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861A -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861A
KR19980022861A KR1019960042147A KR19960042147A KR19980022861A KR 19980022861 A KR19980022861 A KR 19980022861A KR 1019960042147 A KR1019960042147 A KR 1019960042147A KR 19960042147 A KR19960042147 A KR 19960042147A KR 19980022861 A KR19980022861 A KR 1998002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st
data
control
control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조
Original Assignee
이은조
주식회사 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조, 주식회사 신화 filed Critical 이은조
Priority to KR101996004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861A/ko
Publication of KR1998002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861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면허 시험의 운영 체계를 개선하고 과학적인 시험 방법 및 채점기준을 정밀하고 간편,신속한 체게로 전국의 시스템을 동일화시켜 양질의 운전자 양성과 국가 교통행정 발전에 기여토록 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접수시 수험생들의 데이타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타를 통제실로 전송하는 접수용 컴퓨터(10)와; 차량내에 탑재되고 무선으로 통제실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응시자가 탑승하여 출발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상황을 세부 항목에 따라 체크하고 각 구간 코스의 총시험 시간을 표시하며 시험상태를 차량에서 확인토록 하는 차량 탑재기(20)와; 차량 탑재기(20)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제실에 구비된 고주파 모듈(30)과;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와 무선 데이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제실 컴퓨터(5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로 전송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제실 제어기(40)와; 통제실 제어기(40)를 통해 차량 탑재기(20)에서 송출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스받고 지방 경찰청 메인 컴퓨터로부터 결격자 검색후 자료를 받아 기능 검정 시험을 실시하고 채점 결과를 분류하여 데이타 파일로 저장 및 프린터(70)로 출력해주고 시험시 진행상황 결과를 응시자 대기실에 존재하는 대기실 모니터(60)로 전송해주며 채점 결과를 즉석에서 일괄처리하는 통제실 컴퓨터(50)와; 통제실 컴퓨터(50)로 부터 전송되는 시험 진행상황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대기실 모니터(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본 발명은 운전면허 전자채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면허 시험의 운영 체계를 개선하고 과학적인 시험 방법 및 채점기준을 정밀하고 간편,신속한 체게로 전국의 시스템을 동일화시켜 양질의 운전자 양성과 국가 교통행정 발전에 기여토록 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면허 시험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경제 성장이 발전하므로서 자동차 문화가 필수적인 요건으로 변천되어 운전 면허증 취득 희망자가 폭주하는 현상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시험응시자가 항시 누적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실질적인 교통 환경 여건에 적응하기에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운전면허 시험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면허 시험의 운영 체계를 개선하고 과학적인 시험 방법 및 채점기준을 정밀하고 간편,신속한 체게로 전국의 시스템을 동일화시켜 양질의 운전자 양성과 국가 교통행정 발전에 기여토록 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1의 통제실 제어부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1의 차량 탑재부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 상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접수용 컴퓨터 20:차량 탑재기
30:고주파 모듈 40:통제실 제어기
50;통제실 컴퓨터 60:대기실 모니터
70:프린터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은,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접수시 수험생들의 데이타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타를 통제실로 전송하는 접수용 컴퓨터와;
차량내에 탑재되고 무선으로 통제실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응시자가 탑승하여 출발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상황을 세부 항목에 따라 체크하고 각 구간 코스의 총시험 시간을 표시하며 시험상태를 차량에서 확인토록 하는 차량 탑재기와;
상기 차량 탑재기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고주파 모듈과;
상기 고주파 모듈을 통해 차량 탑재기와 무선 데이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제실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고주파 모듈을 통해 차량 탑재기로 전송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제실 제어기와;
상기 통제실 제어기를 통해 차량 탑재기에서 송출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스받고 지방 경찰청 메인 컴퓨터로부터 결격자 검색후 자료를 받아 기능 검정 시험을 실시하고 채점 결과를 분류하여 데이타 파일로 저장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해주고 시험시 진행상황 결과를 응시자 대기실에 존재하는 대기실 모니터로 전송해주며 채점 결과를 즉석에서 일괄처리하는 통제실 컴퓨터와;
상기 통제실 컴퓨터로 부터 전송되는 시험 진행상황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대기실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접수시 수험생들의 데이타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타를 통제실로 전송하는 접수용 컴퓨터(10)와; 차량내에 탑재되고 무선으로 통제실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응시자가 탑승하여 출발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상황을 세부 항목에 따라 체크하고 각 구간 코스의 총시험 시간을 표시하며 시험상태를 차량에서 확인토록 하는 차량 탑재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20)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제실에 구비된 고주파 모듈(30)과; 상기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와 무선 데이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제실 컴퓨터(5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로 전송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제실 제어기(40)와; 상기 통제실 제어기(40)를 통해 차량 탑재기(20)에서 송출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스받고 지방 경찰청 메인 컴퓨터로부터 결격자 검색후 자료를 받아 기능 검정 시험을 실시하고 채점 결과를 분류하여 데이타 파일로 저장 및 프린터(70)로 출력해주고 시험시 진행상황 결과를 응시자 대기실에 존재하는 대기실 모니터(60)로 전송해주며 채점 결과를 즉석에서 일괄처리하는 통제실 컴퓨터(50)와; 상기 통제실 컴퓨터(50)로 부터 전송되는 시험 진행상황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대기실 모니터(60)로 구성 되었다.
