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93B1 -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 Google Patents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693B1
KR101953693B1 KR1020170117405A KR20170117405A KR101953693B1 KR 101953693 B1 KR101953693 B1 KR 101953693B1 KR 1020170117405 A KR1020170117405 A KR 1020170117405A KR 20170117405 A KR20170117405 A KR 20170117405A KR 101953693 B1 KR101953693 B1 KR 10195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edestal
present
center
s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이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주 filed Critical 이창주
Priority to KR102017011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693B1/ko
Priority to CN201711015656.0A priority patent/CN109481922A/zh
Priority to US15/793,961 priority patent/US107515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plane, e.g. sk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Skates
    • A63C1/30Skates with special blades
    • A63C1/36Skates with special blades with severa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3/00Accessories fo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63B2022/18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specially adapted for using with a single foot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8Sk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8Skating
    • A63B2244/183Artistic or figure sk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에 있어서, 편평한 판재로서, 연습자의 발이 얹어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에 하부로서 지면과 맞닿으며, 전후방향 양단 사이가 곡면을 이루어 돌출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스케이트날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두께의 플레이트가 좌우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되, 연습구의 전후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관찰할 때,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부터 중심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며, 플레이트의 지면과 맞닿는 면이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며,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한 무게중심의 변화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신체의 좌우 방향에 대한 무게 중심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스핀 연습을 할 때, 빙면이 아닌 대체로 거칠지 않은 지면에서도 빙상시에 대응하는 스핀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Skate spinner}
본 발명은 피겨 스케이팅의 스핀동작을 빙면이 아닌 곳에서 연습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며,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한 무게중심의 변화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신체의 좌우 방향에 대한 무게 중심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스핀 연습을 할 때, 빙면이 아닌 대체로 거칠지 않은 지면에서도 빙상시에 대응하는 스핀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지부가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된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회전 시, 각 플레이트의 에지(edge)가 미끄러짐을 억제하여, 연습구가 회전과 동시에 주변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회전이 발생된 지점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전을 지속할 수 있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에 관한 것이다.
피겨 스케이팅은 스케이트를 타고 얼음판 위를 활주하며 여러 가지 동작으로 기술의 정확성과 율동의 아름다움을 겨루는 빙상경기의 한 종목이다.
이러한 피겨 스케이팅은 점프, 스핀 및 스텝 등과 같은 종류의 기술이 종합적으로 집약된 스포츠인데, 그 중 스핀의 경우,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기술로서 선 채로 회전하는 업라이트 스핀(upright spin), 한쪽 발을 축으로 하여 앉아서 회전하는 시트 스핀(sit spin), 한쪽 발로 서서 몸을 T자 모양으로 만든 뒤 회전하는 카멜 스핀(camel spin) 등이 있다.
평소에 스핀을 연습할 때 빙상장에서의 연습시간 제한 등의 이유로 연습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빙상장 이외의 장소에서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는 본 연습 전에 회전 감각을 끌어올리기 위한 보조수단이 필요하므로 지상에서 수행하도록 스케이트 스피너(skate spinner, 이하, '연습구'라 함)가 고안되었는데, 스케이트를 착용하는 대신 맨발 또는 일반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스피너의 발판에 올라서서 스핀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습구는 제자리에서 회전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쉽지 않고, 즉 연습구가 회전하면서 주변으로 다소간 유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연습구 저면을 기준으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연습구의 종단면과 횡단면이며, 도 3은 연습구의 동선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연습구(10)는 플랫한 판재로 이루어진 받침대(20)와 받침대(20)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는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대(10)는 사용자가 발이 얹어지는 판재로서, 사용자 발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0)는 도 2의 (a)와 같이 전후방향 양단 사이가 돌출된 곡면체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앞축 또는 뒤축으로의, 즉 전후방향으로의 원활한 중심 이동은 가능케 하였으나, 좌우방향, 즉 사용자의 관점에서 좌우방향으로는 도 2의 (b)와 같이 플랫하게 이루어져, 중심선 C를 기준 하여, 도 3의 좌(L)우(R)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구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과 선으로 접촉하며, 접면에서 연습구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도 3의 (b)와 같이 회전의 변수를 유발시킨다.
