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33B1 -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 Google Patents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33B1
KR101955933B1 KR1020170165963A KR20170165963A KR101955933B1 KR 101955933 B1 KR101955933 B1 KR 101955933B1 KR 1020170165963 A KR1020170165963 A KR 1020170165963A KR 20170165963 A KR20170165963 A KR 20170165963A KR 101955933 B1 KR101955933 B1 KR 10195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water
discharge
dry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미순
김상경
Original Assignee
오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미순 filed Critical 오미순
Priority to KR102017016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되는 물 수용부; 상기 물 수용부와 하나의 공유 벽을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며 물 티슈와 마른티슈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이 수용되는 배출부; 및 상기 물 수용부와 상기 배출부를 제외한 영역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는 마른 롤 티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마른 롤 티슈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 부재; 상기 공유 벽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 측으로 탄성 지지 되며 상기 물 수용부 측으로 개폐되는 물 배출 도어; 및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 배출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상기 복수의 롤 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마른 티슈를 개방된 물 배출 도어를 통하여 상기 물 수용부의 물과 접촉시키는 이송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Tissue case for selectively discharging dry tissue and wet tissue}
본 발명(Disclsoure)은,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마른 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물을 흡수하도록 하여 물티슈를 배출하도록 한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물티슈와 마른티슈는 서로 독립적인 상자에 수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물티슈는 커버를 제대로 닫지 않는 경우 물이 증발되어 물티슈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물이 흡수된 상태로 오랫동안 사용되므로 세균번식 가능성도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426호는, 물티슈와 마른 티슈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뽑아 쓸 수 있는 상자를 개시한 바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이는 하나의 상자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고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구분하여 수용시킨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세균 증식의 문제, 물티슈가 마르는 문제가 해소될 수 없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904호는, 건조된 티슈 부재에 수분을 실시간 공급하여 적량의 수분이 포함된 물티슈를 실시간으로 제조하여 배출하는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도 2 참조).
이는 사용 필요 시에 물티슈를 제조하므로, 세균 증식의 문제, 건조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나, 제어부(50)와 급수펌프(P)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있어 제조비용이 높고 동작을 위해 전원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2426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904호
본 발명(Discloure)은, 하나의 상자에서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출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한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되는 물 수용부; 상기 물 수용부와 하나의 공유 벽을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며 물 티슈와 마른티슈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이 수용되는 배출부; 및 상기 물 수용부와 상기 배출부를 제외한 영역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는 마른 롤 티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마른 롤 티슈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 부재; 상기 공유 벽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 측으로 탄성 지지 되며 상기 물 수용부 측으로 개폐되는 물 배출 도어; 및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 배출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상기 복수의 롤 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마른 티슈를 개방된 물 배출 도어를 통하여 상기 물 수용부의 물과 접촉시키는 이송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서, 상기 물 수용부와 상기 배출부는 중력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서, 상기 복수의 롤 부재와 상기 물 배출 도어는 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서, 상기 외함에는 상기 물 수용부와 연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투입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에서, 상기 이송바는 상기 복수의 롤 부재를 경유하는 상기 마른 티슈에 접촉되어 상기 마른 티슈의 이송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이송롤;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물티슈와 마른티슈를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티슈에 물을 흡수시킨 즉시 사용이 이루어지며,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의 교체가 자유로워 세균의 번식 가능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롤 부재와 물 배출 도어를 실리콘 재질로 구비함으로써, 물 수용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휴지상자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마른 티슈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4는 물티슈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100)는, 외함(110), 물 수용부(120), 배출유닛(130)을 가지는 배출부(140) 및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를 포함하며, 배출유닛(130)은, 롤 부재(131), 물 배출 도어(133) 및 이송바(135)를 포함한다.
외함(1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휴지상자(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한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재질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다.
물 수용부(120)는 외함(110)의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물티슈의 효과적이 제조를 위해서는 물 수용부(120)가 중력방향으로 배출부(140) 또는 배출유닛(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배출되는 마른 롤 티슈(151)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 수용부(120)에 수용되는 물을 모두 물티슈 제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배출부(140)는, 물 수용부(120)와 하나의 공유 벽(160)을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된다.
