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637B1 -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637B1
KR101952637B1 KR1020180062537A KR20180062537A KR101952637B1 KR 101952637 B1 KR101952637 B1 KR 101952637B1 KR 1020180062537 A KR1020180062537 A KR 1020180062537A KR 20180062537 A KR20180062537 A KR 20180062537A KR 101952637 B1 KR101952637 B1 KR 10195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package
service pack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근
조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라인
Priority to KR102018006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637B1/ko
Priority to PCT/KR2019/002119 priority patent/WO20191642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 분산 분포된 개별 서비스를 모아서 서비스 패키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이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를 미러링함으로써 모든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packages}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맞추어 여러가지 서비스를 상황이나 목적별로 모아서 서비스 패키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상의 편의성을 주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도래로 인해 사용자들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로부터 대량의 정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부, 기업, 기관, 단체, 소상공인과 같은 정보제공자들은 개별 정보 또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편리하게 이용가능한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편익을 주기 위하여 복수의 정보, 데이터 또는 기능이 소정의 관련성을 가지고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 정의되며, 예컨대 지도 정보와 경로 정보가 결합된 길안내 서비스, 전화번호 정보와 자동응답 기능이 결합된 ARS 연결 서비스 등을 의미한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들 서비스들은 웹사이트, 전화, 이메일, 메신저, SNS(Social Network Service),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여러 형태로 분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각종 정보와 서비스의 홍수로 인해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검색하여 상호관련된 유의미한 정보를 취득하는데 오히려 불편을 겪기도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별 서비스 이용 방법의 개념도이다.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개별 서비스들(10)은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 서비스, 문자메시지서비스, 영상채팅 서비스, 콜센터 서비스, ARS 연결 서비스, IVR 연결 서비스, SNS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날씨 서비스, 모바일 앱 서비스, 웹사이트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하며,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제공가능한 것이면 그 형태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이들 개별 서비스들(10)은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제공되어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분산 분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인터넷 포털 서비스 제공자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 외에 지도 서비스, 날씨 서비스, 뉴스 서비스, 캘린더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고속도로관리기관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는 고속도로 노선 안내 서비스, 고속도로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 고속도로 휴게소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리조트 또는 테마파크 서비스 제공자는 방문고객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영상채팅 서비스, 콜센터 서비스, ARS 연결 서비스, SNS 서비스, 웹사이트 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정부, 기업, 기관, 단체, 소상공인 등의 서비스 제공자들이 개별 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이용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생성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에 탑재되어 이용가능한 형태의 전용 모바일 앱 서비스로 제공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자는 분산 분포된 하나 이상의 개별 서비스에 각기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 또는 자신의 검색 목적 달성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해야 한다. 예컨대, 테마파크를 방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먼저 인터넷 검색을 통해 날씨 정보 제공 사이트에 접속하여(11) 방문일자의 날씨를 검색하고(12), 테마파크 웹사이트에서 이용시간 및 이용요금 서비스를 확인한 후(13), 길안내 서비스를 통해 경로를 확인하며(14), 방문당일에는 고속도로관리기관에서 제공하는 고속도로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실시간 교통상황을 영상을 통해 체크하면서(15) 테마파크 방문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로 하여금 예컨대, 인터넷 검색 웹사이트, 날씨 정보 제공 웹사이트, 테마파크 웹사이트, 고속도로관리기관 웹사이트와 같은 복수의 웹사이트에 개별적으로 한번 이상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번거로움을 요구한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나 취향에 따라 동등 품질의 정보를 얻는데 걸리는 절차와 시간이 크게 다를 수 있으며 인터넷 검색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심지어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의 측면을 보면, 예컨대 테마파크와 같은 대형 서비스 제공자나 지역 음식점과 같은 소형 정보제공자 모두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서 자체 웹사이트, 모바일 앱, SNS 등을 이용하여 이용시간 안내, 이용요금 안내, 위치안내, 경로 안내, 전화번호 안내, 이벤트 안내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들 정보 외에도 자신이 테마파크를 방문하고자 하는 일자의 날씨 정보, 실시간 도로교통상황 CCTV 정보, 경로 주변 맛집 정보, 테마파크 주변 볼거리 정보 등을 동시에 얻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경우에, 소형 정보제공자인 지역 음식점이 이러한 부가 정보까지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기술적인 문제 및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거의 불가능하며, 대형 정보제공자인 테마파크의 경우에도 이러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또 업데이트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국내 특허 제10-1682168호 (2016. 12. 02 공고)
