복수의 차량과 비교하여 대상물인 차량(95)이 비정상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차량 A에서 차량 C는 동일한 동작 패턴을 보이는데, 차량 D가 다른 차량들과 다른 동작 패턴을 보일 때, 차량 D의 비정상 동작을 감지하여 해당 동작구간을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구간이란 비정상 동작을 보인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일정 시간이 경과된 범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95)과 같은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이 감지되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해당 구간과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러한 궤적 데이터는 객체별, 시간별, 위치별 등 다양한 범주로 분류되어 DB(130a)에 저장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이벤트를 발생시킨 제1 대상물 및 제2 대상물의 색상 데이터를 다르게 매칭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영역의 도로나 골목길 등에서 차량(95)의 통행량 등을 분석하여 날짜 및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통행량이 많다고 판단될 때에는, 다시 말해 통행량이 많았던 시간대나 구간을 비정상 동작구간으로 판단하여 모든 차량들의 이동 궤적에 적색의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거나 혹은 팝업창을 띄워주는 방식 등으로 통행량이 많은 구간이고 시간임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련 정보를 해당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95)의 운전자 등에게 제공하여 다음부터는 우회 도로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복수의 차량들에 대한 이동 궤적을 분석해 본 결과, 특정 영역에서 특정 시간대에 교통 혼잡이 발생하고, 또 어느 방향으로 특히 혼잡이 발생하는지 판단이 되면, 이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특정 영역에서의 이상 궤적 패턴이 생성되면, 생성된 이상 궤적 패턴을 근거로 사고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한 사고예측모델을 근거로 해당 영역, 가령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들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차량간 사고나 보행자 사고가 많은 구간이면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궤적처리부(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통신망(120)과 통신을 수행하여 촬영장치(110)에서 제공하는 촬영영상을 수신하여 궤적처리부(210)에 전달하고, 궤적처리부(210)의 제어 하에 촬영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200)는 통신망(120)과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장치(130)의 요청에 응답하고, 사용자장치(130)로 사용자가 원하는 비정상 동작구간에 대한 궤적 데이터, 즉 동영상의 형태로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궤적처리부(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궤적 데이터 생성 및 검색 동작을 수행한다. 궤적처리부(210)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계 학습이나 딥러닝 등의 인공지능 동작을 수행하여 좀더 정확한 분석과 예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란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데이터 분석결과란 가령 객체간 상관관계나 통행량의 수치화한 통계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궤적처리부(210)는 최초에 수신되는 촬영영상을 시작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영상에서 객체를 구분하여 고유 ID를 부여한다. 다시 말해, 영상 분석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객체라 판단될 때만 고유 ID가 부여된다고 볼 수 있다. 최초에 ID가 부여된 객체는 동일 영역에서 또 확인될 확률이 높을 것이다. 따라서, 사람인 경우에는 얼굴의 특징점이나 차량의 경우에는 사고 흔적이나 색상 등을 특징으로 하는 속성 정보를 근거로 동일 객체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 객체가 아니라 판단될 때 고유 ID를 부여하는 것이다.
