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48B1 -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048B1
KR101952048B1 KR1020177003115A KR20177003115A KR101952048B1 KR 101952048 B1 KR101952048 B1 KR 101952048B1 KR 1020177003115 A KR1020177003115 A KR 1020177003115A KR 20177003115 A KR20177003115 A KR 20177003115A KR 101952048 B1 KR101952048 B1 KR 101952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image
gallery
identification method
sub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613A (ko
Inventor
자훙 궈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04L51/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04L51/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의 픽처 라이브러리로부터 신속하게 복수의 픽처를 선택하기 위한 픽처 선택 방법이 개시되며, 이 방법은, 픽처 라이브러리 내의 위치 지정 픽처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단계; 위치 지정 픽처가 발견되는 경우, 위치 지정 픽처를 경계 위치로서 취하고, 경계 위치 이외의 다른 픽처로부터 픽처를 선택하는 단계; 위치 지정 픽처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픽처 라이브러리의 홈 페이지로부터 시작하는 픽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픽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픽처의 식별의 위치 지정에 의해, 픽처 선택 프로세스에서의 간섭이 최소화되고, 픽처의 스크리닝 효율 및 스크리닝 시간이 효과적으로 증가되고, 픽처의 선택 비용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ELEC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8월 8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410389892.9호 및 2015년 7월 17일자로 출원된 PCT 출원 번호 PCT/CN2015/084320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모두는 전체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이미지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비교적 진보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인해, 대부분의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학교에서 또는 레크리에이션 활동 중에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인생 이벤트를 공유하기를 기대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미지를 공유할 때, 한 번의 시도로 전송될 수 있는 이미지들의 수에서 제한으로 인해 많은 수의 이미지들을 전송하려면 여러 번의 시도가 종종 요구된다. 시도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앨범에 반복적으로 액세스해야만 할 것이다.
현재, 사용자가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앨범에 액세스할 때마다, 기존 기술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미지를 스크롤하여 이미지가 전송되었는지를 알아내야 한다. 그 후, 사용자는 선택되지 않은 이미지들을 스크롤하여 선택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이미지를 브라우징하거나 선택하는 것은, 쉽게 판단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연속 촬영 이미지를 구별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그렇다. 현재의 방법은 브라우징 속도를 늦출 뿐만 아니라 이미지 전송 오류를 더 유발하여,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공유하거나 전송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전송된 이미지들과 다른 이미지들을 신속하게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이미지 필터링에서의 느린 속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통해 개시된 기술적 방식들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신속하게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방법은, 갤러리 내의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있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있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사용하고 경계 외부의 복수의 이미지 중 다른 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없는 경우, 갤러리의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순차적 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로부터 마지막 이미지를 마킹하는 단계, 및 마지막 이미지를 위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 모두를 마킹하는 단계, 및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를 위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다수의 이미지로부터 마지막 이미지 및 나머지 이미지들을 별도로 마킹하는 단계, 및 마지막 이미지 및 다른 이미지들을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마지막 이미지 및 다른 이미지들은 상이하게 마킹된다.
대안적으로, 선택된 이미지들은 동적 식별 및 특수 스타일 식별(special style ident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법을 통해 마킹된다.
대안적으로, 동적 식별은 지터 식별(jitter identification) 및 플리커 식별(flicker ident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특수 스타일 식별은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있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사용하는 단계 및 경계 외부의 복수의 이미지 중 다른 이미지들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절차는, 위치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들에게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지를 결정하도록 프롬프트(prompt)하기 위해 위치 이미지를 다시 마킹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하고 위치 이미지로부터 마킹을 제거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없는 경우, 선택을 계속하고 위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이미지 선택 장치를 더 개시하며, 상기 이미지 선택 장치는, 갤러리 내의 위치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검색 유닛; 위치 이미지를 식별하고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식별 유닛; 갤러리에서 위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선택 유닛; 및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마킹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신속하게 선택하고 이들을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전송 방법을 더 개시하며, 상기 이미지 전송 방법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단계; 이런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들을 제1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여, 제1 위치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 두 번째로 갤러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제1 위치 이미지들을 경계로 사용하여 제1 위치 이미지들 이외의 이미지들을 계속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 동안, 두 번째 시도에서 선택된 이미지들을 제2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여, 제2 위치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 및 선택될 필요가 있는 모든 이미지들이 선택되고 전송될 때까지 이미지들을 선택하기 위해 갤러리에 다시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위치 이미지는 첫 번째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마지막 이미지를 포함하고, 제1 위치 이미지들을 중간 컷오프 포인트들(intermediate cut-off points)로 사용한다.
대안적으로, 제1 위치 이미지들은 첫 번째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제1 위치 이미지들은 전송된 이미지들로 마킹되고, 다른 이미지들은 제1 위치 이미지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대안적으로, 제1 위치 이미지들은 첫 번째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모든 이미지들을 포함하고,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마지막 이미지 및 다른 이미지들은 별도로 마킹되고, 마지막 이미지는 중간 컷오프 포인트로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2 위치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제1 위치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과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제1 위치 이미지들 및 제2 위치 이미지들은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법을 통해, 또는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법으로 마킹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위치 이미지들 및 제2 위치 이미지들은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법, 및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 방법을 통해 마킹된다.