즉, 스케이트를 이용한 스핀시 다리와 지면의 각도에 따라서 좌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에 반하여, 연습구를 이용한 스핀시 좌우 기울기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스핀 연습용으로서의 스케이트의 대체품으로서는 그 한계가 존재하며, 특히, 지면과의 접촉면에 미끄러짐 방지 수단이 없으므로 회전 자체는 가능하나, 신체 중심의 다소간의 변화에 따라서, 현재의 회전 중심점을 이탈하여 타 지점으로의 유동 가능성이 매우 큰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ttp://skatespinner.ca/ https://www.youtube.com/channel/UC8X5bfPMdyzyifHy3h02Wx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며,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한 무게중심의 변화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신체의 좌우 방향에 대한 무게 중심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스핀 연습을 할 때, 빙면이 아닌 대체로 평평한 지면에서도 빙상시에 대응하는 스핀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부가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된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회전 시, 각 플레이트의 에지(edge)가 미끄러짐을 억제하며, 따라서 연습구가 회전과 동시에 주변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회전이 발생된 지점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전을 지속할 수 있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습구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어 신체가 기울어질 때, 다리와 발목이 일자형태를 이룰 수 있어, 종래의 연습구 사용에서 문제가 되었던 발목의 꺾임현상과 그에 따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습구의 지지부 폭이 사용자 발의 최대폭보다 더 넓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기울기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과도한 기울기로 인한 부상 내지는 낙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습구의 받침대 형상이 상부폭과 하부폭이 동일하거나 상하부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종래에 발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부 비대칭으로 구성된 연습구 사용시 일일이 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정위치시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에 있어서, 편평한 판재로서, 연습자의 발이 얹어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에 하부로서 지면과 맞닿으며, 전후방향 양단 사이가 곡면을 이루어 돌출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스케이트날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두께의 플레이트가 좌우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되, 연습구의 전후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관찰할 때,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부터 중심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며, 플레이트의 지면과 맞닿는 면이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를 개시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스케이트날의 폭(두께)에 대응하는 2 내지 6mm의 두께를 가지며, 각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된 홈은 상기 스케이트날의 두께와 같거나, 좁게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그 좌우 폭(W1)이 사용자의 신발의 폭(W2) 또는 사용자의 발의 폭(W3)을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곡률의 곡률반경이 7.5 내지 8.5 피트(feet)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는, 평면의 전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폭과 하부폭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부와 하부가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는,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하여 에지(edge)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는 지지부가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며,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한 무게중심의 변화에 대해서는 물론, 특히 신체의 좌우 방향에 대한 무게 중심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스핀 연습을 할 때, 빙면이 아닌 대체로 부드러운 지면에서도 빙상시에 대응하는 스핀동작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가 서로 공간을 두고 이격된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회전 시, 각 플레이트의 에지(edge)가 미끄러짐을 억제하며, 따라서 연습구가 회전과 동시에 주변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회전이 발생된 지점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전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연습구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기울어질 수 있어 신체가 기울어질 때, 다리와 발목이 일자형태를 이룰 수 있어, 종래의 연습구 사용에서 문제가 되었던 발목의 꺾임현상과 그에 따른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연습구의 지지부 폭이 사용자 발의 최대폭보다 더 넓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기울기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제한하여, 과도한 기울기로 인한 부상 내지는 낙상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연습구의 받침대 형상이 상부폭과 하부폭이 동일하거나 상하부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종래에 발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부 비대칭으로 구성된 연습구 사용시 일일이 발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정위치시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연습구 저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연습구의 종단면과 횡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해 연습구의 회전 동선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 무게 이동에 따른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배열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우방향 무게 이동에 따른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구의 미끄러짐(슬립) 억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플레이트의 상세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연습구의 받침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받침대가 상하 비대칭인 경우와 대칭인 경우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습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전후방향 무게 이동에 따른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연습구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습구(100)는 플랫한 판재로 이루어진 받침대(110)와 받침대(110) 하부에 곡면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대체로 곡률반경이 7.5~8.5 피트(feet)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범위의 미만인 경우 곡률이 너무 커서 과도한 기울기의 발생으로 기울어짐 발생시 불안정성이 커지며, 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곡률이 너무 작아서 스핀시 신체의 기울어짐에 충분히 부응할 수 없으므로, 위 곡률반경의 범위는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받침대(110)는 연습자의 발이 얹어지는 판재로서 사용자 발에 대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져, 이는 선행기술과 동일하다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시하지 않았으나, 발이 얹어지는 일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마찰수단이 더 부가되거나, 상품성 향상을 위하여 캐릭터 등이 인쇄 내지는 각인될 수도 있다.
