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830B1 -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830B1
KR101953830B1 KR1020150125422A KR20150125422A KR101953830B1 KR 101953830 B1 KR101953830 B1 KR 101953830B1 KR 1020150125422 A KR1020150125422 A KR 1020150125422A KR 20150125422 A KR20150125422 A KR 20150125422A KR 101953830 B1 KR101953830 B1 KR 10195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analog
clock
wa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608A (ko
Inventor
이선규
강은구
송찬섭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송찬섭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0Indicating by numbered bands, drums, discs, or shee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2Arrangements for indicating different local apparent times; Universal time pie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시계 디스플레이가 아닌 실제 아날로그 시계를 적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정값을 계산하여 해외 여행시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시계를 보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보정가능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시계 바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부와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시간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산출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기상태일 때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가 디스플레이되고,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시계 디스플레이가 아닌 실제 아날로그 시계를 적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정값을 계산하여 해외 여행시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시계를 보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보정가능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단말기 시장의 확대, 기술의 발전, 보다 소형화되고 편리한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 증대가 맞물리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란 신체 일부에 착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그 중 스마트 와치(Smart Watch)는 일반 전자 시계, 아날로그의 시간 확인 기능 이외에 스마트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더 수행하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이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 와치(Smart Watch)는 실제의 아날로그 시계바늘을 구비한 것이 아닌 아날로그 시계를 디지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아날로그의 느낌을 살리려하였으나 아날로그 특유의 세련미를 살리기 힘든 디자인적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으며, 상시 아날로그 시계를 디지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다 보니 배터리의 소모가 빨리 이루어졌다.
즉, 일반 전자시계나 아날로그 시계의 경우, 시간을 보는 그 본연의 기능만 수행을 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주기가 굉장히 길지만, 종래의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의 경우에는 많은 기능이 집약되어 있다 보니 대기 전력의 소모가 커 배터리 교체 주기가 수 시간에서는 많게는 일주일 정도 밖에 유지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2014-0147586호(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통화모드 동작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된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스마트부재 및 상기 제1 스마트부재로 상기 통화모드 동작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며, 상기 제1 스마트부재로부터 입력된 상기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스마트부재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한다.
상기 특허 문헌은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술적 특성을 설명하고 있을 뿐, 배터리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아날로그 시계를 포함한다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2014-0147586호(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 시계 디스플레이가 아닌 실제 아날로그 시계를 적용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정값을 계산하여 해외 여행시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시계를 보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보정가능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시계 바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부와;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시간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산출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는 위성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와;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보정 시간값을 계산하는 시간 산출부와; 상기 시간 산출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보정하는 시간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간이 보정될 때 아날로그 시간과 디지털 시간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보정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간 보정부는 아날로그 시간과 디지털 시간의 오차가 확인될 때, 기설정된 모션을 입력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는 강제 보정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시계의 구동 방향은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양의 값이고, 시간 값이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양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음의 값이고, 시간 값의 절대값 차가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음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상태일 때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가 디스플레이되고,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의하면, 아날로그 시계 디스플레이가 아닌 실제 아날로그 시계를 적용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의하면,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정값을 계산하여 해외 여행시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시계를 보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보정가능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의 아날로그 시계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보정의 오차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시계 디스플레이가 아닌 실제 아날로그 시계를 적용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보정값을 계산하여 해외 여행시에 사용자가 직접 아날로그 시계를 보정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시계바늘을 돌려 보정가능한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서 아날로그 시계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아날로그 시계 모드' 로, 기설정된 모션에 의해 투명 디스프레이부에 디지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라 용어를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a)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시계 바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부(20)와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10)와 시간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산출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대기상태일 때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20)가 디스플레이되고,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10)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의 왼쪽 도면은 대기 상태일 때 아날로그 시계부(20)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오른쪽 도면은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투명 디스플레이부(10)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가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는 한정하지 않으며, 전화, 메세지, 캘린더, 스케줄, 알람, 날씨정보, MP3, 지도, 운동 모드(심박수, 운동량 확인)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대기 상태일 때 아날로그 시계를 디지털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닌 실제의 시계바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대기상태일 때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가 디스플레이된다.
