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738B1 - 약액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약액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738B1
KR101952738B1 KR1020170050902A KR20170050902A KR101952738B1 KR 101952738 B1 KR101952738 B1 KR 101952738B1 KR 1020170050902 A KR1020170050902 A KR 1020170050902A KR 20170050902 A KR20170050902 A KR 20170050902A KR 101952738 B1 KR101952738 B1 KR 101952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handle
powe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857A (ko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유)광원농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원농기계 filed Critical (유)광원농기계
Priority to KR102017005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3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the delivery being related to the movement of a vehicle, e.g. the pump being driven by a vehicl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01M7/0057Mounting of the spraybooms with active regulation of the boom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이 편리한 약액분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약액분사장치는 동력발생부, 동력전달부, 제1클러치부, 제1조절부, 펌프, 분사부, 제2클러치부 그리고 제2조절부를 포함한다. 동력발생부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동력전달부는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변속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축을 가진다. 제1클러치부는 바퀴와 결합되는 휠축 및 주동축을 연결하고, 동력을 휠축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제1조절부는 제1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펌프는 약액통과 연결되고, 펌핑 압력을 이용하여 약액통의 약액이 수송되도록 한다. 분사부는 약액통에서 수송되는 약액을 분사시킨다. 제2클러치부는 주동축 및 펌프를 연결하고, 동력을 펌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제1클러치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제2조절부는 제1조절부와 독립적으로 제2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약액분사장치{APPARATUS FOR SPRAYING CHEMICAL LIQUID}
본 발명은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한 약액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또는 노지 등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살충제 등의 농약을 포함하는 약액을 살포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경작면적이 적은 경우에는 수동 약액분사기를 작업자가 메고 약액을 펌핑하면서 작물에 분사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 농약분사기의 경우 작업자가 한쪽 손으로는 지속적으로 펌핑을 해야 하고 다른 한쪽 손으로는 분사대를 붙잡고 좌우측으로 반복하여 이동시켜 방제하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방제 시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약액이 작물에 대해 부분적으로 분사되므로 방제효과가 떨어져 반복하여 방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분사장치를 등에 메고 비닐하우스의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자동으로 약액이 분사되는 자동 약액분사기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자동 약액분사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등을 완전히 덮는 크기로 제작되어 사용과 활동에 불편함이 많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농약 분사작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규모의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방식은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약액를 살포하고, 약액 살포의 효과도 높일 수 있는 기계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근래에 들어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장착하여 자동으로 약액을 살포할 수 있도록 약액 분사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액 분사장치는 넓은 범위에 걸쳐 약액을 살포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너무 크고, 이랑이나 둔턱 등이 있어 평탄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6-0000016호(2006.011.03.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이 편리한 약액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변속하고,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축을 가지는 동력전달부; 바퀴와 결합되는 휠축 및 상기 주동축을 연결하고, 상기 동력을 상기 휠축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클러치부; 상기 제1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조절부; 약액통과 연결되고, 펌핑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약액통의 약액이 수송되도록 하는 펌프; 상기 약액통에서 수송되는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주동축 및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동력을 상기 펌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제1클러치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클러치부; 그리고 상기 제1조절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약액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는 상기 주동축의 일단부에 상기 주동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휠축에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와 체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기어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물림기어를 가지는 제1이동기어부와, 상기 주동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물림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물림기어를 가지는 제1고정기어부와, 상기 제1물림기어 및 상기 제2물림기어가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1이동기어부를 상기 제1고정기어부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탄성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와, 제1회전축부와, 상기 제1회전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구동기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바와, 상기 제1회전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를 가지는 제1푸셔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연장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가 작동 시에 당겨지면서 상기 제1연장바가 상기 제1이동기어부를 상기 동력전달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물림기어 및 상기 제2물림기어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푸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와이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푸셔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의 작동 정지 시에 상기 제1와이어의 당겨짐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기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걸림부에 밀려 초기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부는 상기 주동축의 타단부에 상기 주동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 및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종동기어와 