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194B1 -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194B1
KR101952194B1 KR1020180040144A KR20180040144A KR101952194B1 KR 101952194 B1 KR101952194 B1 KR 101952194B1 KR 1020180040144 A KR1020180040144 A KR 1020180040144A KR 20180040144 A KR20180040144 A KR 20180040144A KR 101952194 B1 KR101952194 B1 KR 10195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chamber member
check valve
exhau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Original Assignee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근, 안병현, 안세희 filed Critical 안중근
Priority to KR102018004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194B1/ko
Priority to EP18837513.3A priority patent/EP3643408A4/en
Priority to PCT/KR2018/007524 priority patent/WO2019022398A1/ko
Priority to CN201880047356.7A priority patent/CN110997150B/zh
Priority to US16/633,042 priority patent/US110265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2018/162Shape or inner surface of shredder-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상태에서 야채, 채소, 과일 등의 농산물을 진공상태에서 분쇄하고, 진공 보관할 수 있는 생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 DEVICE FOR PULVERIZATION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 }
본 발명은 생(生)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공상태에서 야채, 채소, 과일 등의 농산물을 진공상태에서 분쇄하고, 진공 보관할 수 있는 생(生)농산물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채소, 과일, 곡물 등의 생 농산물을 분쇄, 파쇄하기 위해 분쇄기(믹서기)를 이용한다.
이러한 분쇄기는 대형, 소형, 가정용 등이 존재하지만, 그 구조는 거의 동일 유사하다.
예를 들어, 과일 등의 생농산물을 분쇄기에 넣고 분쇄시키면, 과일 주스의 상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과일 주스를 마실 때에 맛과 식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섬유질이 분쇄 과정에서 이미 산화가 이루어져 영양소가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농산물을 분쇄한 후에 바로 섭취하지 아니하고 보관해야 하는 경우,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산화 과정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어 섬유질 및 영양소의 파괴가 가속화되고, 색깔이 변색되어 신선도가 떨어지며, 공기와 농산물 사이의 층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농산물은 곧바로 먹지 아니하면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83752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분쇄기를 이용하여 농산물을 분쇄할 때 농산물이 진공상태에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쇄가 된 이후에는 진공상태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분쇄과정에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생농산물 분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생농산물 분쇄장치는,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생농산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부가 제1챔버부재와; 상기 제1진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진공부에 수용된 생농산물을 분쇄하는 회전커터와;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부를 덮으면서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챔버부재의 둘레를 따라 제2진공부를 형성하는 제2챔버부재와; 상기 제1챔버부재에 형성된 제1배출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1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상기 제2진공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2챔버부재에 형성된 제2배출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체크밸브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체크밸브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배출공을 폐쇄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진공부와 연통되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가 진공되면서 상기 제1체크밸브가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가 진공되고,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가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크밸브에 의한 상기 제2배출공의 개방시 외부 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는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1진공부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폐쇄시켜 상기 제1진공부가 상기 제2진공부와 독립적으로 진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제1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진공펌프는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상기 제2진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흡입공은 상기 제2진공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2진공부의 공기는 상기 제1진공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는, 상기 구동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진공펌프는 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제2체크밸브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제2배출공은 상기 제2진공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제2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2진공부의 공기는 상기 제2배출공 및 제2진공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는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 사이에는 상기 제2진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챔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는 제1탄성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챔버부재의 하단과 상기 구동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제2탄성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제1탄성밀폐부재 및 상기 제2탄성밀폐부재는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외력 인가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챔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대적 이동을 완충시킨다.
