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876B1 -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876B1
KR101955876B1 KR1020170096222A KR20170096222A KR101955876B1 KR 101955876 B1 KR101955876 B1 KR 101955876B1 KR 1020170096222 A KR1020170096222 A KR 1020170096222A KR 20170096222 A KR20170096222 A KR 20170096222A KR 101955876 B1 KR101955876 B1 KR 10195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lay unit
cooking chamber
ove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746A (ko
Inventor
양재경
심훈섭
이수찬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876B1/ko
Priority to EP18838402.8A priority patent/EP3660404A4/en
Priority to PCT/KR2018/007830 priority patent/WO2019022410A1/ko
Priority to US16/633,458 priority patent/US20200236743A1/en
Publication of KR2019001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35Aspects relating to the user interface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27D2021/026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using a video 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븐 및 오븐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플레이트,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조리실과 접하는 내측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플레이트로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어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OV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소정의 공간에 배치된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오븐은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은 가스에 의한 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며, 전자오븐(전자레인지)는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을 상기 오븐에 수용시키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다른 업무를 볼 수 있다.
종래의 오븐에는, 조리온도 및 조리시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가시화시키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은 설치공간상 크기가 제한되어, 비교적 작은 크기로 마련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가시화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의 폐쇄를 위해, 오븐의 도어는 비교적 두꺼운 복수의 유리판으로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통해 상기 오븐 내의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쉽게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알기 위해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고 음식물의 상태를 알아보는 과정에서, 상기 조리실 내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그에 따라,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발명은 도어에 소정의 조리정보를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크기조절이 가능하고 비교적 넓은 화면으로 조리정보를 제공하며, 조리실 내부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오븐의 ON/OFF에 따라 상시로 조리정보를 제공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와 조리과정 중 선택적으로 조리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오븐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에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플레이트,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조리실과 접하는 내측플레이트 및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플레이트로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어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소정의 영상을 투사(project)하는 투사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에는,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외측플레이트에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투사되는 광의 방향을 변경하는 반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공기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중간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로에는,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공기유로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공기유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외측플레이트의 일 면에 소정의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중간플레이트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일 측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경우 OFF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경우 ON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의 제어방법에는 조리실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는 오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케이스 디스플레이부에 소정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가 가열되며 조리가 시작되고, 상기 도어에 설치된 도어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상기 도어에 소정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븐의 ON/OFF에 따라 ON/OFF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조리시작 및 조리종료에 따라 ON/OFF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 영상 또는 조리정보에 관한 영상을 상기 도어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에 소정의 조리정보를 가시화함에 따라 비교적 넓은 화면으로 조리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조리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리실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상기 도어에 가시화하여 사용자가 쉽게 조리실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여 가시화함에 따라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하여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에 입력패널을 구비하여 케이스의 전면에 별도의 버튼 및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도어가 구비될 수 있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설치되는 케이스 디스플레이와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디스플레이를 모두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게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 개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 개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은 상기 오븐(1)의 구성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 및 상기 케이스(10)의 일 면에 부착되는 도어(2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전방이 개방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소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에 사용자에 제공되는 전원부(14), 입력부(15) 및 디스플레이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14)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1)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5)는 사용자가 각종 모드, 온도 및 시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버튼으로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플레이부(16)는 상기 전원부(14)와 함께 ON/OFF 될 수 있으며, 소정의 패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6)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실(1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11)의 내부에는 음식물을 올려두기 위한 그릴(1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11)의 내측벽에는, 상기 그릴(12)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그릴장착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12) 및 상기 그릴장착부(13)는 다양한 개수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및 상기 조리실(11)의 외측에는 가열부(17), 팬(18) 및 상기 팬(18)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19)가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17)는 상기 조리실(11) 내를 가열하며, 상기 팬(18)은 상기 조리실(11) 내부 공기를 유동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가열부(17)는 전기의 입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7)는 상기 팬(18)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팬(18)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18)은 상기 팬모터(1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조리실(11) 내에 상기 가열부(17)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유동시킨다.