본 발명은 정부, 기업, 기관, 단체, 소상공인, 개인 등의 서비스 공급자들이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맞추어 여러가지 서비스를 상황이나 목적별로 모아서 서비스 패키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 이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들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복수의 개별 서비스를 결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자가 모든 세부 서비스를 직접 준비하지 않고도 다수의 서비스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독자적인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를 미러링함으로써 모든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서비스 패키지 관련 정보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는, 개별 서비스 정보 및 다수의 개별 서비스 정보를 패키지한 서비스 패키지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에 등록된 외부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API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 상기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서비스 패키지 생성시 이용 빈도가 높은 추가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DB; 상기 저장소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효성 및 업데이트 유무를 상기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과 연동하여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리포팅하며, 무효 데이터를 제거하고 유효하게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소 DB에 저장하는 서비스 검증 모듈; 상기 저장소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비스와의 API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검증된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서비스 검증 모듈 및/또는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리포팅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에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개별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각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패키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의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는 동기화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의 변경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에 포함된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도 변경되며,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의 서비스 패키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는 변경불가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에서,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는 적어도 서비스 ID, 서비스제공자명, 서비스명, 서비스 타입, 액션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ID는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입력시 자동 부여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는 적어도 서비스 패키지 ID, 서비스제공자명, 서비스 패키지명, 서비스 ID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의 변경은 상기 서비스 ID 리스트의 추가 또는 제거, 또는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의 액션 데이터 정보의 변경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개별 서비스 검색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검색을 위한 검색창 및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검색된 서비스 패키지를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 패키지 추가 아이콘을 검색 결과 화면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포함된 각 서비스 패키지에 대해 해당 서비스 패키지를 삭제하기 위한 서비스 패키지 삭제 아이콘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제공 방법은, 상기한 패키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개별 서비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개별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검증 및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검증 및 업데이트된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검색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부, 기업, 기관, 단체, 소상공인, 개인 등의 서비스 공급자들이 서비스 제공자의 의도에 맞추어 여러가지 서비스를 상황이나 목적별로 모아서 서비스 패키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이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들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복수의 개별 서비스를 결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패키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가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가 모든 세부 서비스를 직접 준비하지 않고도 다수의 서비스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독자적인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를 미러링함으로써 모든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서비스 패키지 관련 정보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개별 서비스 이용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이용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 링크의 내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와 다른 종류의 예시적인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 링크의 내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등록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형 서비스 패키지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서비스 패키지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패키지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1은 개별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필드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서비스 패키지를 위한 데이터 필드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서비스 패키지의 정합성 유지를 위환 동기화 과정의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는 분산된 개별 서비스들(10) 중에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들만을 골라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100, 102, 104)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예를 들어, “A 테마파크” 고객 서비스 제공자는 일자별 날씨 정보 제공 서비스, 길안내 서비스, 위치 정보 서비스 등을 결합하여 “A 테마파크 오시는길” 서비스 패키지(100)를 생성하고, 이에 실시간 고속도로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를 추가하여 “A 테마파크 고속도로 오시는길” 서비스 패키지(102)를 추가로 생성하는 한편, 위치 정보 서비스, 관광 정보 서비스, 맛집 정보 서비스 등을 결합하여 “A 테마파크 주변 볼거리, 먹을거리” 서비스 패키지(104)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서비스 패키지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 공유 플랫폼인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에 업로드될 수 있으며(ⓑ단계), 그 결과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이 생성하여 등록한 다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패키지들이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 상에 공존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 패키지를 검색하여 자신만의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300)에 담을 수 있다(ⓒ단계). 이후, 특정 서비스 패키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20)는 자신의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300)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패키지를 선택하거나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에서 직접 검색하여 자신의 사용자 단말(30)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가 종래의 북마크(또는 즐겨찾기)와 다른 점은 단순한 웹사이트 링크 정보 외에도 직통전화번호, 이메일, 메신저 서비스, 실시간 채팅, ARS연결, IVR연결, 서비스 제공용 모바일 앱, 서비스 제공용 위젯(Widget)과 같이 객체의 종류에 제한이 없을 뿐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작성된 후 사용자에 의한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 점이다.