일단이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주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챔버부재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챔버부재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챔버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되, 상기 제2진공부가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진공부의 진공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2챔버부재는 상기 제1챔버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제1챔버부재에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완충부재는 그 내부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배출공을 폐쇄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의 연통을 차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를 연통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생농산물 분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진공상태에서 생농산물을 분쇄하기 때문에, 분쇄된 생농산물이 공기와 접하여 셍농산물이 변색되거나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생농산물이 수용되는 제1챔버부재에 장착되는 제1체크밸브에 의해,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를 함께 진공시키면서 분쇄된 생농산물이 존재하는 제1진공부를 외부에 존재하는 제2진공부로부터 독립적으로 진공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진공상태의 제1챔버부재만을 분리하여 휴대 및 냉장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챔버부재와, 진공상태가 되는 제2진공부에 의해 분쇄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측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내부가 진공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제2진공부가 진공 해제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측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내부가 진공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6은 도 5에서 제2진공부가 진공 해제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측면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내부가 진공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제2진공부가 진공 해제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생농산물 분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본체(10)와, 제1챔버부재(20)와, 회전커터(25)와, 제2챔버부재(30)와, 제1체크밸브(41)와, 제2체크밸브(42)와, 제1진공펌프(5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본체(10)는 내부에 모터(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챔버부재(20)는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생농산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챔버부재(20)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1배출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배출공(23)은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커터(25)는 상기 제1진공부(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모터(11)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진공부(21)에 수용된 생농산물을 분쇄한다.
상기 제2챔버부재(3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부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챔버부재(30)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2배출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배출공(33)은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출공(23) 및 제2배출공(33)은 상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부와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내부 사이에는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상부 및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진공부(31)를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안쪽에는 상기 제1진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와 상기 제2챔버부재(30) 사이에는 상기 제2진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부재(20)는 상기 제2챔버부재(30)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2진공부(31)의 안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하단과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면 사이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제1탄성밀폐부재(22)가 배치되고,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하단과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면 사이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제2탄성밀폐부재(3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밀폐부재(22) 및 제2탄성밀폐부재(32)는 상기 제2챔버부재(30)가 상기 제1챔버부재(20)를 덮었을 때 상기 제2진공부(31)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외력 인가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챔버부재(30)와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대적 이동을 완충시켜 상대적 이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상기 제1배출공(23)에 장착되어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배출공(23)을 폐쇄하여, 상기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체크밸브(41)가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는 상기 제1배출공(23)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된다.
상기 제2체크밸브(42)는 상기 제2배출공(33)에 장착되어 상기 제2배출공(33)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2진공부(31)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2체크밸브(4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배출공(33)을 폐쇄하여, 상기 제2진공부(31)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한다.
그리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2체크밸브(42)가 상기 제2배출공(33)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2진공부(31)와 외부는 상기 제2배출공(33)을 통해 상호 연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공(23)과 제2배출공(33)은 상호 이격되어 있고 여기에 장착되는 상기 제1체크밸브(41)와 제2체크밸브(42)도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크밸브(41)와 제2체크밸브(42) 사이에는 상기 제2진공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체크밸브(41) 및 제2체크밸브(42)의 형상 및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진공펌프(51)는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진공펌프(51)는 상기 제2진공부(31)와 연통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본체(10)에는 상기 제2진공부(31)와 상기 제1진공펌프(51)를 연결하는 흡입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15)은 상기 제1챔버부재(20)와 상기 제2챔버부재(30) 사이에서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공(15)은 상기 제2진공부(31)과 연통되어, 상기 제1진공펌프(51)의 작동시 상기 제2진공부(31)와 상기 제1진공부(21) 내부의 공기는 상기 흡입공(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이 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진공펌프(51)가 