체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기어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물림기어를 가지는 제2이동기어부와, 상기 주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물림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4물림기어를 가지는 제2고정기어부와, 상기 제3물림기어 및 상기 제4물림기어가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이동기어부를 상기 제2고정기어부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탄성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부와, 제2회전축부와, 상기 제2회전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구동기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연장바와, 상기 제2회전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바를 가지는 제2푸셔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및 상기 제4연장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가 작동 시에 당겨지면서 상기 제3연장바가 상기 제2이동기어부를 상기 동력전달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물림기어 및 상기 제4물림기어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2푸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푸셔부는 상기 제2손잡이부의 작동 정지 시에 상기 제2와이어의 당겨짐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고정기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걸림부에 밀려 초기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1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약액이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인트부의 상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조인트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2조인트부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조인트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연결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와, 일단부는 상기 제2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거쳐 타단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조인트부를 상측으로 당겨 지지하는 제3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통의 약액을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제1안내관과, 상기 펌프 및 상기 노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약액을 상기 노즐로 안내하는 제2안내관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클러치부는 제1바퀴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제1조절부는 제1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클러치부는 펌프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2조절부는 제2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조절부 및 제2조절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클러치부 및 제2클러치부도 독립적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프레임이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노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 작물의 키에 따라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퀴 및 제2바퀴는 일렬로 구비되어 이랑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랑이 형성되는 지역에서도 약액분사장치를 이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1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1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2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2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약액분사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1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1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액분사장치는 동력발생부(100), 동력전달부(200), 제1클러치부(300), 제1조절부(400), 펌프(500), 제2클러치부(600), 제2조절부(700) 그리고 분사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10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엔진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200)는 동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고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축(210)을 가질 수 있다. 주동축(210)은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20)의 제1측면(221) 및 제2측면(222)을 관통해서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00)는 하우징(220)의 내측에 주동축(210)과 결합되는 기어결합체(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기어결합체는 여러 종류의 기어들을 가질 수 있으며, 기어결합체의 작동에 의해 주동축(210)은 변속될 수 있다.
동력발생부(100) 및 동력전달부(200)는 약액분사장치의 본체프레임(9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910)은 약액분사장치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약액분사장치는 복수의 바퀴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제1바퀴(920) 및 제2바퀴(9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바퀴(920) 및 제2바퀴(930)는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바퀴(920) 및 제2바퀴(930)는 일렬로 구비되어 이랑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이랑이 형성되는 지역에서도 약액분사장치를 이용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클러치부(300)는 약액분사장치의 앞측에 구비되는 제1바퀴(920)에 선택적으로 동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클러치부(300)는 제1이동기어부(310), 제1고정기어부(320) 및 제1탄성부(3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기어부(310)는 제1베이스(311), 제1걸림부(312), 제1구동기어(313) 및 제1물림기어(314)를 가질 수 있다.
제1베이스(311)는 주동축(2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베이스(311)의 내측지름은 주동축(210)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베이스(311)는 주동축(2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1걸림부(312)는 제1베이스(311)에서 동력전달부(200)의 제1측면(221)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312)는 제1베이스(31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기어(313)는 제1베이스(311)에서 동력전달부(200)의 제1측면(221)에 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기어(313)는 제1베이스(31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기어(313)는 제1바퀴(920)의 회전축인 휠축(921)에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922)와 제1체인(923)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기어부(310)가 회전 시에 발생하는 회전력은 제1구동기어(313), 제1체인(923), 제1종동기어(922) 및 휠축(921)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제1바퀴(920)는 회전될 수 있다.
제1물림기어(314)는 제1베이스(311)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구동기어(313)는 제1베이스(3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물림기어(314)는 제1베이스(311)의 외측면에 주동축(210)의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312), 제1구동기어(313) 및 제1물림기어(314)는 제1베이스(3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기어부(320)는 주동축(210)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기어부(320)는 제2물림기어(321)를 가질 수 있다.
