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441B1 -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441B1
KR101955441B1 KR1020180093705A KR20180093705A KR101955441B1 KR 101955441 B1 KR101955441 B1 KR 101955441B1 KR 1020180093705 A KR1020180093705 A KR 1020180093705A KR 20180093705 A KR20180093705 A KR 20180093705A KR 101955441 B1 KR101955441 B1 KR 10195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main body
striking
frequency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모윤
정대웅
김희준
조인식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5Analysing solids by imparting shocks to the workpiece and detecting the vibrations or the acoustic waves caused by the sh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시편의 특성을 파악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편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시편의 크기에 대응하여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시편을 거치하는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에 거치된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닛을 통해서 측정된 시편의 주파수를 통해 시편의 특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특성을 측정하려는 시편의 크기에 따라 수용이 가능하도록 조절다이얼을 외력이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조절바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 1, 제 2와이어 상에 시편을 거치할 수 있고, 따라서, 시편을 제 1, 2 와이어에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거치시키면서 타격하여 시편의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푸아송비의 측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SPECIMEN CHARACTERISTICS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BY STRIKING SPECIMEN}
본 발명은 시편특성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편을 타격하여 소리의 주파수를 관측하여 시편의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강판 내부결함 검사기법인 유도 초음파의 펄스/에코(pulse/echo)법은 비교적 크기가 큰 결함만을 검출할 수 있었고, 압연과정 중에 표면으로 드러나지 않는 작은 내부결함은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기법에서는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되어 강판 내부를 따라 전파되는 유도 초음파가, 전파되는 경로상에 존재하는 내부결함의 경계면에서 반사되고, 이를 다시 초음파 트랜스듀서로 수신한다.
이와 같이, 내부결함에서 반사되는 유도 초음파를 다시 수신하기 위해 상당히 큰 내부결함으로부터 반사된 유도 초음파의 신호만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도 초음파를 반사시켜 펄스/에코(pulse/echo)법으로 검출할 수 있는 거대한 내부결함은, 냉간압연 후 표면으로 노출되어 표면결함이 되므로, 표면결함검출기(SDD)로도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제강기술의 발달로 이와 같은 거대한 내부결함의 발생율이 감소하였으므로, 거대한 내부결함을 검출하는 내부결함 검출기의 유용성이 떨어진다.
근래에는 강판으로부터 최종제품을 생산할 때 소성 가공성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게재물과 같은 내부결함에 대한 기준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다. 이에, 만족되는 내부결함 검출기법은 종래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결함검출이 가능해야 한다.
최근, 초음파를 이용한 결함 검출방법 중에서는 비선형 초음파 현상을 이용하는 기법이 있으며, 이 기법은 결함으로부터의 초음파 반사파를 수신하는 일반적인 초음파 탐상기법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미소한 초기균열을 검출한다.
기계 구조물에서 피로하중을 받게 되면, 많은 수의 미세한 균열들이 발생하고, 이들이 연결되고 성장하여 구조물의 파손이 이르게 되며, 초음파 탐상법으로 검출되는 균열은 이미 상당히 성장된 상태이므로 이보다 먼저 초기단계의 균열을 검출하여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비선형 초음파 현상은 미세한 균열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전달된 초음파의 2차 고조파 성분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을 수학식 1로 나타낸 것이 비선형 파라미터 β이다.