작동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공(15)을 통해 상기 제1진공펌프(51)와 연통되는 상기 제2진공부(31)는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1진공펌프(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이 되고, 상기 제2진공부(31)가 진공되어 감에 따라 상기 제1챔버부재(20)에 장착된 상기 제1체크밸브(41)가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1배출공(23)이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진공부(21)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배출공(23) 및 제2진공부(31)를 통해 상기 흡입공(15) 및 제1진공펌프(51)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진공부(31)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진공부(21)도 함께 진공이 되고, 상기 제2챔버부재(30)는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시 진공압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구동본체(10)에 밀착하여 결합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진공부(21)를 진공시킴으로써, 상기 제1진공부(21)에 수용된 야채, 채소, 과일 등의 생농산물의 분쇄시 생농산물을 진공상태에서 분쇄할 수 있어 생농산물이 공기와 접속하여 발생하는 갈변 현상, 영양소의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진공부(31)를 진공시킴으로써, 상기 제1진공부(21)에 수용된 생농산물의 분쇄시 발생하는 소음 및 회전커터(25)의 소음 등이 상기 제2챔버부재(30) 뿐만 아니라, 진공된 제2진공부(31)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챔버부재(20)에 형성된 제1배출공(23)과 상기 흡입공(15)이 상기 제2진공부(3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생농산물의 분쇄시 발생할 수 있는 수증기, 액체 등이 상기 제1배출공(23)을 통해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곧바로 상기 흡입공(15) 및 제1진공펌프(51)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진공펌프(51)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제1배출공(23)과 흡입공(15)이 곧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2진공부(31)를 통해 상호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진공부(21)에 존재하는 액체 등이 상기 제1배출공(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상기 제2진공부(31)에 축적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공(15) 및 제1진공펌프(51)로 곧바로 이동하여 상기 제1진공펌프(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배출공(23)에 장착되는 상기 제1체크밸브(41)가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1체크밸브(41)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가 상기 제1체크밸브(41)에 의해 분할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가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크밸브(42)에 의한 상기 제2배출공(33)을 개방시 외부 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31)는 진공이 해제되지만, 상기 제1진공부(21)는 상기 제1체크밸브(41)가 상기 제1진공부(21)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23)을 폐쇄시켜 상기 제2진공부(31)와 독립적으로 진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2챔버부재(30)를 구동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진공상태로 분쇄된 생농산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1챔버부재(20)만을 상기 구동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냉장고 등에 보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상태로 생농산물을 분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된 생농산물이 수용되어 있는 제1챔버부재(20)만을 분리하여 진공상태로 휴대하거나 냉장고 등에 보관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주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완충부재(3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완충부재(37)는 탄성을 갖는 고무, 실린더, 스폰지,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완충부재(37)에 의해 농산물의 분쇄시 상기 제1챔버부재(20)가 진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소음이 발생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완충부재(37)는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상면과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상부 내주면에 접하여 밀착되도록 하였으며,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과 달리 상기 완충부재(27)는 스폰지와 같이 공기가 통과하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완충부재(27)의 내부를 통하여 공기가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완충부재(27)가 상기 제1배출공(23)의 외곽에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37)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37)가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와는 약간 이격되어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진공부(31)가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37)는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2챔버부재(30)가 상기 제1챔버부재(20)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부재(37)가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됨으로써, 상기 제1챔버부재(20) 및 제2챔버부재(30)의 흔들림 등이 저감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과일 등의 생농산물을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진공부(21)에 넣고, 상기 제1챔버부재(20)를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커터(25)의 하부와 상기 모터(11)는 상호 커플링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부재(20) 및 제1배출공(23)은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 후 상기 제2챔버부재(30)가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부를 덮도록 상기 제2챔버부재(30)를 씌워 상기 구동본체(10)에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챔버부재(20)와 상기 제2챔버부재(30) 사이에는 상기 제2진공부(31)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챔버부재(30)의 하부와 상기 구동본체(1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탄성밀폐부재(32)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31)는 외부와의 연통이 더욱 차단되어 기밀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진공펌프(51)가 작동하여 상기 제2진공부(31) 및 제1진공부(21)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진공부(31)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공(15) 및 제1진공펌프(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진공부(31)가 진공되어 감에 따라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방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진공부(21)에 존재하는 공기도 상기 흡입공(15) 및 제1진공펌프(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제1진공부(21) 및 제2진공부(31)가 모두 진공된 상태가 된다.
진공이 완료되어 상기 제1진공펌프(51)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자중 등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23)을 폐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진공부(21) 및 제2진공부(31)가 진공 완료되면, 상기 모터(11)에 의해 회전커터(25)를 회전시켜, 상기 제1진공부(21)에 존재하는 생농산물을 분쇄하도록 한다.
