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13B1 -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13B1
KR101955613B1 KR1020180073214A KR20180073214A KR101955613B1 KR 101955613 B1 KR101955613 B1 KR 101955613B1 KR 1020180073214 A KR1020180073214 A KR 1020180073214A KR 20180073214 A KR20180073214 A KR 20180073214A KR 101955613 B1 KR101955613 B1 KR 10195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soapy
pipe
soapy 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봉기
문동철
이광배
Original Assignee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문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문동철 filed Critical 태일환경관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elastic covers or coatings, e.g. soapy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맨홀에 불명수가 유입되는 크랙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오수 맨홀의 오수 인입관과 오수 배출관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오수 맨홀의 입구에 비눗물 살포유닛과 공기빼기유닛을 포함하는 맨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눗물 살포유닛의 비눗물 살포관을 회전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공기빼기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생성된 비눗물의 기포의 위치로 크랙 위치를 검출하고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Sewage manhole water inflow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 맨홀으로 불명수가 유입되는 위치를 쉽고 효율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오수 맨홀의 내면에 비눗물을 살포할 수 있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오수 맨홀의 불명수가 유입되는 부분을 검사하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생활폐수를 처리하는 오수관과 우수, 즉 빗물을 처리하는 우수관으로 구분되어 있다.
우수관은 직접 하천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수는 직접 하천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생활폐수는 정화를 한 후, 하천으로 배출하여야 하므로 오수관은 하수처리장으로 연결된다.
오수관은 직선으로 설치되며, 오수관의 방향이 변경되는 곳에는 2개의 오수관을 연결하는 오수 맨홀이 설치된다.
그런데, 오수 맨홀에 크랙이 발생하면, 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외부의 물이 오수 맨홀으로 유입된다. 이하, 이와 같이 출처를 알 수 없으며 오수 맨홀로 유입되는 물을 불명수라 한다.
오수 맨홀에 불명수가 침투하면, 하수처리장에서 처리해야 하는 생활폐수의 양이 늘어나게 된다. 생활폐수의 양이 기준치를 넘으면 하수처리장에서는 생활폐수를 처리하지 못하게 되어 하천을 오염시키게 된다.
특히, 장마철과 같이 많은 비가 오는 경우에, 오수 맨홀에 크랙이 있는 경우 크랙을 통해 많은 양의 불명수가 침투하여 생활폐수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오수 맨홀에 불명수가 유입되는 크랙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불명수가 유입되는 오수 맨홀은 크랙을 보수할 필요가 있다.
오수 맨홀으로 불명수가 유입되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오수 맨홀에 대해 진공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공 검사는 오수 맨홀의 내부를 일정한 부압상태로 만든다. 그후, 오수 맨홀의 부압이 유지되면, 오수 맨홀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므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오수 맨홀의 부압이 유지되지 않고 압력이 올라가면, 오수 맨홀에 크랙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오수 맨홀을 부압으로 만들면, 오수 맨홀에 크랙이 발생하여 불명수가 유입되는 것을 알 수는 있지만, 크랙이 오수 맨홀의 어느 부분에 발생하였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눈으로 크랙이 있는 부분을 확인하여 크랙을 메우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눈으로 보이지 않는 크랙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오수 맨홀의 크랙을 보수한 후 다시 진공 검사를 하여도 다시 부압이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 검사는 크랙의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눈에 보이지 않는 크랙이 있는 경우에는 진공 검사와 보수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오수 맨홀에 크랙이 발생하여 불명수가 유입되는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오수 맨홀의 오수 인입관과 오수 배출관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오수 맨홀의 입구에 비눗물 살포유닛과 공기빼기유닛을 포함하는 맨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눗물 살포유닛의 비눗물 살포관을 회전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공기빼기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생성된 비눗물의 기포의 위치로 크랙 위치를 검출하고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비눗물 살포관은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로 연장되며 비눗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비눗물 살포유닛은 상기 비눗물 살포관에 연결되며, 상기 비눗물 살포관을 회전시키는 살포관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눗물 살포관은, 상기 맨홀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비눗물 살포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비눗물 살포부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비눗물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상기 비눗물 살포관의 상기 비눗물 살포부와 상기 비눗물 연장관을 이용하여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일정 폭으로 순차적으로 비눗물을 도포하고,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눗물 연장관의 일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숫나사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상기 비눗물 살포부가 연결되는 암나사가 마련되며, 상기 비눗물 연장관의 내부에는 비눗물 통로가 마련되며, 외주면으로는 비눗물이 살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오수 맨홀의 내면에 비눗물을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를 사용하여 불명수가 유입되는 크랙이 발생하는 부분을 검출하므로 크랙이 발생한 부분에서는 비눗물의 기포가 발생한다. 