본 개시내용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전송하기 위한 이미지 전송 장치를 더 개시하며, 상기 이미지 전송 장치는, 갤러리 내의 위치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검색 유닛; 위치 이미지를 식별하고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사용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식별 유닛; 갤러리에서 위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선택 유닛; 이미지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공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전송 유닛; 및 전송되고 공유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마킹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사용자들에게 전송된 이미지들을 다시 전송할지에 대한 프롬프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반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롬프팅 방법(prompting method)을 개시하며, 상기 방법은,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전송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 갤러리에 다시 액세스하고, 선택되고 전송된 이미지가 선택될 때, 전송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마킹하고 사용자에게 선택된 이미지를 재송신할지에 대한 프롬프트를 제공하는 단계; 전송된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마킹이 제거되고 선택된 상태가 표시되도록 전송된 이미지를 재선택하고, 이미지의 전송을 종료하는 단계; 및 전송된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다른 이미지들을 필터링하고 선택하는 것을 계속하고 전송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마킹하는 단계는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방식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의 유리한 효과는, 본 개시내용의 구현된 이미지 선택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을 브라우징 또는 검색하고 이들을 전송할 때, 전송되거나 전송되고 있는 이미지들 중 마지막 이미지가 그 위치를 식별하도록 마킹될 수 있는 것; 및 일정 기간 후에 이미지들을 다시 선택하기 위해 갤러리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가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들 또는 전송된 이미지들의 마킹으로부터의 경계들에 기초하여 나머지 이미지들을 스크롤하고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 및 공유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미지들의 마킹의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갤러리 내의 '전송된' 이미지와 '전송되지 않은' 이미지 사이에 명확한 경계들이 설정될 수 있고, 전송된 이미지들에 대한 경계들의 위치를 찾아 이들을 전송되지 않은 이미지들과 신속하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인해, 이미지 선택 프로세스에서의 임의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미지 필터링 효율이 향상되고 이미지 브라우징 시간이 단축되며 이미지 선택시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구현된 이미지 선택 방법은 또한, 선택된 이미지들을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의도치 않은 동작의 이벤트 시 또는 사용자가 전송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전송하도록 선택할 때 전송된 이미지들을 다시 전송할지를 결정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음으로 인해, 이미지 전송 및 공유 프로세스에서 필터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의도치 않은 동작의 위험을 줄이고, 불필요한 이미지 복제를 방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술적 방식들을 보다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서,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이하에 간단히 소개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또한, 과도한 어려움 없이 이들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선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이미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전송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반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롬프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위한 마킹 방법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위한 마킹 방법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위한 마킹 방법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위한 마킹 방법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례를 통해 제시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위한 마킹 방법의 도면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의 갤러리에서 이미지들을 마킹하고 위치 지정할 수 있는 이미지 선택 방법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하고, 임의의 필요한 이미지 브라우징 및 스크롤링 프로세스에 대한 필터링 효율 및 속도를 향상시킨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선택 방법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선택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신속하게 선택하는데 이용되며(102), 이미지 선택 단계는,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갤러리 내의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검색하는 단계(104); 위치 이미지가 발견되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사용하여 경계 외부의 복수의 이미지 중 다른 이미지들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108);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없는 경우, 갤러리로 돌아가서, 갤러리의 복수의 이미지로부터 다른 이미지들을 선택하는 단계(106); 및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110, 112)를 포함한다.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다음의 마킹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1)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순차적 순서로 배열된 다수의 이미지로부터 마지막 이미지를 마킹하는 단계; 및 마지막 이미지를 위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 (2)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그들을 마킹하는 단계; 및 다수의 식별된 이미지 모두를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는 단계; (3)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다수의 이미지로부터 마지막 이미지 및 나머지 이미지들을 별도로 마킹하는 단계, 및 마지막 이미지 및 다른 이미지들을 위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 그러나 마지막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들은 상이하게 마킹된다.
또한, 위치 이미지가 발견될 수 있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클릭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위치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위치 이미지를 다시 마킹하고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지에 대해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재선택하고 마킹을 제거하는 단계; 및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없는 경우, 갤러리로부터 다른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선택하는 것을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미지가 어떻게 마킹되는지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 제시된 이미지 식별 방법들은 동적 식별, 특수 스타일 식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위치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위치 이미지는 다시 마킹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지를 결정하도록 프롬프트되고;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위치 이미지는 재선택되고 마킹은 제거되며; 위치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갤러리로부터 다른 이미지들을 스크롤하고 선택하는 것을 계속한다. 동적 식별은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특수 스타일 식별은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제시된 이미지 선택 방법에 따르면, 선택된 이미지들은 위치 이미지들로 마킹되어 사용되므로, 두 번째로 갤러리에 액세스할 때 원하는 이미지들이 갤러리로부터 신속하게 선택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이미지 선택의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의도치 않은 동작 또는 중복된 이미지들의 선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구현된 이미지 선택 방법의 경우, 본 개시내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지 선택 장치를 제공하며, 이미지 선택 장치는 갤러리 내의 위치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검색 유닛(11)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검색 유닛(11)은 주로 위치 이미지가 갤러리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위치 이미지는 갤러리에서 식별되었던 이미지이고, 위치 이미지는 임의의 후속 이미지 선택을 위한 경계로 사용된다).