제2물림기어(321)는 제1고정기어부(320)의 외측면에 주동축(210)의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물림기어(314)와 기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물림기어(314) 및 제2물림기어(321)가 기어 결합되면, 주동축(210)과 함께 제1고정기어부(320)가 회전 시에 발생하는 회전력은 제1이동기어부(3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탄성부(330)는 동력전달부(200)의 제1측면(221) 및 제1이동기어부(3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330)는 제1이동기어부(310)를 제1고정기어부(320) 방향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물림기어(314) 및 제2물림기어(321)는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탄성부(3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400)는 제1손잡이부(410), 제1푸셔부(420) 및 제1와이어(430)를 가질 수 있다.
제1손잡이부(410)는 핸들프레임(911)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핸들프레임(911)은 본체프레임(910)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푸셔부(420)는 제1회전축부(421), 제1연장바(422) 및 제2연장바(423)를 가질 수 있다.
제1회전축부(421)는 동력전달부(200)에 구비되는 제1설치브래킷(440)의 제1결합부(4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축부(421)는 제1결합부(441)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연장바(422)는 제1회전축부(421)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부(42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바(422)는 제1걸림부(312) 및 제1구동기어(31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연장바(423)는 제1회전축부(42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부(42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연장바(423)의 일단부에는 제1관통공(4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장바(422) 및 제2연장바(423)는 제1회전축부(4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와이어(430)는 제1손잡이부(410) 및 제2연장바(423)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430)의 일단부는 제1손잡이부(4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430)의 타단부는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제1안내브래킷(450)을 통해 제2연장바(4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와이어(430)는 제1와이어커버(431)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와이어커버(431)는 제1안내브래킷(45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미도시)을 통해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와이어커버(431)는 제1결합부재(451)에 의해 제1안내브래킷(45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장바(423)를 관통하는 제1와이어(430)에는 제1고정부재(4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425)는 제1와이어(430)에 고정되어 제1와이어(430)가 제1관통공(424)을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브래킷(450) 및 제2연장바(423)의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4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탄성부재(426)는 제2연장바(423)가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20)의 제1측면(2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연장바(423)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제1와이어(4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각각 제1손잡이부(410) 및 제2연장바(423)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1손잡이부(410)는 작동 시에 제1와이어(430)를 잡아 당기고, 작동이 정지되면 제1와이어(430)의 당김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손잡이부(410)가 작동되면, 제1와이어커버(431)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와이어(430)가 당겨지게 되고, 제1탄성부재(426)가 압축되면서 제2연장바(423)는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연장바(423)가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회전축부(421)가 회전하게 되면서 제1연장바(422)도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연장바(422)는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걸림부(312)를 제1측면(22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1탄성부(330)가 압축되면서 제1이동기어부(310)가 제1측면(22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기어부(310)가 제1측면(221)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물림기어(321)로부터 제1물림기어(314)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주동축(210)의 회전력은 제1이동기어부(310)에 전달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제1바퀴(92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제1손잡이부(410)의 작동이 정지 시에는, 제1와이어(430)의 당겨짐이 해제되어, 제1탄성부재(426)가 탄성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돌아가면서 제2연장바(423)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제1연장바(422)는 제1회전축부(421)와 함께 제1고정기어부(32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제1탄성부(3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이동기어부(310)는 제1고정기어부(3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이동기어부(310)의 이동 시에, 제1연장바(422)는 제1걸림부(312)에 의해서도 밀려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기어부(310)가 제1고정기어부(320)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물림기어(321)에 제1물림기어(314)가 기어 결합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의 회전력은 제1이동기어부(310)로 전달되어 제1바퀴(920)가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클러치부(300)는 제1바퀴(920)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1조절부(400)는 제1클러치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클러치부(300), 제1체인(923), 휠축(921) 및 제1종동기어(922)는 커버하우징(940)으로 덮여 보호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2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제2클러치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펌프(500)는 본체프레임(910)과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펌프(500)는 약액통(510)과 제1안내관(5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500)의 펌핑 압력에 의해 약액통(510)의 약액은 제1안내관(520)을 통해 펌프(50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펌프(500)에는 제2안내관(530)이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500)로 유입된 약액은 제2안내관(530)을 통해서 분사부(800)의 노즐(833)로 공급될 수 있다.