수학식 1
β=8A₂/A₁²k²x
여기서, A₁과 A₂는 각각 1차 고조파와 2차 고조파의 진폭이고, k는 파수(wave number), x는 전파거리이다. 1차 고조파는 송신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성분의 초음파를 의미하고, 2차 고조파는 송신파의 주파수의 2배의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성분의 초음파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술한 강판의 내부결함 탐상에서는 비선형 초음파를 이용하여 강판 내부의 미세한 내부결함을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53422호(발명의 명칭: 비선형 초음파 발생을 이용한 강판의 내부결함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특성을 측정하려는 시편의 크기에 따라 수용이 가능하도록 장치의 모양이나 간격을 변화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크기에 다른 시편을 수용하기 위해서 장치의 모양이나 간격을 수동적으로 뿐만아니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는,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시편의 특성을 파악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편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시편의 크기에 대응하여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시편을 거치하는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에 거치된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닛을 통해서 측정된 시편의 주파수를 통해 시편의 특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장치본체의 상부에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조절다이얼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다이얼의 조작을 통해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조절바; 상기 한 쌍의 조절바들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설치되어 시편이 거치되는 한 쌍의 제 1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 1와이어들과 연직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함께 시편이 거치되는 제 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닛은, 시편의 타격시 발생하는 타격음을 수집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수집된 타격음을 설정된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측정된 주파수를 통해서 시편의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분석하는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조절바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바들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바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시편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유닛은, 강재로 제작되며 시편을 타격하는 타격봉; 상기 타격봉이 일단의 하부에 돌출 가능하게 연결되며 솔레노이드코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타격봉을 척력이나 인력으로 움직이는 조정암; 및 상기 조정암의 타단과 연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정암을 지지하고 상기 장치본체 측면의 일부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암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유압구동기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와이어는, 텅스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는, 특성을 측정하려는 시편의 크기에 따라 수용이 가능하도록 조절다이얼을 외력이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조절바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 1, 제 2와이어 상에 시편을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편을 제 1, 2 와이어에 수평이나 수직방향으로 거치시키면서 타격하여 시편의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푸아송비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상기 시편특성 측정장치의 타격유닛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시편특성 측정장치로 도 1과는 다른 방향으로 시편을 거치하여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상기 시편특성 측정장치의 타격유닛을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시편특성 측정장치로 도 1과는 다른 방향으로 시편을 거치하여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시편의 특성을 파악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100), 거치유닛(200), 측정유닛(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100)는 시편(30)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거치유닛(200)은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시편(30)의 크기에 대응하여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시편(30)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유닛(200)은 조절바(210), 제 1와이어(220) 및 제 2와이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바(21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장치본체(100)의 상부에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장치본체(100)에 설치된 조절다이얼(50)에 연결되어, 조절다이얼(50)의 조작을 통해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 1와이어(220)는 한 쌍의 조절바(210)들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설치되어 시편(30)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와이어(230)는 한 쌍의 제 1와이어(220)들과 연직상태를 이루면서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제 1와이어(220)와 함께 시편(30)이 거치될 수 있다.
즉, 시편(30)의 타격음을 통해 동탄성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 시편(30)을 조절바(210)들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제 1와이어(220)들에 걸치도록 하면서 수평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시편(30)의 타격음을 통해 전단탄성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편(30)을 제 1와이어(220)와 제 2와이어(230)가 십자로 겹쳐지는 부분에 조절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거치시킨다.
상기 제 1, 제 2와이어(220, 230)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텅스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와이어(220, 230)는 텅스텐 이외에도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금속재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유닛(300)은 거치유닛에 거치된 시편(30)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유닛(300)은 마이크(310) 및 증폭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310)는 시편(30)의 타격시 발생하는 타격음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320)는 마이크(310)에 연결되어 마이크(310)로 수집된 타격음을 설정된 주파수로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기(amplifier, 增幅器)란,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측에 큰 에너지의 변화로 출력하는 장치로서, 취급하는 신호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직류증폭기, 초저주파증폭기, 가청주파증폭기 등으로 나눈다.
상기 관리서버(400)는 측정유닛(300)과 연결되어 측정유닛(300)을 통해서 측정된 시편(30)의 주파수를 통해 시편(30)의 특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분석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기(410)는 측정된 주파수를 통해서 시편(30)의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프와송비에 대해서 알아보면, 동탄성계수(Dynamic Elastic Modulus)는 동적 응력(발파진동, 지진동 등)에 대한 암반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산정하는 것으로, 암반의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결정하며, 초음파 펄스법(ultrasonic pulse method), 공진법(resonance method) 등이 있다.
전단 탄성 계수(modulus of transverse elasticity, 剪斷彈性係數)에 대해서, 탄성체(彈性體)에 있어서는 전단 응력에 대하여도 훅의 법칙은 성립되며, 전단 응력의 전단 휨에 대한 비를 말하는 것으로, 단위는 응력과 같으며 영계수를 E, 포아송비를 v로 나타내면 전단 탄성 계수는 G= E/2(1+v) 로 나타낸다.
푸아송비(Poisson's ratio)란, 재료 내부에 생기는 수직 응력에 의한 가로 변형과 세로 변형과의 비로서, 탄성 한도 내에서는 동일 재료에 대하여 일정하며, 푸아송비 v=e1/e2=1/m (e1 : 세로변형 e2 : 가로변형), (m : 푸아송수 또는 푸아송 역비)로 나타낸다.
