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59B1 -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59B1
KR101952259B1 KR1020170063907A KR20170063907A KR101952259B1 KR 101952259 B1 KR101952259 B1 KR 101952259B1 KR 1020170063907 A KR1020170063907 A KR 1020170063907A KR 20170063907 A KR20170063907 A KR 20170063907A KR 101952259 B1 KR101952259 B1 KR 101952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cam
cam groove
power transmission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594A (ko
Inventor
김성근
구정석
박찬우
이정락
이성주
류동한
Original Assignee
캄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캄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캄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59B1/ko
Priority to EP17176558.9A priority patent/EP3258095B1/en
Publication of KR2018012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EGR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 유닛의 구성요소와 캠 유닛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캠 유닛 내부의 캠 그루브 표면이 미세하게 깎이면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캠 그루브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 테두리에 치형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 기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캠 유닛과, 캠 유닛에 마련되어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캠 그루브와; 캠 유닛에 마련되며 캠 그루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캠 그루브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EGR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An EGR valve comprising a cam gear assembly for the EGR valve}
본 발명은 차량용 EGR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 유닛의 구성요소와 캠 유닛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캠 유닛 내부의 캠 그루브 표면이 미세하게 깎이면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캠 그루브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엔진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은 냉각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에 더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시키는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EGR밸브의 구성은 한국 등록 특허 10-1225681 에 나타나고 있다.
EGR밸브의 구성을 보면,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장치와, 밸브 장치의 왕복운동을 유발하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밸브 장치와 액츄에이터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동력전달장치는 복수의 기어 모듈과, 캠으로 구성되고, 캠에 밸브 장치가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캠에 형성된 캠 그루브를 따라서 밸브 장치의 롤러가 캠 그루브에 대해서 상대 운동을 한다.
그런데, 롤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캠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롤러와 캠 그루브 간의 지속적인 접촉 운동이 이루어지면, 캠 그루브 표면이 깎이고, 이로 인하여 미세한 가루 또는 입자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하여 롤러의 운동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캠 그루브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면 테두리에 치형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 기어에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캠 유닛과, 캠 유닛에 마련되어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캠 그루브와; 캠 유닛에 마련되며 캠 그루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캠 그루브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EGR 밸브를 제공한다.
캠 그루브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마련되며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의하여 구현되되,이물질 배출구는 바닥면 또는 연장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2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사이에 있는 중간 영역에 마련되는 제3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바닥면의 최외곽과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절개되고 이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폭은 캠 그루브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캠 그루브에 이물질 배출구가 롤러와 캠 그루브 표면 접촉을 인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이물질 또는 부스러기를 캠 그루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캠 그루브를 따라서 롤러가 상대 이동을 하는 경우, 롤러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져서, 롤러의 원활한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상부영역, 중간 영역, 하부 영역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캠 그루브 회전으로 인하여 롤러가 캠 그루브 내부에서 그 상대적인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그 위치 변화에 무관하게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동력 전달 기어와 캠 유닛이 일체화 된 구조가 아니라 조립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스펙의 동력 전달기어에 다양한 스펙을 갖는 캠 유닛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나 고객의 요구에 따른 다양한 캠 유닛을 장착하되, 그 변화는 캠 유닛에만 적용되고 다른 구조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구조 변화에 따른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하면서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캠 유닛 후방에는 스페이서 및 보조 스페이서가 마련되어 캠 유닛 후면과 동력 전달 기어 전면 간의 면 접촉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면의 전체적인 평탄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페이서가 맞닿는 부분의 평탄도만 관리하면 되므로 평탄도 불일치에 따른 이격 공간에 의한 불안정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캠 유닛의 돌출부가 동력 전달 기어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그 단부가 열변형에 의하여 걸림턱 형태로 변하여 삽입공의 테두리에 걸쳐진다. 