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290B1 -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290B1
KR101953290B1 KR1020170105354A KR20170105354A KR101953290B1 KR 101953290 B1 KR101953290 B1 KR 101953290B1 KR 1020170105354 A KR1020170105354 A KR 1020170105354A KR 20170105354 A KR20170105354 A KR 20170105354A KR 101953290 B1 KR101953290 B1 KR 10195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unit
section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석
Original Assignee
(주)하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하나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0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90B1/ko
Priority to PCT/KR2017/012931 priority patent/WO20190396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1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s being mechanically coupled
    • F01K23/14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s being mechanically coupled including at least one combustion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07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 F22B1/181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combustion engines using the exhaust gases of gas-turb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03Feed preparation
    • C10J2300/0906Physical processes, e.g. shredding, comminuting, chopping, sor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03Feed preparation
    • C10J2300/0909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2Heating the gasifier
    • C10J2300/1215Heating the gasifier using synthesis gas as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29Energy recovery, e.g. by cogeneration, H2recovery or pressure recovery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와; 상기 석탄을 수용하여 상기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석탄건조부와; 상기 건조된 석탄을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가스화유닛과;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구동되는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 내부에 배치되는 열에너지 획득부와 상기 석탄건조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갖는 열풍이동통로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를 갖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SYSTEM HAVING COAL DRYER}
본 발명은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산화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한 후 이를 연료로 하여 가스터빈을 돌리고, 가스터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이용해 2차적으로 증기터빈을 돌려서 에너지를 생산한다. 여기서 석탄으로부터 합성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석탄가스화 기술은 건조된 미분탄을 이용하는 건식방식과 미분탄을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로 공급하는 습식 방식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건식 방식은 냉가스효율이 습식 방식에 비해 높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수분함량이 낮은 고등급 석탄을 사용하거나 별도로 석탄을 건조시킨 후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와; 상기 석탄을 수용하여 상기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석탄건조부와; 상기 건조된 석탄을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가스화유닛과;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구동되는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 내부에 배치되는 열에너지 획득부와 상기 석탄건조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갖는 열풍이동통로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를 갖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석탄건조부는 상기 분쇄된 석탄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가지고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석탄은 차단하되 상기 공기는 통과되는 멤브레인 재질로 구성되는 내통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건조공기유입부와 상기 건조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건조공기유출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부는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에 소수성 코팅제를 분사하는 코팅제 분사부가 설치된 코팅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통부는 상기 코팅구간의 전단(前段)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을 사전 건조시키는 사전건조구간과, 상기 코팅구간의 후단(後段)에서 상기 코팅된 상기 분쇄된 석탄을 최종 건조시키는 최종건조구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부는 상기 내통부의 배출단부 측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을 수령하는 석탄수령부와, 상기 석탄수령부와 상기 석탄가스화유닛을 연결하는 건조석탄공급통로와, 상기 건조석탄공급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와; 상기 석탄을 수용하여 상기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석탄건조부와; 상기 건조된 석탄을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가스화유닛과;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구동되는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상기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상기 증기터빈을 통과한 증기를 응축시키는 콘덴서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콘덴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에너지 획득부와 상기 석탄건조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갖는 열풍이동통로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를 갖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부(200)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100)를 포함한다. 석탄분쇄부(100)는 석탄의 반응 가능한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덩어리 형태의 석탄을 분말 형태로 분쇄한다. 분쇄된 석탄은 석탄건조부(200)로 이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건조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석탄건조부(200)는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통부(230)와 그 외측에서 내통부(230)가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외통부(250)를 포함한다.
내통부(230)는 분쇄된 석탄이 투입되는 투입부(231)를 갖는다. 투입부(231)는 분쇄된 석탄이 공급되는 석탄공급관(210)과 연결된다. 이때, 내통부(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공급관(210)과 외통부(250) 사이에는 베어링(211)이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관(210)에서 공급되는 분쇄된 석탄은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분산되지 않은 상태로 정량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통부(230)는 분쇄된 석탄은 차단하되 공기는 통과 가능한 멤브레인 재질로 이루어진다.
내통부(230)는 분쇄된 석탄에 소수성 코팅제를 분사하는 코팅제 분사부(235)가 설치된 코팅구간을 갖는다. 여기서 소수성 코팅제는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을 포함한다. 바이오매스 유래 탄소성분은 사탕수수 원액 또는 당밀로부터 얻거나 목질계의 리그노셀룰로오스로부터 전환된 당류 또는 전분계를 효소분해하여 얻게 되는 당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5416호를 참고할 수 있다.