서비스 제공자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패키지는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의 편의성, 마케팅 효과, 시스템 부하 등을 전략적으로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서비스 제공의 품질 유지 및 사용자 선호도 유지 등을 위해 정기적으로 패키지 구성을 관리하고 필요시 업데이트 하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개별 사용자의 편집이나 개입으로 인해 서비스 패키지의 동일성과 항상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통상의 북마크는 웹브라우저가 가진 URL(Uniform Resource Locater) 등록 보존 기능에 불과하므로, 북마크를 등록한 이후에 해당 URL에 링크된 정보 또는 컨텐츠가 삭제되거나 해당 URL 링크가 단절된 경우에는 그 북마크 등록하더라도 기존에 연결되었던 정보나 컨텐츠에 접속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각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패키지를 자신의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300)에 저장하고 마치 웹브라우저의 북마크처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서비스 패키지 박스(300)에 저장된 개별 서비스 패키지를 편집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300)에 포함된 개별 서비스 패키지(100, 102, 104)는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에 존재하는 그대로 동일성을 유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이 제공한 서비스 패키지 내용대로 각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음을 신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서, 서비스 제공자가 특정 서비스 패키지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업데이트하면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 상의 해당 서비스 패키지의 내용이 수정 또는 업데이트될 뿐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서비스 패키지 박스(300)에 저장된 해당 서비스 패키지의 내용도 동일하게 수정 또는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동기화 특성 내지 데이터 정합성을 갖게 된다.
한편,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중 일부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를 부실하게 관리하여 해당 서비스 패키지에 관련된 컨텐츠가 삭제되거나 링크가 단절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200) 제공자는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각 서비스 패키지의 오류를 제거하거나 교정함으로써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도 9 내지 도 13과 관련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서비스 패키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접속화면을 단계별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PanLineTM 으로 불리는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에 접속하면 통상의 검색 정보와 서비스 패키지들을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과 북마크(또는 즐겨찾기) 및 최근검색기록과 같은 통상적인 기능의 아이콘들이 제공되고, 이에 추가하여 각 사용자가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들을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410) 아이콘이 제공된다.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410)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저장한 개별 서비스 패키지들의 목록(420)이 표시된다. 모든 등록된 서비스 패키지에는 필요시 서비스 패키지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도록 “서비스 패키지 삭제” 링크(422)가 제공된다.
개별 서비스 패키지(420)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 패키지(4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세부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세부 서비스 링크들(430)이 표시된다. 여기서, 최상단에 표시되는 지역별 날씨 위젯(440)은 세부 서비스 링크의 하나로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 세부 서비스 링크와는 별개로 제공된 것일 수도 있다. 서비스 패키지의 품질 유지 및 정합성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일방적인 편집은 허용되지 않지만, 서비스 패키지의 속성에 맞추어 서비스 패키지의 품질을 제고하거나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위해서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가 서비스 패키지의 속성에 따라 적절한 추가 서비스 링크 내지 추가 서비스 위젯(440)을 디폴트로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서비스 제공자가 적용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은 가능하다.
도 4는 예시적인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 링크의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서비스 패키지는 특정 도로를 이용하여 리조트로 가려고 할 때 사용자들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모아서 리조트 서비스 제공자가 패키지화 한 것으로서, 예시적으로 “오시는길 약도”(432), “전국교통상황지도”(434), “개별 고속도로 교통상황”(436), “고속도로 교통상황 영상”(438) 등의 세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다.
