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998B1 -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998B1
KR101951998B1 KR1020160150817A KR20160150817A KR101951998B1 KR 101951998 B1 KR101951998 B1 KR 101951998B1 KR 1020160150817 A KR1020160150817 A KR 1020160150817A KR 20160150817 A KR20160150817 A KR 20160150817A KR 101951998 B1 KR101951998 B1 KR 10195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effective component
active ingredient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808A (ko
Inventor
한상미
홍인표
우순옥
김세건
장혜리
김철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청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150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내 함유된 유효성분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는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벌통을 수용하는 벌통수용부, 상기 벌통수용부 일측에 벌통의 유효성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일면에 상기 벌통의 유효성분만 배출 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는 여과부, 및 상기 관통홀 타면에 상기 벌통의 유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송시키는 유효성분 이송통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DEVICE FOR INHALING EFFECTIVE COMPONENT IN BEEHIVES}
본 발명은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통내 함유된 유효성분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는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질환은 일반적으로 염증을 수반하며, 이는 기관지, 폐 등의 상태를 악화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호흡기염증성 질환으로는 급성 상기도 감염증, Th1 혹은 Th17 면역반응에 의한 호흡기 염증성 질환, 만성 폐색성 폐질환 (COPD), 만성 부비강염,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하기도 감염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폐렴, 기관지 천식, 폐결핵 후유증,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窮迫症候群), 낭포성 섬유증, 폐섬유증 등이 있다.
상기 질환들의 치료는 호흡기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호흡기 염증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으나, 여전히 만족할 만한 약효를 갖는 호흡기 염증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에 비하면 현재는 대기의 많은 오염된 물질을 흡입하여 생기는 여러 호흡기 질환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호흡기 관련 질환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어 왔다.
삭제
이에 따라 일반적인 약액이 아닌 공기를 통해 벌통 내의 주요한 유효성분을 사용자가 직접 접하는 방법은 쉬운일이 아니다.
따라서, 누구나 벌통 내 유효성분을 취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5-0056588호(공개일: 2015.05.26., 명칭: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 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63770호(공개일:1999.07.26., 명칭: 흡입장치)
본 발명은 벌통 내 유효성분을 호흡하여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는 벌통을 수용하는 벌통수용부; 상기 벌통수용부 일측에 벌통의 유효성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일면에 상기 벌통의 유효성분만 배출 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는 여과부; 및 상기 관통홀 타면에 상기 벌통의 유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송시키는 유효성분 이송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벌통수용부는 상기 벌통을 수용하고, 벌통의 유효성분이 상기 유효성분 이송통로 외로는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켜주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벌통수용부 하면에 벌통수용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 중 어느 일측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안식부; 상기 안식부 하부에 벌통을 수용하는 벌통수용부; 상기 안식부에 수용되는 상기 벌통수용부의 벌통의 유효성분을 공간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동일 축상에 상기 벌통의 유효성분만 배출 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는 여과부; 및 상기 공간부를 환기시키도록 외벽에 설치되는 환풍구를 포함하되, 상기 벌통수용부는 상기 공간부의 외벽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안식부의 하부에 수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통수용부가 상기 안식부와 분리되도록 하단부에 이동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벌에 쏘이는 염려 없이 사용자 누구나 쉽게 벌통 내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집중 호흡 또는 릴렉스 호흡으로 벌통 내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의 여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의 외부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는 벌통수용부(110), 여과부(120), 유효성분 이송통로(130), 덮개부(140), 및 호흡기 마스크(150)를 포함한다.
벌통수용부(110)는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벌통(10)을 수용한다. 이때, 벌통의 유효성분을 배출하기 위해 뚜껑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벌통의 유효성분은 밀랍, 식물성 오일, 프로폴리스, 플라보노이드 계역의 꽃가루, 미네랄, 비타민, 및 각종 유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벌통수용부(110)는 벌통(10)을 수용하고, 벌통의 유효성분이 유효성분 이송통로(130) 집중하여 배출되도록 벌통수용부(110) 내부를 밀폐시켜주는 덮개부(140)를 더 구비한다.
