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794A - 개선된 방향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방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794A
KR20170023794A KR1020167031658A KR20167031658A KR20170023794A KR 20170023794 A KR20170023794 A KR 20170023794A KR 1020167031658 A KR1020167031658 A KR 1020167031658A KR 20167031658 A KR20167031658 A KR 20167031658A KR 20170023794 A KR20170023794 A KR 2017002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polymer
orienting
no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260B1 (ko
Inventor
카린 쉐베
발레리 알라르
마리-로르 수비
브리기트 뇌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17002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또는 모발에 분무로 직접 적용을 위하여 고분율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방향 오 드 뚜왈렛 또는 오 드 파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단 피부에 적용되면 탁월한 특성, 예컨대 후각 노트의 지속성을 갖는 분무가능한 방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향 조성물은 투명하고 에탄올, 0 내지 30 중량%의 물, 3 내지 40 중량%의 향료 농축물 및 비닐피롤리돈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코폴리머를 함유한다.

Description

개선된 방향 조성물 {IMPROVED PERFUM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및 모발 또는 그밖에 의류에 직접적으로 분무함으로써 적용되도록 한, 고 분율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방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조성물은 오 드 뚜왈렛, 오 드 콜로뉴, 향료 추출물, 에스프리 드 파팡 또는 오 드 파팡일 수 있다. 적용후 고갈되어 없어지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우수한 특성 예컨대 투명성, 분무가능성, 함유된 향료 농축물의 후각 신뢰도, 및 적용후 경시적 향료 노트의 지속성을 갖는 방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향료는 일반적으로 향료 농축물, 에탄올, 임의로 물, 및 첨가제 예컨대 가용화제, 염료, 항산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향료 농축물은 향료의 필수 성분이다. 향료에 그 본래의 후각 노트(olfactory note)를 제공하기 위해, 조합된 향기나는 휘발성 물질들을 필수적으로 함유한다.
방향 용액의 개발은, 최적의 관능적 특성 및 양호한 안정성을 갖도록, 규정에 따른 리커(liquor) 수득의 목적으로 각종 성분들의 특성 및 양의 선택을 포함한다.
향료는, 해당 제품이 판매되기 전 보관 기간 동안, 이후 소비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간 동안, 후각 노트가 포장 안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광-안정성 및 열-안정성을 나타내야 한다. 상기 안정성은 주로 본래의 후각 노트의 경시적 보존 및 보틀에서 흐려짐의 외관 발생 또는 침적의 외관 발생이 없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향료의 냄새, 또한 소위 "후각 노트(olfactory note)"는 함유하는 휘발성 물질 발산의 후각으로 인지된 결과이다. 향기나는 물질의 휘발성 정도, 및 후각에 의한 인지의 역치를 조정함으로써, 이의 후각 노트가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 이후 수시간에 걸쳐 변화하도록 향료가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향료는 i) 향료의 적용 동안 또는 이를 함유하는 용기의 개봉 동안 먼저 휘산하는 냄새인 탑 노트(top note), ii) 완벽한 향료에 상응하는 하트 노트(heart note) 또는 바디 노트(body note) (탑 노트의 점진적 소멸 이후 수 시간 동안 방출되는) 및 iii) 가장 지속적인 향기인 베이스 노트 (base note) (하트 노트 이후 수 시간 동안 방출)로서 언급되는 것을 나타낸다. 베이스 노트의 지속성은 조향사가 향료의 지속성을 요구하는 정도에 상응한다.
일부 향료 농축물에 대하여, 일단 방향 조성물이 적용되면, 경시적으로 소비자의 냄새 인지를 연장시키기 위해, 방향 용액의 후각 노트의 지속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보다 휘발성인 노트의 강도, 예컨대 탑 노트 및 하트 노트를 보존하는 것이 추구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 향료 농축물의 후각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향기, 특히 탑 노트, 하트 노트 및 베이스 노트를 정성적으로 (인지된 냄새) 및 정량적으로 (인지된 강도) 변경하지 않는 화합물을, 방향 용액 속에, 혼입하는 것이 필수이다.