각 세부 서비스 링크 표시창의 우상단에는 해당 서비스 링크를 제공하는 제공자가 표시되는데, 이를 보면 약도(432)는 리조트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이지만, 전국교통상황지도(434)는 국가교통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며, 개별 고속도로 교통상황(436)과 고속도로 교통상황 영상(438)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는 모든 세부 서비스를 직접 준비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개별 서비스들을 세부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결합하여 서비스 패키지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300)에 등록된 서비스 패키지 내에 포함되거나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에 의해 검증된 세부 서비스만을 결합하여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함으로써 서비스 패키지의 품질 유지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종류의 예시적인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세부 서비스 링크의 내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세부 서비스 링크(430)는 보험사의 긴급출동 ARS 자동연결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것으로서 통상 자동차 운전자들이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배터리 충전”, “견인”, “잠금장치해제” 등의 세부 서비스들을 모아서 보험사에서 패키지화여 제공하는 것이다. 도 5의 서비스 패키지(420)와 세부 서비스 링크(430)는 도 4의 리조트 서비스 제공자와는 비즈니스 속성이 상이한 보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것이므로 세부 서비스의 내용이 도 4의 경우와는 매우 다르게 구성된 것이며,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의 비즈니스 속성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패키지나 세부 서비스 링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도 5의 세부 서비스 링크(430)에서 특이한 점은 긴급출동 서비스의 특성상 사용자가 긴박한 상황 또는 당황한 상태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 통상적인 콜센터 ARS 전화 서비스를 채택하는 대신에 “배터리 충전”, “견인” 등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구체적인 세부 서비스에 직접 접속할 수 있도록 원클릭으로 개별 세부 서비스에 직접 연결되는 자동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점이다. 이러한 자동연결 기능은 개별 세부 서비스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반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동연결 기능 외에 “쇼핑몰”, “”“이벤트”, “SNS친구맺기” 등 수익 창출과 연계되는 마케팅적 기능에 대응되는 아이콘이나 링크를 세부 서비스 표시창에 추가로 제공하거나, 해당 기능을 대상으로 하는 세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등록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좌측의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된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접속 초기화면에는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410) 아이콘이 제공된다. 물론, 이와 다른 위치에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접속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초기화면에 제공된 검색창에 예를 들어 “오크밸리 오시는길”을 검색하면, 중앙의 사용자 단말(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리조트 길안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개별 서비스 링크 및 서비스 패키지가 동시에 검색되어 표시된다. 검색 결과 화면에서 서비스 패키지는 그 표시창의 일 영역(예컨대, 좌상단)에 서비스 패키지 로고가 표시됨으로써 일반 개별 서비스 링크와의 구분을 용이하게 해 준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별 서비스 링크 검색과 서비스 패키지 검색 기능을 구분하여 제공하거나 서비스 패키지 검색 결과를 추천 서비스 패키지와 일반 서비스 패키지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검색된 서비스 패키지 중 특정 서비스 패키지를 자신의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등록 또는 업로드하고 싶은 경우, 해당 서비스 패키지 표시창의 일 영역(예컨대, 좌하단)에 제공되는 “서비스 패키지 추가”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우측의 사용자 단말(34)에는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기등록된 서비스 패키지에 통상의 서비스 패키지 로고와는 다른 색상(또는 모양)의 서비스 패키지 로고를 부여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시 말해, 소정의 검색어를 통해 검색한 결과 화면에 사용자가 이미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포함시킨 서비스 패키지가 검색되면 이를 별도의 로고를 이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와 달리, 도 5에서 언급한 “ARS 자동연결” 기능과 같이 서비스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공통의 특정 기능이 구비된 서비스 패키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를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로고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세부 서비스 속성을 나타내기 위해 대체 로고 또는 추가 로고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형 서비스 패키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서비스 패키지는 최상단의 서비스 패키지 명칭 아래에 “날씨”, “오시는길”, “전국교통상황지도”, “고속도로 소통상황(CCTV)”순으로 세부 서비스가 정렬되어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준비한 “오시는길” 세부 서비스를 제외한 나머지 세부 서비스는, 예컨대 날씨 정보 템블릿 위젯, 교통정보 템플릿 위젯, CCTV 템플릿 위젯 등과 같이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소정의 규격으로 표준화된 템플릿의 위젯으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 구성에 적합한 위젯을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가 제공하는 위젯 풀에서 선택하여 서비스 패키지 내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절차만으로 간단하게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위젯 풀은 상기 날씨 정보 템플릿 위젯과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가 소정의 양식에 맞추어 직접 컨텐츠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위젯들과, 상기 교통정보 템플릿 위젯, CCTV 템플릿 위젯들과 같이 제3자가 제공하는 세부 서비스를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제공자가 상기 소정의 위젯 템플릿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위젯들, 및 제3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 패키지 형식에 적합하도록 상기 소정의 위젯 템플릿 규격에 맞추어 제공하는 위젯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를 등록하기 위해서는, 회사(기관)명, (대표)전화번호, 패키지명, 서비스패키지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아이디 목록, 운영시간 내지 서비스 제공 시간, 홈페이지 정보, 주소, 위치 정보(위도, 경도), 서비스 패키지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검색태그,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서비스의 상세한 설명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기재하여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에 제공해야 한다. 물론, 이상의 정보 외에 다른 종류의 정보가 필요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등록 절차는 공지의 사용자 등록 절차와 유사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도 8의 서비스 패키지 등록 절차의 특징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위치 정보를 구성요소로 채택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퍼 패키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수퍼 패키지는 복수의 서비스 패키지를 다시 모아서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서비스 패키지의 정합성은 수퍼 패키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유지되는데 도 9를 통해 이를 설명한다.
