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58B1 -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58B1
KR101955758B1 KR1020160073373A KR20160073373A KR101955758B1 KR 101955758 B1 KR101955758 B1 KR 101955758B1 KR 1020160073373 A KR1020160073373 A KR 1020160073373A KR 20160073373 A KR20160073373 A KR 20160073373A KR 101955758 B1 KR101955758 B1 KR 10195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mobile banking
banking program
deposi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703A (ko
Inventor
김준희
임양수
조연우
경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Priority to KR102016007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58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은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 계좌의 입출금 가능액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좌 운용 지원부;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및 계좌 운용 지원부 간에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는 금융 거래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저장 및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더욱 쉽고 간편한 조작만으로 개인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 ACCOUNT INTERLOCK USING MOBILE BANKING PROGRAM}
본 발명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기 및 장기 대출 통장이나 입출금 통장 계좌 등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계좌들의 입출금 가능액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는 일정 조건의 금액에 고금리 제공하거나 수수료를 면제해주는 등 다양한 종류의 혜택을 주는 요구불예금,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을 금융상품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요구불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대신에 고금리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정기예금이나 적기적금은 입출금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고 가입 조건이 있는 대신에 고금리가 보장된다. 다만, 정기예금이나 적금은 기본적으로 계약한 만기일까지 해지를 하지 않아야 계약한 금리를 보장받는 제약이 있으며, 가입자가 만기일 전에 정기예금이나 적금을 해지하게 되면 계약 불이행에 따라 낮은 금리를 받거나 금리를 받지 못하게 된다.
정기예금의 경우는 그 금리가 가입금액 즉, 예치해두는 금액이 높을수록 고금리가 보장되기 때문에, 고객의 입장에서는 많은 금액을 정기예금에 넣어두고자 한다.
하지만, 고객은 많은 금액을 정기예금으로 예치해두고 싶어도 불규칙적으로 소비될 수밖에 없는 생활비나 예상치 못하게 급히 자금이 지출되어야 하는 상황에 대비하여 소정의 여유자금을 남겨두고 예치해두어야 했다. 이에 고객들은 보유한 금액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만 정기예금에 가입하거나 예치해두어야 하는 불편함과 아쉬움을 감수해야 했다.
또한,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고객들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마이너스 통장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나 연 단위의 장기 대출 통장 등을 개설하여 마이너스 금액이나 대출 금액 등을 약정된 기간동안 관리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계좌나 정기 예금 계좌 및 장/단기 대출 계좌 등의 연동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각 계좌들의 잔액이나 예금 및 대출 잔액 등을 모두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관리해야만 했고, 그로 인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계좌의 잔액이나 예금액 및 대출 금액의 관리가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마이너스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나 입출금 통장 계좌 등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 계좌들의 입출금 가능액을 용이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계좌나 정기 예금 계좌 및 장/단기 대출 계좌 등의 연동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각 계좌들의 잔액이나 예금 및 대출 잔액 등을 모두 개별적으로 보유하고 관리해야만 했고, 그로 인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계좌의 잔액이나 예금액 및 대출 금액의 관리가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은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 계좌의 입출금 가능액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좌 운용 지원부; 및 각 이동통신 단말기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및 계좌 운용 지원부 간에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는 금융 거래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저장 및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어 입출금 통장 계좌를 포함한 사용자의 보유 계좌를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마이너스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나 입출금 통장 계좌 등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마이너스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나 입출금 통장 계좌 등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 계좌들의 입출금 가능액을 용이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고객의 입장에서는 자유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개인적인 소비 성향과 통장의 용도에 알맞게 고금리 혜택을 받을 예치 금액과 기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예치 금액으로 인한 금리 이득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예치 금액을 높여 보다 유용하게 투자하고 발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고객 관리 및 유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의 다계좌 운용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 통신기기를 통해 활용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메인 화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설정 화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변경 및 설정 방법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6은 도 4의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유지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7은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 동안의 계좌 잔액의 변동 현황을 나타낸 관리 화면이다.
도 8은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이 만료된 목표 달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변경 요청시 팝업으로 표시되는 안내 화면이다.