따라서, 캠 유닛과 동력 전달 기어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피니언 기어, 동력 전달 기어, 출력축과 연결되는 부분 치형 기어가 배치되고, 출력축에 별도의 캠이 연결됨으로써 내부 구조가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피니언 기어와 동력 전달 기어만으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고, 동력 전달 기어에 캠 유닛을 직접 결합함으로써 내부 구조가 보다 단순해져서 제품 크기의 컴팩트화 및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제1탄성 부재가 토션 스프링 특성 및 탄성 압축 스프링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탄성 압축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서 상부 스템과 캠 유닛 간의 지속적인 접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가 있어서, 밸브 유닛의 원위치 복원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스템이 캠 유닛과 선 접촉하기 때문에 밸브 유닛이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밸브 개폐 동작 및 개도량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 스템에는 마그넷이 장착되므로 밸브 유닛의 상하 이동에 따른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부 스템과 하부 스템의 결합하는 경우, 하부 스템의 상부 측면에 평탄부 및 제2결합홈을 제공하고, 이 부분이 상부 스템의 제1결합홈의 주위 부분의 테두리와 면접촉하기 때문에 상부 스템과 하부 스템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롤러와 하부 스템이 동일한 축선상에 있기 때문에 힘 전달시 모멘트 발생이 억제되고, 수직 상하방향으로 힘이 안정적으로 전달되어 동력 손실이 방지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의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의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배출구가 나타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의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와 연결된 밸브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와 연결된 밸브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용 캠 유닛 및 동력 전달 기어와 연결된 밸브 유닛의 동작시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EGR밸브(1)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모터(20)와, 구동 모터(20)의 모터축(21)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30)와, 피니언 기어(30)에 치합되는 동력 전달 기어(100)와, 동력 전달 기어(100)에 장착되는 캠 유닛(200)과, 캠 유닛(200)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밸브 유닛(300)을 포함다.
하우징(10)의 후방에는 모터 수용부(11)가 마련된다.
모터 수용부(11)에는 구동 모터(20)가 수용된다.
구동 모터(20)의 전방에는 구동 모터(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40)가 마련된다.
고정 플레이트(4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41)이 마련된다.
구동 모터(20)의 모터축(21) 및 그 주위의 엔드캡의 단차진 부분(22)은 관통공(41)을 관통하며, 모터축(21)에는 피니언 기어(30)가 장착된다.
피니언 기어(30)는 그 옆의 동력 전달 기어(100)와 치합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는 그 테두리에 치형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치형이 형성된 풀 기어(full gear)로 구현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에는 캠 유닛(200)이 장착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 유닛(20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소정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서 동력 전달 기어(100)의 표면에는 구멍 또는 홈 형태의 복수의 삽입부(101)가 형성된다.
삽입부(101)에 대응되도록 캠 유닛(200)의 후면에는 삽입부(101)에 삽입되는 돌출부(도3참조, 201)가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돌출부(201)는 삽입부(101)을 관통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삽입된다.
삽입부(101)과 별도로 동력 전달 기어(100)에는 제1탄성부재(50)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홀(102)이 마련된다.
하우징(10) 내부에는 동력 전달 기어(100) 후방 중심에 끼워져서 동력 전달 기어(1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회전 지지부(12)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 후방 중심에는 회전 지지부(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부(도3참조, 103)가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103)는 링 형태의 리브(104)에 의하여 구현되고, 리브(104)의 중심에 삽입 공간부(103)가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 공간부(103)에 회전 지지부(12)가 삽입됨으로써, 동력 전달 기어(100)가 하우징(1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50)는 코일 압축 스프링과, 토션 스프링의 특성을 모두 갖는 스프링으로 구현된다.
코일 스프링(50)은 회전 지지부(12) 및 삽입 공간부(103)를 형성하는 리브(104)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일단부(51)는 동력 전달 기어(100)에 끼워지고, 타단부(52)는 하우징(10) 내벽에 끼워진다.
따라서, 동력 전달 기어(100)가 회전하면 비틀려 지다가, 동력 전달 기어(100)를 회전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동력 전달 기어(10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또한, 제1탄성 부재(50)는 하우징(10) 내벽면과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면에 압축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1탄성 부재(50)는 탄성 압축력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를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후술하겠지만, 제1탄성 부재(50)의 전방으로 미는 힘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에 연결된 캠 유닛(200)과 밸브 유닛(300)의 상부 스템(310) 간의 선접촉이 유지되어, 밸브 유닛이 Z축(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현상(일명, 롤링 현상)이 방지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의 전방 중심에는 캠 유닛(200)의 중앙홀(204)이 끼워지는 돌출 지지부(105)가 마련된다.