따라서, 만족할만한 제품을 수득하기 위해 다수의 파라미터들이 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시된 첨가제는 그의 주기능과 함께 만족할 수 없는 특성을 도입할 수 있어서, 조향자로 하여금 타협점을 찾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각 노트의 강도 및 지속성은 향료 농축물의 특성, 용액 내 농축물의 백분율, 알코올의 수준 및 침용 시간에 의존할 수 있다. 색상은 리커 여과 파라미터 및 또한 염료의 첨가에 의존한다. UV 조사의 작용에 대하여 방향 용액을 보호하는 항산화제 및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향료 농축물의 보호 및 안정화 시스템은, 광 및 열에 대한 반응으로 리커의 변성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더욱이, 조성이 독성학적으로 무해하고 이의 용기와의 양호한 적합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방향 제품, 예컨대 오 드 뚜왈렛에 관하여 소비자로부터 주된 부정적 피드백은 종종 이들의 피부상의 지속성 부족이다: 일단 적용된 제품의 냄새 인지가 너무 짧다고 판단되고, 이로써 소비자는, 경시적으로 그 냄새의 인지를 유지하기 위해, 1일 동안 1회 이상 그 제품을 강제로 반복적용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항료 조성물의 제조 동안 이의 증발을 지연시키는 화합물, 예컨대 정착제(fixers) 또는 그들의 증발 곡선을 변경하는 제제를 혼입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증발 프로파일의 일부 정착제 및 일부 변경제는 향료 농축물의 알콜올성 용액의 관능적 특성을 변경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것들로 인해 피부 또는 의류에 제품을 적용한 후 인지되는 방향 제품의 향료 노트가 변경될 수 있다. 이것들은 또한 그 투명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그 점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 터치시 지성 또는 점성 느낌을 남길 수 있거나, 또는 용액의 외관을 변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것들은 용액의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향료 농축물의 색상 및 후각 적 식별의 변경 없이, 노트들을 보존하는 것이 요구되는, 향료 노트의 인지의 기간을 증가시키는 화합물을 제공할 필요성이 남아 있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방향 용액의 투명성 보존을 가능하게 해야 하고, 적당한 디바이스 예컨대 보틀의 노즐을 통해 분무될 수 있어야 하고, 그리고 피부에 끈적이는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복잡한 설명에 상응하는 폴리머 유형의 화합물을 밝혀내었다. 다수의 상이한 폴리머가 상기 설명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은 더욱더 놀랍다. 이것은 특히, 전체적으로 허용할 수 없는 냄새를 갖는 메타크릴레이트 유도체, 확장성 효과와 분무가능성 사이의 타협점을 찾을 수 없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너무 점성이어서 분무할 수 없는 용액 또는 분무가능하지만 이의 연장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용액에 이르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경우에 더욱 그렇다. 결론적으로, 다른 폴리머를 사용하면 피부에 끈적이는 느낌을 남기는 방향 용액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가 향료의 본연의 후각 노트를 보존 및 연장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그들의 분무가능성을 보존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상기 화합물은 따라서, 알코올에서 희석된 향료 농축물에 존재하는 재료의 냄새 인지를 연장시킬 수 있다.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이미 미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들의 필름-형성 특성은 모발 형태 유지 및 헤어 손질을 돕기 위한 모발 제품, 예컨대 샴푸 및 젤에서 편리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향료 연장제로서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방향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향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 하기를 포함한다:
- 40중량% 내지 90중량%의 에탄올,
- 0중량% 내지 30중량%의 물,
- 3중량% 내지 40중량%의 향료 농축물, 및
- 바람직하게는 25℃에서 고체인, 1중량% 내지 10중량%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방향 조성물은, 당해 방향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 40중량% 내지 90중량%의 에탄올,
- 0중량% 내지 30중량%의 물,
- 3중량% 내지 40중량%의 항료 농축물, 및
- 바람직하게는 25℃에서 고체인, 1중량% 내지 10중량%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용어 "방향 조성물" 또는 "향료"는 개인의 피부, 모발 또는 의류에 분무 또는 적용된 이후 개인에게 유쾌한 냄새를 부여하도록 의도된 액체 형태의 제품을 의미하고자 한다. 상기 제품은 적용 이후 고갈되어 없어지지 않는다. 향료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적용된다.
용어 "포함하는"은 조성물이 기타 성분을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자 한다. 에탄올, 물, 향료 농축물 및 코폴리머의 백분율 합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9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중량%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어 "으로 이루어지다"는 에탄올, 물, 향료 농축물 및 코폴리머의 백분율의 합이 100%와 동일함을 의미하고자 한다.
상기 코폴리머는 사용시에 인지되는 본연의 후각 노트의 변화 없이 조성물의 후각 노트의 지속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방향 용액에 혼입되면, 상기 코폴리머는 만족스럽게 분무되는 용액의 능력을 유의미하게 변경시키지 않는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시적으로 안정하고 열-안정성인, 분무가능하고, 투명하며, 비-점성인 향료 포물러(formula)이다. 이의 포장 안에서 상기 방향 조성물의 후각 노트는 수주 동안 상기 조성물을 열에 노출시킨 이후에도 유의미하게 변하지 않는다.