이미지 선택 장치는 위치 이미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식별 유닛(12)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지 식별 유닛(12)은 식별 모듈 및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한다. 식별 모듈은 이미지 검색 유닛(11)의 검색 프로세스 동안, 발견된 이미지가 위치 이미지인지를 식별한다. 식별 모듈이 발견된 이미지를 위치 이미지로 식별하면, 위치 이미지는 경계로 사용될 것이다. 이미지 선택 유닛(13)는 제어 모듈의 제어하에, 경계 외부의 이미지들로부터 이미지를 선택한다. 식별 모듈이 발견된 이미지를 위치 이미지로서 식별하지 않으면, 제어 모듈은 이미지 선택 유닛(13)이 갤러리의 시작부터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이미지 선택 장치는 갤러리에서 위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선택 유닛(13)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선택 유닛(13)은 위치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선택한다.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위치 이미지는 이미지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계로 사용된다.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들은 원하는대로 갤러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미지 선택 장치는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마킹 유닛(15)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마킹 유닛(15)은 동적 식별 모듈 및 특수 스타일 식별 모듈을 포함한다. 이미지 선택 유닛(15)이 이미지들을 선택한 후, 선택된 이미지들은 동적 식별 모듈 및 특수 스타일 식별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식별될 수 있고, 갤러리의 후속 액세싱을 위한 반복적인 브라우징 및 선택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을 위치 이미지들로 만들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구현된 이미지 선택 장치는, 이미지 검색 유닛(11), 이미지 식별 유닛(12), 이미지 선택 유닛(13) 및 이미지 마킹 유닛(15)의 결합된 구조이며, 전송된 이미지들을 이미지 마킹 유닛(15)을 이용하여 마킹하고, 이미지 검색 유닛(11) 및 이미지 식별 유닛(12)에 의해 수행되는 검색 및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이미지들의 신속한 선택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방식들을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식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어떤 창의적 노력 없이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본 개시내용의 핵심 아이디어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의 방식들을 보다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구현되는 이미지 전송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전송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처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할 때(302), 이미지 선택은 갤러리 내의 다수의 이미지 중 하나로 시작한다. 사용자는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이들을 전송할 것이다(304). 이러한 먼저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는 제1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되고, 이들 제1 위치 이미지는 마킹된다(306). 또한, 두 번째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여 이미지들을 선택할 필요가 있을 때, 먼저 사용자는 제1 위치 이미지들을 스크롤하여 검색하고 이들을 경계로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308). 사용자는 갤러리에서 다른 이미지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것을 계속할 수 있다. 한편, 갤러리에 대한 제2 액세스 동안 선택된 이미지들은 제2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되고, 이들 제2 위치 이미지는 마킹된다(310).
또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세 번째로 갤러리에 액세스하여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다(312). 선택된 이미지들은 제3 마킹된 이미지들로 마킹되어 그 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택을 위해 더 많은 이미지가 필요할 때, 선택은 갤러리에 대한 제1 및 제2 액세스들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고, 선택된 이미지들은 연속적으로 마킹되어 갤러리에 대한 후속 액세스에서 전송된 이미지들의 신속한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 필터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갤러리로부터 선택될 필요가 있는 모든 이미지가 선택되어 전송될 때까지 계속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 이미지들 및 제2 위치 이미지들과 같은 이미지들을 마킹하여 이들이 후속 이미지 선택을 위한 기준이 되게 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기 위한 마킹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I. 마지막 이미지가 위치 이미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순차적으로 정렬되고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로부터의 마지막 이미지를 마킹하는 단계; 및 위치 이미지를 경계로 설정하여, 갤러리에 대한 다음 액세스 동안 이런 이미지를 발견함으로써, 이런 이미지에 앞서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브라우징되고 이런 이미지에 후행하는 이미지들이 브라우징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게 되는 단계.
Ⅱ. 각각의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 모두를 마킹하고 이들을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여, 갤러리에 대한 다음 액세스 동안 이들 이미지를 발견함으로써, 모든 마킹된 이미지들이 마지막 시도 동안 전송되었음을 사용자가 알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다른 이미지들로부터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단계.