돌출 지지부(105)는 전후방으로 관통하는 파이프 형태로 마련되나, 파이프가 아닌 살이 채워진 돌출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캠 유닛(200)에는 C자 형태의 캠 그루브(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캠 그루브(202) 테두리에는 연장부(203)가 형성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벽을 구현한다.
캠 유닛(200)에는 밸브 유닛(300)의 일 구성요소인 롤러(301)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유닛(300)은 상부 스템(310)과, 상부 스템(310)에 연결되는 롤러(301)와, 상부 스템(310)에 장착되는 마그넷(311)과, 상부 스템(310)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스템(320)과, 하부 스템(32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밸브 플레이트(330)를 포함한다.
캠그루브(202) 내부 공간에는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가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는 캠 그루브(202) 내부 공간과 캠그루브(202)의 외측 테두리를 둘러싸는 벽 형태의 연장부(203) 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역할은 캠그루브(202) 내부에서 롤러가 움직이는 경우, 접촉 마찰등으로 발생하는 캠 그루브(202) 내면의 일부가 마모되어 발생하는 작은 조각이나 가루와 같은 이물질을 신속하게 캠 그루브(202)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는 복수개 영역에 걸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캠 그루브(202)의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그리고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캠 그루브(20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물질 배출구를 제1이물질 배출구(210a)라고 하고,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이물질 배출구를 제2이물질 배출구(210b)라고 하고,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에 배치되는 이물질 배출구를 제3이물질 배출구(210c)라고 하자.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는 연장부(203)의 외측 테두리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개하여 개방시킨 형태로 마련되고, 이 절개된 부분이 캠 그루브(202)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전면 하부에는 EGR가스가 선택적으로 유동하며 밸브 유닛(30)의 상하 이동 통로가 되는 하부 하우징(13)이 마련된다.
하부 하우징(13)은 상하부로 관통되게 배치된다.
하부 하우징(13)의 상부 테두리에는 제2탄성부재(60)를 지지하는 지지홈(13a)이 단차 형태로 마련된다.
제2탄성부재(60)는 지지홈(13a)과, 상부 스템(310) 하면 사이에 마련되어 밸브 부재(300)가 하강하였다가, 하강시키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상부 스템(310)을 위로 밀어서 밸브 부재(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탄성부재(6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 스템(320)의 상부에 끼워지며, 상부 스템(310)과 지지홈(13a)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하부 스템(320)에는 파이프 형태의 부싱(322)이 마련되고, 부싱(322)은 하부 하우징(13) 내부에 배치된다.
부싱(322)의 안내를 받아서 하부 스템(320)이 상하로 이동한다.
하부 하우징(13) 하면에는 EGR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4)가 마련된다.
밸브 유닛(30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밸브 플레이트(330)가 유입구(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부싱(322)의 위에는 제1실링 부재(350)가 배치되고, 제1실링 부재(350)의 위에는 제2실링부재(360)가 마련된다. 제1,2실링부재(350, 360)은 모두 가운데 구멍이 뚫려 있어서, 하부 스템(320)이 삽입되며, 하부 스템(320)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제1실링부재(350)와, 제2실링부재(360)의 역할은 하부 하우징(13)의 유입구(14)로 유입된 배기 가스가 구동 모터(20) 및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스템(320)이 부싱(322)에 대해서 상대적인 상하 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하부 스템(320)과 부싱(322) 간에 미세한 간극이 있어야 하고, 그 간극을 통해서 배기 가스가 상승하여 구동 모터(20) 및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2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기가스가 구동 모터(20)나 동력 전달 기어(100)나 캠(200)으로 이동하면,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미세한 입자가 누적되어 동작에 방해가 되어 동작 성능을 훼손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1,2실링부재(350, 360)가 설치되며, 추가적으로 하부 하우징(13)에는 가스 배출 유로(13b)가 마련된다.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 유닛(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어(100)의 전면 중심부에는 돌출 지지부(105)가 형성된다.
돌출 지지부(105)의 주변에는 삽입부(101)이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돌출 지지부(105)의 옆에는 제1탄성부재(50)의 일단부(51)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홀(102)이 마련된다.