내통부(230)는 코팅구간의 전후(前後)로 각각 사전건조구간과 최종건조구간을 갖는다. 즉, 투입부(231)를 통해 공급되는 분쇄된 석탄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전건조구간, 코팅구간 및 최종건조구간이 배치된다. 도 2에서 사전건조구간, 코팅구간 및 최종건조구간이 명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전건조구간에 설치된 교반날개(233)과 코팅구간에 설치된 코팅제 분사부(235)와 최종건조구간에 설치된 교반날개(237)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각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내통부(230)는 각 사전건조구간, 코팅구간 및 최종건조구간 사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사전건조구간에는 투입된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교반날개(233)가 설치된다. 교반날개(233)는 내통부(230)와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된 석탄을 공중으로 퍼 올리는 방식으로 교반함으로써 건조공기와 비교적 많은 면적 및 시간동안 접촉되도록 하여 건조효과를 향상시킨다.
최종건조구간도 사전건조구간에서와 마찬가지로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교반날개(237)가 설치된다. 교반날개(237)는 내통부(230)와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된 석탄을 공중으로 퍼 올려 휘날리게 함으로써 건조공기와 보다 많은 면적 및 시간동안 접촉되도록 하여 건조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내통부(230)는 내통부(230)의 외측에서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외통부(25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외통부(250)와 내통부(230) 사이에는 내통부(230)가 외통부(2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240)이 설치된다. 그리고 외통부(250)에 내벽에는 외통부(2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롤러부(270)가 설치된다. 구동롤러는 내통부(23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로 구동되어 내통부(230)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내통부(230)는 구동롤러(270)와의 접촉 마찰이 용이하도록 하는 롤러접촉부(239)를 갖는다. 물론, 구동롤러(270)는 접촉 마찰 구동 방식 이외에 기어 맞물림 또는 체인 구동 등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가능하다. 내통부(230)는 회전속도가 10 내지 100RP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부(250)는 고온의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건조공기유입부(251)와 상기 건조 공기가 배출되는 건조공기유출부(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건조공기유입부(251)와 건조공기유출부(253)는 외통부(25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호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공기유입부(251)를 통해 유입된 건조공기가 건조공기유출부(253)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그 간격을 멀리하여 외통부(250) 전체에 건조한 공기가 가득하도록 배치한다.
외통부(250)는 내통부(230)의 최종건조구간의 배출단부(238) 측에서 최종적으로 건조된 분쇄된 석탄을 수령하는 석탄수령부(255)를 갖는다. 석탄수령부(255)는 분쇄된 석탄에 남아있을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통부(250)는 석탄수령부(255)와 석탄가스화유닛(300)가 연결되는 건조석탄공급통로(256)와 건조석탄공급통로(256)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57)를 포함한다. 개폐밸브(257)는 석탄수령부(255)에 미리 설정된 양의 분쇄된 석탄이 축적되었을 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통부(230)와 외통부(250)의 가로방향 연장길이는 도 2에 도시된 비율보다 더 길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건조부(200)는 투입부(231)에서 배출단부(238) 측을 따라 갈수록 그 높이위치가 낮아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하는 것이 석탄이 중력에 의해 투입부(231)에서 배출단부(238) 측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각은 1 내지 5도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석탄건조부(200)는 투입부(231)를 통해 공급되는 분쇄된 석탄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건조공기유입부(251)를 통해 유입되는 건조공기가 멤브레인 재질의 내통부(230)를 통과하여 내통부(230) 내에 든 분쇄된 석탄을 건조시킨 후 수분과 함께 건조공기유출부(253)를 통해 배출되면서 석탄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석탄건조부(200)는 사전건조구간에서 1차적으로 수분을 제거한 뒤 코팅구간에서 소수성 물질로 코팅한 후 최종적으로 다시 한 번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된 석탄에 다시 수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쇄된 석탄이 건조한 상태 그대로 석탄가스화유닛(30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건식 방식의 석탄가스화유닛(300)으로 공급되는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여야 하는 이유는 석탄에 수분이 많으면 수분이 증발할 때 연소열을 소모하기 때문에, 석탄가스화유닛(300)의 출구에서 합성가스 온도가 낮아져서 석탄 반응성, 석탄 전환율 및 냉가스 효율을 저하시킨다. 즉, 석탄가스화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석탄을 제대로 건조하지 않은 경우 석탄가스화유닛(300)의 출구 측에 물(Discharge water)이 남게 되는데 이것을 처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미리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기도 하다.
석탄건조부(200)에서 건조된 석탄은 석탄가스화유닛(300)에 공급된다. 석탄가스화유닛(300)은 석탄과 함께 산소 등을 공급받아 일산화탄소와 수소 등으로 이루어진 원시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원시 합성가스에는 이산화탄소, 황화카르보닐, 황화수소가 포함될 수 있다.
