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97B1 - 손잡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손잡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97B1
KR101953197B1 KR1020180144621A KR20180144621A KR101953197B1 KR 101953197 B1 KR101953197 B1 KR 101953197B1 KR 1020180144621 A KR1020180144621 A KR 1020180144621A KR 20180144621 A KR20180144621 A KR 20180144621A KR 101953197 B1 KR101953197 B1 KR 101953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andle
hole
shaft
sl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양일
Original Assignee
(주)이노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이노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18014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기 등의 각종 전자기구의 하드 케이스에 구비되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 시 손잡이의 파지부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리지 않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손잡이가 케이스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파지부를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는, 각각 케이스의 외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고, 양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 상기 슬라이드공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배면에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단부에서 내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안내부를 구비한 체결부재;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각 체결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안내부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몸통부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걸림축을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미사용 시 상기 파지부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파지부가 케이스에 밀착되고, 파지부를 잡으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부가 케이스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잡이 어셈블리{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계측기 등의 각종 전자기구의 하드 케이스에 구비되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 시 손잡이의 파지부가 케이스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리지 않도록 하고, 사용 시에는 손잡이가 케이스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파지부를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게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계측기는 중량, 용량, 속도, 진동, 소음, 온도, 열량, 길이 등 양의 크기나 물리적 상태를 양적(수치)으로 측정하여 표시 또는 기록하는 전자 기구로써,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계측기는 종류에 따라 고정 설치용, 휴대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휴대용 계측기의 경우 그 크기나 무게 역시 다양하다.
그리고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갖는 계측기는 휴대 및 운반을 편리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03-0004730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드 케이스의 상면 또는 양 측면에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하드 케이스용 손잡이는 대부분 회동형으로 구비되어, 미사용 시 손잡이가 하드 케이스에 밀착되게 접히고, 사용 시 손잡이를 하드 케이스에서 이격시켜 손잡이를 잡을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회동형 손잡이는 사용하지 않을 때 하드 케이스에 밀착되어 있더라도, 손잡이의 두께만큼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손잡이에 걸릴 경우 계측기가 움직여 정확한 측정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하드 케이스의 측면에 접힌 상태의 회동형 손잡이가 수용되는 홈을 형성한 것이 있는데, 하드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기 위해선 손잡이용 수용홈의 크기가 작아질 수밖에 없어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손잡이로써,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 소재로 손잡이를 제작하여, 미사용 시 손잡이가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에 밀착되고, 사용 시 손잡이만이 케이스 외부로 빠져나와 사용할 수 있는 길이 가변형 손잡이가 있다.
종래의 길이 가변형 손잡이는 손잡이부재와 지지부재가 서로 분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재는 띠 형상의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장된 사각 형상의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띠 형상의 받침부의 양측단에 걸림편을 구부려 끼울 수 있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삽입홈에 끼워진 손잡이부재의 인출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길이 가변형 손잡이는 손잡이부재와 지지부재 사이의 결합 강도가 약하여 비교적 경량의 물품이 수납되는 가방이나 포장 박스에만 사용될 수 있고, 계측기와 같이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하드 케이스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종래의 길이 가변형 손잡이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9149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계측기와 같이 무거운 전자기구의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손잡이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손잡이의 밀착 및 인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무거운 하중에도 불구하고 손잡이의 탈거를 방지하면서 하드 케이스와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는,
각각 케이스의 외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고, 양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 상기 슬라이드공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배면에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단부에서 내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안내부를 구비한 체결부재;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각 체결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안내부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몸통부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걸림축을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미사용 시 상기 파지부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파지부가 케이스에 밀착되고, 파지부를 잡으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부가 케이스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통부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축이 끼워지는 축공과, 상기 축공에 끼워진 상기 걸림축의 양측 단부에 외삽되어 걸림축을 축공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걸림축은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링이 끼워지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배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돌출된 후크와, 배면의 타측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후크를 케이스의 결합공 일측에 끼워서 걸림 결합한 후, 상기 체결공에 볼트를 끼워서 케이스에 볼팅 결합하여, 체결부재가 케이스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는,
래일부재와 손잡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계측기와 같이 무거운 하중의 전자기구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손잡이의 밀착 및 인출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계측기 등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반 및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체결부재 및 손잡이를 하드 케이스에 보다 쉽게 결합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손잡이의 탈거를 방지하여, 고장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용 조립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와 요부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계측기 등의 각종 전자기구의 하드 케이스에 구비되는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케이스(B)의 외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고, 양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11), 상기 슬라이드공(11)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배면에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단부에서 내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안내부(12)를 구비한 체결부재(10);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파지부(21), 상기 파지부(21)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각 체결부재(10)의 슬라이드공(11)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통부(22), 상기 안내부(12)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몸통부(22)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걸림축(23)을 구비한 손잡이(20);를 포함하여,
미사용 시 상기 파지부(21)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각 몸통부(22)가 각 체결부재(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파지부(21)가 케이스(B)에 밀착되고, 파지부(21)를 잡으면 각 몸통부(22)가 각 체결부재(1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부(21)가 케이스(B)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계측기의 하드 케이스(B) 중 일측면부에 손잡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드 케이스(B)의 양측면부 또는 상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재(10)는 손잡이(20)를 하드 케이스(B)의 외면에 고정시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손잡이(20)의 인출입을 안내하여 파지부(21)가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되게 한다.