삽입부(101)은 캠 유닛(200)의 안정적인 배치를 위해서 3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수량은 상황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면에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회전 지지부(12)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부(103) 및 삽입 공간부(103)를 형성하는 링 형태의 리브(104)가 형성된다.
삽입 공간부(103)의 중심에는 상기 돌출 지지부(105)의 후방이 약간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 지지부(105)의 후방 돌출 길이는 리브(104)의 연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 지지부(105)의 후단은 하우징의 회전 지지부(12)의 전단부와 면접촉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가 좌우로 회전하기 않고, 안정적으로 동력 전달 기어(100)가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방에도 고정홀(102)이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01)도 후방에서 보이며, 삽입부(101)도 동력 전달 기어(100)의 전후방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면 일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스토퍼(10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106)는 하우징(10) 내면에 형성되는 하우징 스토퍼(미도시)에 걸리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면에 관통 형성되는 삽입부(101)의 입구 주변 테두리에는 안착홈(101a)이 형성된다.
안착홈(101a)은 삽입부(101)에 캠 유닛(200)의 돌출부(201)가 삽입되어 후방으로 노출되고, 핫스탬핑이나 프레스 압착 방식으로 돌출부(201)의 후단부를 눌러서 그 직경을 늘려서 걸림턱(201a)을 만드는 경우, 그러한 걸림턱(201a)의 테두리가 안착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다.
캠 유닛(200)은 전체적으로 C자 형태로 마련다. 일측이 리세스(205) 처리되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그 내부에 있는 캠 그루브(20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캠 그루브(202)는 C자 형태로 마련되고, 캠 그루브(20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 수록 캠 그루브(202)가 회전 중심에서 그 간격이 멀어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캠 유닛(200)의 회전 운동이 밸브 유닛(300)의 상하 운동으로 바뀐다.
캠 유닛(200)의 중심에는 동력 전달 기어(100)의 전면 중심에 형성된 돌출 지지부(105)가 삽입되는 중앙홀(204)이 형성된다.
중앙홀(204)의 주위에는 살이 채워진 살부분(211a)이 마련되고, 살부분 일부에는 살빼기 구조(211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살빼기 구조(211b)에 의하여 중앙부의 강도가 개선된다.
캠 그루브(202)의 테두리에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3)가 형성된다.
연장부(203)는 캠 그루브(202)의 내부 테두리 및 외곽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연장부(203)의 연장 길이는 중앙홀(204) 주위의 살 부분(201a)이 돌출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캠 그루브(202)는 바닥부(202a)가 연장부(203)에 둘러싸이고, 다시 바닥부(202a)가 살부분(211a) 주위에 배치됨으로써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다.대락 C자 형 구조로 형성되어 롤러(301)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연장부(203)는 상부 스템(310)의 후면과 선접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밸브 유닛(300)이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에 상부 스템(310)이 캠 유닛(200)와 이격되어 있는 경우, 그 이격 공간 만큼 자유공간이 형성되어, 밸브 유닛(300)이 전체적으로 수직축(Z-axis)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도2에서 Z-axis를 중심으로 한 R방향 회전 운동).
그런데, 이와 같은 선접촉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밸브 유닛(300)이 오로지 상승 하강 운동만 수행할 수 있다.
캠 유닛(200)의 후면에는 동력 전달 기어(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된다.
돌출부(201)는 삽입부(101)의 위치와 수량에 대응된다.
돌출부(201)의 돌출 길이는 삽입부(101)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후단부가 동력 전달 기어(100) 후방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부가 변형되어 걸림턱(도5참조, 201a)이 형성되고, 그 걸림턱(201a)이 삽입부(101)의 안착홈(101a)에 안착될 수 있다.
도3에서 걸림턱(201a)은 돌출부(201)가 삽입부(101)에 삽입되기 전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돌출부(201)가 삽입부(101)에 삽입되고, 돌출부(201)의 끝단부가 삽입부(101)로부터 후방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핫스탬핑 등의 열소성 공정을 거쳐서 납작해져서 안착홈(101a)에 안착된다.