그리고, ID가 부여된 객체는 이동 경로를 분석하여 궤적을 생성한다. 이는 각 영역에 설치되는 도 1의 촬영장치(110)가 촬영하는 촬영 영역 내에서의 각 객체별 이동 궤적을 생성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영역에서 감지된 동일 객체가 있다면 그 이동 궤적의 범위는 점차 넓게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강남 테헤란로의 각 교차로와 도산 대로의 각 교차로의 각 영역에 촬영장치(110)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해 보자. 각 영역에 설치된 촬영장치(110)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면 특정인이나 특정 차량과 같은 특정 대상물에 대한 이동 궤적이 넓게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가 수집되면 궤적처리부(210)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이나 딥러닝을 통해 차량의 유형(예: 버스, 트럭, 밴, SUV, 이륜차 등)이나 사람의 특성(남자, 여자, 옷 타입 등)을 좀더 정확히 분류해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의 이동량이나 차량의 통행량을 분석하여 수치화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차로와 같은 특정 영역에서의 사고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예측 데이터를 근거로 궤적처리부(210)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사고예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궤적처리부(210)는 각 객체별로 이동 궤적이 분석되면 각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구간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궤적처리부(210)는 이전에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가령 특정 운전자의 차량을 가정해 보자. 평상시와 다른 이동 패턴이 감지되면 궤적처리부(210)는 해당 운전자에 문제가 있음을 판단하고, 그 이동 패턴을 좀더 정확히 감지하여 어떠한 유형의 문제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차량이 지그재그(zig-zag)로 이동한다면 졸음 운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신호 위반이 잦으면 운전 습관이 양호하지 않은 운전자인지 등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분석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들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고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근거로 차량 운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통 감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정상 동작구간이 감지되면 궤적처리부(210)는 사용자, 가령 서비스의 관리자 등이 필요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색상 데이터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을 때 화면상에 색상 데이터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궤적처리부(210)는 사고가 발생한 장면의 재생을 사용자가 요청한 경우라면, 이는 궤적 데이터의 생성시 비정상 동작구간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할 때, 교통사고 이벤트가 있음을 인식하기 위한 부가정보를 추가로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는데, 이의 경우에는 사고 차령의 궤적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나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인명의 교통 사고인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는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동영상을 재생해 볼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궤적처리부(210)는 검색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궤적처리부(210)는 가령 객체별 궤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칩 형태의 모듈 내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를 실행하여 궤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검색 엔진을 통해서는 사용자나 관리자로부터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궤적처리부(210)는 검색 엔진을 실행하여 도 1의 DB(140a) 등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나 관리자의 사용자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궤적처리부(210)는 특정 영역에 대한 지역명 등을 입력할 때, 해당 영역에서 특정 시간대의 동영상을 전체로 제공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차량이나 사람 등에 대하여만 관련 정보를 목록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역명을 입력한 후 시간이나 차량의 유형 등을 부가적으로 입력하면 사용자장치(130)로 제공하는 관련 정보는 더욱 감소되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어디까지나 구축된 궤적 데이터를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할 지와 관련되기 때문에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궤적데이터생성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궤적데이터생성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도 2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의 궤적처리부(210)는 도 3의 제어부(310)와 궤적데이터생성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 내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하고, 궤적데이터생성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 데이터 생성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에서 촬영영상이 제공되면 영상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구분하여 R, G, B의 영상 데이터는 궤적데이터생성부(320)로 제공하고, 부가정보는 저장부(3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궤적데이터생성부(32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가령 매크로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체별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킴과 동시에 이벤트, 가령 사건, 사고 유형에 대한 부가정보를 생성하여 추가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저장부(330)에 저장된 도 1의 촬영장치(110)의 식별정보나 지역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하거나 또는 별도로 존재하는 DB(140a)에 저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310)는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궤적데이터생성부(320)는 궤적데이터 생성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도 3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도 2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와 다소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궤적데이터생성부(320) 및 저장부(330)와 관련한 내용은 도 2의 통신 인터페이스부(200) 및 궤적처리부(210)와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도 3의 제어부(310)는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CPU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의 초기 동작시 궤적데이터생성부(320)의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 데이터 생성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는 램(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프로그램의 연산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사용자장치의 화면 레이아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장치(130)는 홈페이지 접속이나,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접속하여 동영상을 재생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1의 사용자장치(130)는 도 4에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분되는 레이아웃 구조의 화면을 표시하고, 제1 영역은 제2 영역의 목록 정보에서 