즉, 상기 가열부(17) 및 상기 팬(18)은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성으로 이해되며, 도면에서 도시한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은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식 오븐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식, 전자식 등 다양한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에 상기 조리실(11)을 개폐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조리실(11)이 개폐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도어(20)의 설치구조 및 잠금장치 등에 관한 구성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에는, 상기 조리실(11) 내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소정의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는, 상기 조리실(11)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2)는 상기 조리실(11)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조리실(11)의 외측 상부에 상기 카메라(32)가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카메라(32)는 다양한 개수 및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11)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조리실(11) 내부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은 다양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의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오븐(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플레이트(24), 상기 조리실(11)과 접하는 내측플레이트(26) 및 상기 외측플레이트(24)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6)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플레이트(28)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중간플레이트(28)는 생략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중간플레이트(28)가 하나로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외측플레이트(24), 상기 내측플레이트(26)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28)는 상기 조리실(11) 내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24, 26, 28)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통해 상기 조리실(11)을 볼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비된다.
각 플레이트는 열의 전달을 최소화하는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외측플레이트(24)와 상기 중간플레이트(28)사이에는 제 1 공기유로(23)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플레이트(28)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6)사이에는 제 2 공기유로(25)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23, 25)를 통해 상기 도어(20)의 상부로 토출되며 상기 도어(20)의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도어(20)의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조리실(11)의 내부를 관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즉,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각 플레이트의 이격거리에 따라 형성되는 빛의 반사 등에 의해, 상기 도어(20)가 투명한 유리판으로 구비되어도 사용자는 상기 조리실(11)의 내부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6)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됨에 따라, 크기가 제한되어 먼 거리에서는 사용자가 이에 도시된 정보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에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도록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40)가 구비된다. 이하,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16)와 구별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라 하고, 상기 도어(2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도어 디스플레이부(40)라 한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에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와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는 생략될 수 있다(도 9 참조).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소정의 정보를 갖는 영상을 투사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HUD(Head Up Display)의 일종으로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모듈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u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외측플레이트(24)와 상기 내측플레이트(26)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중간플레이트(28)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외측플레이트(24)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외측플레이트(24)의 내측면, 즉, 상기 제 1 공기유로(23)를 형성하는 일 면에 영상을 투사한다.
이때, 상기 외측플레이트(24)는 유리 등과 같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플레이트(24)의 외측면, 즉, 상기 오븐(1)의 외부에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소정의 정보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32)에서 촬영된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1)을 관찰하지 않아도 직관적으로 상기 조리실(11)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투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 및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 소정의 입력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서 투사된 영상을 터치하여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충분한 투사각이 확보되지 않거나, 필요로 하는 위치 및 크기로 영상이 투사되지 않는 경우, 반사부(Reflecto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프리즘 등으로 구비되어 투사되는 광을 소정의 각도 및 크기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와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1)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비되기 때문에 정보가 가시화되는 위치 및 크기가 고정된다. 반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모듈로 구비되기 때문에 다양한 위치 및 크기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븐의 상면 및 측면은 다른 장치나 벽이 위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 및 도어는 상기 오븐의 전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2)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는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정보를 가시화시킨다. 즉,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의 크기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반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도어(20)에 소정의 영상을 투과하기 때문에 비교적 큰 크기로 정보를 가시화시킨다.