따라서, 크랙의 발생 위치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눈에 보이지 않는 크랙도 비눗물의 기포로 쉽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검사와 보수작업으로 오수 맨홀의 크랙을 완전하게 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검사와 보수 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공사시간 및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회전하는 비눗물 살포관을 이용하여 오수 맨홀의 내면에 비눗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작업이 정확하고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오수 맨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맨홀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맨홀 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맨홀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맨홀 커버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로 오수 맨홀을 검사할 때, 크랙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차적인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오수 맨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1)는 맨홀 커버(10), 비눗물 공급장치(3), 및 부압발생장치(5)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 커버(10)는 땅(7)에 매설된 오수 맨홀(100)의 상단을 덮어 오수 맨홀(100) 내부의 공기를 차단한다. 즉, 맨홀 커버(10)는 오수 맨홀(100)의 입구를 밀폐하여 오수 맨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다. 맨홀 커버(10)는 오수 맨홀(100)의 상단에 마련된 오수 맨홀 입구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오수 맨홀(100)은 바닥이 있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오수 맨홀(100)의 상단의 입구는 원형이다. 따라서, 맨홀 커버(10)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수 맨홀(100)이 중공의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오수 맨홀(100)의 입구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는, 맨홀 커버(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맨홀 커버(10)의 둘레에는 고무 패킹(11)이 설치된다. 따라서, 맨홀 커버(10)를 오수 맨홀(100)의 상단에 설치하면, 맨홀 커버(10)와 오수 맨홀(100) 사이에는 고무 패킹(11)이 위치하므로 외부의 공기가 오수 맨홀(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맨홀 커버(10)에는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비눗물을 살포하는 비눗물 공급유닛(20)과 오수 맨홀(100) 내부의 공기를 빼는 공기빼기유닛(60)이 마련될 수 있다.
비눗물 공급유닛(20)은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연장되는 비눗물 살포관(30)을 포함하며, 비눗물 살포관(30)이 회전하며 비눗물을 살포하여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 막을 형성한다. 맨홀 커버(10)의 중앙에는 비눗물 공급유닛(20)이 설치되는 보스부(13)가 마련될 수 있다. 비눗물 공급유닛(20)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빼기유닛(60)은 오수 맨홀(100) 내부를 감압하여 부압(負壓) 상태로 만들기 위해 오수 맨홀(100) 내부의 공기를 빼는 통로 역할을 한다. 공기빼기유닛(60)은 맨홀 커버(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공기배출관(61), 공기배출관(61)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63), 및 오수 맨홀(100)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진공계(6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배출관(61)의 일단은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돌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공기배출관(61)의 타단은 부압발생장치(5)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배출관(61)의 타단은 부압발생장치(5)의 호스(6)를 연결할 수 있는 공압 피팅이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63)는 공기배출관(6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 커버(10)의 상부로 노출된 공기배출관(61)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개폐 밸브(63)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공기배출관(61)을 차단하여 공기배출관(61)으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개폐 밸브(6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기배출관(61)이 개방되어 공기배출관(61)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진공계(65)는 맨홀 커버(10)의 상면에 설치되며, 공기배출관(61)을 통해 오수 맨홀(100)의 공기를 빼는 경우, 대기압 이하로 되는 오수 맨홀(10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비눗물 공급장치(3)는 맨홀 커버(10)의 비눗물 공급유닛(20)에 연결되며, 비눗물 공급유닛(20)에 