Ⅲ. 각각의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이미지를 마지막 이미지 및 나머지 이미지들(즉, 여러 선택된 이미지들 중, 전송된 이미지들)로 그루핑하는 단계, 및 마지막 이미지가 식별된 이미지들 중에서 전송된 다른 이미지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마지막 이미지와 나머지 이미지를 상이하게 마킹하는 단계. 이런 방식으로, 갤러리에 대한 후속 액세스에서 상이한 마킹의 도움으로, 사용자는 마지막 이미지와 전송된 나머지 이미지들을 식별하고, 마지막 이미지를 '브라우징된 이미지들(browsed images)'과 '아직 브라우징되지 않은 이미지들(images not yet browsed)' 사이의 경계로 설정하고, 나머지 이미지들을 '전송된 이미지들'로 식별할 수 있어, 반복적인 브라우징 및 선택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필터링의 속도는 상술한 3가지 마킹 방법 중 하나를 통해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3가지 마킹 방법은 본 실시예를 통해 제시된 3가지 공통 구현 모드일 뿐이다. 이는, 본 출원에서의 이미지들의 마킹이 상기 3가지 마킹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을 암시하지는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내용에서의 이미지들의 마킹은 선택된 이미지들을 동적 식별 또는 특수 스타일 식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마킹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실제로, 동적 식별은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특수 스타일 식별은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미지는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을 포함하는 동적 식별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을 포함하는 특수 스타일 식별들 중 적어도 하나로 마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와 관련하여, 이미지는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을 포함하는 2개의 동적 식별, 또는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을 포함하는 2개의 특수 스타일 식별과 동시에 마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와 관련하여, 이미지는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을 포함하는 동적 식별들 중 하나와, 경계 식별, 텍스트 식별 및 심벌 식별을 포함하는 특수 스타일 식별들 중 하나의 조합으로 마킹될 수 있으므로, 이미지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전송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를 통해 제시된다. 이미지 전송 장치는 이전에 설명된 이미지 전송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갤러리 내의 위치 이미지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검색 유닛(11); 위치 이미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식별 유닛(12); 갤러리에서 위치 이미지 이외의 이미지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선택 유닛(13); 이미지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공유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전송 유닛(14); 선택된 이미지를 마킹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마킹 유닛(15)을 포함한다.
이미지 전송 장치는 임계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시간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임계 기간은 선택된 이미지들이 이미지 마킹 유닛(15)에 의해 마킹된 후 이들에 대해 설정되고; 임계 기간에 도달할 때 이미지들의 마킹 레코드는 자동으로 제거될 것이고; 임계 기간은 1시간으로 설정되거나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검색 유닛(11), 이미지 식별 유닛(12), 이미지 선택 유닛(13) 및 이미지 마킹 유닛(15)는 이미지 선택 장치의 실시예에서의 것들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미지 선택 장치의 실시예의 내용을 참고하여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지 전송 유닛(14)에서는, 각각의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선택된 이미지들이 이미지 전송 유닛(14)을 통해 전송되고 공유될 수 있다. 이미지 전송 유닛(14)은 전송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이미지들은 전송 모듈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전송 후, 전송된 이미지들은, 전송된 이미지들이 갤러리의 후속 액세스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이미지 식별 유닛(15)에 의해 마킹되고 제어 모듈에 의해 제어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제시된 이미지 전송 장치는, 이미지 전송 방법과 함께,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고, 이전에 마킹된 위치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후속 프로세스에서 이미지들을 검색 및 브라우징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반복적인 브라우징 및 선택을 방지할 수 있어, 이미지를 전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반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롬프팅(prompting)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시되는 반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롬프트 방법의 실시예에서, 반복된 이미지들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 갤러리로부터 다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전송된 이미지들을 마킹한다.
단계 1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고(502), 이미지들이 식별된 위치 이미지를 통해 설정된 경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도록 이미지들이 검색되고 식별되며; 위치 이미지가 식별되지 않는 경우, 갤러리의 제1 페이지로부터의 다수의 이미지만이 선택되어 전송될 수 있다(504).
단계 2: 갤러리에 다시 액세스하고(506), 선택되고 전송된 이미지가 선택될 때 전송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마킹하고 사용자에게 선택된 이미지를 재전송할지에 대한 프롬프트를 제공한다(508).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음으로 인해, 갤러리에 액세스하여 대응하는 위치 이미지들을 찾고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대응하는 위치 이미지들은 전송된 이미지들을 재전송할지에 대한 프롬프트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전 방법과는 상이한 다른 방법으로 식별될 수 있다.
단계 3: 필요에 따라, 전송된 이미지들을 재전송할지가 결정되고, 그렇다면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전송하고; 그렇지 않다면 계속해서 다른 이미지들을 선택한다.
전송된 이미지가 선택될 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지가 결정될 수 있고; 그렇다면, 그 식별자가 제거되고 선택된 상태가 표시되도록 전송된 이미지를 재선택하고, 이미지를 전송하며(510); 전송된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다른 이미지들을 스크롤하고 선택하는 것을 계속하고 전송 동작을 종료한다(512). 또한, 전송 후, 위치 이미지가 갤러리에 대한 후속 액세스에서 쉽게 발견될 수 있도록 이 시도에서는 전송된 이미지들을 재마킹할 필요가 있고; 한편, 전송된 이미지들을 위한 자동 마킹 방법은 지터 식별 및 플리커 식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반복적으로 전송된 이미지들에 대한 시각적 리마인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런 실시예에서 반복된 이미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롬프팅 방법에 따르면,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전송할 때, 전송된 이미지는 두 번째로 마킹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를 재전송할지에 대한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의도치 않은 동작 및 반복적인 이미지들을 전송할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특히, 셀폰 동작 중에 선택된 이미지들을 전송하는 예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7-11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갤러리 이미지들의 전송 및 공유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이미지들을 스크롤하지만 이미지를 선택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제1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9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제2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0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제3 이미지(이전에 전송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제3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한다(선택의 시작에서 선택의 종료까지와 식별자들의 제거를 도시함).