이러한 체결부재(10)는 판 형상으로 케이스(B)의 외면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공(11)을 구비한 받침부(13), 상기 받침부(13)의 배면에서 상기 슬라이드공(1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측벽부(14), 슬라이드공(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 측벽부(14)에서 돌출된 상기 안내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12)는 높이차를 갖는 최고점(12a)과 최저점(12b)이 연결된 경사형 벽체로써, 손잡이(20)의 걸림축(23)이 최고점(12a)에 위치할 때 상기 몸통부(22)가 슬라이드공(11)으로 인입되고, 손잡이(20)의 걸림축(23)이 최저점(12b)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때 상기 몸통부(22)가 슬라이드공(11)에서 인출되어, 파지부(21)의 높이, 즉 파지부(21)의 돌출 길이가 가변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10)는 배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돌출된 후크(15)와, 배면의 타측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16)을 포함하여,
상기 후크(15)를 케이스(B)의 결합공(미도시) 일측에 끼워서 걸림 결합한 후, 상기 체결공(16)에 볼트(미도시)를 끼워서 케이스(B)에 볼팅 결합하여, 체결부재(10)가 케이스(B)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15)는 슬라이드공(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측벽부(14)들 중 어느 하나에서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돌출된다.
상기 체결공(16)은 슬라이드공(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크(15)가 구비된 반대편에 받침부(13)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그 개수에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슬라이드공(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측벽부(14)에 상기 후크(15)가 구비되고, 받침부(13)의 외측단에 상기 체결공(16)이 구비된 실시예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후크(15) 및 체결공(16)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B)의 외면에는 상기 후크(15)가 끼워져 걸리는 결합홈(미도시) 및 상기 체결공(16)으로 끼워진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체결부재(10)를 사선방향으로 기울여 후크(15)를 결함홈에 먼저 건 상태에서 체결부재(10)를 케이스(B)에 밀착 후 체결공(16)으로 볼트를 끼워서 나사공에 체결시켜, 체결부재(10)가 케이스(B)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B)에는 상기 결함홈과 나사공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공(11)에 대응하는 삽입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슬라이드공(11)에 끼워진 몸통부(22)가 삽입공에 수용되게 한다.
이렇게 체결부재(10)를 후크 걸림 및 나사 결합으로 케이스(B)에 장착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20)는 소정 간격 이격하여 장착된 체결부재(10)에 구속되어 인출입을 통해 케이스(B)에 밀착되거나 케이스(B)에서 이격되어 파지부(21)의 돌출 높이, 즉 파지부(21)의 노출 길이가 가변된다.
상기 파지부(21)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띠 형상을 가지며, 파지부(21)의 배면 양측단에 각각의 연결부(25)가 돌출되어 파지부(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부(21)는 띠 형상이 평평하게 펴지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다.
상기 연결부(25)는 몸통부(22) 내부로 끼워져 몸통부(22)를 파지부(21)에 결합되게 하는 것으로, 내측 끝단부에는 걸림축(23)(보다 엄밀하게는 걸림축(23)을 감싸는 축공(22a)의 벽체부)이 끼워지는 삽입홈(25a)이 구비된다.
상기 몸통부(22)는 상기 연결부(25)가 씌워지는 캡 형상으로, 내측단의 좌우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축공(22a)을 구비하여 축공(22a)에 상기 걸림축(23)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홀(22b)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부(25)가 삽입홀(22b)에 끼워진다.
이러한 연결부(25) 및 몸통부(22)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도면부호 미표기)을 구비하여 결합공들에 끼워진 볼트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호 결합된다.