비눗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비눗물 공급장치(3)와 비눗물 공급유닛(20)은 비눗물 호스(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비눗물 공급장치(3)는 일정한 압력으로 비눗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부압발생장치(5)는 맨홀 커버(10)의 공기빼기유닛(60)에 연결되며, 공기빼기유닛(60)을 통해 오수 맨홀(100)의 공기를 배출하여 오수 맨홀(100) 내부의 압력을 부압으로 만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부압발생장치(5)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부압발생장치(5)는 공기 호스(6)를 통해 맨홀 커버(10)의 공기빼기유닛(6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부압발생장치(5)에서 연장된 공기 호스(6)는 공기빼기유닛(60)의 공기배출관(61)의 일단에 연결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맨홀 커버(10)에 마련되는 비눗물 공급유닛(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맨홀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맨홀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비눗물 공급유닛(20)은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기 위한 비눗물 살포관(30)과 비눗물 살포관(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살포관 회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눗물 살포관(30)은 내부가 빈 원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연장된다. 비눗물 살포관(30)의 하단은 막혀 있으며, 내부에는 비눗물이 흐르는 비눗물 통로(31)가 마련되고, 비눗물 살포관(30)의 외주면에는 비눗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구멍(33)이 마련된다. 복수의 구멍(33)은 비눗물 살포관(30)의 전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비눗물 공급장치(3)로부터 일정한 압력의 비눗물이 비눗물 살포관(30)으로 공급되면, 비눗물 살포관(30)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33)을 통해 비눗물이 살포된다.
비눗물 살포관(30)은 맨홀 커버(10)에 마련된 살포관 구멍(1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비눗물 살포관(3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살포관 구멍(15)의 내면에는 베어링(16)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눗물 살포관(30)과 맨홀 커버(10)의 살포관 구멍(15) 사이에 미끄럼 베어링(16)을 설치하면, 비눗물 살포관(30)이 맨홀 커버(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비눗물 살포관(30)의 일단에는 플랜지(35)가 마련되므로, 비눗물 살포관(30)을 피동 기어(41)에 결합한 경우에 비눗물 살포관(30)이 피동 기어(4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맨홀 커버(10)의 보스(13)에 삽입된 비눗물 살포관(30)의 일 부분은 비눗물을 살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 부분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커버(10)의 상부로 노출된 비눗물 살포관(30)의 일단은 비눗물 공급장치(3)와 연결된다. 비눗물 공급장치(3)와 비눗물 살포관(30)은 비눗물 호스(4)로 연결될 수 있다. 비눗물 살포관(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비눗물 공급장치(3)와 연결되는 비눗물 살포관(30)의 일단에는 회전 조인트(rotary joint)(37)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 조인트(37)에 비눗물 호스(6)를 연결하면, 비눗물 호스(6)는 고정된 상태에서 비눗물 살포관(30)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비눗물 살포관(30)은 오수 맨홀(100)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비눗물 살포관(30)을 통해 비눗물을 살포하면,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전체에 비눗물을 도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비눗물 살포관(30)은 한 개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비눗물 살포관(3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비눗물 살포관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파이프로 형성하여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비눗물 살포관은 오수 맨홀의 깊이에 따라 2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눗물 살포관(50)은 베이스부(51), 비눗물 살포부(53), 및 비눗물 연장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는 맨홀 커버(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맨홀 커버(10)를 관통한다. 따라서, 베이스부(51)는 맨홀 커버(10)에 마련된 살포관 구멍(1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베이스부(15)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살포관 구멍(15)의 내면에는 베어링(16)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눗물 살포관(50)의 베이스부(51)와 맨홀 커버(10)의 살포관 구멍(15) 사이에 미끄럼 베어링(16)을 설치하면, 베이스부(51)가 맨홀 커버(1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부(51)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플랜지(52)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암나사(51a)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52)가 마련된 베이스부(51)의 일단에는 회전 조인트(37)(도 2 참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부(51)의 일단에는 플랜지(52)가 마련되므로, 베이스부(51)를 피동 기어(41)에 결합한 경우에 베이스부(51)가 피동 기어(4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부(51)는 비눗물을 살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5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마련되지 않는다.