도3(b)에서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걸림턱(201a)이 형성된 것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그러한 것이며,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아직 걸림턱(201a)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3(a)과 도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물질 배출구(210a)는 캠 그루브(202)의 내부 공간의 상부 공간 및 캠 유닛(200)의 외측 테두리 바깥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2이물질 배출구(210b)는 캠 그루브(202)의 내부 공간의 하부 공간 및 캠 유닛(200)의 외측 테두리 바깥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3이물질 배출구(210c)는 캠 그루브(202)의 내부 공간의 중간 공간 및 캠 유닛(200)의 외측 테두리 바깥 공간을 연통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는 연장부(203) 및 캠 유닛(200)의 바닥부(202a)와 캠 유닛(200)의 후면부(202b) 일부를 절개 또는 제거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는 연장부(203)의 일부가 절개 또는 제거된 부분과 캠 유닛(200)의 바닥부(202a) 및 후면부(202b)의 일부가 절개 또는 제거된 부분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테두리 벽의 두께는 연장부(203)의 두께 및 바닥부(202a)의 두께에 대응된다.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외곽측은 연장부(203) 일부를 절개 또는 제거하여 형성되고,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내부측은 바닥부(202a) 및 후면부(202b)의 일부를 절개 또는 제거하여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위치는 캠 유닛(200)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201)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캠 그루브(202)의 반경방향으로 최외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가 위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연장부(203)에 누적된 상태에서, 캠 유닛(200)의 회전하고, 캠 회전시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가 캠 유닛(200)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돌출부(201)의 주위에는 단차 형태로 마련되는 스페이서(201b)가 마련된다.
그리고, 캠 유닛(200)의 후면의 다른 영역에도 단차 형태의 보조 스페이서(201c)가 형성된다.
보조 스페이서(201c)와 스페이서(201b)는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가 결합되는 경우, 캠 유닛(200) 후면과 동력 전달 기어(100) 전면간을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동력 전달기어(100) 전면의 평탄도와 캠 유닛(200)의 후면 평탄도가 이상적으로 동일하면 이러한 스페이서가 없어도 무방하나 제작과정에서 평탄도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 전달 기어(100) 전면과 캠 유닛(200)의 후면이 밀착되면 국부적으로 뜨는 부분이 형성되고, 이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 유닛(200) 간의 결합 구조의 구조적인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평탄도의 불일치성을 대비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 전면과 캠 유닛(200) 후면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을 최소화 하되, 스페이서(201b)와 보조 스페이서(201c) 부분만 닿게 하여 평탄도 불일치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4(a)는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에 회전 동력이 제공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4(b)는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에 회전 동력이 제공되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4(a)에서 밸브 유닛(300)의 롤러(301)의 중심과 캠 유닛(20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D1으로 표현된다.
이 경우는 밸브 유닛(300)이 상승한 상태를 의미하고, 이 상태에서는 밸브 플레이트(330)가 유입구(14)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A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캠 그루브(202)의 배치 상태가 변한다.
이 때의 밸브 유닛(300)의 롤러(301)와 캠 유닛(200)의 회전 중심 간의 거리는 D2로 표현된다.
이 경우는 밸브 유닛(300)이 하강한 상태를 의미하고, 이 상태에서는 밸브 플레이트(330)가 유입구(14)를 개방한 상태가 된다.
D1과 D2를 비교하면, D2가 D1보다 큰 데, 이 차이만큼 밸브 유닛(300)이 이동한 것이 되고, 그 만큼 밸브 플레이트(300)가 유입구(14)를 개방한 정도를 의미한다.
도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GR밸브가 배기 유로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 즉, 캠 유닛(200)이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이물질 배출구(210a)가 캠 그루브(202)의 상부 영역에, 제2이물질 배출구(210b)가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제3이물질 배출구(210a)가 캠 그루브(202)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이물질이 누적되면 이물질은 제2이물질 배출구(210b)로 빠져나간다.
한편, 도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EGR밸브가 배기 유로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는 캠 유닛(200)이 최대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2이물질 배출구(210b)가 캠 그루브(202)의 상부 영역에, 제1이물질 배출구(210a)가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제3이물질 배출구(210a)가 캠 그루브(202)의 중간 영역에 위치한다.