도 10은 다 계좌의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재설정 방법 및 유지 기간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다른 화면이다.
도 11은 재설정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이 만료된 목표 달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은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220),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 계좌의 입출금 가능액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좌 운용 지원부(230),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210), 및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금 통장은 계좌 잔액의 입출금이 자유로운 계좌의 통장이고, 마이너스 통장은 미리 설정된 금액 범위 이내로 마이너스 출금과 수시 입금이 가능한 단기 대출 계좌의 통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장기 대출 통장은 미리 설정된 기간과 금액이 대출된 상태로 이자와 원금만 수시 입금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금융 상품의 통장이 될 수 있다.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이동 통신기기 및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으며, 별도로 노트북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선택적으로 자신의 거래 은행이나 금융기관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입출금 통장 계좌, 단기 대출 계좌, 장기 대출 계좌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를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금 통장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액을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변환 설정함으로써, 예치기간 동안 출금되지 않고 유지되는 예치 금액이 단기 또는 장기적인 고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 계좌의 잔액은 그 용도가 미리 정해져 있지 않으면 여유 자금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여유 자금이라도 출금이 자유롭지 못한 예치금이나 정기 예금으로 모두 설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유 자금의 일부 금액이라도 고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고자 할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본 발명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한 후, 여유 자금이 입금되어 있는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액을 간편한 터치 및 드레그 동작만으로 출금할 수 없는 예치 금액으로 설정하고, 예치 기간까지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동일 계좌에 보유된 자금의 변동 액수에 따라 예치 금액과 예치 기간을 자유롭고 간편하게 변경 설정함으로써 예치 금액과 기간에 따른 금리와 이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예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여유 자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출금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예치 금액은 출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별도의 단기 대출 통장 계좌의 마이너스 금액이 출금될 수 있도록 마이너스 금액의 출금 한도를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예치 금액이 설정되면 그 설정된 기간에 따라 고금리의 약정이 체결 및 유지되기 때문에, 단기간의 필요성에 의해 소정의 적은 액수의 금액이라도 예치 금액이 출금되면 약정이 파기되어 고금리의 이자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예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여유 자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출금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예치 금액은 출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별도의 단기 대출 통장 계좌의 마이너스 금액이 출금되도록 하면 예치 금액에 따른 약정이 파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기간에 소정의 마이너스 금액이 출금되도록 하고, 다시 마이너스 계좌에 마이너스 되었던 금액이 입금되어 채워지도록 하면 단기적인 마이너스 이자는 지출하더라고 고금리의 예치 약정은 파기되지 않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금리의 예치 이자율과 마이너스 통장의 마이너스 금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유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마이너스 금액의 출금 한도를 미리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220)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계좌 선택메뉴와 금융 거래종류 선택메뉴, 계좌 운용 선택 메뉴, 사용자 설정 화면,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계좌 운용 화면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과 소스 데이터들을 지원한다.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과 연동된다. 그리고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양하게 선택 및 설정되는 이체, 입금, 투자 등의 금융 거래 수행동작에 따라 선택되는 금융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입출금 통장 계좌, 마이너스 통장의 단기 대출 계좌, 장기 대출 계좌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를 조회 및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체 보유 계좌 중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 계좌의 잔액을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으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고금리의 예치 이자율과 마이너스 통장의 마이너스 금리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유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마이너스 금액의 출금 한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계좌 운용 지원부(230)의 금융 거래 지원 및 수행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와이파이(Wi-Fi), 4G, 5G, LTE 등의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별도의 계좌 운용 지원부(230)와도 연동되어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과 계좌 운용 지원부(230)가 연계 동작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이 전송되도록 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는 금융 거래 수행 동작에 따른 