석탄가스화유닛(300)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는 가스냉각기(330)로 이동된다. 가스냉각기(330)는 고온의 합성가스를 냉각한다. 그리고 가스냉각기(330)에서 냉각된 합성가스는 집진설비(350) 및 탈황설비(370)를 거치면서 미립자 물질과 황화수소 등이 제거된다.
집진설비(350) 및 탈황설비(370)를 거친 합성가스는 가스터빈(500)으로 공급된다. 가스터빈(500)은 압축된 공기에 합성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발생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구동된다. 즉, 합성가스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가스에 의해 가스터빈(500)의 블레이드가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회전블레이드와 연결된 발전기의 구동축이 회전블레이드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전기가 생산된다.
가스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폐열회수 보일러(600)로 이동된다. 가스터빈(500)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약 600℃ 정도가 된다. 폐열회수 보일러(600)는 이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로부터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여 2차적으로 증기터빈(800)을 구동한다. 즉, 폐열회수 보일러(600)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증기터빈(800)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증기터빈(800)의 블레이드는 발전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어, 증기터빈(800)의 블레이드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전기를 생산한다. 그리고 증기터빈(800)을 통과한 증기는 콘덴서에서 응축되어 다시 폐열회수 보일러(600)로 이동하면서 순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가스화복합발전 시스템은 석탄건조부(200)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공급부(7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열풍공급부(70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710)와 폐열회수 보일러(6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된 공기가 열에너지를 얻도록 하는 열에너지 획득부(730)와 이렇게 열에너지를 얻음으로써 건조해진 공기가 석탄건조부(200)에 공급되도록 석탄건조부(200)와 연결되는 배출부(750)를 갖는 열풍이동통로를 갖는다. 그리고 열풍공급부(700)는 흡입부(7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에너지 획득부(730)를 거쳐 배출부(750)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770)를 갖는다. 배출부(750)는 건조공기유입부(251)와 연결된다.
건조공기유입부(251)에 공급된 건조공기는 석탄건조부(200)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 재질의 내통부(230)를 통과하여 분쇄된 석탄을 건조시킨 후 건조공기유출부(253)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석탄건조부(200)는 별도의 가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폐열로부터 일부의 열에너지를 얻어 다량의 석탄을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 가스화복합발전 시스템은 폐열 회수 보일러(600)와 석탄건조부(200) 간 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에너지 획득부(730)와 배출부(750) 사이 구간에 해당하는 열풍이동통로에는 단열 재킷 또는 히팅재킷을 설치하는 것이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탄 건조부(200a)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석탄분쇄부(100a), 석탄건조부(200a), 석탄가스화유닛(300a), 가스냉각기(330a), 집진설비(350a), 탈황설비(370a), 가스터빈(500a), 폐열회수보일러(600a), 증기터빈(800a)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각기 대응하는 구성과 그 내용이 같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는 열에너지 획득부(730)가 증기터빈(800a)을 통과한 증기를 응축시키는 콘덴서(900a)에 배치된다. 즉, 증기터빈(800a)을 통과한 증기가 갖는 폐열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흡입부(710a)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건조시킨 후 배출부(750a)를 통해 석탄건조부(200a)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석탄건조부(200a)는 별도의 가열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폐열로부터 일부의 열에너지를 얻어 다량의 석탄을 건조할 수 있다.

