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133B1 -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133B1
KR101952133B1 KR1020170160516A KR20170160516A KR101952133B1 KR 101952133 B1 KR101952133 B1 KR 101952133B1 KR 1020170160516 A KR1020170160516 A KR 1020170160516A KR 20170160516 A KR20170160516 A KR 20170160516A KR 101952133 B1 KR101952133 B1 KR 101952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mode application
applic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우
Original Assignee
도로교통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로교통공단 filed Critical 도로교통공단
Priority to KR102017016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서버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접수현황,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및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응시생, 시험관, 차량 및 시험순서를 자동으로 배정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시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고,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응시생의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전송하고, 안내모니터가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대기 중인 응시생이 현재 진행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시험관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인 태블릿PC에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즉석에서 입력받으면, 입력된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로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관의 인력소모를 줄여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for road driving test}
본 발명은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도로주행시험에 관련된 정보를 응시생, 시험관 및 참관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용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전면허시험은 차량을 운전하고자 하는 사람의 운전능력과 교통법규 및 질서의식 준수 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자격시험이며, 과목 종류에 따라 학과시험, 기능시험 및 도로주행시험으로 분류되고, 종별에 따라 1종, 2종 및 연습면허로 분류되고, 차량크기에 따라 대형면허, 보통면허, 특수면허, 소형면허, 원동기면허 등으로 분류된다.
특히 도로주행시험은 시험관이 응시생의 실제 도로 코스의 주행에 따라 채점을 부여하여 응시생의 운전면허 발급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시험이다. 이때 도로주행시험에는 응시생, 시험관 및 참관인이 동승하게 되고, 시험관은 응시생의 운전정도에 따라 현장에서 합격 또는 불합격을 부여하고, 일반적으로 시험과당 3명씩 순서대로 시험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도로주행시험은 안내데스크를 통해 응시생으로부터 응시원서를 접수받으면, 별도의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서 응시생들이 대기한 후 자신의 차례가 되면 시험관 및 참관인과 함께 차량에 탑승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때 응시생은 도로주행시험에 불합격될 경우, 차후 다시 안내데스크를 방문하여 재시험을 응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주행시험은 대기 중인 응시생에게 도로주행시험의 진행상태 정보, 자신이 탑승할 차량번호, 참관순서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응시생이 현재 진행 상태를 전혀 인지하지 못한 채 무작정 대기하기 때문에 응시생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도로주행시험은 시험관이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되면, 해당 대기 장소로 이동하여 다음 응시생 및 참관인을 호명한 후 이들과 함께 다시 차량으로 이동하여야하기 때문에 업무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도로주행시험은 시험관이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되면, 합격여부를 별도로 메모한 후 차후 메모된 합격여부를 제공하기 때문에 업무 효율성이 더욱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시간소모가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즉 도로주행시험의 진행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참여인력들의 편의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로컬서버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접수현황,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및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응시생, 시험관, 차량 및 시험순서를 자동으로 배정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시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응시생의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전송하고, 안내모니터가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대기 중인 응시생이 현재 진행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시험관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인 태블릿PC에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즉석에서 입력받으면, 입력된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로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관의 인력소모를 줄여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태블릿PC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시험접수현황을 제공하면서 탈락한 응시생의 시험 재접수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탈락 응시생의 불필요하 시간소모를 절감시켜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중앙관리서버; 각 면허시험장에 설치되며, 도로주행시험의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로컬서버들; 각 면허시험장의 대기 장소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응시원서를 접수받는 응시접수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응시생에 관련된 정보인 응시생 정보를 생성하는 응시생정보 생성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면허시험 종류를 포함하는 시험진행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진행정보 생성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시험접수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는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응시생정보, 상기 시험접수현황 정보, 기 등록된 해당 면허시험장의 시험관들 정보, 기 등록된 해당 면허시험장의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시험순서, 응시생, 시험관 및 참관인을 배정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케줄정보 생성부에 의해 스케줄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케줄정보를 상기 안내모니터들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모니터들은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스케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은 시험관들이 소지한 