비눗물 살포부(53)는 베이스부(51)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비눗물 살포부(53)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전둘레에는 중공과 연통되며 비눗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54)이 마련된다. 또한, 비눗물 살포부(53)의 일단에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에 결합되는 숫나사(53b)가 마련되며, 타단은 막혀 있다. 따라서, 비눗물 살포부(53)를 베이스부(51)에 연결하면, 베이스부(51)를 통해 공급되는 비눗물이 비눗물 살포부(53)의 복수의 구멍(54)을 통해 외부로 살포될 수 있다.
오수 맨홀(100)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베이스부(51)와 비눗물 살포부(53) 사이에 비눗물 연장관(55)을 설치할 수 있다. 비눗물 연장관(55)의 내부에는 비눗물 통로(57)가 마련되며, 외주면에는 비눗물이 배출될 수 있는 복수의 구멍(56)이 전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비눗물 연장관(55)은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에 결합되는 숫나사(55b)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비눗물 살포부(53)의 숫나사(53b)가 결합되는 암나사(55a)가 마련된다. 비눗물 연장관(55)의 일단에 마련되는 숫나사(55b)는 비눗물 살포부(53)의 숫나사(53b)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비눗물 연장관(55)의 타단에 마련되는 암나사(55a)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눗물 연장관(55)의 수나사(55b)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 또는 다른 비눗물 연장관(55)의 암나사(55a)에 연결할 수 있다.
비눗물 연장관(55)은 오수 맨홀(100)의 깊이에 따라 2개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수 맨홀(100)의 깊이는 다양하므로, 다양한 오수 맨홀(100)의 깊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한 개의 비눗물 살포부(53)와 다양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비눗물 연장관(55)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눗물 살포부(53)는 1.5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한 개 준비하고, 비눗물 연장관(55)은 0.3m, 0.5m, 1m 짜리를 복수개 준비할 수 있다. 그러면, 비눗물 살포부(53)와 적어도 한 개의 비눗물 연장관(55)을 연결하여 오수 맨홀(100)의 깊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비눗물 살포관(50)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수 맨홀(100)의 깊이가 2.3m인 경우에, 1.5m의 비눗물 살포부(53)에 0.3m의 비눗물 연장관(55) 한 개와 0.5m의 비눗물 연장관(55) 한 개를 연결하여 비눗물 살포관(5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비눗물 연장관(55)의 외주면에 비눗물을 살포하는 복수의 구멍(56)이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비눗물 연장관(55)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을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비눗물 살포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눗물 살포관(50')은 베이스부(51), 비눗물 살포관(53), 및 비눗물 연장관(5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와 비눗물 살포부(55)는 도 5의 비눗물 살포관(5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눗물 연장관(55')은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에 결합되는 숫나사(55b)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비눗물 살포부(53)의 숫나사(53b)가 결합되는 암나사(55a)가 마련된다. 비눗물 연장관(55')의 일단에 마련되는 숫나사(55b)는 비눗물 살포부(53)의 숫나사(53b)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비눗물 연장관(55')의 타단에 마련되는 암나사(55a)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비눗물 연장관(55')의 수나사(55b)는 베이스부(51)의 암나사(51a) 또는 다른 비눗물 연장관(55')의 암나사(55a)에 연결할 수 있다.
