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226B1 - 케이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226B1
KR101953226B1 KR1020170092410A KR20170092410A KR101953226B1 KR 101953226 B1 KR101953226 B1 KR 101953226B1 KR 1020170092410 A KR1020170092410 A KR 1020170092410A KR 20170092410 A KR20170092410 A KR 20170092410A KR 101953226 B1 KR101953226 B1 KR 10195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ion
guide
power
inse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785A (ko
Inventor
신기수
강성민
Original Assignee
신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수 filed Critical 신기수
Priority to KR102017009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을 전원접속부에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중간 매개체인 가이드 연결구를 장착하여 여러 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가이드 연결구에 끼워서 전원단자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류가 흐르는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 및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를 상기 전원접속부에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는,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삽입고정부에 모두 결합된 후,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컴팩트해진다. 본 발명의 내부가 투시되는 재질의 가이드 연결구는 내부에 삽입되어 들어가는 케이블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자가 케이블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연결 구조{Cable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을 전원접속부에 연결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중간 매개체인 가이드 연결구를 장착하여 여러 개의 케이블을 하나의 가이드 연결구에 끼워서 전원단자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케이블은 케이블 일단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단자에 바로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방식은 케이블의 수가 많은 경우, 케이블의 수만큼 컨넥터가 필요하고, 케이블 연결 작업시에, 작업자가 케이블을 하나씩 구별하기 힘들었고, 구별을 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색상을 달리하는 방법 외에는 없었다. 반대로, 케이블의 일단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직접 전원단자에 장착하는 케이블 연결 방법이 있으나, 이는 케이블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TV, 가전제품, 인터넷 통신에서 나아가 스마트폰, 셋톱박스, 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까지 케이블이 쓰이는 요즘, 종래의 이러한 케이블 연결 방식은 개선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가이드 연결구는 배터리 단자에 여러 케이블을 연결할 때, 잘못된 체결로 인한 전기 누실률이 커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았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2016-0101239(2016년08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케이블을 단일 가이드 연결구를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이 잘못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고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몸체와, 상기 케이블 몸체의 단부에 고정되어 전원에 접속되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 및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를 상기 전원접속부에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투시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가이드 연결구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해,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삽입고정부에 모두 결합된 후,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고,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단부터 시작되고 연장되며, 상기 삽입고정부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고정부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이격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삽입고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삽입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중앙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 단자와 접촉되는 일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단차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얇아져 상기 단차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단자와 면 접촉하여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앙부 및 단차부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접촉되는 상기 걸림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연결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중앙부 및 단차부에 걸려 상기 삽입고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컴팩트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격연결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오결합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부에는,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오결합방지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결합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결합방지리브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기 전원접속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오결합방지홈은 상기 오결합방지리브에 대응되는 상기 전원접속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전후 방향이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서로 인접한 삽입고정부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연결구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입구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화살표가 표기되는 전면리브; 상기 삽입고정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에 각각 대응되는 숫자가 표기되는 후면리브; 및 조립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연결구를 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삽입고정부를 가지는 단일 가이드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케이블 각각이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어 다수개의 케이블이 꼬이거나 잘못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부가 투시되는 재질의 가이드 연결구는 내부에 삽입되어 들어가는 케이블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현장에서 작업자가 케이블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일 가이드 연결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케이블을 동시에 전원 장치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별로 단일 컨넥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이드 연결구는 앞뒤와 위아래 구분이 가능한 형상을 하고 있어, 가이드 연결구를 배터리 장치에 불량 체결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블이 전력 공급장치에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쉽게 분리되어 초래되는 전기 누설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를 A-A'방향으로 잘랐을 때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삽입방지턱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가이드 연결구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를 A-A'방향으로 잘랐을 때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걸림돌기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삽입방지턱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구조의 결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류가 흐르는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10)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30)와,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10)를 상기 전원접속부(30)에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구(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접속부(10)는,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몸체(11)와, 상기 케이블 몸체(11)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전원에 접속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몸체(11)는 전류가 흐르기 위한 와이어에 절연을 위한 피복이 입혀진 형태가 될 수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케이블 몸체(11)의 단부에 노출된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고정되는 동시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10) 및 가이드 연결구(20)가 직접 결합되기 위한 접속부 몸체(31)와,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의 단자가 접속되기 위한 