이 경우, 이물질이 누적되면 이물질은 제1이물질 배출구(210a)로 빠져나간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4(a)과정에서 도4(b)로 이동하는 중간과정에서는 제3이물질 배출구(210c)가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물질은 제3이물질 배출구(210c)로 빠져나갈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의 좌우 폭(W)은 내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곽으로 확장되어 이물질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5는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 유닛(200)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5에서는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 210c)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유닛(200)의 연장부(203)는 다른 부분보다 전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스템(310)과의 선접촉을 위함이다.
캠 유닛(200)의 후방의 돌출부(201)가 동력 전달 기어(100)의 삽입부(101)에 삽입되면, 도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01)의 후단부가 삽입부(101) 테두리 위치보다 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201)의 후단부를 열압착을 하면, 후단부가 납작해지면서, 그 직경이 커져서 걸림턱 구조(201a)가 형성되고, 그러한 걸림턱(201a)은 동력 전달 기어(100) 후면의 안착홈(101a)에 안착된다.
이러한 안착홈(101a)과 걸림턱(201a)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와 캠 유닛(200)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스페이서(201b)와 보조 스페이서(201c)에 의하여 스페이서(201b)와 보조 스페이서(201c)가 위치한 영역 이외에 캠 유닛(200)의 후면과, 동력 전달 기어(100)의 전면이 이격된다.
위 이격 공간 형성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어 전면의 평탄도와 캠 유닛 후면의 평탄도의 불일치 가능성을 대비한 것이다.
다만, 돌출부(201)가 삽입부(101)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삽입부(101)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지 않은 홈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돌출부(201)가 삽입부를 구성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돌출부(20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걸림턱(201a)이 발생할 수 없다.
그 대신 동력 전달 기어(100)를 광투과 부재로 구성하고, 동력 전달 기어(100) 측면에서 레이저를 조사한다.
그러면 스페이서(201b)가 녹으면서 열융착이 되고, 스페이서(201b)가 녹으면서 유동하는 물질이 삽입부(101)와 돌출부(201)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삽입부(101) 내면과 돌출부(201) 외면 사이를 연결시킨다.
도6은 이물질 배출구(210; 210a, 210b)가 보이는 측단면도이다.
제1이물질 배출구(210a)는 캠 그루브(202)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제2이물질 배출구(210b)는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다.
상술하였다시피, 이물질 배출구(210)는 바닥부(202a)와 연장부(203)의 일부를 각각 절개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연통구이며, 캠 그루브(202)의 내부 공간과 연장부(203)의 반경 방향의 바깥 공간와 연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7과 도8은 밸브 유닛(300)이 캠 유닛(200)에 연결되어 캠 유닛(200)과 동력 전달 기어(100)의 회전에 따라서 밸브 유닛(300)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a)및 도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어(300)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기 전에는 캠 유닛(200)의 회전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캠 그루브(202a) 영역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캠 그루브(202b) 영역이 하부에 위치한다.
상부 스템(310)에 연결된 롤러(301)는 상기 캠 그루브(202)와 접촉을 하면서 상대운동을 하는데, 동력 전달이 되기 전에는 롤러(301)가 캠 유닛(200)에의 회전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캠 그루브(202b) 영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밸브 유닛(300)이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고, 이에 의하여 밸브 플레이트(330)는 유입구(14)를 폐쇄한다.
도7(b)과 도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기어(300)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면, 캠 유닛(200)의 회전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캠 그루브 영역(202b)이 상부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캠 그루브 영역(202a)이 하부에 위치한다.
상부 스템(310)에 연결된 롤러(301)는 상기 캠 그루브(202)와 접촉을 하면서 상대운동을 하는데, 동력이 전달되면 롤러(301)가 캠 유닛(200)의 회전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캠 그루브 영역(202a)에 위치한다.
따라서, 밸브 유닛(300)이 도7(a)의 상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고, 이에 의하여 밸브 플레이트(330)는 유입구(14)를 개방한다.
한편 도7과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스템(310)의 후면의 일측에서 타측에 이르기까지 캠 그루브(202)의 연장부(203)에 연속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연장부(203)는 캠 그루브(202)를 따라서 캠 그루브(2020) 테두리 외곽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캠 유닛(200)의 회전에 따라서 롤러(301)의 위치가 변경되어 밸브 유닛(300)이 연속적인 승강 동작을 하여도 상부 스템(310)과 연장부(203) 간의 연속적인 선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접촉 상태로 인하여 수직축(Z-axis)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현상(R)이 방지될 수 있다.