휴대단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들에는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스케줄정보를 전송받아 시험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은 도로주행시험의 시작을 입력받는 시작버튼과, 도로주행시험의 종료를 입력받는 종료버튼과, 감점점수 및 내용을 입력받는 제1 입력란과, 최종 채점점수를 입력받는 제2 입력란과, 합격여부를 입력받는 제3 입력란이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를 해당 휴대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시험관련 인터페이스의 상기 시작버튼이 클릭될 때 구동되어 현재 시험순서, 응시생 및 시험이 시작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시작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시작정보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종료버튼이 클릭될 때 구동되어 현재 시험순서, 응시생, 채점정보, 합격여부정보 및 시험이 종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종료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종료정보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고, 상기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는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란과, 탈락한 응시생으로부터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을 입력받는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의 입력란을 통해 입력된 응시생, 시험가능일자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재접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재접수 데이터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재접수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는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재접수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시험접수현황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도로주행시험 현장에서 재접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험진행정보는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험진행정보 생성부가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가 반영되도록 시험진행정보를 갱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케줄정보와,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시작정보 및 종료정보를 분석 및 활용하여 현재 순서의 번호, 응시생, 참관인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 순서의 번호, 응시생, 참관인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다음응시정보를 생성하는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는 생성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상기 안내모니터들 및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로컬서버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접수현황,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및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응시생, 시험관, 차량 및 시험순서를 자동으로 배정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시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응시생의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전송하고, 안내모니터가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대기 중인 응시생이 현재 진행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관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인 태블릿PC에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인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즉석에서 입력받으면, 입력된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로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관의 인력소모를 줄여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블릿PC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시험접수현황을 제공하면서 탈락한 응시생의 시험 재접수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탈락 응시생의 불필요하 시간소모를 절감시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관이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된 이후 별도로 대기 장소인 교양장으로 이동하여 다음 응시생을 호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안내모니터를 통해 전시되는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통해 대기 중인 다음 응시생이 자신의 순서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1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도로주행시험에 관련하여, 응시생의 응시원서접수,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및 차량의 배정(매칭), 진행 상태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응시생, 시험관 및 참관인의 참여인력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이다.
또한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관리서버(2)와, 로컬서버(3-1), ..., (3-N)들, 안내모니터(4)들 휴대단말기(5)들,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 통신망(10), 근거리통신망(1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로컬서버(3-1), ..., (3-N)들 및 휴대단말기(5)들 각각에 설치된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로컬서버(3) 및 휴대단말기(5)들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데이터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서버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중개서버는 휴대단말기(5)들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휴대단말기(5)와의 데이터통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망(10)은 로컬서버(3-1), ..., (3-N)들, 중앙관리서버(2), 안내모니터(4)들 및 휴대단말기(5)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관리서버(2)는 도로주행시험을 포함하는 운전면허시험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서버이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는 로컬서버(3-1), ..., (3-N)들 각각의 면허시험장 정보, 각 면허시험장의 시험관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 및 저장한다.
또한 중앙관리서버(5)는 로컬서버(3-1), ..., (3-N)들로부터 응시생 정보, 시험진행정보,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이때 시험진행정보는 응시생의 면허시정종류, 시험일자, 채점정보, 합격여부정보를 포함하고, 채점정보는 도로주행시험에 대한 응시생의 점수, 감점내용, 감점점수 등을 포함한다.
로컬서버(3-1), ..., (3-N)들은 각 면허시험장에 설치되는 서버이다.
또한 로컬서버(3-1), ..., (3-N)들 각각에는 해당 면허시험장의 시험관정보,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정보, 차량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시험관정보는 해당 면허시험장에 등록된 시험관들 각각에 대한 정보로 정의되고,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정보는 해당 주기에 도로주행시험의 시험이 가능한 시험관들에 대한 정보로 정의된다.