제2클러치부(600)는 펌프(500)에 선택적으로 동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클러치부(600)는 제2이동기어부(610), 제2고정기어부(620) 및 제2탄성부(630)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이동기어부(610)는 제2베이스(611), 제2걸림부(612), 제2구동기어(613) 및 제3물림기어(614)를 가질 수 있다.
제2베이스(611)는 주동축(2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베이스(611)의 내측지름은 주동축(210)의 외측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베이스(611)는 주동축(21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걸림부(612)는 제2베이스(611)에서 동력전달부(200)의 제2측면(222)에 가까운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612)는 제2베이스(611)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기어(613)는 제2베이스(611)에서 동력전달부(200)의 제2측면(222)에 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기어(613)는 제2베이스(61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기어(613)는 펌프(500)의 회전축(501)에 구비되는 제2종동기어(502)와 제2체인(503)에 의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동기어부(610)가 회전 시에 발생하는 회전력은 제2구동기어(613), 제2체인(503), 제2종동기어(502) 및 회전축(501)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펌프(500)는 작동될 수 있다.
제3물림기어(614)는 제2베이스(611)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구동기어(613)는 제2베이스(6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물림기어(614)는 제2베이스(611)의 외측면에 주동축(210)의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612), 제2구동기어(613) 및 제3물림기어(614)는 제2베이스(6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기어부(620)는 주동축(21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기어부(620)는 제4물림기어(621)를 가질 수 있다. 제4물림기어(621)는 제2고정기어부(620)의 외측면에 주동축(210)의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3물림기어(614)와 기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물림기어(614) 및 제4물림기어(621)가 기어 결합되면, 주동축(210)과 함께 제2고정기어부(620)가 회전 시에 발생하는 회전력은 제2이동기어부(6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탄성부(630)는 동력전달부(200)의 제2측면(222) 및 제2이동기어부(61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630)는 제2이동기어부(610)를 제2고정기어부(620) 방향으로 탄발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물림기어(614) 및 제4물림기어(621)는 기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탄성부(6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조절부(700)는 제2손잡이부(710), 제2푸셔부(720) 및 제2와이어(730)를 가질 수 있다.
제2손잡이부(710)는 핸들프레임(911)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푸셔부(720)는 제2회전축부(721), 제3연장바(722) 및 제4연장바(723)를 가질 수 있다.
제2회전축부(721)는 제2설치브래킷(740)의 제2결합부(7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축부(721)는 제2결합부(741)의 상측 및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연장바(722)는 제2회전축부(721)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회전축부(721)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연장바(722)는 제2걸림부(612) 및 제2구동기어(613)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4연장바(723)는 제2회전축부(72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회전축부(72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연장바(723)의 일단부에는 제2관통공(72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연장바(722) 및 제4연장바(723)는 제2회전축부(72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와이어(730)는 제2손잡이부(710) 및 제4연장바(723)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730)의 일단부는 제2손잡이부(7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와이어(730)의 타단부는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제2안내브래킷(750)을 통해 제4연장바(72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와이어(730)는 제2와이어커버(731)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와이어커버(731)는 제2안내브래킷(750)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미도시)을 통해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와이어커버(731)는 제2결합부재(751)에 의해 제2안내브래킷(75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4연장바(723)를 관통하는 제2와이어(730)에는 제2고정부재(72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725)는 제2와이어(730)에 고정되어 제2와이어(730)가 제2관통공(724)을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안내브래킷(750) 및 제4연장바(723)의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7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726)는 제4연장바(723)가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20)의 제2측면(2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4연장바(723)를 탄발 지지할 수 있다.