이때, 덮개부(140)는 벌통수용부(110)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1)을 따라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다.
또한, 벌통수용부(110)의 하단부는 벌통수용부(110)가 어디로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160)을 더 형성한다.
이때, 이동수단(160)은 벌통수용부(110)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와 같이 회전하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부(120)는 벌통수용부(110) 일측에 벌통의 유효성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일면에 벌통의 유효성분만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여과시켜준다.
유효성분 이송통로(130)는 관통홀 타면에 벌통의 유효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송시킨다.
호흡기 마스크(150)는 유효성분 이송통로 끝단에 벌통 내 유효성분이 사용자의 코 또는 입으로 집중하여 흡입되도록 입과 코에 장착할 수 있도록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공간부(210), 안식부(220), 벌통수용부(230), 배출부(240), 및 환풍구(250)를 포함한다.
공간부(210)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을 의미하고, 여기서, 밀폐란, 공기가 통하지 않은 상태의 공간이 아니라,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공간부(210)의 벽은 일측이 외부와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는 다시 후술하도록 한다.
안식부(220)는 공간부(210) 중 어느 일 측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의자 또는 침대 형태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안식부(220)는 공간부(210)의 벽측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호흡기 치료를 받는 사용자가 최대한 편한 자세로 벌통 내 유효성분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벌통수용부(230)는 안식부(220) 하부에 위치하고 벌통을 수용하되, 공간부(210)의 외벽(211)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벌통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공간부(210) 내부로는 벌통이 위치되지 않도록 한다.
즉, 외부로 관통된 공간부(210)의 벽면과 안식부(220)의 하단부와 일치시키고 공간부(210)의 외벽(211)을 통해 벌통수용부(230)를 수용하여 안식부(220)의 하단부로 벌통 수용부(230)를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벌이 공간부(210)로 침입할 수 없도록 벌통의 인입 및 인출은 공간부(210)의 외부에서 이루어진다.
벌통수용부(230) 하단부는 벌통수용부(230)가 안식부(220)와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이동수단(260)을 더 형성한다.
이때, 이동수단(260)은 벌통수용부(230)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와 같이 회전하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부(240)는 공간부 내측에 위치하는 안식부(220)의 벌통수용부(230)가 수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벌통의 유효성분을 공간부(210)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출부(240)를 팬 형태로 형성하여, 벌통수용부(230) 내부의 유효성분을 공간부(210)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과부는 배출부(240)와 동일한 축상에 벌통의 유효성분만 배출되고 벌통 내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는 구성으로 제1 실시예에 나타나낸 여과부(120)와 동일한 원리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환풍구(250)는 공간부(210)의 내벽에 설치되어 공간부(210)의 상태를 쾌적하게하기 위해 환기를 시켜줄 때 사용한다.
배출부(240)와 환풍구(250)를 동시에 사용하면, 배출부(240)를 통해 공간부(210)로 배출되는 벌통 내 유효성분을 환풍구(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부(240)를 동작하는 동안에 환풍구(250)의 동작을 멈추었다가 공간부(210)에 사용자가 없이 공간부(210)의 환기를 요구할 때 환풍구(25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벌통수용부(110, 230) 내에 있는 벌통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호흡하여 기관지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같은 경우는 호흡에 집중하면서 단시간에 많은 유효성분을 호흡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와 같은 경우 공간부(210) 내부에 위치한 안식부(220)에 편히 쉬면서 자연스럽게 호흡하여 벌통 내 유효성분을 호흡하여 섭취할 수 있다.