즉, 프와송 비란, 고무줄을 예로 들면 고무줄을 수평방향으로 당겨보면, 수평방향으로 늘어나고 수직방향으로는 고무줄이 가늘어지는데, 수평방향으로 늘어난 비율 분의 수직방향으로 늘어난 비율을 프와송 비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프와송 비 ν= -(수직방향 변형률)/(수평방향 변형률) 로 이때, 수직방향으로는 고무줄이 줄어드니까 수직방향 변형은 -가 되므로 앞에 -를 붙여서 양으로 만들어 주며, 물체에 어떤 stress가 가해져서 compression이나 elongation이 일어날 때 그 변형률에 관하여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비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 시편특성 측정장치(10)는 타격유닛(500)과 스테핑 모터(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유닛(500)은 타격봉(510), 조정암(520) 및 지지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봉(510)은 강재로 제작되며 시편(30)을 타격할 수 있다.
상기 조정암(520)은 타격봉(510)이 일단의 하부에 돌출 가능하게 연결되며 솔레노이드코일이 구비되어 있어 솔레노이드코일의 자기력을 통해 타격봉(510)을 척력이나 인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조정암(520)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제작되어 지지대(530)에 구비된 유압구동기(532)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타격봉(510)은 텔레스코프 방식이나 자바라 방식 등으로 조정암(520)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통해서 길이를 변화시키면서 시편(30)의 타격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530)는 조정암(520)의 타단과 연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조정암(520)을 지지하고 장치본체(100) 측면의 일부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솔레노이드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본체(100)의 측면에는 설정된 길이의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지지대(530)의 하부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외력의 가압을 통해서 지지대(530)를 장치본체(100) 상을 이동시키면서 타격유닛(5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홈에 리니어 모터 등을 설치하고 타격유닛(500)과 연결시켜서 타격유닛(500)이 리니어 모터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테핑 모터(600)는 장치본체(100)의 내부에 내장되고, 조절바(210)에 연결되어 조절바(210)들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바(210)들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600)란,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하는 모터로서, 입력 펄스 수에 대응하여 일정 각도씩 움직이는 모터로, 펄스모터 혹은 스텝모터라고도 하며 입력 펄스 수와 모터의 회전각도가 완전히 비례하므로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NC공작기계나 산업용 로봇,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OA 기기에 사용되며, 메카트로닉스 기계에서 중요한 전기 모터의 한 가지이고, 특히, 선형운동을 하는 것을 리니어 스테핑모터라고 한다.
본 발명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의 사용방법으로, 작업자는 시편(30)의 크기에 따라 외력의 가압이나 스테핑 모터(600)를 통해서 조절다이얼(50)로 조절바(210)들의 간격을 조정하고, 제 1와이어(220) 위에 시편(30)을 수평방향으로 놓거나, 제 1, 제 2와이어(220, 230)의 겹친 부분에 시편(30)을 수직방향으로 놓고서 타격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시편(30)은 작업자가 타격봉을 이용하여 직접 타격을 가하거나 타격유닛(500)을 이용한 타격도 가능한데, 타격유닛(500)을 사용할 경우 지지대(530)로 위치를 조절하여 타격유닛(500)의 위치를 설정하고 솔레노이드코일에 자기력을 제공하여 타격봉(510)을 움직이면서 시편(30)을 타격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530)를 장치본체(100)에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타격유닛(500)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310)와 증폭기(320)를 이용하여 타격음의 주파수를 측정하고, 관리서버(400)의 분석기(410)를 통해서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푸아송비를 측정하여 시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시편특성 특정장치
30 : 시편
50 : 조절다이얼
100 : 장치본체
200 : 거치유닛
210 : 조절바
220 : 제 1와이어
230 : 제 2와이어
300 : 측정유닛
310 : 마이크
320 : 증폭기
400 : 관리서버
410 : 분석기
500 : 타격유닛
510 : 타격봉
520 : 조정암
530 : 지지대
532 : 유압구동기
600 : 스테핑 모터

Claims (9)

  1.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시편의 특성을 파악하는 장치에 있어서,
    시편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시편의 크기에 대응하여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시편을 거치하는 거치유닛;
    상기 거치유닛에 거치된 시편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측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닛을 통해서 측정된 시편의 주파수를 통해 시편의 특성을 분석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거치유닛은,
    상기 장치본체의 상부에 설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본체에 설치된 조절다이얼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다이얼의 조작을 통해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조절바;