또한, 받침대(110)의 형상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하여 사각은 물론 다양한 도면과 더불어, 발바닥 모양의 판재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발이 얹어지는 영역을 가이드하여 양호한 무게분산을 유도하는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는 인쇄 내지는 각인 및 스티커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받침대(110)의 평면에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의 폭과 하부의 폭이 서로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받침대(110)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여 사용상 일관성을 부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게중심의 이동시 좌우 방향 중 보다 빈번하게 이동되는 방향이 있을 것이며, 따라서 오래 사용하는 경우에는 면에 따른 마모 정도가 다를 수 밖에 없다. 이 때, 마모가 더 된 면에 익숙한 사용자가 갑자기 마모가 덜 된 면을 사용하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이에 스핀 연습시 사용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110)의 상부와 하부가 구분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이를 구분하여 연습구를 사용하게 되고, 따라서 스핀 연습의 일관성을 향유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받침대(110)의 하부로서 지면과 맞닿으며, 전후방향 양단 사이가 곡면으로 돌출되어, 전후방향 즉, 도 5의 (a)와 같이 양단 사이, 도 5의 (b)와 같이 앞축 또는 도 5의 (c)와 같이 뒤축으로 무게중심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스핀을 구현할 수 있다. 실제 피겨용 스케이트날도 통상 보이는 질감과는 달리, 경우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음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며, 연습구는 이에 대응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또한, 지지부(120)는 좌우방향으로도 굴곡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가지며, 이루어져 전후방향과 함께 무게중심을 좌우방향으로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룬다. 특히, 지면과의 접지면을 최소화하여 종래의 연습구에 비하여 회전력을 배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빙상에서 스케이트를 이용한 스핀 연습에 상응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면(球面)은 공과 같은 둥근 물체의 겉면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도 6의 (a)와 같이 스케이트날의 폭(두께)과 대등한 수준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스케이트날의 폭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121)가 좌우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그 간격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에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플레이트(121)가 동일 곡률(R)을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높아진다.
즉, 연습구의 전후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관찰할 때,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부터 중심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 각 플레이트는 모두 지면과 맞닿는 면이 대체로 구면(球面)의 윤곽을 가지므로, 기울어지는 각도와 상관없이 해당 각도에서 대응되는 하나의 플레이트가 신체를 지지하므로, 스케이트날 위에 서있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 때, 각 플레이트간의 폭은 연습구의 좌우방향 기울어짐에 따라 플레이트의 연속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좁은 것이 좋으나, 플레이트의 에지(edge)가 기능할 수 있도록 함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플레이트(121)는 스케이트날의 형태를 고려하여 명명한 것이나, 이와는 달리 지지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바람직하게는 스케이트날의 두께만큼 유지하면서,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되는 복수의 홈을 좌우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하였을 때, 홈과 홈사이의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플레이트로 볼 수도 있다. 즉, 플레이트(121)는 에지(edge)가 형성되어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자유로우며, 플레이트(121)의 지면과 맞닿는 면으로부터 홈의 저면까지의 깊이 또한 어느 정도가 되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후방향과 함께 무게중심을 좌우방향으로 배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빙상에서 스케이트를 이용한 스핀 연습에 대응하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할 수 있으며, 특히, 플레이트(121)간에 홈을 구성함으로써, 지면과 플레이트(121) 면만 접촉하도록 하여 접지면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회전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c)와 같이 스케이트의 좌우 기울기에 대응하는 동작 구현이 가능하므로, 스핀 동작을 연습할 때, 원심력 내지는 무게 중심의 변화에 의하여, 도 7a와 같이 지지부(120)의 좌우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7b와 같이 우측 또는 7c와 같이 좌측으로 편향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부(120)는 다수의 플레이트(121)로 이루어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근접 내지는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121)의 에지가 지면에 대한 마찰작용을 함으로써 연습구(100)가 회전하면서 미끄러져 유동하는 형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습구(100)가 회전할 때, 가급적 회전지점을 이탈하지 않고, 신체 무게 중심을 축으로 안정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8의 (a)는 도 7의 (a)의 상세도로서, 중심의 플레이트(121)가 지면과 맞닿아 회전을 하고 있을 때, 만약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치우칠 경우, 중심 플레이트(121)와 치우치는 방향으로 인접한 플레이트(121)의 에지가 지면과 맞닿아 연습구가 회전지점을 이탈하여 유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도 8의 (b)는 도 7의 (b)의 상세도로서, 중심의 플레이트(121)가 지면과 맞닿아 회전하고 있을 때, 원심력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치우칠 경우, 중심 플레이트(121)와 우측 방향으로 인접한 플레이트(121)의 에지가 지면과 맞닿아 연습구의 유동을 억제한다.