상기에서, 통제실 제어기(40)는 각 코스의 지면 바닥에 설치되어 미세한 접촉에도 민감한 방응을 일으켜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정확히 체크하는 에어 센서(80)로부터 출력신호를 검지하여 각 코스의 차량 탑재기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그 결과를 통제실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메인 콘트롤 모듈(41)과, 상기 메인 코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통제실과 차량의 움직임의 상태를 무선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42)과, 상기 메인 콘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4거리 교차로의 신호등을 구동 표시하며 통제실 컴퓨터에서 지정한 일정한 신호 주기를 표시하여 운전 응시자에게 실지 상황을 부여하여 현실 감각을 숙지토록 해주는 교통신호 콘트롤 모듈(43)과, 상기 메인 콘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제실에서 얻어지는 음성 정보를 전달하여 접수에서 종료까지 응시자에게 스피커를 통하여 일일이 안내방송을 해주는 오디오 앰프(44)와,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종 기기의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기기의 입력 전원 전압을 디지탈 메터로 표시하여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45)로 구성 되었다.
또한, 차량 탑재기(20)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로 구성되어 기능 시험중 차량으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타를 고주파 모듈과 연동되어 처리하는 메인 콘트롤부(21)와, 상기 메인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차량 표시등, 무선 안테나, 자석 센서, 거리 측정 센서, 기어 변속 감지센서, 근접센서, 경보음 전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부(22)와, 상기 메인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수험번호,코스,소요시간,차량번호,총점수,코스별 소요시간,과제별 감점 내역,탑재 콘트롤 시스템의 동작상태,고주파 모듈의 송,수신 상태,기능 시험 결과,현재 진행중인 과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디스플레이부(23)와, 통제 시스템과 차량 탑재 시스템간의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24)로 구성 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시자가 운전면허 시험을 응시하기 위해 접수창구에 응시원서를 접수하면 접수용 컴퓨터(10)는 기능 수험생들의 데이타를 관리하고 통제실로 그 관리 데이타를 전송한다.
즉, 해당 수험일자의 응시자료를 통제실 컴퓨터(50)로 전송해주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응시자가 기능 시험을 치르기 위해 차량에 탑재하면 차량 탑재기(20)와 통제실 컴퓨터(50)간에 무선으로 데이타가 송,수신되면서 기능 시험이 시작된다.
즉, 차량내에 응시자가 탑승하면 00호차 0000번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오디오 앰프(43)를 통해 고지해주고, 응시자가 안전 벨트를 메고 좌측 방향 지시등을 켜면 출발 지시를 행하게 되며, 동시에 전면에 녹색등이 점등되어 출발 대기 시간이 측정된다.
이후 자동차 앞 범퍼가 출발선에 매설된 영구자석을 통과하면 이때부터 시험 진행이 시작되며, 출발선 통과후 1m 내지 5m이내에서 방향지시등의 소등 여부를 채점한다.