이들 예에서, 갤러리는 많은 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전송 및 공유를 위한 각각의 시도에서 갤러리로부터 최대 9개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액세스한다. 갤러리의 첫 페이지부터, 사용자는 9개의 이미지를 연속해서 선택하고 이들 9개의 이미지의 전송 및 공유를 종료한다. 9개의 이미지는 제1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되어 마킹되며, 처음 8개의 이미지는 동적 식별로 마킹되고, 마지막 이미지는 특수 스타일 식별로 마킹된다(또는, 마지막 이미지만이 동적 식별 또는 특수 스타일 식별로 마킹되거나, 또는 모든 이미지가 동적 식별 또는 특수 스타일 식별로 마킹된다). 특히, 제1 위치 이미지들은 다음과 같이 마킹될 수 있다: 처음 8개의 이미지는 지터 식별을 이용하여 마킹되고, 마지막 이미지는 플리커 식별을 이용하여 마킹되며; 즉, 이미지들이 처음으로 전송되고 공유된 후, 제1 위치 이미지들은 지터 식별이 있는 8개의 이미지와 플리커 식별이 있는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한다(또는, 처음 8개의 이미지는 '기전송(sent)'을 나타내는 특수 스타일 식별로 마킹되고, 마지막 이미지는 지터 식별 또는 플리커 식별로 식별된다). 둘째로, 사용자는 갤러리에 두 번째로 액세스한다. 스크린을 스크롤링할 때, 사용자는 지터 식별이 있는 이미지가 전송된 이미지이고, 플리커 식별이 있는 이미지가 이전에 선택된 마지막 이미지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선택할 때, 사용자는 플리커 식별이 있는 이미지가 이전에 선택된 마지막 이미지라고 판단하고 이것을 경계로 설정하고, 이 경계로부터 직접 브라우징하고, 이런 마지막 이미지 이후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또한,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들의 위치를 빠르게 찾고 선택된 이미지들을 두 번째 시도에서 전송 및 공유하는 것을 종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시도에서 선택된 이미지들은 제2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되어 마킹되며, 특정한 식별 방법은 제1 위치 이미지들에 대한 식별 방법과 동일하다. 즉, 갤러리에 대한 다음 액세스 중에 이미지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번째 시도에서 선택된 처음 8개의 이미지는 지터 식별로 마킹되고, 마지막으로 선택된 이미지는 플리커 식별로 마킹되며; 전송되고 공유될 필요가 있는 모든 이미지가 선택될 때까지 동일한 프로세스가 계속된다. 이미지를, 예를 들어 플리커 식별로 마킹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첫 번째 시도에서 선택된 9개의 이미지의 경우, 처음 8개의 이미지는 'sent' 문자로 마킹될 수 있고, 9개의 마지막 이미지는 'last sent' 문자로 마킹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는 마킹되어 발견된 이미지들로부터 마지막으로 전송된 이미지를 직접 찾을 수 있으며, 이를 이미지들의 추가 필터링 및 마킹을 위한 경계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위치 이미지들의 마킹은 제2 위치 이미지들이 마킹될 때의 시점에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고, 제1 위치 이미지들의 마킹은 또한 일정 기간 후에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특정한 마킹 방법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며 위에서 언급한 마킹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은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마킹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할 뿐이며; 마킹 후에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해 두 번째로 갤러리에 액세스하는 방법은 자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마킹하는 것은 처음 8개의 이미지가 지터 식별로 마킹되고 마지막 이미지가 플리커 식별로 마킹되는 이전에 제시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된 이미지들의 마킹을 통해 전송된 이미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하는 한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실시예의 유사한 변형은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백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공된 예에서 특정한 기술적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이미지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스크린을 스크롤할 때 의도치 않은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된 이미지가 잘못 태핑(tapping)되어 반복된 이미지의 선택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전송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된 이미지의 반복적인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된 전송 또는 개인의 의도치 않은 동작에 대해,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들의 반복된 선택 및 전송을 위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먼저 갤러리에 액세스하여(602) 이미지들을 선택하고(604), 전송 동작을 종료한다(606); 그동안, 선택된 이미지들은 제1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되고 이에 따라 식별된다(608). 이 실시예에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이미지는 각각의 시도에서 선택을 위한 표준으로 설정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대한 처음 액세스 동안, 사용자는 갤러리의 제1 페이지로부터 이미지들을 선택하고, 특수 스타일들을 가진 9개의 선택된 이미지를 모두 식별하고, 9개의 선택된 이미지의 전송 및 공유를 종료한다(606).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크린을 스크롤링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갤러리에 두 번째로 액세스할 때, 사용자는 특수 스타일들로 마킹된 이미지들을 식별할 수 있어, 마킹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다른 이미지들의 선택이 가능해진다(610). 그러나 실제로, 다음 두 가지 시나리오가 발생할 수 있다: (1) 스크린을 스크롤링할 때, 사용자는 특수 스타일로 마킹된 이미지를 잘못 태핑할 수 있다(즉, 전송된 이미지를 실수로 선택한다); (2) 스크린을 스크롤링할 때 사용자는 이 전송된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다; 어느 경우든, 사용자는 전송된 이미지를 재선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반복된 전송 또는 선택의 경우에, 사용자가 문자들 'sent'로 마킹된 이미지, 예를 들어 첫 번째 시도에서 8번째로 전송된 이미지를 태핑하고, 사용자가 태핑에 의해 8번째로 전송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런 이미지가 문자 'sent'로 마킹될 때, 이런 8번째로 전송된 이미지는 첫 번째 시도에서 사용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재마킹될 것이다(612). 이 실시예에서, 이미지는 동적 식별로 재마킹될 수 있다; 특히, 8번째 이미지는 플리커 식별로 재마킹될 수 있다(614). 다시 말해서, 8번째로 전송된 이미지는 재선택 동안 플리커 식별로 마킹될 수 있어서, 이미지가 이전에 전송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고 이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지(616)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한다. (재선택 동안 선택된 이미지의 마킹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