제2와이어(7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양단부가 각각 제2손잡이부(710) 및 제4연장바(723)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손잡이부(710)는 작동 시에 제2와이어(730)를 잡아 당기고, 작동이 정지되면 제2와이어(730)의 당김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손잡이부(710)가 작동되면, 제2와이어커버(731)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2와이어(730)가 당겨지게 되고, 제2탄성부재(726)가 압축되면서 제4연장바(723)는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4연장바(723)가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회전축부(721)가 회전하게 되면서 제4연장바(723)도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3연장바(722)는 동력전달부(200)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걸림부(612)를 제2측면(222)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2탄성부(630)가 압축되면서 제2이동기어부(610)가 제2측면(22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기어부(610)가 제2측면(22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4물림기어(621)로부터 제3물림기어(614)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주동축(210)의 회전력은 제2이동기어부(610)에 전달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해 펌프(500)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제2손잡이부(710)의 작동이 정지 시에는, 제2와이어(730)의 당겨짐이 해제되어, 제2탄성부재(726)가 탄성력에 의해 초기 형태로 돌아가면서 제4연장바(723)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제3연장바(722)는 제2회전축부(721)와 함께 제2고정기어부(62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제2탄성부(63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이동기어부(610)는 제2고정기어부(620)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이동기어부(610)의 이동 시에, 제3연장바(722)는 제2걸림부(612)에 의해서도 밀려지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이동기어부(610)가 제2고정기어부(620)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4물림기어(621)에 제3물림기어(614)가 기어 결합될 수 있으며, 주동축(210)의 회전력은 제2이동기어부(610)로 전달되어 펌프(500)의 회전축(501)이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제2클러치부(600)는 펌프(500)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제2조절부(700)는 제2클러치부(6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조절부(400) 및 제2조절부(700)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클러치부(300) 및 제2클러치부(600)도 독립적으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액분사장치의 분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분사부(800) 수직프레임(810), 제1조인트부(820), 수평프레임(830), 제2조인트부(840) 및 연결프레임(850)을 가질 수 있다.
수직프레임(810)은 본체프레임(910)에 구비되는 본체조인트부(9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810)은 제1연결부재(913)에 의해 본체프레임(9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810)은 핸들프레임(911)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9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조인트부(820)는 제1조절블록(821) 및 제1플랜지(822)를 가질 수 있다.
제1조절블록(821)은 수직프레임(810)에 수직프레임(8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조절블록(821)은 제1조절부재(823)에 의해 수직프레임(8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1플랜지(822)는 제1조절블록(82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83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플랜지(822)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830)에는 수평프레임(830)의 길이방향으로 노즐관(8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관(831)의 일단부(832)에는 펌프(500)에 연결되는 제2안내관(5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즐관(831)에는 복수의 노즐(8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펌프(500)를 거친 약액은 제2안내관(530)을 통해 노즐관(831)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노즐관(831)으로 공급되는 약액은 노즐(833)에서 분사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830)에는 제2플랜지(83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조인트부(840)는 제2조절블록(841) 및 제3플랜지(842)를 가질 수 있다.