이때 출발후 1m 내지 5m이내에서 방향 지시등을 끄지 않으면 감점이 되며, 출발 대기선에서 10초 이상 대기하면 감점을 하고, 20초 이상 대기하면 실격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횡단 보도, 교차로, 철길 건널목 등에서 일시 정지를 채점하며, 이때 일시 정지는 차량 앞 범퍼가 정지선 도착점 1m에서 정지선을 넘지 않도록 정지하고 3초이상 경과한 후에 출발해야 하는데, 만약 정지선을 넘거나 그 이전에 정지하면 감점을 한다.
여기서, 정지선 검출은 정지선 전방에 영구 자석을 매설하여 앞바퀴가 매설 지점 통과후 거리 측정 센서로 거리를 측정하여 정지 범위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경사로에서는 정지 구간 내에서 자동차의 모든 바퀴가 일치하여 일시 정지하여야 하는데, 이때 정지 범위는 경사로 시작 1m지난 지점부터 경사로 정상 1m전 지점까지로 하며, 영구 자석은 경사로 시작 1m전방에 매설하여 앞바퀴가 매설 지점을 통과한 거리를 거리 측정용 센서를 사용하여 정지 범위를 검출한다.
여기서, 오차의 범위는 응시자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5cm이내로 하며, 3초간 정지하지 않으면 감점을 하고, 일시 정지후 출발시 뒤로 50cm이상 후진하면 감점한다.
다음으로, 코스(Z,S,T)를 채점하게 되는데, 채점 소요 시간은 자동차 앞바퀴가 진입선 접촉부터 뒷바퀴가 종료선 통과하는 시점으로 하며, 시간 종료 및 판정은 자동차의 뒷바퀴가 종료 확인선을 통과할때까지로 하며, 코스 외곽에 설치된 탈선 검지선 접촉시마다 점수를 통제실에서 차량으로 송신한다.
이때 2분이 초과하거나 탈선 검지선 접촉시마다 감점을 한다.
다음으로, 교차로 통과는 교통 신호에 따라 통과하는데, 교차로 정지선을 앞 범퍼가 통과하면 진입으로 인식을 하고, 뒷바퀴가 진행 방향 보도를 통과한 시점에서 교차로 통과로 인정한다.
그리고 교차로 신호등이 적색일때 정지 구간에 정지하면 시험 시간이 정지되며, 교차로 진입시에는 방향 지시등을 켜고 진입해야하며, 교통 신호가 적색일때 뒷바퀴가 정지선을 통과 진행되면 신호 위반으로 하여 감점한다.
다음으로, 기어 변속상태를 채점한다.
즉, 기어 변속은 최저 속도 20Km/h표지판에서 후방 10m지점(기어 변속 구간 시작)진입후 기어를 1(2)단에서 2(3)단으로 변속하여 20Km/h이상으로 주행후 다시 속도를 20Km/H미만으로 낮추어 기어를 2(3)단에서 1(2)단으로 변속하여 최고 속도 20Km/h표지판 후방 10m지점(기어 변속 종료)을 통과하는 것으로 시행되는데, 이때 기어 변속 확인은 기어 박스 속에 내장되어 변속된 위치를 감지하는 기어 변속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R.P.M과 속도로 검출하며, 기어 변속을 시행하지 않으면 감점한다.
다음으로, 주차 코스를 채점한다.
여기서, 소요 시간은 주차 코스의 입구를 차량의 앞바퀴가 통과한 후 진입 확인선을 통과 한 것으로 시간을 측정하며, 과제 수행중 확인 선에 자동차의 우측 앞,뒤 바퀴가 동시에 접촉되면 주차됨을 확인한다.
그리고 주차 후 3초간 일시 정지 하여야 하며, 주차 확인후 자동차의 뒷바퀴가 주차 코스의 출구를 통과하면 종료 확인선 통과로 코스 통과로 인정한다.
다음으로, 돌발을 채점한다.
돌발 구간은 과제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발생하며 돌발 발생시 차량 앞면의 적색등이 점등되며,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실격으로 처리한다.