운용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운용 정보를 계좌 운용 지원부(230)와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좌 운용 지원 시스템의 계좌 운용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설치하고 로그인 정보 등을 순차 입력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인터페이스 모듈(210)을 통해서 사용자 인증 요청을 받은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데이터 베이스(240)와 연동하여 사용자 정보와 로그인 정보 등을 확인하고 승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그인 및 승인 요청 과정으로 승인까지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치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 보유 계좌를 조회하고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인증 이후의 금융 거래 수행 및 지원 방법과 동작 과정들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순차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이동 통신기기를 통해 활용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개별적인 메인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입출금 통장 계좌, 마이너스 통장의 단기 대출 계좌, 장기 대출 계좌 등을 포함한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를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회하고, 조회된 계좌로 이체, 입금, 투자 등의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금융거래 수행 선택 화면들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조회화면에는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정보 및 금융거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예금, 대출, 펀드, 외화 등의 기본 선택 메뉴들이 선택될 수 있도록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보유한 전체 계좌들의 기본적인 내역과 정보 및 계좌 잔액이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계좌 정보별로 거래메뉴 확인키(MB)를 통해 해당 계좌로 수행할 수 있는 거래 메뉴들이 추가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선택된 거래 메뉴(MS) 또한 터치 동작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각각의 계좌 정보별로 거래메뉴 확인키(MB)를 통해 해당 계좌로 수행할 수 있는 거래 메뉴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거래 메뉴가 수행될 수 있도록 계좌 운용 지원부(2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거래 메뉴의 수행 요청에 따라 금융거래 수행가능 여부를 확인 및 인증하고, 요청된 거래 내용에 따라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후속 동작을 순차 진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설정 화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변경 및 설정 방법을 나타낸 화면이다.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 화면의 거래메뉴 확인키(MB)를 통해 거래 메뉴들 중 계좌 잔액 일부나 전부를 예치 금액으로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중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다수 계좌의 내역이 평면으로 표시되어 각 계좌의 잔액 전부 또는 일부 금액을 터치 및 드레그 동작만으로 출금할 수 없는 예치 금액으로 설정 또는 변경하고, 예치 기간까지 설정 또는 변경하여 실시간으로 약정을 체결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예치 금액 설정 또는 변경화면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중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중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다수 계좌의 전체 잔액이 평면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표시 화면의 적어도 한 선택 라인(ML)이나 적어도 한 선택 포인트(SP)를 터치 및 드레그하여 전체 잔액을 어느 한 계좌의 예치 금액(A 영역 금액)과 다른 한 계좌의 예치 금액(B 영역 금액), 및 또 다른 계좌의 예치 금액(C 영역 금액)으로 나누어 구분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중 선택하거나 예치 금액이 설정 가능한 계좌는 입출금이 자유로운 통장의 계좌이거나 마이너스 통장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 될 수 있다.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택 포인트(SP)는 각 선택 라인(ML)의 일 측이나 타 측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되고, 선택 라인(ML)은 각 계좌의 잔액이 표시된 평면 영역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 라인(ML)이나 선택 포인트(SP)를 터치한 후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등의 드레그 동작을 수행하여 선택 라인(ML)과 선택 포인트(SP)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화면이 지원된다.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에서 각 계좌의 전체 잔액이 표시된 각각의 평면 영역(A,B,C) 중 선택 라인(ML)의 상부 영역에는 지출 가능금액(A)이 선택 라인(ML)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되고, 전체 잔액이 표시된 평면 영역 중 선택 라인(ML)의 하부 영역에는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B)이 선택 라인(ML)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는 선택 라인(ML)이나 선택 포인트(SP)의 터치 및 드레그 동작에 의해 각각의 계좌별로 실시간 변경되는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을 확인하면서 약정에 적용될 예치 금액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및 드레그 동작으로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이 나뉘어 설정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약정에 적용될 예치 금액 설정 정보가 저장 및 인증될 수 있도록 계좌 운용 지원부(230)에 인증 및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을 학인 및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정보를 지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는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내에서 사용자가 예치 기간을 터치 또는 드레그 동작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5의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유지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일반적으로, 예치 금액에 따라 저금리 또는 고금리의 이자 혜택을 주는 예금 예치 기간은 은행들이나 금융기관별로 각각 달리 설정되어 있다.