아날로그 시계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시켜 변환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미리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모션을 선택 가능하다. 물론 스위치ON/OFF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왼손 모드, 오른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왼손 모드를 선택할 시 반시계 방향으로 팔목을 소정 각도, 소정의 속도로 돌렸을 때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될 수 있고, 그와 반대로 오른손 모드를 선택할 시 시계 방향으로 팔목을 돌려 변환할 수 있다.
물론 회전 방향은 반대로도 설정 가능하다.
더불어, 보다 정확한 모션 인식을 위하여 상기 복수번 상기 모션을 반복하였을 때 모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모션 인식 각도가 반시계 방향으로 150°이상, 속도가 8m/s 이상, 동일한 모션을 2초 내에 3번 반복하였을 때 변환되도록 설정을 한 경우, 상기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인식되면 아날로그 시계 모드가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감지 센서에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 센서는 모션의 속도, 가속도, 진행방향 및 각도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모션과 대응되는 모션(이벤트)가 발생시 아날로그 시계 모드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종래의 아날로그 시계는 해외 여행시 시차가 발생시 사용자가 직접 시차를 확인 및 계산하여 시계바늘을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시간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산출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를 포함하여, 위치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받아 해외 시간을 확인 및 보정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는 위성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31)와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보정 시간값을 계산하는 시간 산출부(32)와 상기 시간 산출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보정하는 시간 보정부(3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는 위성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보정 시간값이 발생시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계 바늘을 구동하여 시간을 보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국 서울과 중국 베이징의 시차는 (-)1 시간으로, 서울에 있던 사용자가 중국 베이징으로 갈 경우 아날로그 시계의 오차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는 실시간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31)에서 베이징의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시간 산출부(32)에서 서울의 시간과 베이징의 시차 및 보정값을 계산한다.
즉, 서울의 시간이 정각 3시일 때, 베이징의 시간이 정각 2시이며, (-)1시간 이라는 보정값이 발생하는데 상기 시간 산출부(32)에서 시간 보정부(33)로 데이터값을 보내 시계 바늘을 돌리게 된다.
이때, 아날로그 시계부의 구동 방향은 정방향(시계 방향) 또는 역방향(반시계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시차 및 보정값에 따라 구동 방향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구동 방향은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양의 값이고, 시간 값이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양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음의 값이고, 시간 값의 절대값 차가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음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시계바늘이 가리키는 시간이 정각 2시이고, 보정될 시간이 정각 1시일 경우,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330°회전하는 방법과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30°회전하여 보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후자가 시계바늘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보정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간이 보정될 때 아날로그 시간과 디지털 시간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보정 모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 시계부(20)가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및 시간 보정값을 산출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보정값의 오차가 발생하거나 아날로그 시계 바늘이 계산된 보정 값만큼 정확하게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날로그 시계부의 보정이 발생할 때, 투명 액정 디스플레이도 동시에 활성화되면서, 수로 표기된 디지털 시간과 또는 아날로그 시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으로 동시에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가 동시에 표기되도록 하여, 시간 보정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간과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디지털 시간의 오차가 확인되면 이를 보정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자동으로 보정되도록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강제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시간 보정부(33)는 상기 오차를 보정하는 강제 보정 모드를 포함한다.
즉, 강제 보정 모드란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계바늘과 투명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된 시간 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시차가 발생하여 보정을 해야하지만 보정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모션 등을 취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는 모드를 말한다.
강제 보정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부를 보정이 될 때까지 꾹 눌러 터치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아날로그 시계와 디지털 시계의 시간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때 이를 용이하게 비교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를 20 내지 80%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가 될 수 있다.