제2조절블록(841)은 수직프레임(810)에 수직프레임(8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조절블록(841)은 제2조절부재(843)에 의해 수직프레임(8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3플랜지(842)는 제2조절블록(84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85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850)의 일단부는 제3플랜지(842)에 각각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플랜지(834)에 각각 축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프레임(830)이 하향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프레임(850)은 제2조인트부(840)가 수직프레임(810)을 따라 이동 시에 연동하여 회전 이동되면서 수평프레임(8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수평프레임(830)이 회전됨에 따라 노즐(833)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물의 키에 따라 용이하게 약액의 분사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분사부(800)는 롤러(860) 및 제3와이어(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860)는 수직프레임(810)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3와이어(870)는 일단부는 제2조인트부(840)에 연결되고, 롤러(860)를 거쳐 타단부는 핸들프레임(9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와이어(870)는 제2조인트부(840)를 상측으로 당겨 지지할 수 있다. 제2조인트부(840)가 수직프레임(81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3와이어(870)는 당겨져서 핸들프레임(9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인트부(840)가 수직프레임(81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3와이어(870)는 제2조인트부(840)가 하향 이동될 수 있도록 풀려져서 핸들프레임(911)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810)에는 제3조인트(880)가 수직프레임(8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3조인트(880)는 제3조절부재(881)에 의해 수직프레임(8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3조인트(880)는 제2조인트부(840)를 지지하거나, 제2조인트부(840)가 고정될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동력발생부 200: 동력전달부
210: 주동축 300: 제1클러치부
310: 제1이동기어부 312: 제1걸림부
313: 제1구동기어 314: 제1물림기어
320: 제1고정기어부 321: 제2물림기어
330: 제1탄성부 400: 제1조절부
420: 제1푸셔부 422: 제1연장바
423: 제2연장바 426: 제1탄성부재
430: 제1와이어 500: 펌프
510: 약액통 600: 제2클러치부
610: 제2이동기어부 612: 제2걸림부
613: 제2구동기어 614: 제3물림기어
620: 제2고정기어부 621: 제4물림기어
630: 제2탄성부 700: 제2조절부
720: 제2푸셔부 722: 제3연장바
723: 제4연장바 726: 제2탄성부재
730: 제2와이어 800: 분사부
810: 수직프레임 830: 수평프레임
833: 노즐 850: 연결프레임
920: 제1바퀴

Claims (10)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변속하고,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주동축을 가지는 동력전달부;
    바퀴와 결합되는 휠축 및 상기 주동축을 연결하고, 상기 동력을 상기 휠축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클러치부;
    상기 제1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조절부;
    약액통과 연결되고, 펌핑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약액통의 약액이 수송되도록 하는 펌프;
    상기 약액통에서 수송되는 약액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주동축 및 상기 펌프를 연결하고, 상기 동력을 상기 펌프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제1클러치부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2클러치부; 그리고
    상기 제1조절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2클러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클러치부는
    상기 주동축의 일단부에 상기 주동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휠축에 구비되는 제1종동기어와 체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기어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물림기어를 가지는 제1이동기어부와,
    상기 주동축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물림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2물림기어를 가지는 제1고정기어부와,
    상기 제1물림기어 및 상기 제2물림기어가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1이동기어부를 상기 제1고정기어부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1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핸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부와,
    제1회전축부와, 상기 제1회전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구동기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연장바와, 상기 제1회전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바를 가지는 제1푸셔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 및 상기 제2연장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가 작동 시에 당겨지면서 상기 제1연장바가 상기 제1이동기어부를 상기 동력전달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물림기어 및 상기 제2물림기어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1푸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와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셔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의 작동 정지 시에 상기 제1와이어의 당겨짐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1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기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걸림부에 밀려 초기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부는
    상기 주동축의 타단부에 상기 주동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비되는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부와, 상기 펌프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제2종동기어와 체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기어와,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3물림기어를 가지는 제2이동기어부와,
    상기 주동축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3물림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제4물림기어를 가지는 제2고정기어부와,
    상기 제3물림기어 및 상기 제4물림기어가 기어 결합되도록 상기 제2이동기어부를 상기 제2고정기어부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제2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핸들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손잡이부와,
    제2회전축부와, 상기 제2회전축부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부 및 상기 제2구동기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3연장바와, 상기 제2회전축부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축부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바를 가지는 제2푸셔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및 상기 제4연장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손잡이부가 작동 시에 당겨지면서 상기 제3연장바가 상기 제2이동기어부를 상기 동력전달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물림기어 및 상기 제4물림기어가 분리되도록 상기 제2푸셔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푸셔부는 상기 제2손잡이부의 작동 정지 시에 상기 제2와이어의 당겨짐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고정기어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2걸림부에 밀려 초기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제1조인트부와,
    상기 제1조인트부의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약액이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1조인트부의 상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조인트부와,
    일단부는 상기 제2조인트부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의 상기 수평프레임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조인트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연결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롤러와,
    일단부는 상기 제2조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를 거쳐 타단부는 핸들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조인트부를 상측으로 당겨 지지하는 제3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통의 약액을 상기 펌프로 안내하는 제1안내관과,
    상기 펌프 및 상기 노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약액을 상기 노즐로 안내하는 제2안내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분사장치.