용어 "분무가능한"은 소비자가 만족스러움을 찾는 방식으로 분무되는 조성물의 능력의 의미하고자 하며, 상기 소비자는, 제공된 거리에서 분무되는 조성물의 구름에 의해 형성된 표면에서, 분무시 형성된 점적 크기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으면서, 또는 피부에 적용 후 수득된 결과로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으면서, 상기 조성물이 균일하게 및 반복적으로 분무되는 것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상기 코폴리머는 향료 농축물의 알코올성 용액의 후각 노트를 유의미하게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열에 대한 노출에 의해 촉진된 에이징의 표준 조건 하에서도 본래의 후각 노트를 보존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코폴리머는 방향 조성물의 특성, 특히 피부 또는 모발상에서 그들의 지속성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분무될 수 있는 투명 조성물의 수득, 및 그의 감각 특성, 예컨대 느낌(feel)이 만족스럽다.
상기 코폴리머는 유리하게는, 조성물을 피부 또는 의류에 분무하는 사용자에게, 경시적으로 향료의 인지, 특히 향료의 탑 노트 및 하트 노트를 연장시키며, 여기서 상기 연장은 상기 코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 조성물에 비해 평가된 것이다.
상기 코폴리머에서, 코폴리머 중 비닐피롤리돈 대 비닐 아세테이트의 중량비는 유리하게는 50:50 내지 70:30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0:40이다.
예각 레이저 회절 방법에 따라 측정된,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00과 600,000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과 100,000 사이이다. 코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약 40,000 내지 50,000이다.
상기 코폴리머는 25℃에서 바람직하게는 고체이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코폴리머의 INCI 명칭은 VP/VA 코폴리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과 115℃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과 110℃ 사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25℃에서 액체이고, 유리하게는 구성하는 성분들의 용액의 형태이다. 수성-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일 수 있다. 용어 "수성-알코올성 조성물"은 에탄올 또는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의미하고자 하며, 용어 "알코올성 조성물"은 에탄올을 함유하지만 물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의미하고자 한다. 조성물의 제형화에 사용된 에탄올은 일반적으로 96 vol% 에탄올 (즉 4%의 물 함유)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물의 백분율이 표현되는 경우, 이는 i) 96 vol% 에탄올의 사용으로 인해 또는 ii) 무수 에탄올에 물의 첨가로 인해, 조성물이 함유하는 물의 백분율을 의미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값들의 범위 한계를 배제하는 의도인 표현 "와...사이"와 달리, 표현 "내지"는 값들의 범위 한계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성분들이 혼화성인 용액의 형태이다.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의 형태는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계면활성제 0중량% 내지 0.01중량%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실제, 상기 코폴리머는 에탄올, 향료 농축물, 및 이들 둘의 혼합물에 동시에 가용성이어서, 이로써 조성물이 균일해지고 투명해지도록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CH2CH(OH)CH2- 및 -OCH2CH2-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5개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화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화 화합물 및 폴리옥시프로필렌화 화합물이 없을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중에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화 에테르, 예를 들어 POE(10)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화 에스테르, 예를 들어 PEG-40 수소화 피마자유 또는 POE(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화 알킬페놀 축합물,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 및 에틸렌디아민의 반응 생성물과의 축합의 생성물, 폴리에톡시화 알코올, 폴리소르베이트,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
일단 조성물이 피부 또는 모발에 적용되면, 조성물의 투명성 및 분무가능성의 감소 없이, 상기 코폴리머는, 유리하게는 경시적으로 향료 농축물의 지속성을 증가시키는데 충분한 양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코폴리머는 조성물의 1중량% 내지 10중량%를 나타낸다. 10중량% 초과이면, 코폴리머는 부정적 효과를 갖는다: 피부상에서 점성 느낌이 생기고 조성물의 양호한 분무를 방해한다. 일 구현예에서, 코폴리머는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2중량% 내지 8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내지 5 중량%를 나타낸다.
상기 코폴리머의 최소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의 1중량%, 2중량% 및 3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값을 갖는다. 상기 코폴리머의 최대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의 4중량%, 5중량%, 6중량%, 7중량%, 8중량%, 9중량% 및 10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값을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향료 농축물을 함유한다. 향료 농축물은 예를 들어 판매시 제시되는 방향 조성물의 성분의 목록상에 나타나는 INCI 명칭이 "향료"인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향료 농축물은 주위 온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휘발성인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혼합물이고, 그 냄새는 검출된다. 향료 농축물은 탑 노트, 하트 노트, 베이스 노트,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노트를 함유한다. 향료 농축물은 바람직하게는 대개 탑 노트 및 하트 노트를 포함하고, 저-지속성 또는 중간-지속성 향료에 상응한다.
용어 "저-지속성" 또는 "중간-지속성"은 실험 패널에 의해 관측되는 냄새 인지가 피부에 적용된 다음 8 시간후 절반 초과만큼 감소하는 향료를 의미하는 의도이다.