서비스 패키지 #1, #2, …, #n 은 각기 다수의 분산된 개별 서비스를 결합함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호간에 공통 속성을 공유하여 다시 하나의 수퍼 패키지의 구성요소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리조트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패키지에는 “리조트 오시는길”, “이달의 이벤트”, “이용요금 및 이용시간 안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복수의 서비스 패키지가 다시 “XY 리조트 안내” 내지 “XY”라는 하나의 수퍼 패키지로 결합되는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A, B, …, NM) 각자가 동일한 서비스 제공자(P)가 제공하는 수퍼 패키지 “XY”를 자신의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서비스 제공자(P)가 자신이 등록한 수퍼 패키지의 내용을 업데이트함에 따라 기존의 서비스 패키지 #2 내지 #4 가 삭제되고 새로운 서비스 패키지 #5 및 #7 이 삽입되면, 이러한 변화는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서비스 패키지 박스(700) 내에 저장된 해당 수퍼 패키지에도 동일하게 반영됨으로써 각 서비스 패키지 박스 및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내에서 서비스 패키지의 정합성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 10을 통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플랫폼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패키지 운영 시스템에서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 운영자(이하, '플랫폼 운영자'라 함)는 운영자 단말(1000)에 연결된 플랫폼 제공용 서버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이하, '플랫폼'이라 함)을 제공한다(S100). 플랫폼의 구성요소는 서비스 정보 생성/관리 모듈,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 데이터 생성 모듈, 제 1 및 제 2 서비스 검증 모듈, 서비스 검증 전 DB(즉, 개발 DB), 서비스 검증 후 DB(즉, 서비스 DB), 리포팅 모듈,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플랫폼은 서비스 사용자의 단말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 단말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플랫폼 운영자 단말(1000)은 서비스 제공자가 플랫폼에 접속하여 서비스 패키지를 등록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제공자(5000) 또는 플랫폼 운영자(1000)가 자체 제작한 서비스를 업로드 하는 기능(S100, S110)을 지원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외에 외부의 제3 서비스 제공자(20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자 자신의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시키도록 안내하고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서비스 제공자(5000)가 직접 수동으로 서비스 패키지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생성 모듈(1200)에 입력하는 단계(S140)와 외부의 제3 서비스 제공자(2000) 서버와 오픈 API를 통해 연동하는 데이터 스크레이핑(또는 크롤링) 모듈(1100)을 이용하여 외부의 제3 서비스 제공자(2000)로부터 자동으로 데이터를 불러와(S130) 이를 데이터 생성 모듈(1200)에 입력하는 단계가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생성 모듈(120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의 데이터 필드는 적어도 서비스 ID(service_id), 서비스제공자명(company), 서비스명(service_name), 서비스 타입(service_type), 액션데이터(action_data) 등의 칼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공되는 서비스에는 데이터 링크, cctv, 직통전화(call), 위젯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은 플랫폼 운영자(100)가 제공하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선택가능하며, 서비스 ID는 플랫폼 운영자(100)에 의해 부여된다. 이 서비스 ID는 추후 서비스 패키지를 생성할 때 서비스 ID 리스트에 등록하는 값이 된다. 한편, 데이터 링크가 오픈 API 정보인 경우에는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110)을 통한 데이터 자동 수집이 이루어진다.