    상기 한 쌍의 조절바들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각각 설치되어 시편이 거치되는 한 쌍의 제 1와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제 1와이어들과 연직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와이어와 함께 시편이 거치되는 제 2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시편의 타격시 발생하는 타격음을 수집하는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수집된 타격음을 설정된 주파수로 증폭시키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측정된 주파수를 통해서 시편의 동탄성계수, 전단탄성계수 및 프와송비를 분석하는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조절바에 연결되어 상기 조절바들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절바들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시편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은,
    강재로 제작되며 시편을 타격하는 타격봉;
    상기 타격봉이 일단의 하부에 돌출 가능하게 연결되며 솔레노이드코일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의 자기력을 통해 상기 타격봉을 척력이나 인력으로 움직이는 조정암; 및
    상기 조정암의 타단과 연직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정암을 지지하고 상기 장치본체 측면의 일부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솔레노이드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정암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제작되어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유압구동기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와이어는,
    텅스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KR1020180093705A 2018-08-10 2018-08-10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KR10195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05A KR101955441B1 (ko) 2018-08-10 2018-08-10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05A KR101955441B1 (ko) 2018-08-10 2018-08-10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441B1 true KR101955441B1 (ko) 2019-05-30

Family

ID=6667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05A KR101955441B1 (ko) 2018-08-10 2018-08-10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4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818A (ko) * 2007-07-31 2009-02-04 한국전력공사 비파괴 검사장치
KR101053422B1 (ko) 2008-12-22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비선형 초음파 발생을 이용한 강판의 내부결함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KR101405036B1 (ko) * 2013-01-16 2014-06-19 한국남부발전(주) 샤프트 축 동심도 측정장치
KR20160001824A (ko) * 2014-06-26 2016-01-07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 모달 시험 장치
JP2018009906A (ja) * 2016-07-14 2018-01-18 株式会社ポート電子 打音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818A (ko) * 2007-07-31 2009-02-04 한국전력공사 비파괴 검사장치
KR101053422B1 (ko) 2008-12-22 2011-08-01 주식회사 포스코 비선형 초음파 발생을 이용한 강판의 내부결함 검출시스템 및 검출방법
KR101405036B1 (ko) * 2013-01-16 2014-06-19 한국남부발전(주) 샤프트 축 동심도 측정장치
KR20160001824A (ko) * 2014-06-26 2016-01-07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고온 모달 시험 장치
JP2018009906A (ja) * 2016-07-14 2018-01-18 株式会社ポート電子 打音診断装置及び診断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윤선아 외, "IET 법을 이용한 동탄성계수 및 감쇠비 평가 원리 및 응용 사례",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pp.62-6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886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impact excitation technique
CN104931218B (zh) 一种非接触式测量柔性结构的模态振型的系统
CN108168747A (zh) 一种基于激光超声的工件表面残余应力测量装置及其方法
JPWO2013183313A1 (ja) 構造物の分析装置および構造物の分析方法
JPWO2013183314A1 (ja) 構造物の分析装置および構造物の分析方法
JP2606885B2 (ja) 卵殻の弾性の検査を介して卵殻の亀裂或は損傷の存在を測定する卵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70157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lastic properties measurement of materials
JP7026901B2 (ja) 打撃装置および固有周波数測定装置
KR0170544B1 (ko) 비파괴 검사 장치
KR20160038493A (ko) 음향 공진 비파괴 검사 시스템
KR101955441B1 (ko) 시편을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JP2006194595A (ja) 引張り試験方法および装置
CN107796957A (zh) 探针着陆检测
KR20130016758A (ko) 초고주기 피로시험장치
KR101955439B1 (ko) 시편의 온도를 제어하면서 타격하여 특성을 측정하는 시편특성 측정장치
CN110333289A (zh) 一种二维平面波激发、传播和监测的测试系统及方法
LeBlanc et al. A hybrid technique for compression testing at intermediate strain rates
KR101935930B1 (ko) 임펄스 기법을 이용한 피검사체에 대한 동탄성계수 및 푸아송비 측정장비 및 그 방법
EP0429446A4 (en)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ropes by using transverse vibrational wave method
KR101935932B1 (ko) 실린더 형상에 대한 iet 기법을 이용한 동탄성 측정방법
RO125257B1 (ro) Procedeu şi aparat de control nedistructiv
CN110022522B (zh) 采用激振器激励的扬声器振动部件共振频率测量系统及测量方法
EP1095254B1 (en) Surface testing equipment and method
EP3112836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sample object
Zhai et al. An inspection device based on multiple Lamb wave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