향료 농축물은 천연 또는 합성 방향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천연 유래의 방향 재료로서, 예를 들어 하기의 추출물을 언급할 수 있다: 화초 (라벤더, 장미, 자스민, 일랑일랑), 줄기 및 잎 (파츌리, 제라늄, 페티그레인), 과일 (고수, 아니스씨, 쿠민, 향나무), 과일 껍질 (베르가못, 레몬, 오렌지), 뿌리 (안젤리카, 셀러리, 카르다몸, 아이리스, 석창포), 목재 (백단, 유창목, 스페인삼나무), 잔듸 및 화본과 식물 (사철쑥, 레몬그라스, 세이지, 백리향), 수지 및 향유 (갈바눔, 엘레미, 벤조인, 몰약, 유향, 오포파낙스).
합성 유래의 방향 재료로서, 예를 들어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 포르메이트, 제라닐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르메이트, 에틸메틸페닐 글리시네이트, 알킬시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랄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 벤질에틸 에테르, 8 내지 18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알카날,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부르지오날, 이오논 예컨대 알파-이소메틸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제라니올, 리날룰, 페닐에틸 알코올, 테르피네올, 및 테르펜. 상기 화합물은 종종 상기 향기나는 물질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이다.
더욱이, 또한 정유, 예를 들어, 세이지, 카모마일, 클로버, 멜리사 향유, 민트, 신나몬 나뭇잎, 향나무, 베티베르풀, 올리반, 갈바눔, 라브다눔 및 라반딘의 정유를 사용할 수 있다.
단독 또는 혼합물로, 향료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를 사용한다: 베르가못의 정유, 디히드로미르세놀, 릴리알, 리랄, 시트로넬롤, 페닐에틸 알코올, 알파-헥실신남알데히드, 제라니올, 벤질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25 리날룰, 암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레몬의 정유, 만다린의 정유 및 오렌지의 정유, 알릴아민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베르탈, 라반딘의 정유, 세이지의 정유, 베타-다마스콘, 제라늄의 정유,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페닐아세트산, 제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및 로즈 옥시드.
공지된 후각 노트 중에서, 예를 들어 헤스페리데 향료, 방향유, 플로랄 향료, 머스크, 과일향 향료, 신미 향료, 동양 향료, 해양 향료, 수상 노트, 시프레 향료, 목질 향료, 양치식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에탄올 함량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40중량%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85중량% 범위일 수 있다.
제1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25중량%의 향료 농축물, 55중량% 내지 65중량%의 에탄올 및 15중량% 내지 25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제2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25% 내지 35%의 향료 농축물, 70중량% 내지 80중량%의 에탄올 및 0중량%의 첨가된 물을 함유한다.
제3 구현예에서,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25중량%의 향료 농축물, 75중량% 내지 85중량%의 에탄올 및 0중량% 내지 5중량%의 물을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이 물을 함유하는 경우, 에탄올 대 물의 중량비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65/35 와 98/2 사이, 바람직하게는 70/30 과 85/15 사이,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75/25 와 80/20 사이이다.
향료 농축물은 조성물의 6중량% 내지 30중량%, 예를 들어 조성물의 중량의 6중량% 내지 15중량%, 또는 10중량% 내지 25중량%, 또는 그밖에 20중량% 내지 30중량%를 나타낼 수 있다. 향료 농축물은 조성물의 중량의 3중량% 내지 40중량%, 예를 들어 10중량% 내지 35중량% 또는 15중량% 내지 30중량%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외에, 염료, 자외선 차단제, 미용 활성제, 항산화제 및 청량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미용적으로 허용가능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염료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카라멜, 옐로우 5, 애시드 블루 9/블루 1, 그린 5, 그린 3 / 패스트 그린 FCF 3, 오렌지 4, 레드 4 / 푸드 레드 1, 옐로우 6, 에시드 레드 33 / 푸드 레드 12, 레드 40, 코치닐 카민 (Cl 15850, Cl 75470), 엑스트. 바이올렛 2, 레드 6-7, 페로시안화철, 울트라마린, 애시드 옐로우 3 / 옐로우 10, 애시드 블루 3, 옐로우 10. 지용성 염료는 예를 들어 하기이다: 수단 레드, D&C 레드 17, D&C 그린 6, 베타-카로텐, 대두유, 수단 브라운, D&C 옐로우 11, D&C 바이올렛 2, D&C 오렌지 5, 퀴놀린 옐로우 및 안나토.
염료는 일반적으로 방향 조성물의 중량의 0.01중량%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내지 0.5중량%를 나타낸다.