이에, 도 5와 같이,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각각의 은행 및 금융기관별로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드레그 동작으로 기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 선택창(DS) 팝업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기간 선택창(DS) 팝업 화면을 터치하고 날짜들은 선택함으로써 약정 기간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예치 기간이 길수록 고금리의 이자 혜택을 받고, 예치 기간이 짧을수록 저금리의 이자 혜택을 받도록 약정이 자동 체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인 사정이나 금리 변화에 따라 예치 기간을 선택 또는 변환하여 단기 또는 장기적인 고금리 혜택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 동안의 계좌 잔액 변동 현황을 나타낸 관리 화면이다.
계좌 운용 지원부(230)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이 설정되면, 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약정을 체결하며, 자동으로 약정이 체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약정기간 동안의 상기 예치 금액과 상기 계좌 잔액의 변동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은 도 6과 같이 계좌 잔액의 변동 현황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 계좌잔액 변동 표시화면과 변동 내역 팝업창(MP)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이 설정되어 약정이 자동 체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약정기간 동안의 예치 금액과 계좌 잔액의 변동 현황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 계좌잔액 변동 표시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의 계좌잔액 변동 표시화면을 통해 약정기간 동안 예치 금액과 전체 잔액의 변동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약정기간 동안 예치 금액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이 만료된 목표 달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미리 설정되었던 예치 금액이 약정 기간인 예치기간 동안 유지되었을 때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 약정이 만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목표 달성 알림화면이 제공된다.
목표달성 알림 화면으로는 약정기간 동안의 목표 금액과 월별 이자 혜택 금액 및 누적된 전체 이자 혜택 금액이 표시된다. 또한, 목표 금액을 수정하여 추가적으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연장 설정함으로써, 기간을 연장시켜 약정을 체결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의와 선택 메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유지기간이 만료시 전체 이자 혜택 금액과 잔액 등을 확인한 후 약정을 연장시켜 체결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추가 또는 연장 선택 시에는 다시 도 3에 도시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예치 금액과 약정 기간 등을 재설정할 수도 있다.
도 9는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변경 요청시 팝업으로 표시되는 안내 화면이다.
사용자는 약정 기간인 예치 금액의 예치 설정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을 변경하거나 재설정하고자 요청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예치 금액을 변경하거나 재설정하고자 요청한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변경 전후의 이자 변동 안내 화면과 재설정 진행 여부를 문의하는 팝업 화면이 제공된다.
약정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지출 가능금액 및 예치 금액의 변경 요청은 미리 체결되었던 약정을 파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예치 금액이 유지되었던 기간의 잔액에 대한 금리는 체결되었었던 약정에 따른 고금리가 아닌 일반 입출금 계좌의 저금리로 적용된다. 그리고 일반 입출금 계좌의 저금리 적용 액수가 안내된다.
도 10은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재설정 방법 및 유지 기간 재설정 방법을 나타낸 화면이다.
사용자가 예치 금액을 변경하거나 재설정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각 계좌의 전체 잔액들이 다시 평면형태로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표시 화면의 각 선택 라인(ML1,ML2)이나 각 선택 포인트(SP1,SP2)를 터치 및 드레그하여 전체 잔액을 지출 가능금액과 예치 금액으로 나누어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이 제공된다.
이에, 사용자가 각각의 선택 라인(ML1,ML2)이나 선택 포인트(SP)를 터치한 후 드레그 동작을 수행하여 각 선택 라인(ML1,ML2)과 선택 포인트(SP1,SP2)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바, 각 선택 라인(ML1,ML2)의 상부 영역에는 다시 지출 가능금액이 각 선택 라인(ML1,ML2)의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되고, 각 선택 라인(ML1,ML2)의 하부 영역에는 예치 금액이 각 선택 라인(ML1,ML2)의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다시금 각 선택 라인(ML1,ML2)이나 선택 포인트(SP1,SP2)의 터치 및 드레그 동작에 의해 실시간 변경되는 지출 가능금액과 예치 금액을 확인하면서 약정에 적용될 예치 금액을 재설정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마이너스 통장 계좌의 경우, 마이너스 유용 금액을 상기 각 선택 라인(ML1,ML2)이나 선택 포인트(SP1,SP2)를 이용해 설정할 수 있다.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상에서 사용자가 각 선택 라인(ML1,ML2)이나 선택 포인트(SP1,SP2)를 이동시켜 마이너스 가능한 유용 금액을 설정하면, 계좌 운용 지원부(230)에서는 마이너스 유용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증할 수 있다.