또한, 배출부(140)는, 물 티슈와 마른티슈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130)이 수용된다.
이에 의해,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에 수용되는 마른 롤 티슈(151)가 배출부(140)를 경유하여 외부 배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한 배출유닛(130) 조작에 의해 마른티슈 또는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는, 외함(110)의 내부로서, 물 수용부(120)와 배출부(140)를 제외한 영역으로 구획되어 마련된다.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배출유닛(130)은, 롤 부재(131), 물 배출 도어(133) 및 이송바(135)를 포함한다.
롤 부재(131)는, 마른 롤 티슈(151)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롤 부재(131)는,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 및 배출부(14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양단이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벽 또는 배출부(140)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하는 벽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롤러(roller)로 구비된다.
한편, 롤 부재(131)는, 복수로 구비되는데,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송되는 마른 롤 티슈(151)이 이송을 가이드 하거나, 두 개의 롤 부재(131)가 서로 맞대어져 있어 이송되는 마른 롤 티슈(151)를 펴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 배출 도어(133)는, 배출부(140)와 물 수용부(120)의 공유 벽(160)에 구비되어 이송바(13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이송바(135)를 지나는 마른 롤 티슈(151)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물 배출 도어(133)는, 배출부(140) 측으로 탄성 지지, 즉 평형 상태에서 공유 벽(160)과 나란히 배치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개방시에는 물 수용부(120) 측으로 이동되어 개방되게 된다.
이송바(135)는, 배출부(140)에 구비되고, 물 수용부(120)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물 배출 도어(133)에 개방력을 인가하는 구성이다.
즉, 이송바(135)는 물 배출 도어(133)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복수의 롤 부재(131)를 따라 이송되는 마른 롤 티슈를 개방된 물 배출 도어(133)를 통하여 물 수용부(120)의 물과 접촉시킨다.
이송바(135)에 의한 물 배출 도어(133)의 개방은, 물 배출 도어(133)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이기는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물 배출 도어(133)는 개방과 닫힘 과정에서 이송바(135)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물 배출 도어(133)의 개방된 틈으로 배출되는 물은 이송바(135)에 배치되는 마른 롤 티슈(151)에 모두 공급되고 배출부(140)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롤 부재(131)와 물 배출 도어(133)는 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함(110)에는 물 수용부(120)와 연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투입구(12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원리로, 마른 롤 티슈 수용부(150)의 일 측에도 마른 롤 티슈(151)의 보충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이송바(135)는 복수의 롤 부재(131)를 경유하는 마른 롤 티슈(151)에 접촉되어 마른 롤 티슈(151)의 이송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이송롤(135a)을 가지는 것이 마른 롤 티슈(151)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바람직하다.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공간이 구획되어 마련되는 물 수용부;
    상기 물 수용부와 하나의 공유 벽을 가지는 공간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며 물 티슈와 마른티슈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이 수용되는 배출부; 및
    상기 물 수용부와 상기 배출부를 제외한 영역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는 마른 롤 티슈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마른 롤 티슈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롤 부재;
    상기 공유 벽에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 측으로 탄성 지지 되며 상기 물 수용부 측으로 개폐되는 물 배출 도어; 및
    상기 배출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 배출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며 상기 복수의 롤 부재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마른티슈를 개방된 물 배출 도어를 통하여 상기 물 수용부의 물과 접촉시키는 이송바;를 포함하며,