다음으로, 안전띠 착용은 안전벨트내에 내장된 센서로 검출하여 점수를 채점하고, 시동 상태는 키 스위치의 스타트 단자에서 검출하며 R.P.M검출은 점화 코일(-)단자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계산하며, 시동 꺼짐 및 R.P.M(4000)초과시마다 감점한다.
다음으로, 종료는 종료선을 자동차 뒷바퀴가 통과시 채점이 종료되고 종료선 통과시 우측 방향 지시등이 작동되어 있어야만 한다.
상기한 채점 상황을 좀 더 간龜히 정리하여 실격 사유를 부연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등이 켜지고 특별한 사유없이 20초 이내 출발선을 통과하지 아니한때, 경사로 코스, 굴절코스, 곡선코스, 방향전환코스, 기어변속코스 및 평행주차 코스등 어느하나라도 이행하지 아니한때, 특별한 사유없이 10초 이상 정차한때(코스 구간 제외), 시험중 안전사고를 일으키거나 단 1회라도 차로(구간 이탈)를 벗어난때, 운전미숙(지그재그 운전, 난폭운전등)이나 경사로 코스에서 출발이 안되는 등의 기능 검정 진행에 방해를 줄 염려가 있을때이다.
여기서, 기능 시험 채점 기준 및 방법은 시험용 차량을 기능 시험장의 지정된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서 채점을 하고, 통제실의 진행 통제에 따라 차량 채점기가 채점을 행하게 된다.
한편, 차량 탑재기(20)내의 디스플레이부(23)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출발시부터 종료시까지의 24개 항목의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해주며, 각 구간 코스의 총 시험 시간을 표시해주며, 수험 번호 및 차량 고유번호(ID)도 표시해주어 응시자 자신이 직접 현재까지의 감점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대기실 모니터(60)에는 수험생에 대한 각 구간별 감점 내역 및 현재 진행중인 과제 위치를 모니터링해주고, 면허 종별, 수험번호, 성명, 진행시간, 잔여점수, 판정, 과제별 감점내역, 과제 진행 상태등에 관한 전반적인 시험 진행 상황을 표시해주게 된다.
그리고 합격 여부는 100점 만점에서 감점을 시작하여 종료시 80점 이상 득점이면 합격으로 판정하고, 80점 미만이면 불합격으로 판정하며, 모든 기능 시험이 종료되면 신속히 자동 음성 방송을 통해 00호차 합격입니다 또는 00호차 불합격입니다라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운전면허 시험의 운영 체계를 개선하고 과학적인 시험 방법 및 채점기준으로 운전면허 시험을 행하므로서 정밀하고 간편,신속한 체게로 전국의 시스템을 동일화시켜 양질의 운전자 양성과 국가 교통행정 발전에 기여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전면허 시험 응시자 접수시 수험생들의 데이타를 관리하고 그 관리 데이타를 통제실로 전송하는 접수용 컴퓨터(10)와;
    차량내에 탑재되고 무선으로 통제실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며 응시자가 탑승하여 출발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상황을 세부 항목에 따라 체크하고 각 구간 코스의 총시험 시간을 표시하며 시험상태를 차량에서 확인토록 하는 차량 탑재기(20)와;
    상기 차량 탑재기(20)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제실에 구비된 고주파 모듈(30)과;
    상기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와 무선 데이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통제실 컴퓨터(5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고주파 모듈(30)을 통해 차량 탑재기(20)로 전송하여 무선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제실 제어기(40)와;
    상기 통제실 제어기(40)를 통해 차량 탑재기(20)에서 송출되는 데이타를 인터페이스받고 지방 경찰청 메인 컴퓨터로부터 결격자 검색후 자료를 받아 기능 검정 시험을 실시하며, 채점 결과를 분류하여 데이타 파일로 저장 및 프린터(70)로 출력해주고, 시험시 진행상황 결과를 응시자 대기실에 존재하는 대기실 모니터(60)로 전송해주며 채점 결과를 즉석에서 일괄처리하는 통제실 컴퓨터(50)와;
    상기 통제실 컴퓨터(50)로 부터 전송되는 시험 진행상황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대기실 모니터(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실 제어기(40)는 각 코스의 지면 바닥에 설치되어 미세한 접촉에도 민감한 방응을 일으켜 차량의 움직임 상태를 정확히 체크하는 에어 센서(80)로부터 출력신호를 검지하여 각 코스의 차량 탑재기와 무선으로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그 결과를 통제실 컴퓨터로 전송해주는 메인 콘트롤 모듈(41)과,
    상기 메인 콘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통제실과 차량의 움직임의 상태를 무선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42)과,
    상기 메인 콘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4거리 교차로의 신호등을 구동 표시하며 통제실 컴퓨터에서 지정한 일정한 신호 주기를 표시하여 운전 응시자에게 실지 상황을 부여하여 현실 감각을 숙지토록 해주는 교통신호 콘트롤 모듈(43)과,