또한 로컬서버(3-1), ..., (3-N)들 각각에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이 설치된다. 이때 로컬서버(3)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이라고 한다.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주기적으로 중앙관리서버(2)로 응시생 정보, 시험진행정보 및 시험접수현환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해당 면허시험장의 시험접수 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주기적으로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응시관련정보,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정보 및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스케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스케줄정보는 시험순서와,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고, 주기는 일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생성된 스케줄정보를 휴대단말기(5)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들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각 도로주행시험이 시작될 때, 휴대단말기(5)로부터 도로주행시험이 시작되었다는 내용 및 시험순서를 포함하는 시작정보를 전송받는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각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되면, 휴대단말기(5)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부터 해당 응시생의 채점정보, 합격여부정보 및 시험순서를 포함하는 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종료정보의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중앙관리서버(2)로 전송한다.
또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스케줄정보에 따라 현재 순서의 번호,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응시정보와, 다음 순서의 번호,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다음응시정보를 안내모니터(4)들 및 휴대단말기(5)들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으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은 휴대단말기(5)로부터 전송받은 시작정보 및 종료정보에 따라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생성하고,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안내모니터(4)들로 이들을 전송한다.
안내모니터(4)들은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 설치되어 로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안내모니터(4)들은 로컬서버(3)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대기 중인 응시생들이 도로주행시험 관련하여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휴대단말기(5)들은 시험관이 소지하며, 통신망(10)과의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단말기이며, 태블릿PC(Tablet PC), 노트북, 스마트폰, PDA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태블릿 P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5)들에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이 설치된다. 이때 휴대단말기(5)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이라고 한다.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은 로컬서버(3)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1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케줄 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인 스케줄 인터페이스와, 스케줄 정보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클릭)되면 해당 시험에 관련된 상세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상세정보 인터페이스와,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부터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가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는 도로주행시험의 시작을 시험관으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시작 버튼(아이콘)과, 도로주행시험의 종료를 시험관으로 입력받기 위한 종료 버튼(아이콘)과, 감점점수 및 감점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입력란과, 최종 채점점수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입력란과, 최종 합격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제3 입력란을 포함한다.
또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은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관에 의해 시작 버튼이 입력(클릭) 되면, 현재 순서 및 시험이 시작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시작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시작정보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은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험관에 의해 종료 버튼이 입력(클릭) 되면, 시험순서, 해당 응시생의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종료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종료정보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은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되면, 로컬서버(3)에 저장된 시험접수 현황을 조회하여 조회된 시험접수 현황 정보가 전시되는 전시란과, 탈락한 응시생으로부터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을 입력받는 입력란이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은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통해 탈락 응시생으로부터 시험을 접수받으면,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을 포함하는 접수정보를 로컬서버(3)의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도 3은 1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와, 메모리(71), 데이터 입출력부(72), 모드 선택부(73), 관리모드 구동부(710), 시험모드 구동부(73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70)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71), (72), (73), (710), (730)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0)는 모드 선택부(73)를 통해 유저로부터 관리모드를 선택받으면, 관리모드 구동부(710)를 구동시키고, 유저로부터 시험모드를 선택받으면, 시험모드 구동부(730)를 구동시킨다.
메모리(71)에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저장된다.
데이터입출력부(72)는 설치된 단말기(로컬서버 또는 휴대단말기)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모드선택부(73)는 유저로부터 관리모드로 운영할 것인지 또는 시험모드로 운영할 것인지를 선택받는다. 이때 관리모드는 로컬서버(3)에 설치될 때 운영되는 모드로 정의되고, 시험모드는 시험관의 휴대단말기(5)에 설치될 때 운영되는 모드로 정의되고, 최초 모드 선택이 이루어지면, 이후 별도의 모드 설정이 있을 때까지 선택된 모드로 운영된다.
관리모드 구동부(710)는 로컬서버(3)에 설치되는 경우, 유저가 관리모드로 운영하기를 선택할 때 구동된다.
또한 관리모드 구동부(710)는 응시접수부(711)와, 응시생 정보 생성부(712),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 시험접수현황 정보 생성부(714), 스케줄 정보 생성부(715),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716)로 이루어진다.