도 6의 비눗물 연장관(55')은 내부에 비눗물 통로(57)만 마련되며, 도 5의 비눗물 연장관(55)과 달리 외주면에 복수의 구멍(56)이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의 비눗물 연장관(55')은 비눗물 살포부(53)로 비눗물을 공급하는 기능만 하며, 외주면을 통해 외부로 비눗물을 살포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의한 비눗물 살포관(50')은 오수 맨홀(100)의 깊이가 깊어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크랙을 순차적으로 발견하고 보수하기 위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수 맨홀(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순차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비눗물을 도포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비눗물 연장관(50')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먼저 베이스부(51)에 비눗물 살포부(53)를 연결하면, 오수 맨홀(100)의 상단 부분의 내면에 비눗물 살포부(53)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 만큼 비눗물을 살포하여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오수 맨홀(100)의 상단 부분의 크랙 검사가 완료되면, 베이스부(51)와 비눗물 살포부(53) 사이에 비눗물 연장관(55')을 설치한다. 그러면, 오수 맨홀(100)의 상단에서 비눗물 연장관(55')의 길이만큼 이격된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살포하여 크랙을 검사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살포관 회전부(40)는 비눗물 살포관(30,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 커버(10)의 상면에 비눗물 살포관(30,50)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살포관 회전부(40)는 비눗물 살포관(30,50)에 고정되는 피동 기어(41)와 피동 기어(41)를 회전시키는 기어드 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동 기어(41)는 맨홀 커버(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비눗물 살포관(30,5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를 위해 피동 기어(41)의 중심에는 비눗물 살포관(30,50)이 삽입되는 관통공(42)이 마련된다. 비눗물 살포관(30,50)은 피동 기어(41)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피동 기어(41)의 관통공(42)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동 기어(41)가 회전하면, 비눗물 살포관(30,50)이 피동 기어(41)와 일체로 회전한다. 피동 기어(41)는 평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맨홀 커버(10)의 상면에는 피동 기어(41)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기어 지지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기어 지지부(17)는 맨홀 커버(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피동 기어(41)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기어드 모터(43)는 피동 기어(4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이다. 따라서, 기어드 모터(43)가 작동하면, 피동 기어(41)가 회전한다. 기어드 모터(43)는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 기어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어 감속기의 출력 기어(45)는 피동 기어(41)와 맞물리는 평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드 모터(43)는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켜 피동 기어(41)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살포관 회전부(40)의 피동 기어(41)와 기어드 모터(43)의 출력 기어(45)는 평 기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기어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어드 모터(43)의 회전을 비눗물 살포관(30,50)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비눗물 살포관(30,50)을 회전시키는 살포관 회전부(40)가 피동 기어(41)와 기어드 모터(43)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비눗물 살포관(30,50)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비눗물 살포관(30,5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의 살포관 회전부의 구성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의 맨홀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맨홀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맨홀 커버(10')는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비눗물을 살포하는 비눗물 공급유닛(20')과 오수 맨홀(100) 내부의 공기를 빼는 공기빼기유닛(60)을 포함한다.
공기빼기유닛(6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맨홀 커버(10)의 공기빼기유닛(6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눗물 공급유닛(20')은 오수 맨홀(100)의 내면에 비눗물을 살포하기 위한 비눗물 살포관(30)과 비눗물 살포관(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살포관 회전부(80)를 포함한다.
비눗물 살포관(30)은 상술한 실시예의 맨홀 커버(10)의 비눗물 살포관(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살포관 회전부(80)는 비눗물 살포관(30)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포관 회전부(80)는 회전판(81)과 손잡이(8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81)은 맨홀 커버(1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비눗물 살포관(30)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를 위해, 회전판(8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에는 비눗물 살포관(30)이 삽입되는 관통공(82)이 마련된다. 비눗물 살포관(30)은 회전판(8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판(81)의 관통공(82)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판(81)이 회전하면, 비눗물 살포관(30)이 회전판(81)과 일체로 회전한다.