사용자나 관리자가 선택한 특정 항목에 대한 궤적 데이터를 가령 동영상의 형태로 재생시켜 화면에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장치(130)는 제2 영역에 목록 형태로 동영상 목록을 표시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객체별로 동영상 목록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1 영역에서 특정 영상을 확대하여 보고자 할 경우에는 제1 영역이 제2 영역으로 확장되어 영상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장치(130)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나 관리자가 간단하게 지역명과 같은 키워드를 입력하여 동영상을 요청할 때, 객체별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동영상 위주로 목록 정보를 먼저 제공해 줄 수 있고, 그 목록 정보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궤적 데이터를 동영상 등의 형태로 제1 영역에서 재생시킬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어 사용자장치(130)는 제1 영역에 동영상이 재생될 때 제1 영역의 동영상과 관련되는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2 영역에 함께 표시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시간정보를 제공하거나 속도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상 비정상 동작구간을 기점으로 이전과 이후의 일정 시간을 구간으로 하여 동영상을 형성하고, 그 동영상의 비정상 동작구간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기 때문에 동영상의 재생시 일정 시간 재생되거나 일정 시간동안만 매칭된 색상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것이고, 이를 멈추기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동작을 살피거나 대상물간의 충돌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서로 다른 색상이 화면이 표시됨으로써 사건이나 사고의 경위를 파악하기에 더욱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두 객체 사이에 서로 다른 색상이 매칭되도록 저장해 두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특정 지역명을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할 때, 이에 따라 영상을 재생시키면 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 데이터의 검색 및 재생 화면의 일부를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의 실행(예: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클릭 등)에 따라 도 1에 나타낸 사용자장치(130)의 화면표시부에는 도 5a에서와 같은 검색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a에서 볼 때 카메라 2는 검색하려는 영역(예: 교차로 등)의 촬영장치(110)에 해당된다. 그리고, 검색창의 상측에는 가령 날짜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검색 구간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 조건을 설정한 후, 사용자가 도 5a의 화면 하단부의 객체궤적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장치(130)의 화면표시부에는 도 5b 및 도 5c와 같은 화면이 재생되어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 화면표시부에는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일정시간 동안 동영상 형태로 영상이 재생되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5b 및 도 5c에서는 그 중 이벤트가 발생된 곳의 주요 장면만을 정지 영상의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도 5b에서는 가해차량이 비정상 동작구간에서 어떠한 이동 궤적을 보였는지 색상 데이터로 나타내주고 있다면, 도 5c에서는 피해차량이 충돌 후에 어떠한 이동 궤적을 보였는지를 화면상에 잘 보여주고 있다.
도 5b 및 도 5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장치(130)에는 사고 가해차량과 사고 피해차량의 궤적이, 더 정확히 말해 차량 2대의 비정상동작 구간에 해당하는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가 표출되어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도면에서는 동일 색상 데이터가 표출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서로 다른 색상 데이터가 표출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도 5b 및 도 5c에서는 동영상이 풀(full) 화면으로 재생되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앞서 도 4에서 언급한 대로 제1 영역(400)에 동영상이 재생되고, 제2 영역(410)에는 제1 영역(400)에 재생되는 동영상과 관련한 부가정보가 보여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한다(S600). 예를 들어, 카메라 등의 촬영장치(110)로부터 촬영영상을 수신하게 된다.
이어,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생성한 이동 궤적에서 비정상 동작 구간을 판단하며, 판단한 비정상 동작 구간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한다(S610).
이의 과정에서, 가령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여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키는 과정에서 차량 사고와 같이 상대가 있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 대상물에 서로 다른 색상을 매칭시켜 저장시킬 수 있다.
물론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궤적 데이터의 생성시, 특히 비정상 동작 구간을 포함하는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할 때, 다양한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부가정보로는 시간정보, 지역명정보, 위치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매칭시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부가정보를 더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역명정보로 검색이 이루어진 경우, 궤적서비스제공장치(140)는 지역명을 기반으로 비정상 동작구간을 포함하는 궤적 데이터를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제공하되, 이에 부가적인 위치정보 또는 속도정보 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나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에 더욱 유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95: 차량 110: 촬영장치
120: 통신망 130: 사용자장치
140, 140': 궤적서비스제공장치 200,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210: 궤적처리부 310: 제어부
320: 궤적데이터생성부 330: 저장부

Claims (14)

  1.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의 구간 중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을 구성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다른 속성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각각 매칭하거나,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간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영역의 제1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1 데이터 및 제2 영역의 제2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을 구성하는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각 이동 궤적에서의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여 상기 색상 데이터를 매칭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객체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ID가 부여된 객체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고예측 모델 및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을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여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이전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거나, 상기 대상물 이외의 타 대상물의 동일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