    상기 물 수용부와 상기 배출부는 중력방향으로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마른티슈 배출시에는 탄성지지된 상태로 닫혀진 상기 물 배출 도어가 상기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물 티슈 배출시에는 상기 이송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개방된 상기 물 배출 도어를 통해 상기 마른티슈와 상기 물 수용부에 수용된 물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 부재와 상기 물 배출 도어는 실리콘 재질로 구비되는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에는 상기 물 수용부와 연통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 투입구를 가지는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는 상기 복수의 롤 부재를 경유하는 상기 마른 티슈에 접촉되어 상기 마른 티슈의 이송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이송롤;를 가지는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KR1020170165963A 2017-12-05 2017-12-05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KR10195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63A KR101955933B1 (ko) 2017-12-05 2017-12-05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963A KR101955933B1 (ko) 2017-12-05 2017-12-05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33B1 true KR101955933B1 (ko) 2019-03-11

Family

ID=6575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963A KR101955933B1 (ko) 2017-12-05 2017-12-05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3170A (zh) * 2020-10-28 2021-01-26 山东省润荷卫生材料有限公司 一种两用湿巾盒
KR102313227B1 (ko) * 2021-06-15 2021-10-14 김영민 따뜻한 물티슈 자동 공급 장치
US11672383B2 (en) 2021-03-05 2023-06-13 Dual Strategies, LLC Wet or dry paper towel dispens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684Y1 (ko) * 1999-09-10 2000-03-15 이동일 화장실용 휴지인출기
KR20040023823A (ko) * 2002-09-12 2004-03-20 정용석 즉석 물휴지 시스템
KR20110002426U (ko) 2009-09-02 2011-03-09 (주)어메이징그레이스 물티슈와 마른티슈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티슈케이스
KR20140060702A (ko) * 2012-11-12 2014-05-21 정재환 수동회전식 티슈공급장치
KR101771904B1 (ko) 2015-10-08 2017-08-28 주식회사 하이솔링스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684Y1 (ko) * 1999-09-10 2000-03-15 이동일 화장실용 휴지인출기
KR20040023823A (ko) * 2002-09-12 2004-03-20 정용석 즉석 물휴지 시스템
KR20110002426U (ko) 2009-09-02 2011-03-09 (주)어메이징그레이스 물티슈와 마른티슈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티슈케이스
KR20140060702A (ko) * 2012-11-12 2014-05-21 정재환 수동회전식 티슈공급장치
KR101771904B1 (ko) 2015-10-08 2017-08-28 주식회사 하이솔링스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3170A (zh) * 2020-10-28 2021-01-26 山东省润荷卫生材料有限公司 一种两用湿巾盒
US11672383B2 (en) 2021-03-05 2023-06-13 Dual Strategies, LLC Wet or dry paper towel dispenser
KR102313227B1 (ko) * 2021-06-15 2021-10-14 김영민 따뜻한 물티슈 자동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33B1 (ko) 마른 티슈와 물티슈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휴지상자
KR200274355Y1 (ko) 자동정제분배장치
CA2199092A1 (en) Dispenser apparatus for dispensing paper sheet material
DK0567538T3 (da) Håndklædeautomat
PE20011300A1 (es) Recipiente y cartucho para surtir cantidades controladas de productos de papel
TW368433B (en) Transport and storage carrier
CN113243802A (zh) 一种即时湿巾制作装置及方法
JP6435156B2 (ja) 錠剤包装装置
ES2145725A1 (es) Maquina expendedora.
JP2008133559A (ja) 細断処理機構付ホッパー装置
CN112263171A (zh) 一种即时湿巾制作装置及方法
US10537212B1 (en) Dispenser for coin tissue
ATE289772T1 (de) Aufladevorrichtung für wischmaterialspender
ES2135938T3 (es) Caja de embalaj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ATE424734T1 (de) Cigarettenpapierspender
JP2005225526A (ja) 無菌充填シール装置
US8600261B2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104515A (ko)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ES1044629U (es) Dispensador de detergente en pastilla
US4392028A (en) Pay telephone with sanitized tissue dispenser
CN104570642B (zh) 图像形成设备
IL156431A0 (en) Dispenser for hygienic paper products or the like
US764188A (en) Aseptic-napkin receptacle.
CN214694250U (zh) 一种牛皮加工用清洗烘干一体机
JP2005006654A (ja) 分配装置内の製品流れを分離する分離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