두 실시예는 다른 형태의 장치이나 벌통 내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것은 동일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벌에 쏘이는 염려 없이 사용자 누구나 쉽게 벌통 내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집중 호흡 또는 릴렉스 호흡으로 벌통 내 유효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벌통 110, 230 : 벌통수용부
111 : 가이드부 120 : 여과부
130 : 유효성분 이송통로 140 : 덮개부
150 : 호흡기 마스크 160, 260 : 이동수단
210 : 공간부 211 : 공간부의 외벽
220 : 안식부 240 : 배출부
250 : 환풍구

Claims (3)

  1. 벌통을 수용하는 벌통수용부;
    상기 벌통수용부 일측에 상기 벌통 내의 밀랍, 식물성 오일, 프로폴리스, 플라보노이드 계역의 꽃가루, 미네랄, 비타민, 및 유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포함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 일면에 상기 벌통 내의 성분만 배출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여과시켜주는 여과부; 및
    상기 관통홀 타면에 상기 벌통 내의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이송시키는 이송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벌통수용부는 상기 벌통을 수용하고, 상기 벌통 내의 성분이 상기 이송통로 외로는 배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켜주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벌통수용부 하면에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회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벌통 내의 성분이 포함된 공기의 흡입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150817A 2016-11-14 2016-11-14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KR10195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17A KR101951998B1 (ko) 2016-11-14 2016-11-14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817A KR101951998B1 (ko) 2016-11-14 2016-11-14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08A KR20180053808A (ko) 2018-05-24
KR101951998B1 true KR101951998B1 (ko) 2019-02-26

Family

ID=6229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817A KR101951998B1 (ko) 2016-11-14 2016-11-14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S20211566A1 (sr) * 2021-12-21 2023-06-30 Dolasevic Slobodan Sistem za gajenje pčelinjeg društva i dobijanje pčelinjih proizvoda u kućnim uslovim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8800A (ja) * 2012-09-18 2014-04-03 Epia:Kk ホテル、旅館、又は自宅の建屋の構造と、そのベッドルームの構造
CN105396389A (zh) * 2015-11-20 2016-03-16 北京梵谷中科蜂业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气体导出设备及应用其导出蜂箱内气体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770A (ko) 1995-09-27 1999-07-26 클래스 빌헬름슨 흡입 장치
ES2533690T3 (es) 2012-09-13 2015-04-14 Hapella Oy Dispositivo para el cuidado de las enfermedades respiratorias y para la mejora de la función pulmon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8800A (ja) * 2012-09-18 2014-04-03 Epia:Kk ホテル、旅館、又は自宅の建屋の構造と、そのベッドルームの構造
CN105396389A (zh) * 2015-11-20 2016-03-16 北京梵谷中科蜂业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气体导出设备及应用其导出蜂箱内气体的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808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0885B1 (en) Nasal nebulizer
US10668230B2 (en) Particle dispersion chamber for nasal nebulizer
ATE539785T1 (de) Aerosolbildender trockenpulverinhalator
JP6407219B2 (ja) カテーテルガイド構造体
ITBS20130118A1 (it) Apparecchiatura per aerosolterapia a pressione positiva regolabile
KR101951998B1 (ko)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CN106310468B (zh) 一种持续气流雾化器
JP2010264183A (ja) 多機能付予防マスク
WO2007054604A1 (en) Dusting device
US20090105674A1 (en) Snivel aspirator
CN203183443U (zh) 小儿内科用雾化吸入装置
US20180344953A1 (en) Inhalation system
CN205287176U (zh) 一种全自动式可加湿呼吸机面罩
KR102136864B1 (ko) 코 삽입형 마스크 장치
CN104041960A (zh) 防病毒药物治疗口罩
TW584565B (en) Wearable respirator produced medicament
CN211383235U (zh) 一种可控式医疗雾化器
KR101197534B1 (ko) 동물용 조제약 제조장치
SU158842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ечени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дыхательной недостаточности
CN108310552A (zh) 具有预防口腔阻塞的药物雾化吸入装置及吸入方法
WO2020190158A2 (en) Pm mask and inhalation device
TWM611855U (zh) 呼吸道醫療裝置
KR20230137201A (ko) 전자담배 결합형 마스크
CN111744083A (zh) 废气分离处理雾化装置
JP2009095615A (ja) 立体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