상기 제1진공부(21)가 진공된 상태에서 생농산물을 분쇄하기 때문에, 생농산물의 분쇄시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생농산물이 변색되거나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오염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부재(20)를 덮는 상기 제2챔버부재(30) 및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상태에 의해, 상기 회전커터(25)의 회전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진공부(31)가 진공되어감에 따라 상기 제2챔버부재(30)는 상기 구동본체(10)에 더욱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재(37)는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챔버부재(20) 및 제2챔버부재(30)가 상대적으로 흔들려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분쇄 완료 후 상기 제1챔버부재(20)를 상기 구동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생농산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체크밸브(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배출공(33)를 개방한다.
상기 제2배출공(33)이 개방되게 되면, 외부의 공가기 상기 제2배출공(33)을 통해 상기 제2진공부(31)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진공부(31)로 유입되게 되면, 상기 제2진공부(31)는 진공이 해제되지만,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상기 제1진공부(21)와 제2진공부(31)의 진공압차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23)을 더욱 강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진공부(31)는 진공이 해제된 상태가 되지만, 생농산물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제1진공부(21)는 상기 제2진공부(31)와 독립적으로 진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 해제시키고 상기 제2챔버부재(30)를 분리한 후에는, 진공상태로 있는 상기 제1챔버부재(20)만을 상기 구동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냉장고 등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면서 진공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부재(20)에 수용되어 있는 생농산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체크밸브(41)를 조작하여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방시킨다.
그러면, 외부공기가 상기 제1배출공(23)을 통해 상기 제1진공부(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진공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뚜껑을 쉽게 열어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분쇄된 생농산물을 신선한 생태로 섭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생농산물을 진공상태에서 분쇄할 수 있으며, 분쇄작업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생농산물이 수용된 제1챔버부재(20)만으로 분리하여 진공상태로 휴대 또는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농업용 분쇄기, 가정용 분쇄기(블렌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측면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생농산물 분쇄장치의 내부가 진공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제2진공부가 진공 해제되는 상태의 측면구조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본체(10)에 장착되는 제1진공펌프(51)가 없고, 상기 구동본체(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진공펌프(5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2진공펌프(52)는 흡입호스(53)에 의해 상기 제2체크밸브(42)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배출공(23)과 상기 제2배출공(33)은 상기 제2진공부(31)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진공펌프(52)의 작동시 상기 제2체크밸브(42)는 상기 제2배출공(33)을 개방하여 상기 제2진공부(31)의 공기가 상기 제2배출공(33) 및 제2진공펌프(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2진공부(31)가 진공되어감에 따라 상기 제1체크밸브(41)는 상기 제1배출공(23)을 개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진공부(21)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1배출공(23), 제2진공부(31), 제2배출공(33), 흡입호스(53) 및 제2진공펌프(52)를 거쳐 외부로 배치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진공부(21) 및 제2진공부(31)는 모두 진공상태가 된다.
분쇄 작업 후 상기 제2체크밸브(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진공부(31)의 진공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1챔버부재(20)를 상기 구동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진공상태로 보관하거나, 상기 제1챔버부재(20)의 내부를 진공해제시키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생농산물 분쇄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구동본체, 11 : 모터, 15 : 흡입공,
20 : 제1챔버부재, 21 : 제1진공부, 22 : 제1탄성밀폐부재, 23 : 제1배출공, 25 : 회전커터,
30 : 제2챔버부재, 31 : 제2진공부, 32 : 제2탄성밀폐부재, 33 : 제2배출공, 37 : 완충부재,
41 : 제1체크밸브, 42 : 제2체크밸브,
51 : 제1진공펌프, 52 : 제2진공펌프, 53 : 흡입호스.