손잡이(83)는 회전판(8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8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83)를 잡고 회전판(8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판(81)이 손잡이(83)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판(81)의 중심에 설치된 비눗물 살포관(30)이 회전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크랙을 검사할 오수 맨홀(100)의 내부에 마련된 오수 인입관(101)과 오수 배출관(103)을 차단한다(S10). 예를 들면, 오수 맨홀(100)과 연결되는 오수 인입관(101)의 일단과 오수 배출관(103)의 일단에 플러그(105)를 설치하여 오수 인입관(101)과 오수 배출관(103)의 오수와 공기가 오수 맨홀(100)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 맨홀 커버(10)를 설치한다(S20). 맨홀 커버(10)의 둘레에는 고무 패킹(1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 맨홀 커버(10)를 설치하면, 외부의 공기가 오수 맨홀(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어서, 맨홀 커버(10)의 비눗물 공급유닛(20)에 비눗물 공급장치(3)를 연결한다. 이때, 비눗물 호스(4)를 사용하여 비눗물 공급유닛(20)의 비눗물 살포관(30)의 일단과 비눗물 공급장치(3)를 연결한다.
또한, 맨홀 커버(10)의 공기빼기유닛(60)에 부압발생장치(5)를 연결한다. 이때, 공기 호스(6)를 사용하여 공기빼기유닛(60)의 공기 배출관(61)의 일단과 부압발생장치(5)를 연결한다.
작업자는 비눗물 살포유닛(20)의 비눗물 살포관(30)을 회전시켜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한다(S30).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비눗물 공급장치(3)를 동작시켜 비눗물 공급유닛(20)으로 일정한 압력의 비눗물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비눗물 공급유닛(20)의 살포관 회전부(40)를 작동시켜 비눗물 살포관(30)을 회전시킨다. 비눗물 살포관(30)이 일회전하면, 비눗물 살포관(30)의 외주면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33)으로 비눗물이 분사되어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 전체에 비눗물을 도포하여 비눗물 막(110)을 형성하게 된다.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부압발생장치(5)를 작동시켜 오수 맨홀(100)의 공기를 일정량 뺀다(S40). 그러면, 오수 맨홀(10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 상태가 된다.
오수 맨홀(100)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하면,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크랙이 있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크랙을 통해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크랙(C)이 있는 부분에 비눗물 막(110)에 의해 기포(B)가 형성된다. 크랙(C)이 있는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 부분에 비눗물 기포(B)가 발생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로 오수 맨홀을 검사할 때, 크랙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자는 진공계(65)를 통해 오수 맨홀(100)의 내부의 부압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한다. 만일, 오수 맨홀(100)의 내부가 부압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면, 오수 맨홀(100)에 크랙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서 맨홀 커버(10)를 제거한다.
그후, 작업자는 오수 맨홀(100)의 내부로 들어가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에 의해 기포(B)가 생성된 위치를 확인한다(S50). 기포(B)가 생성된 위치가 크랙(C)이 있는 위치이므로, 작업자는 기포(B)를 통해 크랙(C)이 발생한 오수 맨홀(100)의 부분을 빠르고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크랙(C)을 메우는 보수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작업자는 오수 맨홀 내부의 진공 검사를 수행한다(S60).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 맨홀 커버(10)를 다시 설치하고, 부압발생장치(5)를 작동시켜 오수 맨홀(100)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든다. 오수 맨홀(100)의 크랙(C)을 보수하였으므로, 작업자는 진공계(65)를 통해 오수 맨홀(100)의 내부의 부압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 전체를 한번에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오수 깊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또는 폭)로 순차적으로 크랙을 검사하고 보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맨홀 커버(10)의 비눗물 살포관(50')을 구성하는 비눗물 살포부(53)와 비눗물 연장관(55')을 이용하여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일정 폭으로 순차적으로 비눗물을 도포하고, 비눗물을 도포하는 단계에 따라, 오수 맨홀(100)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하는 단계와 비눗물 거품으로 크랙 위치를 발견하고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인 크랙 검사 및 보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눗물 살포관(50')이 도 6과 같이 분리 가능한 베이스부(51), 비눗물 살포부(53), 및 비눗물 연장관(55')으로 구성된다. 이때, 비눗물 연장관(55')에는 비눗물을 살포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이 마련되지 않는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순차적인 크랙 검사 및 보수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순차적인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오수 맨홀(100)의 깊이를 측정하여 비눗물 도포에 사용될 비눗물 연장관(55')을 준비한다. 예를 들어, 오수 맨홀(100)의 깊이가 4.5m이고, 비눗물 살포부(53)의 길이가 1.5m인 경우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을 깊이 방향으로 3개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비눗물을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 1.5m짜리의 비눗물 연장관 (55') 2개를 준비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커버(10)에 설치된 비눗물 살포관(50')의 베이스부(51)에 비눗물 살포부(53)를 조립하여 맨홀 커버(10)를 준비한다.