전원단자(3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10)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고정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고정부(21)는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10)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접속부(10) 및 삽입고정부(21)가 4개로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고정부(21)에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고정부(21)에 모두 결합된 후,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21)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21)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컴팩트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4개의 삽입고정부(21) 중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방에 위치한 2개의 삽입고정부(21)가 서로 인접하고, 타측방에 위치한 2개의 삽입고정부(21)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21)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는 이격연결부(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격연결부(22)는, 서로 인접하는 2쌍의 삽입고정부(21)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중심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양측 삽입고정부(21)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연결부(22)는 삽입고정부(21)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이격연결부(22)의 상단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해당하는 지점까지 위치하지만, 상기 이격연결부(22)의 하단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하단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이격연결부(22)는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상단부터 시작되고 연장되어,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중앙부까지만 연장되어, 상기 삽입고정부(21)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전원접속부(30)의 접속부 몸체(31)가 상기 삽입고정부(21)에 대응되는 부분만큼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 몸체(31)의 함몰되는 부분에 상기 삽입고정부(21)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이격연결부(22)가 상기 접속부 몸체(31)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삽입고정부(21)가 상기 접속부 몸체(31)에 충분히 깊히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접속부(30)에서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의 상기 전원단자(3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결합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전원 몸체의 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상기 전원단자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결합되는 경우에, 후술할 오결합방지리브(25)가 삽입될 수 있는 오결합방지홈(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케이블 접속부(10)가 쉽게 분리되어 초래되는 전기 누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연결부(22)도 상기 삽입고정부(21)와 동일하게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무게나 이를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이격연결부(22)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외측면에는 오결합방지리브(25)가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접속부(30)에는, 상기 가이드연결구(2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오결합방지리브(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결합방지홈(3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결합방지리브(25)는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상기 전원접속부(30)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오결합방지홈(31a)은 상기 오결합방지리브(25)에 대응되는 상기 전원접속부(30)의 일측에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연결구(2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결합되는 경우에 전후 방향이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결합방지리브(25)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외측면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데, 만약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전후 방향이 바뀐 상태에서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결합시키기고자 한다면, 상기 오결합방지리브(25)가 상기 오결합방지홈(31a)에 삽입될 수 없어 완전한 결합이 어려울 것이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자연스럽게 결합 방향이 잘못되었음을 인지하고 바로 잡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고정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1)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23)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내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삽입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의 걸림돌기(23)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21)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한 삽입고정부(21)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전기 누전 등의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모습과 같다.
따라서, 도 7의 SECTION A-A'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에 의하여 상기 걸림돌기(23)가 일측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는데, 이에 대한 걸림돌기(2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2)는, 상기 걸림부(232)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 단자(12)와 접촉되는 일면의 중앙부(233)가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중앙부(233)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얇아져 단차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32)의 단차지는 부분 즉, 단차부(234)에 상기 케이블 단자(12)가 걸려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고정부(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 반대측으로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 반대측 단부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삽입방지턱(2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방지턱(24)은 도 9에 도시된 모습과 같다.
상기 삽입방지턱(24)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길이 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고정부(21)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꺾여 'ㄱ'자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삽입방지턱(2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의 단자 너비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의 단자는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를 통해서는 삽입되어 결합이 가능하지만,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 반대측 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삽입방지턱(24)에 막혀 삽입될 수가 없으므로, 오결합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연결구(20) 내부의 상기 케이블 접속부(10) 결합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도 내부가 투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접속부(10), 전원접속부(30) 및 가이드 연결구(2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투시되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내부에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정확히 결합되었는지, 상기 케이블 접속부(10)가 상기 전원접속부(30)에 정확히 연결되었는지 등 결합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리브는,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전면에 형성되어 화살표가 표기되는 전면리브(26a)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에 각각 대응되는 숫자가 표기되는 후면리브(26b)와, 조립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연결구(20)를 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리브(26c)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리브(26a)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전면 중심부 일부에 걸쳐서 형성되고, 상기 후면리브(26b)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후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리브(26a)는 상기 후면리브(26b)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므로, 상기 케이블 접속부(10), 전원접속부(30) 및 가이드 연결구(20)의 조립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전후 방향을 쉽게 확인하여 정확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립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의 측면을 파지하여 상기 전원접속부(30)에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측면리브(26c)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작업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조립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연결구(20)에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전원단자(3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삽입공 