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198B1 -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198B1
KR101952198B1 KR1020180105570A KR20180105570A KR101952198B1 KR 101952198 B1 KR101952198 B1 KR 101952198B1 KR 1020180105570 A KR1020180105570 A KR 1020180105570A KR 20180105570 A KR20180105570 A KR 20180105570A KR 101952198 B1 KR101952198 B1 KR 101952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ainer
oral composition
dimethicone
ph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525A (ko
Inventor
유아람
문교태
하원호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10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19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3002
    • B05B11/308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용기에서, 상기 용기에 포함된 내용물인 구강용 조성물의 상단에 오일이 위치한,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펌핑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품은 특히, 펌핑형 용기 등에 구강용 조성물을 적용할 때 유발되었던, 구강용 조성물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들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Pumping-type product comprising oral car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포함된 구강용 조성물의 수분 증발 및 휘발이 억제된,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물 등의 액상 원료, 고체 원료 및 향 등의 방향성 물질이 분산된 페이스트, 겔 등의 제형으로, 제형 내의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의 상실을 우수하게 차단할 수 있는 알루미늄 적층필름 재질의 튜브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튜브형태의 치약의 경우에는 튜브 토출 시 잔량 및 페이스트상 제품의 고점도 등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포장용기의 특성 상 다양한 제형의 구현이 어려워 치약의 신규 발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의 풀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에 흐르는 특성을 가지는 액상 및 겔타입 치약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알루미늄 적재필름 재질의 튜브에 비해 치약 제형 내의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의 상실이 많아 향 등의 감성품질이 나빠지고, 분산안정성이 쉽게 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샴푸나 바디워시에 사용하고 있는 딥튜브 타입 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용기 특성상 외부대기와의 자유로운 이동 등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건조 되면서 점도가 높아져 토출이 안되는 문제점과 심지어 굳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여 상업적인 응용에는 적용되어 시판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강용 조성물의 습윤제 중 수분 증발이 가능한 솔비톨 용액 대신 글리세린 등을 적용하기도 하지만, 습윤제를 바꾸더라도 방향성 물질의 휘발을 방지할 수 없고, 다양한 원료를 적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기성이 있는 용기로 포장해도 제형 내의 수분 및 휘발성 물질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의 안정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펌핑형 제품에서 구강용 조성물이 안정적으로 보존될 수 있는 방법 및 구강용 조성물이 안정화된 펌핑형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의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펌핑형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고, 향기 성분 등과 같은 휘발성 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기존 펌핑형 제품들에서 나타난, 내용물이 굳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용기에서, 용기의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에 포함된 내용물인 구강용 조성물의 상단에, 내용물과 섞이지 않는 오일이 위치한,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펌핑형 제품을 제공한다.
튜브 형태의 치약에 비해서 펌핑형 용기의 사용 편의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구강용 조성물을 펌핑형 용기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구강용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 바깥으로 토출되는 토출부를 통하여 바깥의 공기가 내용물에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특별한 외관 또는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펌핑형 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펌핑형 또는 디스펜서 펌프" 라는 용어는,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내부에 있는 치약 조성물을 피스톤의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의미하며, 즉, 상기 펌핑작용으로 용기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해서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핑형 제품은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제 1 층 및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안정성을 도울 수 있는, 오일 등과 같은 안정화 성분이 포함된 제 2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층의 구강용 조성물층에 포함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연마제, 착향제, 감미제, 약효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증백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업계에서 사용되는 성분들이 포함된다.
상기 제1층의 구강용 조성물 층에는 상기 성분들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용매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용매는 공기 중으로 증발되면서 구강용 조성물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기에 포함된 구강용 조성물의 상단에 안정화 성분이 포함된 제2층을 위치시켜 제품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단" 이라는 의미는 용기 내에 포함된 구강용 조성물이 용기의 바닥과 닿는 면의 반대쪽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은 치약, 구강 세정제, 구강 청량제, 구향제 등의 제형으로 사용되기 위해 제조된 모든 구강 위생을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정화 성분은 포함되는 구강용 조성물에 비해 비중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동성 성분으로 1.1 이하의 비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화 성분의 비중이 1.1을 초과하는 경우 구강용 조성물 보다 아래층에 위치해 피막을 형성할 수 없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 성분은 오일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일은 난황유(Egg Yolk Oil), 도인유(Persic oil), 동백유(Camellia Oil), 라놀린유(Lanolin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로즈힙유(Rose Hips Oil), 마카데미아넛유(Macadamia Nuts Oil), 미네랄유(Mineral Oil), 유동파라핀(Liquid Petrolatum), 미네랄유·라놀린알코올(Mineral Oil and Lanolin Alcohol), 밍크유(Mink Oil), 사플라워유(Safflower Oil), 아몬드유(Almon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올리브유(Olive Oil), 코드리버유(Cod Liver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 호호바유(Jojoba Oil), 월견초유(Evening Primrose Oil), 참기름(Sesame Oil), 콩기름(Soybean Oil), 피마자유(Castor Oil),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시네츠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KF-96 1000CS 실리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안정화 성분이, 사용되는 구강용 조성물의 물성이나 품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의 점도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며, 구강용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의 분산안정성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밝혀내었다.