그 후, 상술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을 그대로 수행하여,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상측 부분의 크랙을 검출하고, 크랙을 보수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맨홀 커버(10)에서 비눗물 살포부(53)를 분리하고, 베이스부(51)에 비눗물 연장관(55')과 비눗물 살포부(53)를 차례로 결합한다.
그 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커버(10)를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 설치하고, 비눗물 공급장치(3)를 작동시키고, 비눗물 살포관(50')을 회전시키면서 비눗물을 살포한다. 그러면, 비눗물 살포부(53)가 맨홀 커버(10)에서 비눗물 연장관(55')의 길이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중간 부분에 비눗물이 도포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부압발생장치(5)를 작동시켜 오수 맨홀(100)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든 후,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중간 부분에 비눗물 거품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비눗물 거품이 있으면, 크랙 보수를 수행한다.
오수 맨홀(100)의 중간 부분의 크랙 보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맨홀 커버(10)에서 비눗물 살포부(53)를 분리하고, 비눗물 연장관(55')에 두번째 비눗물 연장관(55')을 결합한 후, 두번째 비눗물 연장관(55')에 비눗물 살포부(53)를 다시 결합한다.
그 후,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커버(10)를 오수 맨홀(100)의 입구에 설치하고, 비눗물 공급장치(3)를 작동시키고, 비눗물 살포관(50')을 회전시키면서 비눗물을 살포한다. 그러면, 비눗물 살포부(53)가 맨홀 커버(10)에서 2개의 비눗물 연장관(55')의 길이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하부 부분에 비눗물이 도포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부압발생장치(5)를 작동시켜 오수 맨홀(100)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든 후,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의 하부 부분에 비눗물 거품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비눗물 거품이 있으면, 크랙 보수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1)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의하면, 비눗물 기포를 통해 오수 맨홀(100)에 크랙(C)이 발생한 부분을 빠르고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오수 맨홀(100)의 크랙(C)을 쉽고 정확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에 의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크랙(C)도 비눗물의 기포(B)를 통해 쉽게 발견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검사와 보수작업으로 오수 맨홀(100)의 크랙(C)을 완전하게 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검사와 보수 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은 비눗물 살포관(30,50,50')이 회전하여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으므로 오수 맨홀(100)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작업을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 3; 비눗물 공급장치
4; 비눗물 호스 5; 부압발생장치
6; 공기 호스 10; 맨홀 커버
11; 고무 패킹 15; 베어링
17; 기어 지지부 20; 비눗물 공급유닛
30,50,50'; 비눗물 살포관 31; 비눗물 통로
33,53,56; 구멍 35,52; 플랜지
40,80; 살포관 회전부 41; 피동 기어
43; 기어드 모터 60; 공기빼기유닛
61; 공기배출관 63; 개폐 밸브
65; 진공계 81; 회전판
83; 손잡이 100; 오수 맨홀
101; 오수 인입관 103; 오수 배출관

Claims (5)

  1. 오수 맨홀의 오수 인입관과 오수 배출관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오수 맨홀의 입구에 비눗물 공급유닛과 공기빼기유닛을 포함하는 맨홀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비눗물 공급유닛의 비눗물 살포관을 회전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비눗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공기빼기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생성된 비눗물의 기포의 위치로 크랙 위치를 검출하고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눗물 공급유닛은 상기 비눗물 살포관에 연결되며, 상기 비눗물 살포관을 회전시키는 살포관 회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눗물 살포관은 상기 맨홀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비눗물 살포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비눗물 살포부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비눗물 연장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빼기유닛은 상기 맨홀 커버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 오수 맨홀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진공계, 및 상기 공기배출관과 부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공기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빼기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만드는 단계에서는, 상기 부압발생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배출관을 개방하고,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가 부압 상태로 되면 상기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배출관을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눗물 살포관의 상기 비눗물 살포부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눗물 연장관을 이용하여 상기 오수 맨홀의 내주면에 일정 폭으로 순차적으로 비눗물을 도포하고,