  8.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대상물의 이동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이동 궤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의 구간 중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며, 상기 판단한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색상 데이터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을 구성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다른 속성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각각 매칭하거나,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간에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이벤트를 근거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비정상 동작구간의 이동 궤적에 서로 다른 색상의 색상 데이터를 각각 매칭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 영역의 제1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1 데이터 및 제2 영역의 제2 촬영장치에서 제공한 제2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을 구성하는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의 각 이동 궤적에서의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여 상기 색상 데이터를 매칭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서 상기 대상물의 촬영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촬영영상에서 객체별로 ID를 부여하고, 상기 ID가 부여된 객체의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이동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고예측 모델 및 상기 생성한 이동 궤적을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이벤트 발생을 예측하여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물의 이전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거나, 상기 대상물 이외의 타 대상물의 동일 시간대의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대상물의 비정상 동작구간을 판단하는 궤적서비스제공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KR1020180065298A 2018-06-07 2018-06-07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KR10195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98A KR101956008B1 (ko) 2018-06-07 2018-06-07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298A KR101956008B1 (ko) 2018-06-07 2018-06-07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008B1 true KR101956008B1 (ko) 2019-03-08

Family

ID=6580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298A KR101956008B1 (ko) 2018-06-07 2018-06-07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54B1 (ko) * 2021-04-23 2021-09-30 주식회사 비츠에스앤지 교통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504A (ko) 2007-03-16 2008-09-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 공간에서 이동객체의 유사 궤적 클러스터링방법
KR20090118582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토페스 돌발상황 감시 시스템
KR101178779B1 (ko) 2011-06-09 2012-09-07 휴앤에스(주) 차량 주행궤적 추적시스템
KR101464708B1 (ko) * 2013-12-23 2014-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사고다발지역 교통안전 시스템
KR20150071781A (ko) 2013-12-18 201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궤적변환 기반 이동궤적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20170001872A (ko) 2015-06-26 2017-01-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위 카메라 영상에서의 이동 궤적 패턴분석을 이용한 스마트 통계분석장치 및 방법
KR101731461B1 (ko) * 2015-12-09 2017-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에 대한 행동 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504A (ko) 2007-03-16 2008-09-1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 네트워크 공간에서 이동객체의 유사 궤적 클러스터링방법
KR20090118582A (ko) * 2008-05-14 2009-11-18 주식회사 토페스 돌발상황 감시 시스템
KR101178779B1 (ko) 2011-06-09 2012-09-07 휴앤에스(주) 차량 주행궤적 추적시스템
KR20150071781A (ko) 2013-12-18 201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궤적변환 기반 이동궤적 모델링 장치 및 방법
KR101464708B1 (ko) * 2013-12-23 2014-11-2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교통약자 사고다발지역 교통안전 시스템
KR20170001872A (ko) 2015-06-26 2017-01-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방위 카메라 영상에서의 이동 궤적 패턴분석을 이용한 스마트 통계분석장치 및 방법
KR101731461B1 (ko) * 2015-12-09 2017-05-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에 대한 행동 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행동 탐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854B1 (ko) * 2021-04-23 2021-09-30 주식회사 비츠에스앤지 교통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3138B2 (en) Traffic accident warning method and traffic accident warning apparatus
US10475337B2 (en) Investigation assist device, investigation assist method and investigation assist system
US10599929B2 (en) Event monitoring with object detection systems
JP7371157B2 (ja) 車両監視方法、装置、電子機器、記憶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クラウド制御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車路連携システム
KR101964683B1 (ko) 스마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EP3037313A1 (en) Risk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device
WO2021227586A1 (zh) 交通事故分析方法、装置及设备
JP6365311B2 (ja) 交通違反管理システムおよび交通違反管理方法
JP2007178358A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CN113674523A (zh) 交通事故分析方法、装置及设备
KR101525151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939096B1 (ko)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6857211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Chen et al. Vision-based road bump detection using a front-mounted car camcorder
KR101956008B1 (ko)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데이터구축방법
KR20150092402A (ko) 영상 메타데이터 태깅 및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 차량용 카메라 기술과 그 장치를 이용한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handrasekaran et al. Computer vision based parking optimization system
JP4595866B2 (ja) 経路情報作成システム及び経路情報作成方法
CN114078319A (zh) 一种检测交通事故隐患地点的方法及装置
JPWO2020039798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KR102385191B1 (ko) 위험차량 실시간 추적 시스템 및 추적 방법
JP4572823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KR102009448B1 (ko) 사물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646925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102518152B1 (ko) 대교 위 다채널 카메라 영상에서 차량 추적 기반의 불법 차선침입 검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