실제 응용에서, 사용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지(616)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8번째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미지 상에서 다시 태핑하여 이를 선택할 것이다. 한편, 이미지에 대한 '기전송' 식별 및 플리커 식별은, 선택된 상태를 표시하는 것만으로(갤러리에 대한 각각의 액세스 동안 선택된 모든 이미지는 선택된 상태에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될 것이고(618), 이로 인해 이미지의 전송 및 공유를 종료하고(620); 8번째 이미지를 재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을 스크롤하고 다른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계속하고 전송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이미지들의 재선택 프로세스가 완료됨으로써, 이미지들을 스크롤링할 때 의도치 않은 동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이미지 선택 중에 불필요한 반복적인 선택을 최소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송된 이미지들을 재전송하고 이미지들의 전송 및 공유를 종료한 후에, 이 시도에서의 전송된 이미지들은 재마킹될 필요가 있다(620); 즉, 선택되고 전송된 이미지들은, 갤러리에 대한 후속 액세스에서 이미지들이 마지막 시도에서의 마킹된 이미지에 따라 직접 필터링될 수 있도록 각각의 시도에서 마킹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이미지들을 스크롤링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구현 프로세스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선택을 위해 다시 갤러리에 액세스하고 제2 위치 이미지들을 선택할 때, 제2 위치 이미지들은 마킹될 것이다; 그동안, 두 번째로 마킹된 이미지들이 갤러리에 대한 후속 액세스를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제1 위치 이미지들의 마킹은 제거될 수 있어, 이전에 전송된 이미지의 빠른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제2 위치 이미지들이 마킹될 때, 제1 위치 이미지들은 마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 이미지들 및 제2 위치 이미지들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갤러리에 다시 액세스할 때 전송된 이미지들에 대한 정보를 분명히 얻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들의 연장된 마킹을 방지하기 위해, 마킹된 이미지에 대해 자동 시간 마킹이 설정될 수 있으며, 자동적인 시간 마킹 기간은 1시간이 될 수 있다(604); 즉, 이미지 상의 마킹은 이미지가 마킹된 후 1시간 동안 지속될 것이고; 마킹은 1시간 후에 자동으로 제거될 것이다. 이것은 갤러리 이미지들에 대해 시간 제한 마킹(time-bound marking)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재선택 동안, 제2 위치 이미지들은 재선택되는 전송된 이미지들에 대해 재마킹될 수 있어, 이들을 다른 선택된 이미지들과 구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문자 'sent'을 갖는 이미지는 플리커 식별로 재마킹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전송된 이미지들의 재마킹은 본 실시예에 제시된 마킹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터 식별로 마킹된 전송된 이미지는 이를 구별하기 위해 민감한 지터(acute jitter)로 재마킹될 수 있으며, 이것이 전송된 이미지임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송된 이미지에 대한 재마킹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하나씩 예시되고 도시되지는 않을 것이다. 마킹 방법은, 재마킹 방법이 이전 시도에서 사용된 마킹 방법과 상이하도록 변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들에게 프롬프트될 것이고, 이들은 두 종류의 이미지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구현되는 이미지 선택 방법은 주로 다음의 것을 수반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징되고 선택된 이미지를 마킹하고; 마킹된 이미지를 기준으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나중에 갤러리에 액세스할 때 전송 및 공유를 위해 갤러리로부터 다른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사이클은 반복될 것이며, 여기서 선택된 이미지들은 다음 필터링 프로세스에서 이미지들의 빠른 선택과 위치 지정을 위해 각각의 시도에서 마킹되고, 이로 인해 갤러리에서 이미지들의 전송 및 공유가 종료된다. 이 방법은, 각각의 시도에서 선택되고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빠른 위치 지정을 가능하게 하고, 제공된 경계를 통해 후속 이미지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필터링 속도 및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또한, 재선택 방법의 요약은, 의도치 않은 동작 및 갤러리의 이미지들의 반복적인 전송의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의 각 실시예는 점진적인 방식으로 설명되며, 여기서는 각각의 실시예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 상호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실시예의 설명은 다른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단지 개략적이다. 마킹 방법들, 및 마킹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설명된 마킹 방법들에서, 이미지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마킹될 수도 있거나 마킹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 이미지 정보를 태핑할 때 터치 스크린 상의 마킹 유닛을 통해 마킹될 수도 있다. 마킹 유닛은 소프트웨어 섹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 상에 분산된 하드웨어 유닛일 수 있다. 모듈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 필요에 따른 실시예 방식들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창의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고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 헬드 디바이스, 또는 휴대용 디바이스, 태블릿 디바이스, 네트워크 PC,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같은 다수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시스템 환경 또는 구성, 및 이런 시스템들 또는 그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분산형 컴퓨팅 환경에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와 같은 관계형 용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러한 실제 관계 또는 순서가 이들 엔티티 또는 동작에 존재한다는 것을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 '구성하는' 또는 그것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가 이들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 또는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 내재된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비 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하나를 포함하는...'이라는 문구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추가 제한 없이,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디바이스에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거나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용이하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성들과 일치할 것이다.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불과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개시내용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개선 및 개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선 및 개량이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됨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3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마킹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의 이전에 선택된 복수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기 전의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 내에서 이전에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들을 원격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및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마킹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 내의 마지막 이미지를 제1 식별 방법으로 마킹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 내의 나머지 이미지들을 제2 식별 방법으로 마킹하는 단계 - 상기 나머지 이미지들은 상기 마지막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음 - ;