상기 걸림축(23)은 상기 몸통부(22)의 좌우 폭 너비보다 큰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상기 축공(22a)에 끼워져 양측 노출부가 상기 안내부(12)의 선단부에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몸통부(22)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축(23)이 끼워지는 축공(22a)과, 상기 축공(22a)에 끼워진 상기 걸림축(23)의 양측 단부에 외삽되어 걸림축(23)을 축공(22a)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링(24)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축(23)은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링(24)이 끼워지는 장착홈(23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링(24)은 상기 장착홈(23a)에 끼워지는 중공(24a)을 구비한 일종의 씨 링(c-ring)으로써, 링의 일부가 절개되어 중공(24a)의 크기 조절이 가능하며, 서로 절개되어 분리된 양 단부에는 링을 벌릴 수 있도록 확장공(24b)이 형성된 벌림부(24A)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링(24)은 확장공(24b)으로 공구를 끼워서 벌린 후 걸림축(23)에 끼워지며, 이탈방지링(24)이 장착홈(23a)에 위치하면 벌어진 링이 오므려지면서 장착홈(23a)에 끼워져 고정되어, 걸림축(23)의 양단이 몸통부(22)의 측면에 걸려 걸림축(23)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지부(21)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평평하게 펴지면서 걸림축(23)이 안내부(12)의 최고점(12a)으로 이동하여 몸통부(22)가 슬라이드공(11)으로 인입됨에 따라 파지부(21)가 케이스(B) 방향의 내측으로 당겨지면서 케이스(B)의 외면에 밀착되고,
사용자가 파지부(21)를 잡고 당기면 걸림축(23)이 최저점(12b)으로 이동하면서 몸통부(22)가 슬라이드공(11)에서 인출됨에 따라, 파지부(21)가 슬라이드공(11)을 통해 인출되어 파지부(21)가 안정적으로 잡힐 수 있는 반원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파지부(21)를 잡고 계측기 등을 휴대 및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파지부(21)에서 손을 떼면, 파지부(21)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양 단부가 펴지게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몸통부(22)가 각 체결부재(1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축(23)이 최고점(12a)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지부(21)가 몸통부(22)에 의해 내측으로 잡아 당겨져 파지부(21)가 케이스(B)에 밀착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20)는 체결부재(10)에 몸통부(22)를 먼저 끼운 상태에서 걸림축(23)을 축공(22a)에 끼운 후 이탈방지링(24)을 장착하여 조립되는데, 걸림축(23) 및 이탈방지링(24)의 크기가 작고 안내부(12) 외부로 노출되는 몸통부(22)의 면적이 협소하여 이탈방지링(24)의 끼움 작업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링(24)을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축(23)이 축공(22a)에서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걸림축(23)을 몸통부(22)에 결합한 상태에서 손잡이(20)와 체결부재(1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조립수단(30)을 도입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공(22a)은 외측단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22c)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수단(30)은,
상기 몸통부(22)의 각 축공(22a)에 끼워져 회전 및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축(23)으로 기능하는 한 쌍의 분체(32),
각 분체(32)의 외주면에 홈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22c)가 끼워지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부(33a)와, 상기 수직부(33a)의 외측 끝단부에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절곡하여 연결된 수평부(33b)로 이루어진 걸림홈(33),
각 분체(32)의 외주면에서 상기 수직부(33a)의 외측에 돌출된 밀림돌기(34),
상기 슬라이드공(11)의 좌우 양 측면에 깊이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 내측면에 상기 밀림돌기(34)가 접촉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35a)를 구비한 끼움홈(35),
상기 축공(22a)에서 상기 분체(32)가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36)을 포함하여,
상기 분체(32)가 축공(22a) 내부로 인입된 후 상기 밀림돌기(34)가 상기 수평부(33b)에 걸려 분체(32)의 인출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35)에 분체(32)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몸통부(22)를 슬라이드공(11)에 삽입하면,
상기 가압돌기(35a)에 상기 밀림돌기(34)가 접촉함에 따라, 상기 분체(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밀림돌기(34)가 상기 수직부(33a)와 동일선 상으로 이동하여 분체(32)의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안내부(12)를 통과한 상기 분체(32)가 상기 스프링(36)에 의해 인출되면서 분체(32)가 안내부(12)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분체(32)는 서로 분리되어 개별 회전 및 인출입되어 걸림축(23)으로 기능하며, 각 분체(32)의 외주면에 'ㄱ'자로 형성된 상기 걸림홈(33)이 오목 형성되고, 수직부(33a)의 외측에 상기 밀림돌기(3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체(32)는 선단부의 외측면에 드라이버 등을 끼울 수 있는 공구홈(32a)이 오목 형성된다.
이러한 분체(32)는 상기 걸림돌기(22c)가 상기 수직부(33a)에 끼워져 있을 때 전후로 인출입 가능하고, 상기 걸림돌기(22c)가 상기 수평부(33b)에 끼워져 있을 때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걸림돌기(22c)가 수직부(33a)에 위치하도록 공구홈(32a)을 이용해 분체(3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누르면, 스프링(36)이 압축되면서 분체(32)가 축공(22a) 내부로 인입되고, 이 상태에서 공구홈(32a)을 이용해 분체(32)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2c)가 수평부(33b)에 걸려서 분체(32)의 인출이 방지된다.