항산화제 중에서, 예를 들어,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 디-tert-부틸-p-히드록시톨루엔 (또한 소위 BHT 또는 2,6-디-tert-부틸-p-크레졸), BHA (tert-부틸-4-히드록시아니솔), 토코페롤 예컨대 비타민 E, 토코페롤 유도체 예컨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갈산 및 이의 유도체.
상기 조성물은 또한 향료 농축물에 존재하는 분자의 증발 곡선을 변경시키는 하나 이상의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경제는 글리콜로부터, 특히 임의로 히드록시화 또는 폴리알킬렌화 에테르, C4 내지 C12 글리세릴 에테르, 에스테르, 및 폴리알킬렌화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에테르 중 하나는 화학식 R-O-(CH(CH3)-CH2O)a-(CH2-CH2O)b-H (식중, a 및 b 는 정수이어서 이로써 a 및 b의 합이 1 내지 4범위이고, R은 8 내지 18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 사슬이다)의 화합물에 상응할 수 있다.
에테르는 예를 들어 하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모노코코에이트 (Cetiol® HE), 디카프릴릴 에테르 (Cetiol® OE), PPG-11 스테아릴 에테르 (Arlamol® E), PPG-3 미리스틸 에테르 (Tegosoft® APM), 및 이들의 혼합물.
글리세릴 에테르는 문헌 US 2003/0216283에 기재된 것에 따를 수 있고, 특히 2-에틸헥실옥시프로판디올일 수 있다.
에스테르는 n-헥사데실-n-노나노에이트, n-옥타데실-n-노나노에이트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분무 수단 및 포장 수단이 갖춰지고, 상기 기재된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틀에 관한 것이다.
분무 수단은 수동 펌프일 수 있다. 보틀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관측되도록 하기 위해 투명하고, 상기 조성물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다.
조성물은 압력화 디바이스에 의해 미세 점적(fine droplets)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고 비-에어로졸 펌프 또는 "분사기", 추진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용기 및 또한 추진제로서 압출 공기를 이용하는 에어로졸 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보틀은 오 드 뚜왈렛, 오 드 콜로뉴, 향료 추출물, 에스프리 드 파팡 또는 오 드 파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분무 수단을 이용하는, 개인의 피부 또는 모발에 상기 기재된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인의 피부 또는 모발의 방향 방법이다. 조성물은 또한 의류에 또한 적용될 수 있고; 피부, 바람직하게는 얼굴이 아닌 신체의 일부에 직접 바람직하게는 적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 주제는, 방향 조성물의 후각 노트(olfactory note)가 사용자의 후각에 의해 인지되는 기간의 연장을 위한, 방향 조성물 내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장은 상기 코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 조성물에 비해 평가된 것인, 상기 코폴리머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향료가 침적되는 지지체는 예를 들어 개인의 피부 또는 무기 또는 유기,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지지체일 수 있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모발 또는 의류에 적용되는, 오 드 뚜왈렛, 오 드 콜로뉴, 향료 추출물, 에스프리 드 파팡 또는 오 드 파팡의 형태의 방향 용액이다. 코폴리머는 유리하게는 후각 노트의 탑 노트 및 하트 노트의 인지를 연장시킨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상기 기재된 방향 조성물이 함침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퓨저이다. 지지체는 무기 또는 유기이고,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가 침적될 수 있는 지지체는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세라믹이다. 세라믹이 종래기술의 당업자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직물은 방향 또는 향기나는 제품, 또는 펠트의 분야에서 사용된 물수건일 수 있다.
디퓨저는 종래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지지체를 방향 조성물에 함침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함침은 따라서 i) 조성물이 액적으로 부어지거나 또는 지지체 상에 분무된 이후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ii) 방향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지지체의 침지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예시될 것이다.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방향 조성물 및 선행 기술의 방향 조성물의 후각 충성도 및 지속성의 평가
중등 지속성의 "플로랄" 유형의 상업용 향료를 참조로 선택하였다.
참조에 VP/VA 코폴리머의 첨가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그 다음 제조하였다. 사용된 비닐피롤리돈 (VP)/비닐 아세테이트 (VA) 코폴리머는, 25℃에서 측정된, 40중량%의 96% v/v 에탄올 (4% v/v의 물 포함)의 최대 용해도를 갖는다. 코폴리머의 고유 후각 중립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코폴리머는 예를 들어 ISP사에 의해 참조 PVP/VA S-630®로 판매된다.
비교로, 다양한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머를 그의 물리적 특징 (사슬 길이 및 가교성), 그의 화학적 특징 (친수성/친유성) 및 그의 관능적 특성 (냄새 및 색상)의 기능으로서 시함하였다.
향료가 수동 펌프로 분무가능한 최대 농도로서 이전에 한정된 농도에서 상기 폴리머를 상업용 향료에 도입하였다.