    상기 오수 맨홀의 내부를 부압 상태로 하는 단계와 상기 크랙을 보수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눗물 연장관의 일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숫나사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상기 비눗물 살포부가 연결되는 암나사가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비눗물 연장관의 내부에는 비눗물 통로가 마련되며, 외주면으로는 비눗물이 살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KR1020180073214A 2018-06-26 2018-06-26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KR10195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4A KR101955613B1 (ko) 2018-06-26 2018-06-26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214A KR101955613B1 (ko) 2018-06-26 2018-06-26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613B1 true KR101955613B1 (ko) 2019-03-07

Family

ID=6576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214A KR101955613B1 (ko) 2018-06-26 2018-06-26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920A (zh) * 2021-10-10 2022-01-07 山东水总有限公司 一种翻板闸门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83A (ja) * 2003-08-25 2005-03-17 Nikon Corp 浴室清掃装置
KR100682340B1 (ko) * 2005-12-02 2007-02-15 탑환경주식회사 맨홀의 누수 검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검사장비
JP2008031689A (ja) * 2006-07-27 2008-02-14 Nippon Oil Corp マンホール内壁吹付け工法及び吹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83A (ja) * 2003-08-25 2005-03-17 Nikon Corp 浴室清掃装置
KR100682340B1 (ko) * 2005-12-02 2007-02-15 탑환경주식회사 맨홀의 누수 검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검사장비
JP2008031689A (ja) * 2006-07-27 2008-02-14 Nippon Oil Corp マンホール内壁吹付け工法及び吹付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97920A (zh) * 2021-10-10 2022-01-07 山东水总有限公司 一种翻板闸门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029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bathtub assembly
US5740830A (en) Testing of plumbing installations
US8302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sealing bathtub overflow and waste water ports
CA2437448C (en) Overflow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US7331217B2 (en) Re-usable main drain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955613B1 (ko)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방법
KR101955612B1 (ko) 오수 맨홀 불명수 유입 검사장치
KR101759927B1 (ko) 맨홀 시험용 양수장치
JP2006231153A (ja) 既設鋼製貯油埋設タンク内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2106051A (ja) 既設マンホールの補修方法および補修桝
KR100914748B1 (ko) 진공을 이용한 하수관 부분 보수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383237B1 (ko) 비굴착 방식에 의한 하수관과 가지관의 연결 부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20190008600A (ko) 관로 배면의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배면 함몰량 진단겸 채움재 주입공법
US7044149B2 (en) Pipe fitting
KR100778553B1 (ko) 관로용 수밀시험장비
JPH0613890Y2 (ja) 下水管工事用循環排水装置
KR100682340B1 (ko) 맨홀의 누수 검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검사장비
KR101944464B1 (ko) 산업용 밸브의 수밀 검사장치
CN109083234B (zh) 一种利用虹吸的下水排放装置及排放方法
KR101750260B1 (ko) 상수관로 드레인 누수 및 수질 검사 장치
EP0933628B1 (en) Method for testing the tightness of a floor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KR20210047520A (ko) 관로 점검장치
RU2644423C2 (ru) Лопастная машин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злом, способ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