    상기 마지막 이미지와 상기 나머지 이미지들을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6.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및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마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방법은 동적 식별 방법 및 특수 스타일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식별 방법은 지터 식별 방법 및 플리커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 스타일 식별 방법은 경계 식별 방법, 텍스트 식별 방법 및 심벌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게 하고;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게 하고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마킹하게 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의 이전에 선택된 복수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기 전의 미리 정의된 시간 간격 내에서 이전에 선택되었는지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들을 마킹하게 하고;
    상기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들을 원격 서버에 송신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장치.
  33. 삭제
  34. 삭제
  35.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게 하고;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게 하고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마킹하게 하고,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마킹하게 하는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 내의 마지막 이미지를 제1 식별 방법으로 마킹하게 하고;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 내의 나머지 이미지들을 제2 식별 방법으로 마킹하게 하고 - 상기 나머지 이미지들은 상기 마지막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음 - ;
    상기 마지막 이미지와 나머지 이미지들을 위치 이미지들로 사용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장치.
  36.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이미지들의 갤러리에 액세스하게 하고;
    위치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게 하고 - 상기 위치 이미지는 이전에 마크된 이미지를 포함함 -;
    상기 이미지들의 갤러리로부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선택하게 하고 - 위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위치 이미지 이후에 위치함 - ;
    상기 이미지들의 제1 서브세트를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마킹하게 하고,
    상기 식별 방법은 동적 식별 방법 및 특수 스타일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식별 방법은 지터 식별 방법 및 플리커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특수 스타일 식별 방법은 경계 식별 방법, 텍스트 식별 방법 및 심벌 식별 방법 중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77003115A 2014-08-08 2015-07-17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52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89892.9 2014-08-08
CN201410389892.9A CN105447006B (zh) 2014-08-08 2014-08-08 一种图片选择方法及其装置
PCT/CN2015/084320 WO2016019794A1 (zh) 2014-08-08 2015-07-17 一种图片选择方法及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613A KR20170026613A (ko) 2017-03-08
KR101952048B1 true KR101952048B1 (ko) 2019-02-25

Family

ID=5526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115A KR101952048B1 (ko) 2014-08-08 2015-07-17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3362B2 (ko)
JP (1) JP6449981B2 (ko)
KR (1) KR101952048B1 (ko)
CN (1) CN105447006B (ko)
HK (1) HK1221787A1 (ko)
WO (1) WO2016019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0770B (zh) * 2016-12-19 2020-12-08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传输方法及装置
CN107977128B (zh) * 2017-11-24 2020-12-25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及装置、终端装置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825288A (zh) * 2019-10-31 2020-0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筛选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4124931A (zh) * 2021-10-20 2022-03-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发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0247A (zh) * 2013-07-19 2013-12-11 张佳佩 发送照片的方法及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329A (ja) * 2002-08-30 2004-03-25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4421269B2 (ja) * 2003-11-25 2010-02-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DE102005010030B4 (de) 2005-03-04 2007-05-10 Siemens Ag Verfahren zur mobilen Kommunikation, sowie mobiles Gerät und Kommunikationseinrichtung
JP4861123B2 (ja) * 2006-10-25 2012-01-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管理装置、カメラ、画像管理方法、プログラム
US8413059B2 (en) * 2007-01-03 2013-04-02 Social Concepts, Inc. Image based electronic mail system
JP2008236468A (ja) * 2007-03-22 2008-10-02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ファイル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935569B2 (ja) * 2007-08-06 2012-05-23 株式会社ニコン 処理実行プログラム、および処理実行装置
US8117546B2 (en) * 2007-08-26 2012-02-14 Cyberlink Corp. Method and rela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ictures in digital picture slide show
KR20090085470A (ko) * 2008-02-04 200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또는 바탕화면에서 복수의 터치방식을 감지하는터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20090280859A1 (en) * 2008-05-12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ic tagging of photos in mobile devices