용액 참조에 도입된 폴리머 물리적 특징 참조에서 코폴리머의 농도
비교 용액 1 PVP MW: 2 000 000-3 000 000 0.5%
비교 용액 2 PVP MW: 900 000-1 500 000 2%
비교 용액 3 PVP MW: 40 000-80 000 3%
본 발명에 따른 용액 VP/VA 코폴리머 MW: 30 000-60 000
VP/VA 중량비 = 60/40
4%
MW: 폴리머의 중량-평균 분자량
정밀한 확전성 프로토콜에 따라, 피부에 적용 직후 (T0) 및 적용 이후 8 시간 (T0+8시간)에서 용액의 후각 신뢰도(fidelity)를 8명 개인으로 구성된 관능 패널에 의해 참조에 비해 평가하였다. 9가 최적 신뢰도를 나타내는 0 내지 9의 범위로 점수를 제공하였다. 9가 가장 바람직한 노트를 나타내는 0 내지 9의 범위로 등급화된, T0+8 시간에서 용액의 지속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관능 패널의 구성원은 i) 향기나는 또는 방향 미용 조성물의 관능 품질의 객관적 및 서술적 특성화의 경험을 갖는, 및 ii) 쾌락 성분을 쉽게 무시할 수 있는 전문가이었다.
전문가 패널은 등급의 배정 및 차이의 판단 방법에 대해 지시받았다. 또한, 전문가는 평가날에 향료를 쓰지 않았고 향기나는 크림을 사용하지 않았다.
각각의 전문가에 따른 프로토콜은 하기이었다:
√ 펌프를 정확하게 준비하기 위해 그 적용 없이 용액을 1회 분무한다.
√ 전문가의 팔뚝의 상/중 윗부분의 피부상에, 팔로부터 대략 5 cm 떨어져서 용액의 단일 분무를 적용하고, 동일한 적용을 다른 팔뚝상에 참조로 실시한다.
√ 참조 및 용액의 향료 노트 비교로 0 내지 9 범위로 T0에서 후각 충성도를 평가한다.
√ 문지름에 대해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향기나는 피부의 2개 영역의 각각 부근에 플라스틱 고리를 갖다 대고; 이들을 반창고로 붙이고 그 다음 8 시간의 기간을 경과하게 한다.
√ T0+8 시간에서, 2개의 플라스틱 고리를 제거하고, 10 초후, 향기나는 영역을 피부의 표면에서 대략 2 cm 떨어져서 냄새맡고 그리고 용액의 지속성 또는 후각 충성도를 0 내지 9의 범위로 평가한다.
결과를 아래 표 2 및 3에 보고한다.
T0에서 후각 신뢰도
용액 백분율 참조에 대한 신뢰도 T0
비교 용액 1 0.5% PVP 6.75
비교 용액 2 2% PVP 7.1
비교 용액 3 3% PVP 8
본 발명에 따른 용액 4% VP/VA 코폴리머 8
T0+8시간에서 신뢰도 및 지속성
성분 폴리머의 백분율 지속성 T0+8H 신뢰도 T0+8H
참조 0% 5 -
비교 용액 1 0.5% PVP 5.4 6.4
비교 용액 2 2% PVP 6.2 6.6
비교 용액 3 3% PVP 4.8 7.5
본 발명의 용액 4% VP/VA 코폴리머 6.4 7.5
본 연구는 단지 VP/VA 코폴리머가, 그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 없이, 향료의 후각 충성도 및 지속성 모두를 유의미하게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후각 노트의 충성도를 고려하고, 분무가능성을 보존하고, 그리고 적용 이후 제품의 감각성과 내구성 사이에서 양호한 타협이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다양한 향료의 지속성 증가
상이한 지속성 (참조 표 4)을 갖는 4개의 상업용 향료 P1 내지 P4에서 각각,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에 따라 4중량%에서 VP/VA 코폴리머를 용해시킴으로써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낸다.
참조 방향제의 지속성
폴리머 없는 참조 방향제 폴리머 없는 방향제의 지속성 T0+8H
P1 3
P2 4
P3 5
P4 6
본 발명의 용액의 후각 신뢰도 및 지속성
VP/VA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방향제 후각 신뢰도 T0+8H 지속성
T0+8H
지속성 T0+8H
증가
4%의 VP/VA를 갖는 P1 7.2 5.8 93%
4%의 VP/VA를 갖는 P2 7.3 5.8 45%
4%의 VP/VA를 갖는 P3 7.5 6.4 28%
4%의 VP/VA를 갖는 P4 6.8 6.7 12%
향료의 후각 패밀리가 무엇이든 4중량%에서 용해된 VP/VA 코폴리머가 향료에 첨가되는 경우 T0+8H에서 지속성 증가는 유의미하다.