상기 안정화 성분은 구강용 조성물이 담긴 용기의 최대 횡단면적에 위치할 경우 0.005 내지 0.1mm의 높이를 형성하는 양을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성분이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용기에 투입되면, 구강용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을 상기 안정화 성분이 차단하게 되어 피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피막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용기 내에서 투여되는 안정화 성분의 투여량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 성분이 용기의 최대 횡단면적에 대하여 0.005mm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양은 그 효과가 미약하여 구강용 조성물의 안정화를 상승시킬 수 없다. 그리고 안정화 성분이 용기의 최대 횡단면적에 대하여 0.1mm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양은 효과 상승에 비하여 비용 상승이 더 커질 뿐 아니라 횡단면적이 좁은 부위에서 그 높이가 높아져 포장 시 내용물 충진량을 재설정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펌핑형 용기에 구강용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부에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을 구강용 조성물과 섞이지 않는 오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펌핑형 용기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제품은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들에 대한 개선이 없이도 수분 증발, 향 휘발, 굳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시판되는 펌핑형 제품들에 즉시 적용할 수 있으며, 구강용 조성물에 대한 별도의 처리 또는 가공 없이도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핑형 제품은 특히, 펌핑형 용기 등에 구강용 조성물을 적용할 때 유발되었던, 구강용 조성물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성분들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의 증발 및 휘발을 억제하여 제품 사용시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적용한 제품은 내용물의 굳는 현상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며, 더 나아가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기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용 조성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면에 안정화 성분을 위치시킨 제품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강용 조성물과 공기가 접촉하는 면에 안정화 성분을 위치시킨 제품의 사용 후 상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평균 감량 결과 및 추세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평균 감량 결과 및 추세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평균 감량 결과 및 추세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비교예의 평균 감량 결과 및 추세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소비자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기술 적용 제품(실시예 1 내지 4)과 이와 비교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통상의 제품(비교예)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으로 잘린 원뿔형의, 상단의 최소 횡단면의 지름은 30mm, 하부의 최대 횡단면의 지름은 70mm 이며 그 높이는 125mm 인 동일한 용기 및 용기에 채결할 수 있는 딥튜브타입(펌핑형) 펌프가 있는 디스펜서를 뚜껑으로 준비하였다.
(2) 딥튜브타입 펌프에 적용 가능한 동일한 구강용 조성물을 300g씩 각 용기에 충진하였다. 비중이 1.22인 경우, 용기 내부에서 구강용 조성물은 약 110mm 의 높이까지 채워졌다.
(3) 실시예의 경우 정해진 용량의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성분을 구강용 조성물 상단에 추가 충진 하고, 비교예는 충진하지 않은 상태로, 모든 용기의 뚜껑을 닫았다.