응시접수부(711)는 유저로부터 도로주행시험을 접수받는다. 이때 응시접수부(711)는 접수받은 응시생이 첫 번째 접수인 경우, 응시생 정보 생성부(712),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 및 시험접수현황 정보 생성부(714)로 접수정보를 입력한다.
또한 응시접수부(711)는 만약 접수받은 응시생이 재접수인 경우,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로 접수정보를 입력한다.
응시생 정보 생성부(712)는 응시접수부(711)를 통해 입력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응시생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응시생 정보는 응시생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의 인적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응시생 정보 생성부(712)에 의해 생성된 응시생 정보를 메모리(71)에 저장한다.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는 응시접수부(711)를 통해 입력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시험진행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시험진행정보는 응시생이 신청한 면허시험종류, 각 시험의 일자, 합격여부, 채점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는 시험모드 구동부(730)로 운용중인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인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활용하여 해당 응시생의 시험진행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시험진행정보 생성부(713)에 의해 생성된 시험진행정보를 메모리(71)에 저장한다.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714)는 응시접수부(711)를 통해 입력된 시험접수에 따라 이미 접수된 시험가능일자 및 시간대와, 접수 가능한 시험가능일자 및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다.
또한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714)는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으로부터 재접수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재접수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시험접수현황정보를 갱신한다.
이때 제어부(70)는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714)에 의해 생성 및 갱신된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메모리(71)에 저장한다.
스케줄정보 생성부(715)는 주기적으로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접수현황 정보,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정보 및 기 설정된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스케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스케줄정보는 시험순서와,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고, 주기는 일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70)는 스케줄정보 생성부(715)에 의해 생성되는 스케줄 정보를 메모리(71)에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은 스케줄정보 생성부(715)에 의해 주기마다 자동으로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 및 시험순서가 매칭(배정)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인력을 통해 배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716)는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으로부터 전송받은 시작정보 및 종료정보와, 스케줄 정보를 분석 및 활용하여 현재 순서의 번호,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 순서의 번호, 응시생, 시험관, 참관인,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다음응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70)는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716)에 의해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가 생성되면, 안내모니터(4)들 및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으로 생성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전송한다.
시험모드 구동부(730)는 모드선택부(73)를 통해 유저로부터 시험모드를 선택받을 때 구동된다.
또한 시험모드 구동부(73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731)와, 탐색 및 조회부(732),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 재접수 요청부(734)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의 인터페이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인터페이스 제공부(731)는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공부(7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인터페이스(7311)와, 상세정보 인터페이스(7312),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 기타 인터페이스(7315)를 제공한다.
스케줄 인터페이스(7311)에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10)으로부터 전송받은 스케줄 정보가 전시된다.
상세정보 인터페이스(7312)에는 스케줄 정보를 리스트 중 어느 하나가 클릭될 때 제공되며, 클릭된 리스트에 관련된 상세정보가 전시된다.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에는 도로주행시험의 시작을 시험관으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시작 버튼(아이콘)과, 도로주행시험의 종료를 시험관으로 입력받기 위한 종료 버튼(아이콘)과, 감점점수 및 감점내용을 입력받기 위한 제1 입력란과, 최종 채점점수를 입력받기 위한 제2 입력란과, 최종 합격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제3 입력란을 포함한다.
이때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를 통해 유저(시험관)로부터 시작 버튼 또는 종료 버튼이 클릭되면,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가 구동된다.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는 탈락한 응시생이 현장에서 재접수를 요청할 경우 제공되며, 탐색 및 조회부(732)를 통해 조회된 시험접수현황 정보가 전시되는 전시란과, 탈락한 응시생으로부터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을 입력받는 입력란을 포함한다.