도 10으로 돌아가서,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110)은 외부의 제3자가 웹(WEB), 전화(Call), IoT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를 API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며, 이를 위해 웹페이지 크롤링 기능, API 연동 스크립트를 이용한 오픈 API 연동 기능을 구비한다. 제3자의 외부 서비스에는 웹페이지 서비스 외에도 공공 데이터 API 등 오픈 API 연동을 통해 제공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서비스도 포함가능하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800)가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자체 제작 서비스의 경우에도 해당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오픈 API를 통해 데이터 스크레이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800)에 의해 수동으로 작성되거나 또는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1100)에 의해 자동으로 수집된 데이터는 모두 데이터 생성 모듈(1200)로 보내어져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하는 기본 정보에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추가 정보가 더해진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S180).
플랫폼에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패키지 생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시 사용빈도가 높은 정보(예컨대, 주소(Address), 지오코드(Geocode) 등)를 저장하는 추가 정보 DB(1300)가 제공되는데, 추가 정보 DB(1300)는 플랫폼 운영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정보 외에 외부 제 3 서비스 제공자(2000)와 오픈 API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추가 정보 DB(1300)에 저장되는 정보나 데이터는 상기한 외에 서비스 카테코리, 검색 태그 등을 포함하여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플랫폼 운영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는 모두 추가 정보 DB(1300)에 수록되고 그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 생성 모듈(1200)로 전달되어 개발 DB(1400)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축된 초기 데이터베이스를 개발 DB(1400)라 명명하는데 이는 데이터 생성 모듈(120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소정의 검증 절차를 거치지 않는 상태로서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준의 품질을 확보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기 전의 상태에 있음을 의미한다. 개발 DB(1400)의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는 소정 주기로 소정의 데이터 백업 및 장애 조치의 대상이 된다. 개발 DB(1400)에 저장되는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비스 패키지의 데이터 필드에 적어도 서비스 패키지 ID(package_id), 서비스제공자명(company), 서비스 패키지명(package_name), 서비스 ID 리스트(service_id_list) 등의 칼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ID는 도 1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개별 서비스 관련 액션 데이터를 포함하며, 하나의 서비스 패키지는 복수의 서비스를 서비스 ID 리스트 항목으로 하여 관리한다. 도 12의 제1 필드에 따르면, “오크밸리”에서 제공하는 “오크밸리 여행 정보” 서비스 패키지의 서비스 패키지 ID는 “111”이며 3개의 개별 서비스 “aaa”“”“”가 해당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가서, 개발 DB(1400)의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는 서비스 품질 확보를 위한 검증을 위해 제 1 서비스 검증 모듈(1500)로 전달되고(S190), 제 1 서비스 검증 모듈(1500)는 검증 관리자 페이지, 자동 검증 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등록된 서비스 패키지에 오류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다. 상기 검증 과정을 통해 링크가 단절되거나 컨텐츠가 삭제되는 등의 오류를 포함하는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 부분이 확인 및 제거 또는 보완된다.
검증 과정을 마친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는 서비스 DB(1600)로 전달되고(S200), 서비스 DB(1600)의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실제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 패키지를 구성한다. 서비스 DB(1600)의 서비스 패키지 관련 데이터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P)(1900)로 전송되어 서비스 패키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탑재된 서비스 패키지 제공용 모바일 앱(3000)과의 API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을 위해 제공되거나(S220) 외부 서비스(예컨대, 인터넷 포털, IoT 기기, AI 응용기기 등)(4000)와의 API 연동을 통해 외부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230).
한편, 서비스 DB(1600)의 데이터 또한 소정 주기로 소정의 데이터 백업 및 장애 조치의 대상이 될 뿐 아니라, 수시 또는 정기적으로 제 2 서비스 검증 모듈(1700)과의 연동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의 업데이트 및 데이터 유효성 검증의 대상이 된다(S250).