(4) 각 실시예의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성분은 KF-96 1000CS 실리콘 오일 이며, 각 실시예에서 충진한 안정화 성분의 용량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용기의 최대 횡단면에서 0.001 mm의 높이가 되는 량
- 실시예 2: 용기의 최대 횡단면에서 0.010 mm의 높이가 되는 량
- 실시예 3: 용기의 최대 횡단면에서 0.100 mm의 높이가 되는 량
- 실시예 4: 용기의 최대 횡단면에서 0.500 mm의 높이가 되는 량
효능 검증의 경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충진 테스트, 내용물 감량, 경시에 따른 토출성 변화 관찰을 진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사용성 및 사용감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충진 테스트
1) 실험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실험용 제품을 제작함
2) 실험 결과
하기 표 1 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성분을 용기의 최대 횡단면에서 0.500 mm의 높이가 되는 양 만큼 추가 충진 하고자 할 경우, 통상적인 판매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충진 용량에서는 노즐을 넣을 경우 내용물이 넘쳐 용기 뚜껑을 닫지 못하게 되어 충진이 불가능 하여 구강용 조성물 충진 용량을 재설정 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경우, 충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충진 시 안정화 성분이 차지하는 부피 및 높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안정화 성분 부피 0.004 ml 0.038 ml 0.384 ml 1.918 ml -
구강용 조성물 상단에서 안정화 성분이 최초에 형성하는 높이 0.005 mm 0.040 mm 0.406 mm 2.341 mm -
비고 특이사항
없음
특이사항
없음
특이사항
없음
뚜껑 닫으면 넘침.
충진 불가능
특이사항
없음
실험예 2: 내용물 감량
1) 실험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대하여 동일한 충진 제품을 각 실험군별 4개씩을 제작하여, 상온에서 8주간 무게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 추세선을 통하여 통상의 구강용 조성물의 유통기간인 3년 동안 추정되는 내용물 감량을 계산하였다.
2) 실험 결과
아래 표 2 및 도 4 내지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실시예 2 내지 3의 경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비하여 내용물 감량이 월등히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기 결과에 대한 평균 감량 결과 및 추세선을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었다.
감량 테스트 결과 표
구분 실시예 1 평균 실시예 2 평균 실시예 3 평균 비교예 평균
초기 300.198 g 300.169 g 300.021 g 300.172 g
1주 300.052 g 300.167 g 300.020 g 300.049 g
2주 299.953 g 300.161 g 300.018 g 299.947 g
3주 299.752 g 300.158 g 300.017 g 299.721 g
4주 299.591 g 300.153 g 300.015 g 299.463 g
5주 299.297 g 300.149 g 300.013 g 299.210 g
6주 299.102 g 300.144 g 300.009 g 299.006 g
7주 298.810 g 300.138 g 300.005 g 298.795 g
8주 298.592 g 300.133 g 300.002 g 298.523 g
3년 예상 268.304 g 299.452 g 299.646 g 267.130 g
3년 예상 감량% 10.62 % 0.24 % 0.13 % 11.01 %
실험예 3: 경시에 따른 토출성 변화
1) 실험 방법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제품을 50℃ 및 상온에 보관하면서 초기, 2주, 4주에 각 제품의 토출성을 관찰하였다.
2) 실험 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3의 경우, 토출성 및 펌프 복원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반면,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경우 2주 경과시부터 토출이 어려워지는 등의 불편함이 확인되었다.
구분 초기토출 2주 후 4주 후
실시예 1 50℃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어려움
상온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완료
실시예 2 50℃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완료
상온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완료
실시예 3 50℃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완료
상온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완료
비교예 50℃ 토출 완료 토출 어려움 토출 어려움
상온 토출 완료 토출 완료 토출 어려움
실험예 4: 소비자 평가를 통한 사용감 및 사용성 비교
1) 실험 대상자
실험 대상은 20-30대 성인 남녀 자원자 30명을 공개 모집하였다.
2) 실험치약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제품을 실험치약으로 지급 하였다. 모든 조성물은 동일한 향 및 색상을 적용하여 향미나 색상에 의한 호불호는 사전에 방지하였다.
3) 실험방법
실험 대상자들에게 1주일 간격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치약을 각각 신규로 지급하여 1주일간 해당 치약만 사용하게 하였다. 이후 다시 1주일 간격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치약을 재사용하게 하면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감 및 사용성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4) 설문 항목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대하여, 최초 사용시와 1개월 뒤 사용시의 용기 사용(토출)성 만족도, 치약 사용감 만족도, 향미 만족도 및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만족할 경우 5점, 불만족할 경우 1점에 가깝게 선택하는 5점 척도 설문을 진행하였다.