상부 스템(310)에는 마그넷(311)이 배치되고, 하우징 또는 하우징 커버에는 마그넷의 자력을 측정하는 홀 센서(미도시)가 배치된다.
밸브 유닛(300)의 승강 동작에 의하여 마그넷(311)의 위치도 변경된다.
홀 센서는 마그넷의 자력을 측정하여 밸브 유닛이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밸브 유닛(300)의 위치 변경에 의하여 마그넷(311)의 위치도 변경되면, 홀 센서에서 측정하는 마그넷(311)의 자력도 변경된다.
그런데 마그넷(311)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었을지라도 상부 스템(310)이 수직축인 Z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R)하면, 그때의 감지된 자력값은 회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홀센서에서 감지하는 마그넷의 자력값과 달라진다.
따라서, 밸브 유닛(300)의 정확한 위치 감지가 어렵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 연장부(203)와 상부 스템(310)과의 연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밸브 유닛(300)은 수직축인 Z축에 대한 회동없이 오로지 수직축(Z-axis)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스템(310)과 하부 스템(320)이 일체화 되어 있지 않고, 용접 결합되기 때문에 EGR가스 유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하부 스템(320)에 전달되는 경우, 상부 스템(310)으로 전도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311)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그넷(311)에 대한 열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넷 아래 쪽에 별도의 빈 공간(블랭킹)을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동력 전달 기어(100)의 후방에는 제1탄성 부재(5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1탄성 부재(50)의 지지력에 의하여 동력 전달 기어(100)가 전방으로 힘을 받고, 궁극적으로 캠 유닛(200)과 상부 스템(310) 간의 접촉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도9는 이물질 배출구(210)를 통하여 이물질(F)이 캠 그루브(202)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F)은 캠 그루브(202)의 표면이 롤러와 접촉하면서, 그 표면 일부가 깎이면서 생성되는 작은 입자 또는 가루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외부에서 들어온 작은 알갱이 등도 될 수 있을 것이다.
도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유닛(200)이 회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누적된 이물질은 제2이물질 배출구(210b)를 통해서 아래로 배출된다. 즉, 도4(a)나 도7(a)와 같이 캠 유닛(200)이 아직 회전하지 않고, 밸브 유닛(300)이 아래로 움직이지 않아서 EGR유로를 개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이물질 배출구(210b)를 통해서 이물질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캠 유닛(200)이 회전하여 그 위치가 도9(a)에 비해서 역전된 경우에는 캠 그루브(202)의 하부 영역에 누적된 이물질은 제1이물질 배출구(210a)를 통해서 아래로 배출된다.
즉, 도4(b)나 도7(b)와 같이 캠 유닛(200)이 회전하고, 밸브 유닛(300)이 아래로 움직여서 EGR유로를 개방한 경우에는 제1이물질 배출구(210a)를 통해서 이물질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구동 모터
40: 고정 플레이트 42: 지지부
100: 동력 전달 기어 101: 삽입공
200: 캠 유닛 201: 돌출부
202: 캠 그루브 203: 연장부
202a: 바닥면 210: 이물질 배출구
210a: 제1이물질 배출구 210b: 제2이물질 배출구
210c: 제3이물질 배출구 300: 밸브 유닛
310: 상부 스템 320: 하부 스템

Claims (12)

  1. 외면 테두리에 치형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 기어에 결합되게 마련되며 상기 동력 전달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캠 유닛과,
    상기 동력 전달 기어의 표면과 캠 유닛의 표면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와;
    캠 유닛에 마련되어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캠 그루브와;
    캠 유닛에 마련되며 캠 그루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캠 그루브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캠 그루브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테두리에 마련되며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의하여 구현되되,
    이물질 배출구는 바닥면 또는 연장부의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2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사이에 있는 중간 영역에 마련되는 제3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바닥면의 최외곽과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절개되고 이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폭은 캠 그루브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7. EGR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 및 모터 축과;
    모터 축에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외면 테두리에 치형이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동력 전달 기어와;
    상기 동력 전달 기어에 결합되게 마련되며 상기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캠 유닛과,
    상기 동력 전달 기어의 표면과 캠 유닛의 표면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와;
    상기 캠 유닛의 회동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EGR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캠 유닛 내부에서 구름 운동을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밸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캠 유닛은 롤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캠 그루브와;
    캠 유닛에 마련되며 캠 그루브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캠 그루브 내부의 이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함하는 차량용 EGR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캠 그루브는 바닥면과, 바닥면의 외측에 마련되며 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의하여 구현되되,
    이물질 배출구는 바닥면 또는 연장부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GR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최외곽에 배치되며,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GR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1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는 제2이물질 배출구와;
    캠 그루브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사이에 있는 중간 영역에 마련되는 제3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GR 밸브.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는 리세스 표면부의 최외곽과 상기 연장부의 일부가 절개되고 이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GR 밸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구의 폭은 캠 그루브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GR 밸브.