그리고, 도 8의 (c)는 도 7의 (c)의 상세도로서, 도 8의 (b)의 대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의 (a)와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의 폭(W1)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경우에 신발의 폭(W2) 또는 신발을 착용하지 않은 발 자체의 폭(W3)에 비하여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발에 의한 지지력이 예를 들어 지지부(120)의 최외곽 플레이트(121)에까지 전달되기 어려우므로 연습구(100)가 좌 또는 우방향으로 과도하게 치우치는 것을 예방하는 또 다른 방편이 될 수 있다.
또한, 스케이트날 두께에 대해서는 최적의 회전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통상 2 내지 6mm 두께의 날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플레이트(121)의 두께 또한 2 내지 6mm의 두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스핀 연습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이와 최대한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스케이트날의 두께가 2 내지 6mm 미만이거나, 초과할 경우, 플레이트(121)의 두께 또한 이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플레이트(121)을 포함하는 지지부(120)가 받침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지지부(120)가 받침대(110)에 통상의 착탈방식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부(120)만 독립적으로 교체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왜냐하면, 받침대(110)는 지면과 직접 맞닿지 아니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마모의 수준이 매우 낮은 반면, 지지부(120)는 지면과 직접 맞닿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는 마모가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받침대(110)는 도 9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받침대(110)가 상하 비대칭 구조인 경우, 보통 발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형상화되며, 따라서 상부폭이 크고 하부폭이 좁은 (a)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 경우, 연습구(100)를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상부를 기준으로 바닥면에 위치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경우, 받침대(110)는 (b)와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동일하거나(b), 상부와 하부가 대칭을 이루는 구조(c)로 구현되므로, 바닥면에 대한 연습구(100)의 위치 기준이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연습구(100) 사용시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운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습구 110 : 받침대
120 : 지지부 121 : 플레이트

Claims (7)

  1.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에 있어서,
    편평한 판재로서, 연습자의 발이 얹어지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로서 지면과 맞닿으며, 전후방향 양단 사이가 곡면을 이루어 돌출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좌우방향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연습구의 전후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을 관찰할 때,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부터 중심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를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되고, 플레이트의 지면과 맞닿는 면이 구면(球面)의 윤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스케이트날의 두께에 대응하는 2 내지 6mm의 두께를 가지며,
    각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된 홈은 스케이트날의 두께와 같거나, 좁게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좌우 폭(W1)이 사용자의 신발의 폭(W2) 또는 사용자의 발의 폭(W3)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곡률의 곡률반경이 7.5 내지 8.5 피트(feet)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평면의 전후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폭과 하부폭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하여 에지(edge)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받침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KR1020170117405A 2017-09-13 2017-09-13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KR10195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05A KR101953693B1 (ko) 2017-09-13 2017-09-13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CN201711015656.0A CN109481922A (zh) 2017-09-13 2017-10-25 滑冰用旋转训练器
US15/793,961 US10751594B2 (en) 2017-09-13 2017-10-25 Skate spi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05A KR101953693B1 (ko) 2017-09-13 2017-09-13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693B1 true KR101953693B1 (ko) 2019-05-23

Family

ID=6563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05A KR101953693B1 (ko) 2017-09-13 2017-09-13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1594B2 (ko)
KR (1) KR101953693B1 (ko)