입구 반대측 단부에 단자가이드홈(21a)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단자가이드홈(21a)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입구 반대측 단부에 상기 삽입고정부(21)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11'자 형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전원단자(3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가이드홈(21a)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2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연결구(20)가 상기 전원단자(32)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원단자(32)가 상기 단자가이드홈(21a)에 1차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단자가이드홈(21a)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측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므로, 전후 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정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단자가이드홈(21a)은 상기 삽입고정부(21)의 단부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삽입방지턱(24)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일측 부분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볼 때 상기 걸림돌기(23)와 중첩되지 않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10)의 단자와 상기 전원단자(32)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케이블 접속부 11: 케이블 몸체
12: 케이블 단자 20: 가이드 연결구
21: 삽입고정부 21a: 단자가이드홈
22: 이격연결부 23: 걸림돌기 24: 삽입방지턱 25: 오결합방지리브
26a: 전면리브 26b: 후면리브 26c: 측면리브 30: 전원접속부 31: 접속부 몸체 31a: 오결합방지홈 32: 전원단자 231: 베이스부
232: 걸림부 233: 중앙부
234: 단차부

Claims (6)

  1.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몸체와, 상기 케이블 몸체의 단부에 고정되어 전원에 접속되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접속부; 및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를 상기 전원접속부에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연결구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투시될 수 있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가이드 연결구 사이의 결합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해,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다수개의 삽입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삽입고정부에 모두 결합된 후,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고,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단부터 시작되고 연장되며, 상기 삽입고정부에 비하여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삽입고정부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이격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삽입고정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삽입공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의 중앙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블 단자와 접촉되는 일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는 단차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얇아져 상기 단차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단자와 면 접촉하여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중앙부 및 단차부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접촉되는 상기 걸림부의 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연결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중앙부 및 단차부에 걸려 상기 삽입고정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삽입고정부 중 적어도 2개의 삽입고정부가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보다 컴팩트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연결부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외측면에는 오결합방지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부에는,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오결합방지리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결합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결합방지리브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상기 전원접속부와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오결합방지홈은 상기 오결합방지리브에 대응되는 상기 전원접속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연결구가 상기 전원접속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전후 방향이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의 걸림돌기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삽입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에 형성되어, 상기 서로 인접한 삽입고정부에 결합되는 상기 케이블 접속부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연결구는, 상기 가이드 연결구가 오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입구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삽입고정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화살표가 표기되는 전면리브;
    상기 삽입고정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에 각각 대응되는 숫자가 표기되는 후면리브; 및
    조립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연결구를 더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고정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구조.
KR1020170092410A 2017-07-21 2017-07-21 케이블 연결 구조 KR10195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10A KR101953226B1 (ko) 2017-07-21 2017-07-21 케이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10A KR101953226B1 (ko) 2017-07-21 2017-07-21 케이블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85A KR20190010785A (ko) 2019-01-31
KR101953226B1 true KR101953226B1 (ko) 2019-03-04

Family

ID=6532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410A KR101953226B1 (ko) 2017-07-21 2017-07-21 케이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79Y1 (ko) * 2005-12-14 2006-04-20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JP2012216344A (ja) * 2011-03-31 2012-1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069487A (ja) * 2011-09-21 2013-04-18 Delphi Automotive Systems Japan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0558B2 (ja) * 1994-04-08 1999-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88923A (ja) * 1994-09-14 1996-04-02 Sumitomo Wiring Syst Ltd ユニット構成体と電線束組立体との接続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ユニット構成体
KR0125666Y1 (ko) * 1995-07-26 1998-09-15 김태구 터미널의 탈거가 용이한 커넥터
KR101704788B1 (ko) 2015-02-13 2017-02-16 주식회사동진티아이 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79Y1 (ko) * 2005-12-14 2006-04-20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JP2012216344A (ja) * 2011-03-31 2012-1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069487A (ja) * 2011-09-21 2013-04-18 Delphi Automotive Systems Japan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785A (ko)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6283B1 (en)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20080003891A1 (en) Plug-in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device
EP2784878B1 (en) Female connector
CN109314337B (zh) 连接器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CN109314336B (zh) 连接器
US9106033B2 (en) Busbar adapter
US20120015541A1 (en) Self-securing power cord
US8430697B2 (en) Plug-type connector and mating plug-type connector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US9054508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029314B2 (en) Press-contacting connector
US957738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794340B1 (ko) 차량용 커넥터
KR101953226B1 (ko) 케이블 연결 구조
KR101962780B1 (ko) 케이블 연결 구조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7142B1 (ko) 무탈피 전선이음 커넥터
US20160315412A1 (en) Connector
KR20190137696A (ko) 커넥터 및 커넥터 하우징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KR101725929B1 (ko) Usb 커넥팅 케이블 조립체
KR20100022841A (ko) 커넥터
KR101143590B1 (ko)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