이후 체결부재(10)와 손잡이(20)의 조립을 위해, 분체(32)를 끼움홈(35)에 맞춰지도록 몸통부(22)를 슬라이드공(11)에 끼우면, 분체(32)의 밀림돌기(34)가 끼움홈(35)의 가압돌기(35a)게 걸리면서 분체(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기(22c)가 수직부(33a)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수평부(33b)와의 걸림에 해제되어 분체(32)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분체(32)의 인출 가능 상태에서 몸통부(22)를 끝까지 삽입하면, 각 분체(32)가 끼움홈(35)에서 이탈하면서 분체(32)를 누르던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분체(32)가 축공(22a) 외부로 돌출되면서 안내부(12)의 선단부에 걸려서 체결부재(10)와 손잡이(20)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 상태에서 후크(15) 및 나사 결합을 통해 체결부재(10)를 케이스(B)에 장착하여, 손잡이 어셈블리의 조립을 쉽게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분체(32)는 걸림홈(33)에 걸림돌기(22c)가 상시적으로 걸려 있기 때문에 분체(32)가 축공(22a)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걸림축(23)을 몸통부(22)에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손잡이(20)와 체결부재(1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손잡이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케이스
10 : 체결부재 11 : 슬라이드공
12 : 안내부 13 : 받침부
14 : 측벽부 15 : 후크
16 : 체결공
20 : 손잡이 21 : 파지부
22 : 몸통부 23 : 걸림축
24 : 이탈방지링 25 : 연결부
30 : 조립수단 32 : 분체
33 : 걸림홈 34 : 밀림돌기
35 : 끼움홈 36 : 스프링

Claims (4)

  1. 각각 케이스의 외면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결합되고, 양면을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공, 상기 슬라이드공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배면에서 돌출되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외측 단부에서 내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결된 안내부를 구비한 체결부재;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각 체결부재의 슬라이드공에 끼워져 슬라이딩 결합되는 몸통부, 상기 안내부에 걸려서 지지되도록 상기 몸통부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걸림축을 구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미사용 시 상기 파지부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파지부가 케이스에 밀착되고, 파지부를 잡으면 각 몸통부가 각 체결부재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부가 케이스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몸통부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축이 끼워지는 축공과, 상기 축공에 끼워진 상기 걸림축의 양측 단부에 외삽되어 걸림축을 축공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축은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링이 끼워지는 장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배면의 일측에서 길이방향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돌출된 후크와, 배면의 타측에서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체결공을 포함하여,
    상기 후크를 케이스의 결합공 일측에 끼워서 걸림 결합한 후, 상기 체결공에 볼트를 끼워서 케이스에 볼팅 결합하여, 체결부재가 케이스의 외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어셈블리.
KR1020180144621A 2018-11-21 2018-11-21 손잡이 어셈블리 KR101953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21A KR101953197B1 (ko) 2018-11-21 2018-11-21 손잡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621A KR101953197B1 (ko) 2018-11-21 2018-11-21 손잡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197B1 true KR101953197B1 (ko) 2019-03-04

Family

ID=6575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621A KR101953197B1 (ko) 2018-11-21 2018-11-21 손잡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1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86U (ko) * 1979-06-22 1981-01-14
JPH03106781U (ko) * 1990-02-20 1991-11-05
JPH0533575U (ja) * 1991-10-07 1993-04-30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ハンドル保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286U (ko) * 1979-06-22 1981-01-14
JPH03106781U (ko) * 1990-02-20 1991-11-05
JPH0533575U (ja) * 1991-10-07 1993-04-30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ハンドル保持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410194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locking device
US8007060B2 (en) Slide assembly with locking device
US8009424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56994B2 (en) Positioning device for a drawer
US8328300B2 (en) Mounting apparatus for slide rail
US20120097623A1 (en) Hard disk drive holder
KR20180088398A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US20100021803A1 (en) Electronic device
US20100242367A1 (en) Lid opening/clos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US20060279252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035136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90096221A1 (en) Latching mechanism
JP2000022341A (ja) 携帯機器用ホルダ
WO2018161398A1 (zh) 手机扣合结构和手机固定装置
US7068495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354182B2 (en) Battery box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20160255A1 (en) Battery latch and method
KR101953197B1 (ko) 손잡이 어셈블리
CN211450147U (zh) 自拍装置及其夹持组件
JPH10111179A (ja) 熱電対の支持構造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US810723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CN108243595B (zh) 一种电源模块及插框组件
CN215173599U (zh) 电子设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