CN (1) CN1094819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3641C2 (ru) * 2017-03-20 2021-08-18 Виктор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апиро Спиннер фигуриста
US20220016487A1 (en) 2020-07-17 2022-01-20 James E. KLOPMAN Balance training device
US11161013B2 (en) 2019-05-17 2021-11-02 Slaq Tec Llc Balance training device
IT201900013749A1 (it) 2019-08-01 2021-02-01 Vis Versa’ S R L “dispositivo di allenamento per pattinaggio”
US11806826B2 (en) * 2019-09-11 2023-11-07 Prosharp Inc. Automatic blade holder
USD960262S1 (en) * 2021-03-29 2022-08-09 Zhiwu Tu Balance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823A (en) * 1990-08-27 1991-09-17 Bean John A Balance board
US20030216221A1 (en) * 2002-05-16 2003-11-20 Iverson David K. Figure skating pratice system
US20110079986A1 (en) * 2009-10-07 2011-04-07 Gradman Isaac M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KR20160004021U (ko) * 2015-05-14 2016-11-23 김준범 회전감각 향상을 위한 연습용 회전판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1516A (en) * 1924-02-27 1925-11-17 Glowa Anton Footgear
US2810213A (en) * 1956-05-17 1957-10-22 Jerry J Jonas Footgear
US3279794A (en) * 1964-01-24 1966-10-18 Lojen Apparatus Inc Teeter bridge toy
US3415528A (en) * 1966-10-18 1968-12-10 Herold Karl Ice skate
US3471144A (en) * 1967-03-13 1969-10-07 Huguette Dreux Boucard Born Le Pair of rockably mounted foot trays
US3856321A (en) * 1972-10-20 1974-12-24 F Solymosi Wheeled board toy assembly
FR2400919A1 (fr) * 1977-05-31 1979-03-23 Grapin Pierre Jouet sportif accroissant l'efficacite propulsive du mouvement naturel de la marche a pied
US4218069A (en) * 1978-07-26 1980-08-19 Tuuk Sports Ltd. Ice sk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US4206558A (en) * 1978-10-10 1980-06-10 Vin-Lyn Enterprises, Inc. Exercise shoes for simulated jogging
US4679550A (en) * 1983-11-29 1987-07-14 Quam William M Integral foot massage and support apparatus
USD315584S (en) * 1988-03-30 1991-03-19 Gappa Robert G Sole for rocking exerciser or the like
US4896893A (en) * 1988-12-29 1990-01-30 Shumays Adam A Ice skateboards
USD319084S (en) * 1989-07-24 1991-08-13 Bush Mary J Leg muscle exerciser
US5135450A (en) * 1991-07-12 1992-08-04 Prostretch, Inc. Exercise shoe with limited range of rocking motion
USD365610S (en) * 1994-10-31 1995-12-26 Fraser Owen D Exercise platform
US5643164A (en) * 1995-12-22 1997-07-01 Teff; Joseph J. Lower extremities exercise board
US6203028B1 (en) * 1998-07-28 2001-03-20 Joseph M. Kress Multiple blade skate
US6421935B1 (en) * 1999-12-15 2002-07-23 Michael D. Bartlett Rocking shoe
US6551225B1 (en) * 2000-01-24 2003-04-22 Ron Richard Romero Flexible hemispherical exercise
US6318001B1 (en) * 2000-07-20 2001-11-20 Yan-Yee Lee Springy sports shoe
GB2387124A (en) * 2000-11-13 2003-10-08 Honeywind Pty Ltd Exercise apparatus
US6666797B1 (en) * 2000-11-13 2003-12-23 Daniel William Martin Apparatus for the simulation of snowboard use
US20040242382A1 (en) * 2001-09-14 2004-12-02 Michael Anthony Gibas Exercise device
US7479097B2 (en) * 2002-06-13 2009-01-20 Pivit, Llc Safety balance device
US7137938B2 (en) * 2002-07-10 2006-11-21 Gottlieb Marc S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011612B2 (en) * 2002-08-02 2006-03-14 Repking Mary C Stretching device
US8758207B2 (en) * 2002-08-19 2014-06-24 APOS—Medical and Sports Technologies Ltd. Proprioceptive/kinesthetic apparatus and method
US7291103B1 (en) * 2003-09-19 2007-11-06 Estwanik Joseph J Lower extremity stretching device
US20070099761A1 (en) * 2005-11-01 2007-05-03 Simtec, Co. Exercise device
US7500324B1 (en) * 2005-11-30 2009-03-10 Kyle Power Convertible therapeutic sandals
KR200416582Y1 (ko) * 2006-03-07 2006-05-19 김정배 건강신발
US20080020856A1 (en) * 2006-07-19 2008-01-24 James Rosa Golf-training balance board
US20090240174A1 (en) * 2008-03-07 2009-09-24 Keimowitz Rudolph M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US8091902B2 (en) * 2008-06-18 2012-01-10 Kalliopi Giannatos Ice skateboard
EP2321013A4 (en) * 2008-07-29 2011-11-23 James B Klassen EQUILIBRIUM LEARNING SYSTEM