Claims (9)

  1. 내부에 모터가 장착된 구동본체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생농산물을 수용하는 제1진공부가 제1챔버부재와;
    상기 제1진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제1진공부에 수용된 생농산물을 분쇄하는 회전커터와;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부 전체를 덮으면서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챔버부재의 상부 및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진공부를 형성하는 제2챔버부재와;
    상기 제1챔버부재에 형성된 제1배출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1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상기 제2진공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체크밸브와;
    상기 제2챔버부재에 형성된 제2배출공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배출공을 개폐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체크밸브와;
    일단이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주면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제2챔버부재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챔버부재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챔버부재는 상기 제2챔버부재와 이격되면서 상기 제2진공부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체크밸브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배출공을 폐쇄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2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2진공부와 연통되는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가 진공되면서 상기 제1체크밸브가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가 진공되고,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가 진공된 상태에서 상기 제2체크밸브에 의한 상기 제2배출공의 개방시 외부 공기의 유입에 의해 상기 제2진공부는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는 상기 제1진공부의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폐쇄시켜 상기 제1진공부가 상기 제2진공부와 독립적으로 진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챔버부재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진공부가 진공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챔버부재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진공부의 진공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제2챔버부재는 상기 제1챔버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제1챔버부재에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제1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진공펌프는 상기 구동본체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해 상기 제2진공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흡입공은 상기 제2진공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2진공부의 공기는 상기 제1진공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진공펌프는 흡입호스에 의해 상기 제2체크밸브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배출공과 상기 제2배출공은 상기 제2진공부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진공펌프의 작동시 상기 제2체크밸브는 상기 제2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2진공부의 공기는 상기 제2배출공 및 제2진공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는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제1체크밸브와 제2체크밸브 사이에는 상기 제2진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 사이에는 제1탄성밀폐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챔버부재의 하단과 상기 구동본체의 상면 사이에는 제2탄성밀폐부재가 배치되되,
    상기 제1탄성밀폐부재 및 상기 제2탄성밀폐부재는 상기 제2진공부와 외부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외력 인가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챔버부재와 상기 구동본체의 상대적 이동을 완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그 내부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밸브는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배출공을 폐쇄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의 연통을 차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제1배출공을 개방하여 상기 제1진공부와 제2진공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농산물 분쇄장치.
KR1020180040144A 2017-07-24 2018-04-06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KR10195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44A KR101952194B1 (ko) 2018-04-06 2018-04-06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EP18837513.3A EP3643408A4 (en) 2017-07-24 2018-07-03 VACUUM MIXER
PCT/KR2018/007524 WO2019022398A1 (ko) 2017-07-24 2018-07-03 진공블렌더
CN201880047356.7A CN110997150B (zh) 2017-07-24 2018-07-03 真空破壁机
US16/633,042 US11026544B2 (en) 2017-07-24 2018-07-03 Vacuum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44A KR101952194B1 (ko) 2018-04-06 2018-04-06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194B1 true KR101952194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44A KR101952194B1 (ko) 2017-07-24 2018-04-06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1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64B1 (ko) * 2015-05-22 2016-11-08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CN106377181A (zh) * 2016-10-30 2017-02-08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搅拌机
KR101837528B1 (ko) 2017-04-24 2018-03-13 이태종 과일용 생즙 분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164B1 (ko) * 2015-05-22 2016-11-08 씨티엠(주) 진공 믹서기
CN106377181A (zh) * 2016-10-30 2017-02-08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搅拌机
KR101837528B1 (ko) 2017-04-24 2018-03-13 이태종 과일용 생즙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7150B (zh) 真空破壁机
KR101849160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JP6675988B2 (ja) 真空ミキサー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10321786B2 (en) Blender
US20220175192A1 (en) Vacuum blender
JP2019030433A5 (ko)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CN205612343U (zh) 料理机
KR101670026B1 (ko) 진공 믹서기
KR102374738B1 (ko) 블렌더
KR101952194B1 (ko) 생(生)농산물 분쇄장치
KR101908019B1 (ko) 소음저감형 진공블렌더
KR102063787B1 (ko) 진공블렌더
JP2019030437A5 (ko)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CN206933988U (zh) 一种真空料理机
CN206423997U (zh) 一种具有抽真空功能的搅拌杯及食物料理机
JP4976784B2 (ja) ジュースミキサー
AU2018100064B4 (en) Blender
KR20190047678A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20190072281A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JP2019030435A5 (ko)
JP2019030428A5 (ko)
KR102488655B1 (ko) 챔버가 손잡이에 장착된 진공 블렌더
CN205612248U (zh) 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