투명도가 20% 미만이면 아날로그 시계의 시계바늘을 확인하기 힘들고, 80% 를 초과하면 투명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시계의 시간을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에 상기 투명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낮 시간대와 밤 시간대를 인식하여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신호 및 모션으로 투명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 및 모션은 손바닥으로 일 방향을 쓸어올릴 때 투명도가 증가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쓸어내릴 때 투명도가 감소하는 모션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에 시야각 조절을 위한 구성을 추가하거나 표면에 보호필름을 더 포함함으로써 특정 각도에서만 스마트 와치를 볼 수 있도록 하여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 보정의 오차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서울에 있던 사용자가 베이징으로 간 경우, 베이징의 시간은 정각 2시이지만 아날로그 시계는 보정되지 않고 서울의 시간(정각 3시)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시간 보정 모드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부(10)에 보정될 시간, 즉, 사용자가 머무르고 있는 국가 및 도시(중국, 베이징)의 시간이 수로 표기된 디지털 시간을 디스플레이 하지만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시계부(20)의 시계바늘은 제대로 보정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Error' 라는 메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부(10)에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b)는 강제 보정 모드 실행시 보정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화면을 꾹 누르는 모션을 취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부(10)에 시간(정각 2시)에 맞춰 아날로그 시계부(20)의 시계바늘이 돌아가 보정되며, 보정이 이루어진 후 'Error' 라는 메세지가 사라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투명 디스플레이부
20 : 아날로그 시계부
30 :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
31 :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
32 : 시간 산출부
33 : 시간 보정부

Claims (6)

  1.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에 있어서,
    시계 바늘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시계부와;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와;
    시간과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 산출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 산출부는
    위성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와;
    상기 위성 위치 정보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보정 시간값을 계산하는 시간 산출부와;
    상기 시간 산출부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간을 보정하는 시간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대기상태일 때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가 디스플레이되고, 기설정된 모션에 대응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상기 아날로그 시계부의 시간이 보정될 때 아날로그 시간과 디지털 시간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보정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보정 모드에서
    아날로그 시간과 디지털 시간의 오차가 확인될 때 기설정된 입력 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오차를 보정하는 강제 보정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보정 모드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부의 투명도가 20 내지 80%로 바뀌도록 설정되며, 상기 투명도 범위 내에서 낮 시간대와 밤 시간대를 인식하여 투명도를 조절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 신호 및 모션으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기설정된 모션은
    속도, 가속도, 진행방향, 각도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는
    상기 기설정된 모션을 인식하기 위하여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시계의 구동 방향은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양의 값이고, 시간 값이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양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며, 제공된 시각 정보에서 저장된 현재 시각 정보를 뺀 시간 값이 음의 값이고, 시간 값의 절대값 차가 6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역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시간 값이 음의 값이면서 6시간 보다 클 경우에는 시계바늘을 정방향(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6. 삭제
KR1020150125422A 2015-09-04 2015-09-04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KR101953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22A KR101953830B1 (ko) 2015-09-04 2015-09-04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22A KR101953830B1 (ko) 2015-09-04 2015-09-04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608A KR20170028608A (ko) 2017-03-14
KR101953830B1 true KR101953830B1 (ko) 2019-03-05

Family

ID=5846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22A KR101953830B1 (ko) 2015-09-04 2015-09-04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726B1 (ko) 2020-06-18 2020-11-06 도우덱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음성 알림 기능을 구비한 아날로그시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053B1 (ko) 2013-06-20 2020-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와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726B1 (ko) 2020-06-18 2020-11-06 도우덱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음성 알림 기능을 구비한 아날로그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608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225B2 (en) Electronic timepiece
US20160342141A1 (en) Transparent capacitive touchscreen device overlying a mechanical component
JP6326711B2 (ja) システムおよび移動記録制御方法
JP6747005B2 (ja) 電子時計
JP6778778B2 (ja) 衛星電波時計
US20170060094A1 (en) Analog display device
US9625881B2 (en) Electronic timepiece
KR101953830B1 (ko) 아날로그 시계를 겸용하는 스마트 와치
JP6868960B2 (ja) コンピュータ及び時刻合わせシステム
US10996636B2 (en) Communication device, electronic timepie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82620B2 (ja) 電子時計及び地方時の位置設定方法
JP2014215147A (ja) 電子機器
JP7095170B2 (ja) 電子時計
US20180275615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6010929B2 (ja) 電子時計
JP6825525B2 (ja) 電子時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66046A (ja) 電子時計、電子時計の指針駆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71051B2 (ja) 電子時計
JP6476024B2 (ja) 衛星電波時計及び測位情報決定方法
JP6991906B2 (ja) 電子時計
JP2018124102A (ja) 携帯機器および時計
CN210721043U (zh) 一种智能祷告手表
US9800333B2 (en)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7075816A (ja) 電子時計および電子時計の表示制御方法
JP2016063363A (ja) 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