이하,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한 디스플레이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소정의 정보가 가시화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상기 외측플레이트(24)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플레이트(24)의 내측에 투사된 영상이 외부에 가시화되는 것이다.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조리실 내부의 온도 및 조리시간에 대한 정보가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상기 도어(20)에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리실(11)에 소정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고, 사용자의 행위를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비교적 많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오븐(1)과 인접한 장소에 계속하여 머물 필요가 없으며 비교적 먼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방에 위치한 오븐(1)에 상기 조리실(11)에 음식물을 조리시키고, 거실로 이동하여 티비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거실에서 주방에 위치한 오븐(1)을 볼 수 있으나,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에 가시화된 정보를 읽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때,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조리정보를 먼 거리에서 알 수 있도록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조리 정보를 보다 크게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영상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 상기 도어(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상기 도어(2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실(11)에서 소정의 빵이 조리되고 있는 상태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부피로 빵이 부풀어야 조리가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을 통해 빵의 부푼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색변화 및 크기변화 등으로 음식물의 조리정도 등을 쉽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음식물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1)에는 상기의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14) 및 상기 입력부(15)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50)에 소정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4) 및 상기 입력부(15)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의 외측에 구비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기기(6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와 상기 모바일기기(60)는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거리에서 상기 오븐(1)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기기(60)를 이용하여 상기 오븐(1)을 예열시키고, 예열이 완료된 후 상기 오븐(1)에 접근하여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소정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에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32)와 상기 조리실(1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카메라(32)는 상기 조리실(11) 내부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을 상기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상기 온도센서(30)는 상기 조리실(11) 내부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소정의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5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는 조리가 시작될 때 상기 타이머(52)에 명령을 전달하여 조리시간을 측정하거나, 예약시간에 맞추어 상기 오븐(1)의 전원을 ON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가열부(17)를 가동시키고, 상기 팬모터(19)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팬(18)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모바일기기(60)에 전달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센서(30)에 의해 전달된 온도 및 상기 타이머(52)에 의해 측정되는 조리시간을 가시화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 및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 및 상기 모바일기기(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오븐(1)의 동작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어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모바일기기(60)는 제외하고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14)에 입력에 따라 상기 오븐(1)의 전원이 ON된다(100). 상기 오븐(1)의 전원이 ON되면,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가 ON되어(102) 사용자는 상기 오븐(1)의 전원이 ON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오븐(1)에 소정의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투입하기 전 예열시키기 위해, 상기 가열부(17) 및 상기 팬(18)이 동작된다. 이러한 과정을 '조리시작(104)'으로 이해할 수 있다.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의 작동여부를 판단한다(106).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오븐(1)을 계속 지켜보는 경우,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의 작동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가 절전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를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의 작동을 선택하면,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ON되어 소정의 영상을 상기 도어(20)에 투사한다(108). 이때, 상기 도어(20)에는 온도 및 시간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32)에 의한 영상 정보 등이 가시화될 수 있다.
조리가 완료되면(110),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OFF된다(112). 또한, 더이상 조리를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오븐(1)의 전원이 OFF되고(114),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도 OFF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는 상기 오븐(1)의 전원과 같이 ON/OFF되며,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는 소정의 상황에서만 ON/OFF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조리중에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ON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상기 오븐(1)에 의해 조리되는 중, 사용자가 상기 오븐(1)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비교적 먼 거리까지 가시화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상기 조리실(11)을 폐쇄하는 경우에만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가 ON되는 것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20)가 개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16)가 생략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40)에 의해서만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부(14) 및 상기 입력부(15)가 생략되고, 상기 도어(20)에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오븐(1)의 전면에 전체적으로 도어(2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깔끔한 외관을 구비한 오븐(1)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븐(1a)에는, 케이스(10a), 도어(20a), 전원부(14a) 및 입력부(15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븐(1a)은 상기 도어(20a)에 손잡이가 생략된 핸드리스(handless) 오븐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a)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도어포켓(7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포켓(70)은 상기 도어(20a)의 상면에서 하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오븐(1a)의 전면외관에서는 상기 도어포켓(70)이 가시화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다 깔끔한 외관을 구비한 오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a)의 내부에는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상기 도어(20a)에 투사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도어 디스플레이부에 관한 내용을 인용하고 생략한다.