제 2 서비스 검증 모듈(1700)은 등록된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의 업데이트 여부 및 데이터 유효성 체크를 위해 상시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1100)에 접속하여 API 연동 스크립트 및 웹페이지 크롤러 등을 검증한다(S26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비스 패키지에 포함된 각각의 개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의 제 3 서비스 제공자(20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업데이트가 발생하거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제거하거나 보완하는 등의 조치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서비스 DB(1600)의 사용자 서비스용 데이터는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 및 서비스 패키지의 정합성을 실시간으로 또는 적어도 주기적으로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는 제 2 서비스 검증 모듈(1700)이 제 1 서비스 검증 모듈(1500)과는 다른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자의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를 통합된 하나의 서비스 검증 모듈로 구현하더라도 무방하다.
개별 서비스가 웹사이트 링크인 경우, 서비스 검증 모듈(1500, 1700)은 데이터 수집 봇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웹사이트에 연결하여 웹문서를 다운로드하여 업데이트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소 DB(1400, 1600)에 저장하고 HTML의 변경여부를 확인하여 변경이 있으면 데이터 생성을 위한 파싱 스크립트를 변경한다. 파싱 스크립트에 문제가 없으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문제가 있으면 이를 리포팅 모듈(1800)로 리포팅한다.
개별 서비스가 오픈 API인 경우, 서비스 검증 모듈(1500, 1700)은 데이터 수집 봇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 유무 확인을 위해 저장소 DB(1400, 1600)에 저장한 후, 다운받은 문서를 확인하여 변경이 있으면 데이터 생성을 위한 파싱 스크립트를 변경하고 파싱 스크립트에 문제가 없으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 문제가 있으면 이를 리포팅 모듈(1800)로 리포팅한다.
도 13을 참조하여 서비스 패키지의 정합성 유지를 위한 동기화 과정을 설명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오크밸리 여행 정보” 서비스 패키지를 조회하면 모바일 앱은 해당 서비스 패키지(id: 111)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요청하고(S300), 플랫폼은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 정보 및 개별 서비스 데이터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 응답으로 제공한다(S310). 만약,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개별 서비스 “오크밸리 놀부부대찌개”가 서비스 ID “”로 생성되고, 해당 개별 서비스가 서비스 패키지 “111”에 포함되도록 업데이트 된다면, 그 이후에 서비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통해 “오크밸리 여행 정보” 서비스 패키지를 조회하면 모바일 앱은 해당 서비스 패키지(id: 111)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요청하고(S300), 플랫폼은 서비스 패키지 데이터 정보 및 개별 서비스 데이터 정보를 조회하여 업데이트된 내용의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해당 서비스 패키지 업데이트 정보 응답으로 제공한다(S320).
이상의 개별 서비스 및 서비스 패키지에 대한 유효성 검증과 업데이트 유무 검증이 서비스 검증 모듈(1500, 1700)에 의해 수행되므로,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 간에 공유하는 서비스 패키지 관련 정보의 정합성이 유지된다.