이렇게 마이너스 유용 금액, 지출 가능금액, 및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이 각각의 계좌별로 재설정되면, 다음에는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예치 기간을 터치 또는 드레그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화면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드레그 동작으로 기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재설정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 유지기간이 만료된 목표 달성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지출 가능금액과 예치 금액이 재설정된 이후에 약정 기간인 예치기간 동안 유지되었을 때는 약정이 만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목표 달성 화면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 달성화면으로는 약정기간 동안의 목표 금액과 월별 이자 혜택 금액 및 누적된 전체 이자 혜택 금액이 표시된다. 또한, 목표 금액을 수정하여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추가 설정함으로써 약정을 연장시켜 체결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문의와 선택 메뉴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는 유지기간이 만료시 전체 이자 혜택 금액과 잔액 등을 확인한 후 약정을 연장시켜 체결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추가 선택 시에는 다시 도 3에 도시된 출금 가능금액 및 예치 고정금액의 설정 화면이 표시되어 예치 금액과 약정 기간 등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마이너스 등의 단기 대출 통장이나 입출금 통장 계좌 등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각 계좌들의 입출금 가능액을 용이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개인 자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고객의 입장에서는 자유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개인적인 소비 성향과 통장의 용도에 알맞게 고금리 혜택을 받을 예치 금액과 기간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예치 금액으로 인한 금리 이득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금융기관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예치 금액을 높여 보다 유용하게 투자하고 발전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고객 관리 및 유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1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인터페이스 모듈
220: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 지원부
230: 계좌 운용 지원부
240: 데이터 베이스

Claims (10)

  1.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 계좌의 입출금 가능액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좌 운용 지원부;
    상기 각 이동통신 단말기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 및 계좌 운용 지원부 간에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는 금융 거래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저장 및 지원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상기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중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다수 계좌의 전체 잔액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으로 표시되어, 상기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의 어느 한 선택 라인이나 선택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가 터치 및 드레그하여 상기 전체 잔액의 전부 또는 일부 금액을 상기 단기 또는 고금리의 예금이나 예치 금액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상기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의 다른 어느 한 선택 라인이나 다른 선택 포인트를 상기 사용자가 터치 및 드레그하여 마이너스 금액의 출금 한도를 미리 설정해둘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고금리의 예금이나 예치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여유 자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출금하고자 요청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고금리의 예금이나 예치 금액은 출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별도의 단기 대출 통장 계좌의 마이너스 금액이 출금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자유롭게 설정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드레그 동작으로 예치 기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간 선택창 팝업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예치 기간의 만료시에 목표 금액을 수정하여 추가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연장 설정함으로써 예치 금액과 약정 기간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확인하는 문의와 선택 메뉴가 더 표시되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입출금 통장 계좌, 마이너스 통장의 단기 대출 계좌, 장기 대출 계좌를 포함한 사용자의 전체 보유 계좌 정보가 목록별로 표시되고,
    상기 각각의 계좌 정보별로 거래메뉴 확인키를 통해 해당 계좌로 수행할 수 있는 거래 메뉴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거래 메뉴가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계좌 운용 지원부에 요청하며,
    상기 계좌 운용 지원부는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거래 메뉴의 수행 요청에 따라 금융거래 수행가능 여부를 확인 및 인증하고 상기 요청된 거래 내역에 따라 금융 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후속 동작을 순차 진행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전체 보유 계좌 정보 중 적어도 한 계좌의 잔액 일부나 전부를 상기 예치 금액으로 설정 또는 변경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상기 예치 금액을 설정 또는 변경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계좌별로 설정 또는 변경된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을 설정 또는 변경하여 실시간으로 약정을 체결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포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라인의 일 측이나 타 측 또는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선택 라인은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적어도 한 통장 계좌별 잔액이 표시된 각각의 평면 영역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선택 라인이나 선택 포인트를 터치한 후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리는 드레그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선택 라인 및 상기 선택 포인트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화면이 지원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드레그 선택 화면에서