5) 실험 결과
소비자 평가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최초 설문 결과와 1개월 뒤 재사용 시 설문 결과의 차이가 거의 없지만,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경우 최초 설문 결과와 1개월 뒤 재사용 시 설문 결과의 차이가 큼을 확인할 수 있어,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기술을 적용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의 품질 확보에 탁월한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 딥튜브타입 펌프
11: 펌프 노즐
12: 펌프 토출구
20: 용기부
21: 용기부 내부 상단 빈공간
22: 용기부 최대 횡단면 부위
30: 구강용 조성물 안정화 성분
40: 내용물 상단부

Claims (9)

  1.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의 내용물인 구강용 조성물의 상단에, 오일이 위치한, 구강용 조성물이 포함된 펌핑형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구강용 조성물 층 및 안정화 성분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유동성이며, 1.1 이하의 비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난황유(Egg Yolk Oil), 도인유(Persic oil), 동백유(Camellia Oil), 라놀린유(Lanolin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로즈힙유(Rose Hips Oil), 마카데미아넛유(Macadamia Nuts Oil), 미네랄유(Mineral Oil), 유동파라핀(Liquid Petrolatum), 미네랄유·라놀린알코올(Mineral Oil and Lanolin Alcohol), 밍크유(Mink Oil), 사플라워유(Safflower Oil), 아몬드유(Almon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올리브유(Olive Oil), 코드리버유(Cod Liver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 호호바유(Jojoba Oil), 월견초유(Evening Primrose Oil), 참기름(Sesame Oil), 콩기름(Soybean Oil), 피마자유(Castor Oil),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시네츠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함유된 층은 상기 용기의 최대 횡단면적에 위치할 경우에 0.005 내지 0.1mm의 높이를 형성하는 양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형 제품.
  6.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에 구강용 조성물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 내의 구강용 조성물이 공기와 접촉하는 면을 오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펌핑형 용기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난황유(Egg Yolk Oil), 도인유(Persic oil), 동백유(Camellia Oil), 라놀린유(Lanolin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로즈힙유(Rose Hips Oil), 마카데미아넛유(Macadamia Nuts Oil), 미네랄유(Mineral Oil), 유동파라핀(Liquid Petrolatum), 미네랄유·라놀린알코올(Mineral Oil and Lanolin Alcohol), 밍크유(Mink Oil), 사플라워유(Safflower Oil), 아몬드유(Almon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올리브유(Olive Oil), 코드리버유(Cod Liver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Polyoxyethylene Castor Oil), 호호바유(Jojoba Oil), 월견초유(Evening Primrose Oil), 참기름(Sesame Oil), 콩기름(Soybean Oil), 피마자유(Castor Oil), 사이클로펜타실록산/피이지/피피지-19/19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디메치콘/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시네츠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비중이 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상기 용기의 최대 횡단면적에 위치할 경우에 0.005 내지 0.1mm의 높이를 형성하는 양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05570A 2018-09-04 2018-09-04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52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70A KR101952198B1 (ko) 2018-09-04 2018-09-04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70A KR101952198B1 (ko) 2018-09-04 2018-09-04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386A Division KR101897806B1 (ko) 2013-10-11 2013-10-11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525A KR20180102525A (ko) 2018-09-17
KR101952198B1 true KR101952198B1 (ko) 2019-05-21

Family

ID=6372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570A KR101952198B1 (ko) 2018-09-04 2018-09-04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1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525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203B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이 담긴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US9554982B2 (en) Aerosol antiperspirant compositions, products and methods
US20080248120A1 (en) Aerosol Composition and Method
EP3021824B2 (en) Antiperspirant spray devices and compositions
US8420059B2 (en) Aerosol composition
KR100281626B1 (ko) 약학조성물및그투여장치
JP6570263B2 (ja) 2液混合型エアゾール製品
BRPI0620744A2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um perfume ou de um aroma
EP3021822B1 (en) Antiperspirant spray devices and compositions
KR101952198B1 (ko)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897806B1 (ko) 구강용 조성물을 포함한 펌핑형 제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807616B1 (ko) 가구 광택용 조성물
JPH07233091A (ja) 不活性賦形剤として揮発性ポリジオルガノシロキサンを用いて、装置内で用いることを意図する治療用もしくは化粧用物質および組成物を分与する装置
EP3445324B1 (en) Deodorant composition
EP3021819B1 (en) Antiperspirant spray devices and compositions
JP7155943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及び口腔用スプレー製剤
US10842722B2 (en)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KR102203838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JP2018100245A (ja) 口腔用及び/又は咽喉用組成物
KR20170023794A (ko) 개선된 방향 조성물
RU2778519C2 (ru)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насосного типа
US20210030644A1 (en)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KR1024749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1880846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1956767B1 (ko) 유효 성분이 담지된 캡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