이때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를 통해 재접수를 요청받으면, 재접수 요청부(734)가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를 통해 입력된 응시생,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재접수 데이터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기타 인터페이스(7315)는 시험 진행 서비스에 필요한 기타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유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탐색 및 조회부(732)는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가 제공될 때 구동되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의 메모리(71)를 탐색하여 기 저장된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탐색 및 조회부(732)에 의해 조회된 시험접수현황 정보는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의 전시란을 통해 전시되어 휴대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된다.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는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의 시작 버튼이 입력(클릭) 될 때 구동되며, 현재 순서, 시험이 시작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시작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는 생성된 시작정보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또한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는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의 종료 버튼이 입력(클릭) 될 때 구동되며, 시험관련 인터페이스(7313)의 제1, 2, 3 입력란들을 통해 입력된 시험순서,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포함하는 종료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733)는 생성된 종료정보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재접수 요청부(734)는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를 통해 재접수를 요청받을 때 진행되며,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를 통해 입력된 응시생,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재접수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재접수 요청부(734)는 생성된 재접수 데이터를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로컬서버(3)에 설치되는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인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이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험접수현황, 시험관의 시험가능여부 및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응시생, 시험관, 차량 및 시험순서를 자동으로 배정시킴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시간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710)이 응시생의 대기 장소인 교양장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4)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전송하고, 안내모니터(4)가 전송받은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대기 중인 응시생이 현재 진행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시험관이 소지한 휴대단말기인 태블릿PC(5)에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인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이 설치되고,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730)을 통해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즉석에서 입력받으면, 입력된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로컬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험관의 인력소모를 줄여 업무의 효율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태블릿PC(5)의 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730)이 시험접수현황을 제공하면서 탈락한 응시생의 시험 재접수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7314)를 제공함으로써 탈락 응시생의 불필요하 시간소모를 절감시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1)은 시험관이 도로주행시험이 완료된 이후 별도로 대기 장소인 교양장으로 이동하여 다음 응시생을 호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안내모니터(4)를 통해 전시되는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통해 대기 중인 다음 응시생이 자신의 순서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1: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2:중앙관리서버
3:로컬서버 4:안내모니터 5:휴대단말기
7:시험관리 어플리케이션 10:통신망 70:제어부
71:메모리 72데이터 입출력부 73:모드선택부
710:관리모드 구동부 711:응시접수부 712:응시생정보 생성부
713:시험진행정보 생성부 714: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
715:스케줄정보 생성부 716: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
730:시험모드 구동부 731:인터페이스 제공부
732:탐색 및 조회부 733:시작/종료정보 생성부
734:재접수 요청부 7311:스케줄 인터페이스
7312:상세정보 인터페이스 7313:시험관련 인터페이스
7314: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 7315:기타 인터페이스

Claims (5)

  1. 중앙관리서버;
    각 면허시험장에 설치되며, 도로주행시험의 관리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로컬서버들;
    각 면허시험장의 대기 장소에 설치되는 안내모니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응시원서를 접수받는 응시접수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응시생에 관련된 정보인 응시생 정보를 생성하는 응시생정보 생성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면허시험 종류를 포함하는 시험진행정보를 생성하는 시험진행정보 생성부;
    상기 응시접수부를 통해 접수된 응시원서를 기초로 하여 시험접수현황정보를 생성 및 갱신하는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
    기 설정된 주기마다 기 설정된 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응시생정보, 상기 시험접수현황 정보, 기 등록된 해당 면허시험장의 시험관들 정보, 기 등록된 해당 면허시험장의 차량정보를 분석하여 시험순서, 응시생, 시험관 및 참관인을 배정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는 스케줄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케줄정보 생성부에 의해 스케줄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케줄정보를 상기 안내모니터들로 전송하고, 상기 안내모니터들은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스케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은 시험관들이 소지한 휴대단말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들에는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스케줄정보를 전송받아 시험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은