KR1020170063907A 2016-06-18 2017-05-24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KR10195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07A KR101952259B1 (ko) 2017-05-24 2017-05-24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EP17176558.9A EP3258095B1 (en) 2016-06-18 2017-06-19 Egr valv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907A KR101952259B1 (ko) 2017-05-24 2017-05-24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594A KR20180128594A (ko) 2018-12-04
KR101952259B1 true KR101952259B1 (ko) 2019-02-26

Family

ID=64669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907A KR101952259B1 (ko) 2016-06-18 2017-05-24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639B1 (ko) 2020-11-23 2022-04-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Egr 마그넷 자동 본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974A (ja) * 2002-05-23 2003-1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024346A (ja) 2011-07-22 2013-02-04 Denso Corp ナット付樹脂ギヤ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42082U (zh) * 2013-09-10 2014-02-19 大陆汽车电子(芜湖)有限公司 凸轮齿轮和包括该凸轮齿轮的直线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974A (ja) * 2002-05-23 2003-1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024346A (ja) 2011-07-22 2013-02-04 Denso Corp ナット付樹脂ギヤ部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639B1 (ko) 2020-11-23 2022-04-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Egr 마그넷 자동 본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594A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253B1 (ko)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egr밸브 및 밸브용 실링부재
KR101952259B1 (ko)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JP2019533797A (ja) 流体熱交換アセンブリ及び車両熱管理システム
FR2749368A1 (fr) Convertisseur de couple equipe d'un embrayage a verrouillage
JP3760949B2 (ja) ダンパー装置
KR20140087358A (ko) 수냉식 전동기의 프레임장치
EP3258095B1 (en) Egr valve for vehicles
KR101870748B1 (ko) 밸브 스템과 캠 유닛간의 접촉 구조를 갖는 차량용 egr 밸브
KR101855888B1 (ko) 차량용 egr 밸브 및 egr 밸브용 캠 기어 어셈블리
KR101875542B1 (ko) 모터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차량용 egr 밸브
KR101875546B1 (ko)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용 egr 밸브
JP5690518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US11686393B2 (en) Double eccentric valve
FR2994132A1 (fr) Mecanisme de reglage de siege automobile, et son procede d'assemblage
EP3571080A1 (fr) Dispositif d'obturation d'entree d'air d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KR20180040909A (ko) 밸브 샤프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기체 유동 제어를 위한 차량용 밸브
FR3071593A1 (fr) Dispositif de melange d'air dans u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FR3103525A1 (fr) « porte-disques assemblé et mecanisme a double embrayage humide de type compact comprenant un tel porte-disques assemble »
FR3111171A1 (fr) Double embrayage humide
KR20170060452A (ko) 차량용 egr 밸브
KR101961693B1 (ko) 복수의 스템 가이드부재를 갖는 차량용 egr밸브
FR3101927A1 (fr) « Dispositif de rappel élastique commun pour double embrayage humide et double embrayage humide de type compact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de rappel élastique »
WO2018134493A1 (fr) Dispositif d'obturation d'entree d'air d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KR200364539Y1 (ko) 버터 플라이밸브의 작동축 연결장치
FR3101926A1 (fr) « mecanisme a double embrayage humide compact »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