지속성이 약 3 내지 4인 매우 맑은 향료로 가장 유의미한 효과를 달성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방향 조성물로 주입된 세라믹의 제조 및 선행 기술의 방향 조성물로 주입에 대한 비교
향료 P1 및 폴리머 없는 참조 향료로 세라믹 함침 시험을 실시하였고, 상기 2개의 향료는 실시예 2에 기재된 것에 따른다.
"대조" 디퓨저는 30 초 동안 25℃에서 참조 향료에 완전히 액침시킴으로써 침지에 의해 함침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고, 참조 향료는 선행 기술을 예시하고 PVP-VA 코폴리머가 없다.
본 발명의 디퓨저는, 이전에 사용된 대조 디퓨저의 세라믹과 동일한 특징을 갖고, 대조 세라믹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침지 조건하에, PVP/VA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라 향료 P1에 침지에 의해 향기나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다.
0과 4 사이의 등급 (4가 관측된 지속성의 최대 등급이다)을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에 따라 후각 패널이 배정한다. 상기 등급은 세라믹상에서 향료 P1 또는 참조 향료의 지속성을 특징으로 한다.
3 등급을 하기로 배정하였다:
- 후속 건조 없이, 침지되고 비이커 밖으로 꺼내지는 세라믹으로 (T0에서 등급),
- 이후에 주위 온도에서 6개월 동안 저장된 T0에 따른 세라믹으로 (T1에서 등급), 그 다음
- 이후에 45℃에서 오븐내 3 주 동안 가속된 노후처리되는 T1에 따른 세라믹으로 (T2에서 등급).
배정된 평균 등급을 하기 표에 보고한다.
T0 T1 =
T0 + 6 개월 주위 온도
T2 =
45℃ 에서 T1 + 3 주
대조 디퓨저 4 2 3.5
본 발명의 디퓨저 4 1.5 3

Claims (18)

  1. 방향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하기를 포함하는, 방향 조성물:
    40중량% 내지 90중량%의 에탄올,
    0중량% 내지 30중량%의 물,
    3중량% 내지 40중량%의 향료 농축물, 및
    1중량% 내지 10중량%의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농축물이 10중량% 내지 35중량%이고, 상기 코폴리머가 2중량% 내지 5중량%인, 방향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가, 피부 또는 의류에 상기 조성물을 분무하는 사용자에게, 시간 경과에 따른 향료의 인지을 연장시키고, 특히 상기 향료의 탑 노트 및 하트 노트를 확장시키고, 상기 연장은 상기 코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 조성물에 비해 평가된 것인, 방향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가 25℃에서 고체이고, 상기 코폴리머 중 비닐피롤리돈 대 비닐 아세테이트의 중량비가 50:50 내지 70:30의 범위이고, 상기 코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0 내지 600,000인, 방향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 대 물의 중량비가 65/35 내지 98/2인, 방향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25중량%의 향료 농축물, 55중량% 내지 65중량%의 에탄올 및 15중량% 내지 25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방향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25% 내지 35%의 향료 농축물, 70중량% 내지 80중량%의 에탄올 및 0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방향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15중량% 내지 25중량%의 향료 농축물, 75중량% 내지 85중량%의 에탄올 및 0중량% 내지 5중량%의 물을 함유하는, 방향 조성물.
  9. 분무 수단 및 포장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향 조성물을 함유하는 보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성물은 투명한, 보틀.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성물이 오 드 뚜왈렛, 오 드 콜로뉴, 향료 추출물, 에스프리 드 파팡 또는 오 드 파팡 형태의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 수단이 수동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13. 방향 조성물의 후각 노트(olfactory note)가 지지체에 적용하는 사용자의 후각에 의해 인지되는 기간의 연장을 위한, 방향 조성물 내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장은 상기 코폴리머를 함유하지 않는 동일 조성물에 비해 평가된 것인,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성물이 피부, 모발 또는 의류에 적용되는 오 드 뚜왈렛, 오 드 콜로뉴, 향료 추출물, 에스프리 드 파팡 또는 오 드 파팡 형태의 방향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머가 후각 노트의 탑 노트 및 하트 노트의 인지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6.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향 조성물로 주입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디퓨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다공성 지지체, 예를 들어, 직물 또는 세라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i) 상기 방향 조성물이 점적으로 부어지거나 지지체 상에 분무된 이후 모세관 작용에 의해, 또는 ii) 상기 방향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지지체의 침지에 의해, 상기 방향 조성물을 함침시킴으로써 수득된, 디퓨저.