이와 같이, 손잡이 및 케이스 디스플레이부가 생략된 오븐(1a)에도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도어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20a)에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1 : 오븐 10 : 케이스
14 : 전원부 15 : 입력부
16 :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20 : 도어
32 : 카메라 40 : 도어 디스플레이부
50 : 제어부 60 : 모바일기기
70 : 도어포켓

Claims (1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플레이트;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조리실과 접하는 내측플레이트;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플레이트로 소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도어 디스플레이부;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플레이트;
    상기 외측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공기유로;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내측플레이트 사이에 소정의 공기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공기유로;가 포함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외측플레이트의 일 면에 소정의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소정의 영상을 투사(project)하는 투사모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도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투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에는,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투사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외측플레이트에 소정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투사되는 광의 방향을 변경하는 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 내부를 촬영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일 측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경우 OFF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경우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 설치되는 케이스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케이스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도어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소정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96222A 2017-07-28 2017-07-28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5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22A KR101955876B1 (ko) 2017-07-28 2017-07-28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EP18838402.8A EP3660404A4 (en) 2017-07-28 2018-07-11 OVEN AND ITS ORDERING PROCEDURE
PCT/KR2018/007830 WO2019022410A1 (ko) 2017-07-28 2018-07-11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US16/633,458 US20200236743A1 (en) 2017-07-28 2018-07-11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222A KR101955876B1 (ko) 2017-07-28 2017-07-28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46A KR20190012746A (ko) 2019-02-11
KR101955876B1 true KR101955876B1 (ko) 2019-05-30

Family

ID=6503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222A KR101955876B1 (ko) 2017-07-28 2017-07-28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36743A1 (ko)
EP (1) EP3660404A4 (ko)
KR (1) KR101955876B1 (ko)
WO (1) WO2019022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8067828B1 (pt) * 2016-03-09 2022-09-13 Koninklijke Philips N.V Aparelho de cozimento por fritura a ar, e método de limpeza de uma câmara de um aparelho de cozimento por fritura a ar
US11287140B2 (en) * 2019-01-04 2022-03-29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US11022322B2 (en) * 2019-01-04 2021-06-01 Whirlpool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US11156367B2 (en) * 2020-01-21 2021-10-2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with an adjustable camera assembly
US11940153B2 (en) 2020-12-01 2024-03-26 GMG Products, LLC Fuel conditioner for grill
KR20220144538A (ko) * 2021-04-20 2022-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230018647A1 (en) * 2021-07-15 2023-01-19 Whirlpool Corporation Real-time automated cooking cycles system using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BE1029940B1 (de) * 2021-11-22 2023-06-19 Miele & Cie Küchengerät, System mit einem Küchengerät und einer externen Computer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 Küchengeräts oder des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9638A1 (en) * 2008-12-09 2010-06-10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light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6212A1 (de) * 2004-07-26 2006-03-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bereitung
KR100793794B1 (ko) * 2006-04-20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044143B1 (ko) * 2009-06-15 201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DE102012103684B4 (de) * 2012-04-26 2016-09-15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r Anzeigeeinrichtung
KR101844403B1 (ko) * 2012-09-25 201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EP3034948B1 (en) * 2014-12-19 2020-05-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Oven door and oven comprising an oven door
WO2016128372A1 (en) * 2015-02-10 2016-08-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Oven door and oven comprising an oven door
EP3292738B1 (en) * 2015-05-05 2020-12-30 June Life, Inc. A connected oven
KR102362654B1 (ko) * 2015-07-03 202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102479811B1 (ko) * 2016-06-13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DE102017004136A1 (de) * 2017-05-01 2018-11-0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Griffmul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9638A1 (en) * 2008-12-09 2010-06-10 Whirlpool Corporation Oven door 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2410A1 (ko) 2019-01-31
EP3660404A1 (en) 2020-06-03
EP3660404A4 (en) 2021-04-07
US20200236743A1 (en) 2020-07-23
KR20190012746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76B1 (ko) 오븐 및 그의 제어방법
US11022322B2 (e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US7696454B2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30025822A (ko) 냉장고
EP2444734B1 (en) Cooker and control unit
KR102467319B1 (ko) 오븐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5856A (ko) 오븐 및 오븐의 도어 개폐 방법
KR20100134430A (ko) 조리기기
KR201500717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846623B2 (ja) 加熱調理器
KR20140039733A (ko) 조리기기
US11686477B2 (en) Cooking appliance with an imaging device
CN105829803B (zh) 加热烹调器
KR101644711B1 (ko) 전자레인지 및 전자레인지의 제어 방법
JP4389878B2 (ja) 加熱調理器
CN208458018U (zh) 炉灶以及烹调支持系统
JP6333163B2 (ja) 冷蔵庫
JP2010040441A (ja) 加熱調理器
KR20230171831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TR201615978A1 (tr) Tutamak i̇çeren bi̇r pi̇şi̇ri̇ci̇ ci̇haz
RU2005122417A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JP2021032484A (ja) 加熱調理器
JP2005265237A (ja) 電子レンジ
WO2007108321A1 (ja) 人物撮影装置
KR20240015557A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패널들 간의 색상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