    상기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적어도 한 통장 계좌의 잔액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평면 영역 중 상기 적어도 한 선택 라인의 상부 영역에는 지출 가능금액이 상기 선택 라인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되고,
    상기 예치 금액 설정이 가능한 적어도 한 통장 계좌의 잔액이 표시된 적어도 한 평면 영역 중 상기 적어도 한 선택 라인의 하부 영역에는 상기 예치 금액이 상기 선택 라인의 이동 위치에 대응하여 실시간 계산되어 표시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7. 삭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및 드레그 동작으로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상기 예치 금액이 나뉘어 설정되면,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약정에 적용될 예치 금액 설정 정보가 저장 및 인증될 수 있도록 상기 계좌 운용 지원부에 인증 및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계좌 운용 지원부는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지출 가능금액과 지출 불가능한 예치 금액을 확인 및 인증과정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정보를 지원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최대 예치 가능기간 내에서 사용자가 예치 기간을 터치 또는 드레그 동작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계좌 운용 지원부는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에서 상기 예치 금액의 예치 기간이 설정되면, 상기 설정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약정을 체결하며,
    상기 자동으로 약정이 체결된 이후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약정기간 동안의 상기 예치 금액, 및 계좌 잔액의 변동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으로는 상기 계좌 잔액의 변동 현황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 계좌잔액 변동 표시화면을 제공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10.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지원부를 통해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단계;
    계좌 운용 지원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갖고 개설된 다수 계좌의 잔액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 또는 고금리 예금으로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다수 계좌의 입출금 가능액을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통해 진행되는 금융 거래 내역을 모니터링하고 저장 및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은
    상기 청구항 1,2,3,5,6,8,9항 중 어느 한 항의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방법.
KR1020160073373A 2016-06-13 2016-06-13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95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73A KR101955758B1 (ko) 2016-06-13 2016-06-13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373A KR101955758B1 (ko) 2016-06-13 2016-06-13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03A KR20170140703A (ko) 2017-12-21
KR101955758B1 true KR101955758B1 (ko) 2019-05-30

Family

ID=6093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373A KR101955758B1 (ko) 2016-06-13 2016-06-13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86B1 (ko) * 2008-07-31 2010-09-15 주식회사 신한은행 고객이 보유한 유동성 예금상품을 이용한 정기 적금상품금리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363A (ko) * 2001-05-09 2003-03-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예금 표시 장치
KR20150047344A (ko) * 2013-10-24 2015-05-04 주식회사 우리은행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86B1 (ko) * 2008-07-31 2010-09-15 주식회사 신한은행 고객이 보유한 유동성 예금상품을 이용한 정기 적금상품금리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03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0712B2 (en) User interface with controller for selectively redistributing funds between accounts
JP5820130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電子マネーサーバ
JP6154517B1 (ja) 端数資金振替蓄積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5125531A (ja) 未来通帳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71568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0004143A (ja) 給与前払システム
US20150012414A1 (en) Electronic money server, electronic money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money processing program product, and storage medium on which electronic money processing program product is stored
JP6455863B2 (ja) 受付装置、受付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1745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955758B1 (ko)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계좌 연동 운용 시스템 및 방법
JP542101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409861B1 (ko)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JP2017211996A (ja) 端数資金振替蓄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70140697A (ko) 모바일 뱅킹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좌 운용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6224195B1 (ja) 支払い手段切替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50384B2 (ja) 銀行口座残高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KR20110109067A (ko) 계좌 이체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RU187125U1 (ru) Платежный терминал
KR20100088909A (ko)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6178945B1 (ja) 端数資金振替蓄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20230114093A1 (en) Pay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advanced funds
JP6209264B1 (ja) 支払い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20987B1 (ko) 전자 결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6077816B2 (ja) 納付システム及び納付システムの納付方法
KR20130006575A (ko) 선택적 금융거래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