JP5084613B2 (ja) * 2008-05-30 2012-11-28 任天堂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US8612614B2 (en) * 2008-07-17 2013-12-17 Citrix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edicated session for a member of a common frame buffer group
JP2010247477A (ja) * 2009-04-17 2010-11-04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599288B1 (ko) * 2009-09-24 2016-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US9128602B2 (en) * 2009-11-25 2015-09-08 Yahoo!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US8774528B2 (en) * 2010-09-24 2014-07-08 Kodak Alaris Inc. Method of selecting important digital images
US9129641B2 (en) 2010-10-15 2015-09-08 Afterlive.tv Inc Method and system for media selection and sharing
US9100245B1 (en) 2012-02-08 2015-08-04 Amazon Technologies, Inc. Identifying protected media files
US8963962B2 (en) 2012-03-06 2015-02-24 Apple Inc. Display of multiple images
US9378393B2 (en) 2012-08-02 2016-06-28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photo fee stories
US9246958B2 (en) 2012-08-02 2016-01-26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photo selection
JP6003444B2 (ja) * 2012-09-19 2016-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8903838B2 (en) 2012-10-29 2014-12-02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uplicate file uploads in a synchron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40122451A1 (en) 2012-10-29 2014-05-01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uplicate file uploads from a mobile device
US9104687B2 (en) 2012-12-20 2015-08-11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uplicate uploads of modified photos in a synchron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03218131A (zh) * 2013-03-26 2013-07-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上防止误删除图片的方法
CN103475572B (zh) * 2013-04-27 2014-1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在即时通信应用中发送多张图片的方法、装置及系统
CN103369034A (zh) * 2013-06-21 2013-10-23 杭州友谦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将照片发送到数码相框的方法、系统及装置
US11080318B2 (en) 2013-06-27 2021-08-03 Kodak Alaris Inc. Method for ranking and selecting events in media collections
EP2833325A1 (en) * 2013-07-30 2015-02-0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adaptive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US9325783B2 (en) 2013-08-07 2016-04-26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ferential sharing of photos
US20150116541A1 (en) * 2013-10-28 2015-04-30 Jordan Gilma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ag/identification to a photo/video immediately after capture
US9965895B1 (en) * 2014-03-20 2018-05-08 A9.Com, Inc. Augmented reality Camera Lucida
WO2016013885A1 (en) 2014-07-25 2016-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triev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6040291A1 (en) 2014-09-12 2016-03-17 Lineage Labs, Inc. Sharing media
US10176201B2 (en) * 2014-10-17 2019-01-08 Aaron Johnson Content organization and categorization
JP6321213B2 (ja) * 2014-12-08 2018-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60299898A1 (en) 2015-04-09 2016-10-13 WonUpIt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ranking and comparing user-generated posts
US10122777B2 (en) 2015-11-30 2018-11-06 Tobi Carver Clinton Mobile social network for sharing media captured recent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0247A (zh) * 2013-07-19 2013-12-11 张佳佩 发送照片的方法及其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21787A1 (zh) 2017-06-09
JP2017524187A (ja) 2017-08-24
CN105447006B (zh) 2019-08-16
WO2016019794A1 (zh) 2016-02-11
KR20170026613A (ko) 2017-03-08
US10503362B2 (en) 2019-12-10
CN105447006A (zh) 2016-03-30
JP6449981B2 (ja) 2019-01-09
US20170205966A1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52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ivacy management
CN109144626B (zh) 一种锁屏方法及移动终端
US8924858B2 (en) Touch-based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KR101952048B1 (ko) 이미지 선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808094B (zh) 一种应用调用方法及终端
CN103677889B (zh) 用于在移动电子设备上安装应用的方法
JP6806762B2 (ja) 情報をプッシュ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5045488A (zh) 应用程序的启动控制方法和移动终端
US10331327B2 (en) Mess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US20190220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US20150378591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CN103906012A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20160205183A1 (en) Method and aparatus for backing up data and electronic device
CN103677517A (zh) 一种图片查找方法和装置
CN107332762A (zh) 文件/信息的分享方法、移动终端及具有存储功能的装置
CN104796477A (zh) 一种文件上传方法、装置和系统
CN108664339A (zh) 一种信息展示方法和装置、终端、可读存储介质
US20120254330A1 (en) Operation method applicable to electronic device with operation system
US20100281425A1 (en) Handling and displaying of large file collections
CN106445315A (zh) 图片查询方法及装置
CN104333635B (zh) 一种被收藏联系人列表的处理方法及装置
CN107535013A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终端
CN108132746B (zh) 一种图片显示方法、装置和设备
KR101300052B1 (ko) 이미지 탐색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22116471A1 (en)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screenshot with a floating i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