    상기 메인 콘트롤 모듈(4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제실에서 얻어지는 음성 정보를 전달하여 접수에서 종료까지 응시자에게 스피커를 통하여 일일이 안내방송을 해주는 오디오 앰프(44)와,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종 기기의 원할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기기의 입력 전원 전압을 디지탈 메터로 표시하여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재기(20)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니트로 구성되어 기능 시험중 차량으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타를 고주파 모듈과 연동되어 처리하는 메인 콘트롤부(21)와, 상기 메인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차량 표시등, 무선 안테나, 자석 센서, 거리 측정 센서, 기어 변속 감지센서, 근접센서, 경보음 전원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부(22)와,
    상기 메인 콘트롤부(21)의 제어에 따라 수험번호,코스,소요시간,차량번호,총점수,코스별 소요시간,과제별 감점 내역,탑재 콘트롤 시스템의 동작상태,고주파 모듈의 송,수신 상태,기능 시험 결과,현재 진행중인 과제 상태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디스플레이부(23)와,
    통제 시스템과 차량 탑재 시스템간의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KR1019960042147A 1996-09-24 1996-09-24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KR19980022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147A KR19980022861A (ko) 1996-09-24 1996-09-24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147A KR19980022861A (ko) 1996-09-24 1996-09-24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861A true KR19980022861A (ko) 1998-07-06

Family

ID=6632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147A KR19980022861A (ko) 1996-09-24 1996-09-24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8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KR101952133B1 (ko) * 2017-11-28 2019-05-20 도로교통공단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427A (ko) * 2002-02-20 2003-08-27 (주)네오정보시스템 도로주행 채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자채점시스템 및채점 방법
KR101952133B1 (ko) * 2017-11-28 2019-05-20 도로교통공단 도로주행시험 지원 및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52489B (zh) 驾驶辅助装置
CN207651002U (zh) 一种互通式立交出口变道与梯度限速提醒装置
GB1560654A (en) Driving test range
CN107539126A (zh) 可穿戴设备和用于与可穿戴设备通信的车辆
GB2443654A (en) System for detecting and testing drivers who show abnormal driving behaviour.
MXPA97002172A (es) Un sistema para el control del trafico, el uso deel y un metodo para controlar el movimiento de una unidad movil
CN106965851A (zh) 一种车辆转向辅助提醒装置及方法
JP5469419B2 (ja) 運転支援装置
KR19980022861A (ko) 운전면허 전자채점 시스템
CN102509463B (zh) 提示驾驶员是否获得优先信号的系统及方法
RU2308094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жд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7367380U (zh) 一种黄灯信号期间驾驶行为提醒装置
JP5633499B2 (ja) 運転支援装置
JPS62184600A (ja) 自動車内信号表示装置
CN106205173B (zh) 一种应用于公路上车辆故障提示的导航方法及系统
CN108873864A (zh) 一种模拟车辆行驶的测试系统
JP3836389B2 (ja) 車両運転技量テスト装置
CN110517561A (zh) 一种驾培车载系统
JP2002150476A (ja) ドライブレコーダシステム
JP3836390B2 (ja) 車両運転技量テスト装置
JP3570965B2 (ja) 信号冒進警報装置
RU211301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водителей гусеничных машин
CN106898159A (zh) 教练车车距预警系统及其预警方法
WO2022049628A1 (ja) 運転判定装置、車載装置、運転判定システム、運転判定方法、データ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JP3794661B2 (ja) 前方測距装置の異常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