Claims (6)

  1.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와;
    상기 석탄을 수용하여 상기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석탄건조부와;
    상기 건조된 석탄을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가스화유닛과;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구동되는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폐열회수 보일러 내부에 배치되는 열에너지 획득부와 상기 석탄건조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갖는 열풍이동통로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를 갖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석탄건조부는,
    상기 분쇄된 석탄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가지고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석탄은 차단하되 상기 공기는 통과되는 멤브레인 재질로 구성되는 내통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건조공기유입부와 상기 건조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건조공기유출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분쇄된 석탄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전건조구간, 코팅구간 및 최종건조구간이 배치되며,
    상기 코팅구간은 상기 내통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에 소수성 코팅제를 분사하는 코팅제 분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사전건조구간과 상기 최종건조구간 각각은 상기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는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상기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상기 내통부의 배출단부 측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을 수령하는 석탄수령부와,
    상기 석탄수령부와 상기 석탄가스화유닛을 연결하는 건조석탄공급통로와,
    상기 건조석탄공급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6.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석탄을 분쇄하는 석탄분쇄부와;
    상기 석탄을 수용하여 상기 석탄의 수분을 제거하는 석탄건조부와;
    상기 건조된 석탄을 공급받아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석탄가스화유닛과;
    상기 합성가스를 연료로 구동되는 가스터빈과;
    상기 가스터빈으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얻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회수 보일러와;
    상기 증기를 공급받아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상기 증기터빈을 통과한 증기를 응축시키는 콘덴서와;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상기 콘덴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에너지 획득부와 상기 석탄건조부와 연결되는 배출부를 갖는 열풍이동통로와,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배출부 측으로 불어내는 송풍부를 갖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석탄건조부는,
    상기 분쇄된 석탄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가지고 가로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분쇄된 석탄은 차단하되 상기 공기는 통과되는 멤브레인 재질로 구성되는 내통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는 건조공기유입부와 상기 건조공기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건조공기유출부를 가지고 상기 내통부의 외측에서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외통부와;
    상기 외통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부가 상기 가로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투입부를 통해 공급되는 분쇄된 석탄의 이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사전건조구간, 코팅구간 및 최종건조구간이 배치되며,
    상기 코팅구간은 상기 내통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분쇄된 석탄에 소수성 코팅제를 분사하는 코팅제 분사부가 설치되고, 상기 사전건조구간과 상기 최종건조구간 각각은 상기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는 교반날개가 설치되어 상기 분쇄된 석탄을 교반하며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KR1020170105354A 2017-08-21 2017-08-21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KR10195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54A KR101953290B1 (ko) 2017-08-21 2017-08-21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PCT/KR2017/012931 WO2019039656A1 (ko) 2017-08-21 2017-11-15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 화력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54A KR101953290B1 (ko) 2017-08-21 2017-08-21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290B1 true KR101953290B1 (ko) 2019-03-04

Family

ID=6543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54A KR101953290B1 (ko) 2017-08-21 2017-08-21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3290B1 (ko)
WO (1) WO201903965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352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전력공사 석탄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고품위화 시스템
JP2012214578A (ja) * 2011-03-31 2012-11-08 Mitsubishi Heavy Ind Ltd 低品位炭供給設備及び低品位炭を用いた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KR101742564B1 (ko) * 2015-11-30 2017-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석탄의 분쇄, 건조 및 코팅 용 융합 장치, 이를 이용한 석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74B1 (ko) * 2010-02-26 2012-05-14 한국전력공사 석탄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고품위화 시스템
KR101392468B1 (ko) * 2013-05-20 2014-05-0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저급탄을 이용한 석탄가스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352A (ko) * 2010-06-30 2012-01-05 한국전력공사 석탄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석탄 고품위화 시스템
JP2012214578A (ja) * 2011-03-31 2012-11-08 Mitsubishi Heavy Ind Ltd 低品位炭供給設備及び低品位炭を用いた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KR101742564B1 (ko) * 2015-11-30 2017-06-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석탄의 분쇄, 건조 및 코팅 용 융합 장치, 이를 이용한 석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석탄 슬러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656A1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1040B (zh) 用来使用蒸汽干燥固体进料的方法和装置
JP5848014B2 (ja) 流動層乾燥装置
CN105057316A (zh) 一种生活垃圾破筛烘一体式装置
BR112012024082B1 (pt) Processo e sistema para produção de gás sintético a partir de biomassa por pirólise
JP2012215316A (ja) 流動層乾燥装置、流動層乾燥設備および湿潤原料乾燥方法
EP2411488B1 (en) System and process for the pyrolysation and gasification of organic substances
KR101953290B1 (ko)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시스템
JP6212266B2 (ja) 流動層乾燥設備
CN107655023A (zh) 一种火电厂用煤炭燃烧锅炉
EP2045311B1 (en) System and process for the pyrolsation and gasification of organic substances
CN206919592U (zh) 一种秸秆热解预处理设备
CN102553697A (zh) 用于气化应用的压力波粉碎机
US11939545B2 (en) Inclined rotary gasifier waste to energy system
JP7106367B2 (ja) ガス化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JP5812896B2 (ja) 流動層乾燥装置、ガス化複合発電設備および乾燥方法
JP2009007474A (ja) バイオマスのガス化装置及びバイオマスのガス化方法
JP5227749B2 (ja) バイオマス発電施設にて発生する熱を利用した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および骨材加熱乾燥方法
AU2013201118A1 (en) Fluidized bed drying apparatus,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system, drainage treating method, and lifetime determining method of activated carbon adsorption layer
JP2006299675A (ja) バイオマスから生成した可燃性ガスを利用した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KR101997506B1 (ko) 싸이클론 가스화기
JP2012241120A (ja) ガス化システム
JP5713801B2 (ja) 流動層乾燥装置
KR20190023175A (ko) 석탄 건조부를 갖는 석탄 화력발전시스템
JP6132584B2 (ja) 原料供給装置、これを備える乾燥設備及び原料供給方法
JP2012241987A (ja) 流動層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