KR1020170050902A 2017-04-20 2017-04-20 약액분사장치 KR101952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2A KR101952738B1 (ko) 2017-04-20 2017-04-20 약액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2A KR101952738B1 (ko) 2017-04-20 2017-04-20 약액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57A KR20180117857A (ko) 2018-10-30
KR101952738B1 true KR101952738B1 (ko) 2019-02-27

Family

ID=6410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02A KR101952738B1 (ko) 2017-04-20 2017-04-20 약액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97Y1 (ko) 2019-05-23 2020-10-28 주식회사 백광 약액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23A (zh) * 2018-08-13 2019-01-22 潘景玮 一种自走式风送喷雾机及喷雾方法
CN109169613B (zh) * 2018-11-30 2022-03-11 商丘师范学院 果树喷洒农药装置
KR102075149B1 (ko) * 2019-09-03 2020-02-07 농업회사법인 (주)와이에이치산업 농약 살포용 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농약 살포 장치
CN115336573B (zh) * 2022-09-20 2023-09-15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双摇臂式施药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624A (ja) * 2002-11-28 2004-06-24 Iseki & Co Ltd 歩行型薬液散布機
JP2007082558A (ja) * 2006-11-27 2007-04-05 Minoru Industrial Co Ltd 薬液噴霧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002B1 (ko) 2004-06-28 2008-02-28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624A (ja) * 2002-11-28 2004-06-24 Iseki & Co Ltd 歩行型薬液散布機
JP2007082558A (ja) * 2006-11-27 2007-04-05 Minoru Industrial Co Ltd 薬液噴霧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497Y1 (ko) 2019-05-23 2020-10-28 주식회사 백광 약액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57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738B1 (ko) 약액분사장치
KR102388072B1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635683B1 (ko) 승용 관리기 장착형 분무기
KR102075149B1 (ko) 농약 살포용 노즐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농약 살포 장치
KR20180024866A (ko) 농약살포대가 착탈되는 주행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20160056557A (ko) 무선조종 방제 장치
JP2008125514A (ja) 肥料・農薬散布器
KR20110008530U (ko) 개량된 분무부를 갖는 주행형 전동 분무장치
KR101464725B1 (ko) 무인방제장치
KR101885672B1 (ko) 농작물 뿌리병충해 방제용 관주장치
KR200484036Y1 (ko) 다목적 약액 분사기
KR20100051297A (ko) 비닐하우스 관수공급장치
KR20160001491U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KR101752769B1 (ko) 관리기 부착형 약제 살포장치
KR20100132143A (ko) 분무호스릴모듈
KR20090108885A (ko) 다용도용 분사장치
KR200489668Y1 (ko) 비닐하우스용 무인방제장치
KR101485254B1 (ko) 온실용 방제장치
JPH0837960A (ja) 散布装置
KR102365358B1 (ko)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KR2019005154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약액 살포장치
KR101153850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주행용 동력분사기
KR200432857Y1 (ko) 농약살포용 호스권취장치
KR200462487Y1 (ko) 농업용 호스릴
KR20180064947A (ko) 트랙터용 약액 살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