KR1020167031658A 2014-06-30 2015-06-29 개선된 방향 조성물 KR102420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6116 2014-06-30
FR1456116A FR3022772B1 (fr) 2014-06-30 2014-06-30 Composition parfumante amelioree
PCT/FR2015/051770 WO2016001560A1 (fr) 2014-06-30 2015-06-29 Composition parfumante amélior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94A true KR20170023794A (ko) 2017-03-06
KR102420260B1 KR102420260B1 (ko) 2022-07-13

Family

ID=5157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658A KR102420260B1 (ko) 2014-06-30 2015-06-29 개선된 방향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272025B2 (ko)
EP (1) EP3160433B1 (ko)
JP (1) JP6725132B2 (ko)
KR (1) KR102420260B1 (ko)
CN (1) CN106488764B (ko)
ES (1) ES2815350T3 (ko)
FR (1) FR3022772B1 (ko)
WO (1) WO2016001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5229A (zh) * 2017-12-22 2020-06-16 弗门尼舍有限公司 加香组合物
US20240001321A1 (en) * 2020-11-13 2024-01-04 Itc Limited A Benefit Agent Delivery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365A (en) * 1998-09-10 2000-05-1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Application of film forming technology to fragrance control release systems; and resultant fragrance control release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2261A (fr) 1971-12-08 1973-06-04 Unilever Nv Preparation capillaire
US3939099A (en) * 1974-12-26 1976-02-17 Chesebrough-Pond's, Inc. Fragrance composition
DE10019314C1 (de) * 2000-04-19 2001-09-20 Wella Ag Gelförmiges Haarbehandlungsmittel
JP4177002B2 (ja) 2002-02-22 2008-11-0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香料組成物
US8747824B2 (en) * 2002-05-03 2014-06-10 Basf Aktiengesellschaft Cosmetic product comprising at least one water-soluble copolymer which contains (meth)acrylamide units
US20070148213A1 (en) * 2005-12-22 2007-06-28 Sayed Ibrahim Film containing compositions
US20100267606A1 (en) * 2007-10-25 2010-10-21 L'oreal Fragranc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iphilic copolymer of 2 acrylamidomethylpropane-sulphonic acid and optionally a cellulose alkyl ether and/or an alkylcellulose alkyl ether
FR2952534B1 (fr) * 2009-11-19 2012-04-20 Oreal Composition parfumant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de vinylpyrrolidone cationique
EP2629807B1 (en) * 2010-10-22 2017-04-12 Agilex Flavor&Fragrances Water-based air freshener compositions
CN103445465A (zh) * 2013-08-21 2013-12-18 张家港市霞飞塑业有限公司 一种具有翻盖式瓶盖的香水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365A (en) * 1998-09-10 2000-05-1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Application of film forming technology to fragrance control release systems; and resultant fragrance control releas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88764A (zh) 2017-03-08
FR3022772A1 (fr) 2016-01-01
JP2017520543A (ja) 2017-07-27
FR3022772B1 (fr) 2016-08-26
EP3160433A1 (fr) 2017-05-03
WO2016001560A1 (fr) 2016-01-07
EP3160433B1 (fr) 2020-07-29
US20170128347A1 (en) 2017-05-11
US20190254952A1 (en) 2019-08-22
JP6725132B2 (ja) 2020-07-15
ES2815350T3 (es) 2021-03-29
KR102420260B1 (ko) 2022-07-13
CN106488764B (zh) 2021-05-14
US10272025B2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55019A2 (fr) Composition hydro-alcoolique parfumante contenant un ether aliphatique
JP4331772B2 (ja) エアゾール化粧料
US20190254952A1 (en) Perfuming composition
JP2003095895A (ja) 泡状整髪剤組成物
KR20130097070A (ko) 유기 화합물에 있어서 또는 유기 화합물에 관한 개선
JP7063806B2 (ja) 皮膚適用のための香料制御放出性配合物
EP3218066B1 (en) Long lasting fragrance composition
US20230172822A1 (en) Fragrant composition
KR102579965B1 (ko) 어진향차 향취 재현 향료 조성물
KR102061209B1 (ko)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JPH05279237A (ja) 香料組成物
US20180263358A1 (en) Agent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WO2020064252A1 (en) Pumpable preparation for shaping hair
CA3194785A1 (en) Anhydrous alcohol-free silky fragrance formulation
KR20240062331A (ko) 생강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고형 타입의 스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R2952534A1 (fr) Composition parfumante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de vinylpyrrolidone cationique
CN116744887A (zh) 两相形式的化妆品护理组合物或香料组合物
JP2021095382A (ja) 発泡性エアゾール組成物
KR20190101712A (ko) 향기 레이어링이 가능한 워시 오프 타입 향료 조성물
KR20240021787A (ko) 무알코올 나노에멀젼 향료
JPH0233687B2 (ko)
JPS60126208A (ja) 化粧料組成物
FR2922762A1 (fr) Composition parfumante comprenant au moins un alkylether de cellulose et/ou un alkylether d'alkylcellul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