다시 도 10으로 돌아가서, 서비스 패키지 이용 중 모바일 앱(3000) 또는 외부 서비스(4000)에서 발생하는 동작 오류 신고를 포함하는 동작 상황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900)에 의해 수집되어 리포팅 모듈(1800)로 제공된다(S240). 리포팅 모듈(1800)은 또한 제 2 서비스 검증 모듈(1700)로부터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검증 오류 정보를 수신한다(S270). 리포팅 모듈(1800)은 오류 정보 외에 서비스 패키지 업데이트 상황을 수신하여 관리하며, 플랫폼 운영자나 서비스 제공자에게 통지가 필요한 항목은 예를 들어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이들에게 통지하기도 한다(S280). 한편, 플랫폼 운영자는 자신의 단말(1000)을 통해 리포팅 모듈(1800)에서 제공하는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서 리포팅 모듈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검색, 관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시에 의해 주어지는 권리는 상기 실시예의 개시 내용에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에 근거하여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이와 같은 균등 범위 내의 수정물 내지 변형물도 본 발명에 따른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별 서비스 정보 및 다수의 개별 서비스 정보를 패키지한 서비스 패키지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에 등록된 외부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API 연동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
    상기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서비스 패키지 생성시 이용 빈도가 높은 추가 정보 데이터를 결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모듈;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DB;
    상기 저장소 DB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효성 및 업데이트 유무를 상기 데이터 스크레이핑 모듈과 연동하여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리포팅하며, 무효 데이터를 제거하고 유효하게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상기 저장소 DB에 저장하는 서비스 검증 모듈;
    상기 저장소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 또는 외부 서비스와의 API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검증된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서비스 검증 모듈 및/또는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데이터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리포팅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상기 개별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각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와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의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는 동기화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의 변경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에 포함된 해당 서비스 패키지 정보도 변경되며,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 내의 서비스 패키지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서는 변경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는 적어도 서비스 ID, 서비스제공자명, 서비스명, 서비스 타입, 액션데이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ID는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입력시 자동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는 적어도 서비스 패키지 ID, 서비스제공자명, 서비스 패키지명, 서비스 ID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의 변경은 상기 서비스 ID 리스트의 추가 또는 제거, 또는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의 액션 데이터 정보의 변경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개별 서비스 검색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검색을 위한 검색창 및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검색된 서비스 패키지를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등록하기 위한 서비스 패키지 추가 아이콘을 검색 결과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패키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서비스 패키지 박스에 포함된 각 서비스 패키지에 대해 해당 서비스 패키지를 삭제하기 위한 서비스 패키지 삭제 아이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따른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개별 서비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개별 서비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검증 및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검증 및 업데이트된 상기 개별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패키지 정보를 검색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패키지 제공 방법.
KR1020180062537A 2018-02-21 2018-05-31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5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37A KR101952637B1 (ko) 2018-05-31 2018-05-31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PCT/KR2019/002119 WO2019164293A1 (ko) 2018-02-21 2019-02-21 비계층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활용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537A KR101952637B1 (ko) 2018-05-31 2018-05-31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637B1 true KR101952637B1 (ko) 2019-02-27

Family

ID=6556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537A KR101952637B1 (ko) 2018-02-21 2018-05-31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6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033A (ko) * 2010-12-31 2012-07-10 (주)탑쿼드란트코리아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서의 서비스 매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168B1 (ko) 2015-07-24 2016-12-02 주식회사 솔트룩스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033A (ko) * 2010-12-31 2012-07-10 (주)탑쿼드란트코리아 링크드 데이터 환경에서의 서비스 매쉬업 방법 및 시스템
KR101682168B1 (ko) 2015-07-24 2016-12-02 주식회사 솔트룩스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데이터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4827B2 (en) Server,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distributing a terminal with information containing menu and link arranged on image
US7831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upload using a mobile terminal
KR101143968B1 (ko) 오픈형 poi에 대한 실시간 검색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2017075A2 (en) A method of enabling a wireless information device to access data services
JP2006040295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20079728A (ko) 화상 공개 시스템
JP2003233555A (ja) 情報管理システム
JP5574554B2 (ja) グローバル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933365A (zh) 一种拦截呼叫显示预定义菜单的方法
KR20020008008A (ko) 온디맨드 화상 전송 서버, 화상 자원 데이터베이스,클라이언트 단말, 및 검색 결과 표시 방법
KR20200006716A (ko) 맞춤형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DE202013000058U1 (de) Vorrichtung und computerlesbares Medium zum Erkennen von Orten
KR101134883B1 (ko) 오픈형 poi를 등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2172A (ko) 고객맞춤형 여행 스케줄링 가상현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040230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and display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patial-temporal attributes
JP2008299556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00076110A (ko) 공공 데이터 api를 활용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JP3201386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952637B1 (ko) 서비스 패키지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0301207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ized one-stop information service to a mobile user
JP2009253504A (ja) 閲覧履歴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携帯端末
KR100992094B1 (ko) 검색 엔진 사이트에서 개인화된 정보 검색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CN113656734A (zh) 一种基于微信小程序的志愿者活动发布平台
JP2001344284A (ja) リンク管理システム
KR20200007474A (ko) 비계층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