    도로주행시험의 시작을 입력받는 시작버튼과, 도로주행시험의 종료를 입력받는 종료버튼과, 감점점수 및 내용을 입력받는 제1 입력란과, 최종 채점점수를 입력받는 제2 입력란과, 합격여부를 입력받는 제3 입력란이 전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시험관련 인터페이스를 해당 휴대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시험관련 인터페이스의 상기 시작버튼이 클릭될 때 구동되어 현재 시험순서, 응시생 및 시험이 시작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시작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시작정보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종료버튼이 클릭될 때 구동되어 현재 시험순서, 응시생, 채점정보, 합격여부정보 및 시험이 종료되었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종료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종료정보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시작/종료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를 더 제공하고,
    상기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는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시험접수현황 정보를 전시하는 전시란과, 탈락한 응시생으로부터 시험 가능 일자 및 시간을 입력받는 입력란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험재접수 인터페이스의 입력란을 통해 입력된 응시생, 시험가능일자 및 시간대를 포함하는 재접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재접수 데이터를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재접수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시험접수현황정보 생성부는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재접수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시험접수현황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해 도로주행시험 현장에서 재접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진행정보는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험진행정보 생성부가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채점정보 및 합격여부정보가 반영되도록 시험진행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케줄정보와,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시작정보 및 종료정보를 분석 및 활용하여 현재 순서의 번호, 응시생, 참관인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 순서의 번호, 응시생, 참관인 및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다음응시정보를 생성하는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현재응시정보/다음응시정보 생성부는 생성된 현재응시정보 및 다음응시정보를 상기 안내모니터들 및 상기 시험모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5. 삭제
KR1020170160516A 2017-11-28 2017-11-28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KR101952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516A KR101952133B1 (ko) 2017-11-28 2017-11-28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516A KR101952133B1 (ko) 2017-11-28 2017-11-28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133B1 true KR101952133B1 (ko) 2019-05-20

Family

ID=66678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516A KR101952133B1 (ko) 2017-11-28 2017-11-28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265A (ko) * 2019-02-25 2020-09-02 도로교통공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이 가능한 도로주행시험 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61A (ko) * 1996-09-24 1998-07-06 이은조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61A (ko) * 1996-09-24 1998-07-06 이은조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265A (ko) * 2019-02-25 2020-09-02 도로교통공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이 가능한 도로주행시험 관리시스템
KR102207225B1 (ko) * 2019-02-25 2021-01-25 도로교통공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이 가능한 도로주행시험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gurto et al. Involving the community in cervical cancer prevention programs
KR101667482B1 (ko) 학생 역량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Gleason et al. Crowdsourcing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indoor localization infrastructure to support blind navigation
Lexen et al. Support and process in individual placement and support: a multiple case study
Rice et al. A new kind of public service professional: Possessing cultural competency awareness, knowledge, and skills
JP2014120073A (ja)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方法
KR101952133B1 (ko)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KR101754821B1 (ko) 학사 취업 연동 통합관리 시스템
JPH1063716A (ja) キャリア開発システム
CN110717641A (zh) 信息处理装置以及信息处理方法、存储有程序的存储介质
KR102207225B1 (ko) 블랙박스 영상 제공이 가능한 도로주행시험 관리시스템
Coronella First-generation Latina engineering students’ aspirational counterstories
JP2014120074A (ja) 端末装置、イベント参加管理方法
Choi et al. Conceptualization, development, and early dissemination of eMPACTTM: A competency-based career navigation system for translational research professionals
KR101493366B1 (ko) 사용자의 에스엔에스를 통한 개설에 의한 시험 관리방법
KR20200023933A (ko) 위치 기반 재활 헬스케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KR20000037160A (ko) 인터넷상에서의 사이버 자격증 취득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시스템
Kosciulek et al. Trait–factor theory and counseling process
Coleman Common factors and common elements: use of data science-derived innovations to improve school-based counseling
WO2002003276A1 (fr) Procede d'evaluation de personnes talentueuses et systeme d'evaluation de personnes talentueuses
KR20130101612A (ko) 스마트 폰의 검색 기능과 메시지 전송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시험 관리 시스템과 공인인증시험 관리방법
KR20190012350A (ko) 차량 운행예약 중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aiser Counting what counts: Epidemiologic measurement and generating meaningful findings
KR20160094076A (ko) 통합형 온라인 평가 시스템 및 방법
JP2003076792A (ja) 会場選択装置、会場選択方法、及び会場選択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