US8529411B2 (en) * 2008-08-06 2013-09-10 Medi-Dyne Healthcare Products, Ltd. Foot and ankle exercise device
TWM356520U (en) * 2008-12-31 2009-05-11 Ming-Ren Ke Fitness rhythm pedal structure
USD648403S1 (en) * 2010-07-06 2011-11-08 Sean Hanifee Rockable platform
FR2965076B1 (fr) * 2010-09-16 2019-06-07 Bigben Interactive Sa Dispositif pour la pratique interactive de jeux video
US8740757B1 (en) * 2011-06-10 2014-06-03 Daniel P. FioRito Exercise attachment for a shoe and method of use
TWM416480U (en) * 2011-07-25 2011-11-21 Shin-Chiang Lu Yoga brick structure
US8734308B1 (en) * 2012-02-29 2014-05-27 Hunter Joslin Indoor yoga board
US9713360B2 (en) * 2012-03-15 2017-07-25 Jose Francisco Lara Santos Removable exercise attachment device for footwear
US9320940B2 (en) * 2012-04-27 2016-04-26 Shanti Rainey Muscular 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140051553A1 (en) * 2012-07-12 2014-02-20 John Hetzel Modular exercise platform
US20140066262A1 (en) * 2012-07-13 2014-03-06 Robert Kennedy Exercise device
US8876124B2 (en) * 2012-10-18 2014-11-04 Douglas Pokupec Ice skate overshoe
WO2014121374A1 (en) * 2013-02-06 2014-08-14 Blur Sports In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edging sports
US9004501B2 (en) * 2013-05-04 2015-04-14 Douglas Pokupec Ice skate blade assembly
US20140336025A1 (en) * 2013-05-07 2014-11-13 Colin Andrew Rafferty Full-body board sports training device
US20170095696A1 (en) * 2013-06-03 2017-04-06 Eric M. Olsen Balance and Spin Practice Board
WO2015003032A1 (en) * 2013-07-03 2015-01-08 CARBONE, Alison, M. Agility and strength improvement apparatus
US20150165266A1 (en) * 2013-12-16 2015-06-18 Andrea POWERS Excercise balancing board
HUP1400158A2 (en) * 2014-03-20 2015-09-28 Miklos Makai Skate blade improved turn-around qualities
US9457226B2 (en) * 2014-06-06 2016-10-04 Company of Motion LLC Platform for work while standing
US20160030800A1 (en) * 2014-07-28 2016-02-04 Denice McClure Rocker exercise boar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700756B2 (en) * 2015-05-07 2017-07-11 Therrex Innovations, Llc Balance board for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USD778377S1 (en) * 2015-09-23 2017-02-07 Kathryn M Daniel Yoga balance board
US10071287B2 (en) * 2016-02-12 2018-09-11 Exercise Innovation Llc Balance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823A (en) * 1990-08-27 1991-09-17 Bean John A Balance board
US20030216221A1 (en) * 2002-05-16 2003-11-20 Iverson David K. Figure skating pratice system
US20110079986A1 (en) * 2009-10-07 2011-04-07 Gradman Isaac M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KR20160004021U (ko) * 2015-05-14 2016-11-23 김준범 회전감각 향상을 위한 연습용 회전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katespinner.ca/
https://www.youtube.com/channel/UC8X5bfPMdyzyifHy3h02Wx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51594B2 (en) 2020-08-25
US20190076718A1 (en) 2019-03-14
CN109481922A (zh)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693B1 (ko) 스케이트용 스핀 연습구
US4966364A (en) Snowboard simulator
US7717830B1 (en) Exercise device
CA2732384C (en) Balance training system
US6705977B1 (en) Balance board
KR20200117918A (ko) 골프화
US5295701A (en) In line roller skate assembly having training wheels
KR20050002829A (ko) 보행 및 롤링용 신발
US6357145B1 (en) High performance lightweight grind shoe apparatus
CN101224332A (zh) 足底按摩式跑步机
JPH07194768A (ja) スノーボードシミュレータ
KR20130030331A (ko) 착용 가능한 장치
US20100253057A1 (en) All terrain roller skate
US5947486A (en) Biodynamic roller skate
EP0384383B1 (en) Sliding device
CA2096857C (en) Toe thrusting edge blade for goalie skates
JP3186909U (ja) 操作性の高いスケートボード
KR102661655B1 (ko)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KR102496067B1 (ko) 슬라이딩 및 논슬라이딩이 가능한 슈즈
JP3229878U (ja) ゴルフシューズ用中敷き
JP6057246B2 (ja) スキー靴及びスキー靴用中敷き部材
KR200148454Y1 (ko) 뒷굽의 구부림이 가능한 롤러 스케이트
TWM575982U (zh) Adjust the gait insole structure (2)
KR200374190Y1 (ko) 인라인 스케이트에 부착된 브레이크 패드축과 바퀴축을이용한 회전바퀴의 고정.스탠딩장치
JP4578699B2 (ja) スキー,スノーボード等の練習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