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599B1 -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599B1
KR101951599B1 KR1020180097306A KR20180097306A KR101951599B1 KR 101951599 B1 KR101951599 B1 KR 101951599B1 KR 1020180097306 A KR1020180097306 A KR 1020180097306A KR 20180097306 A KR20180097306 A KR 20180097306A KR 101951599 B1 KR101951599 B1 KR 10195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sectors
guide pl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환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송동환
김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환, 김민지 filed Critical 송동환
Priority to KR1020180097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구획된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각각 상이하게 하여 도광판의 출광면(出光面)에 출사되는 출사광의 양 및 그 차에 따른 명도를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상이한 명암을 갖는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는, 일정한 명도를 갖도록 발광하는 광원(100)이 설치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면에 설치되어 측면의 입광면(入光面)을 통해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받은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면의 출광면(出光面)으로 출사시키기 위해 패턴(320)이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단위조명부(310)가 상하 및 좌우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도광판(300)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점을 일 꼭지점으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3개 이상의 섹터로 구획되며, 상기 상하로 반복되는 단위조명부는, 서로 인접되는 단위조명부의 섹터 중 하나가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320)은, 상기 각 섹터마다 상기 출광면으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량 차 내지 명도 차를 발생시켜 무채색을 인식하도록 하여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섹터마다 상기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PRESENTING THE SOLID IMAGES}
본 발명은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구획된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빛의 반사율을 각각 상이하게 하여 도광판의 출광면(出光面)에 출사되는 출사광의 양 및 그 차에 따른 명도를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상이한 명암을 갖는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태양빛으로 충분한 밝기를 얻기 어려울 때 인공적 장치를 설치하여 밝게 해주는 것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빛을 발광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광원의 빛을 입사받아 분포시키기 위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적층되어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의 색온도에 따라 주광색, 주백색 및 전구색 등과 같이 다양한 색광을 표출할 수 있다.
이에, 조명장치는 실내를 밝히는 것 뿐만 아니라 실내 분위기에 따라 색광을 조절하여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하는 조명장치는 공개특허 제10-2016-0117036호(공개일자: 2016년 10월 10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에 있어서, 제1 엘이디본체에 제1 엘이디칩이 장착되고 상부에 제1 포스포(phosphor)가 형성되어 제1 색온도의 백색광을 방출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1 엘이디패키지와, 제2 엘이디본체에 제2 엘이디칩이 장착되고 상부에 제2 포스포(phosphor)가 형성되어 제2 색온도의 백색광을 방출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2 엘이디패키지와, 상기 제1 엘이디패키지와 제2 엘이디패키지가 번갈아 장착되어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매트릭스 회로패턴을 갖는 회로기판부로 구성되어 있는 엘이디모듈 및 상기 제1 엘이디패키지 또는 제2 엘이디패키지에 공급되는 전류를 가변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다수의 엘이디패키지를 통해 다양한 색광을 변경하면서 표출시킬 수 있지만, 회색이나 검은색과 같이 무채색을 표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와 같은 종래 조명장치는 다수의 색광을 표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광원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조명장치는 광원의 색온도에 따라 색광을 표출할 수 있지만, 그 색광에 따른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그림자를 위한 회색이나 검은색과 같은 무채색을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조명장치에도 무채색을 표현하여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빛의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다수개의 섹터로 구분된 단위조명부가 형성된 도광판의 각 섹터마다 출사되는 출사광의 양과 그 차에 따른 명도를 표현하여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캔버스에 마그나펜 기법과 같이 다수의 단위조명부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착시현상을 이용하여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는, 일정한 명도를 갖도록 발광하는 광원(100)이 설치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면에 설치되어 측면의 입광면(入光面)을 통해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받은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면의 출광면(出光面)으로 출사시키기 위해 패턴(320)이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단위조명부(310)가 상하 및 좌우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도광판(300)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점을 일 꼭지점으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3개 이상의 섹터로 구획되며, 상기 상하로 반복되는 단위조명부는, 서로 인접되는 단위조명부의 섹터 중 하나가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320)은, 상기 각 섹터마다 상기 출광면으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량 차 내지 명도 차를 발생시켜 무채색을 인식하도록 하여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섹터마다 상기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광원(100)은, 서로 다른 입광면에 각각 상이한 색온도를 갖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빛의 반사율이 서로 상이한 다수개의 섹터로 구분된 단위조명부가 형성된 도광관에 상기 다수개의 섹터마다 출사되는 광량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색광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회색이나 검은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평면상의 도광판에 명암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 도광판에는 상기 단위조명부가 섹터 간의 명도 차에 의해 입체적인 이미지로 표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캔버스에 마그나펜 기법과 같이 다수의 단위조명부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용이나 비상안내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도광판,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단위조명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1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2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3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1광원과 제2광원의 배치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도광판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단위조명부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1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2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3섹터에 형성된 패턴으로 인해 반사된 빛의 경로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제1광원과 제2광원의 배치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입체적인 이미지가 표출될 수 있는 조명장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발광하기 위한 광원(100)과, 상기 광원(100)이 설치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된 일면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입사광의 반사율를 갖는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단위조명부(310)가 형성된 도광판(300)과, 상기 도광판(300)에서 상기 도광판(300)에서 상기 하우징(200) 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다시 상기 도광판(300)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0)은, 일정한 명도를 갖도록 발광하고, 저전력 소비로 높은 휘도를 발생시키면서 친환경적이고 수명 및 내구성이 우수한 LED로 구성된 LED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원(100)은 LED모듈에 한정하지 않고, 백열등, 할로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원(100)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00)이 다수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100)이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고 있음으로써 추후 도광판에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표출시킬 수 있으며, 색상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싱있습니다.
상기 광원(100)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게 됩니다.
상기 하우징(200)은, 내측면에 상기 광원(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광원(100)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0)은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지하지만, 삼각통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에는 상기 광원(100)의 빛을 입사받기 위한 도광판(3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하면서 상기 광원(100)의 빛을 입사받기 위한 도광판(300)이 설치된다.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광원(100)의 빛을 입사받아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20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를 갖는 사각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판(300)은 하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광판(300)의 측면은 상기 광원(100)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광원(100)의 빛을 입사받는 입광면(入光面)이 되며, 상기 도광판(300)의 상면은 상기 입사받은 빛이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출광면(出光面)이 되게 된다.
상기 도광판(300)은 상기 광원(100)에서 조사되어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받은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기 출광면을 통해 출사되는 출사광을 표출시키기 된다.
상기 도광판(300)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100)에서 조사되어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받은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기 출광면을 통해 출사되는 출사광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단위조명부(3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사광은 상기 광원(100)에서 조사되어 상기 도광판(300)의 입광면으로 입사받은 빛이며, 상기 출사광은 상기 도광판에서 상기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기 출광면으로 출사시키는 빛이다.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서로 다른 입사광의 반사율을 갖는 다수개의 섹터가 구획되고, 상기 각 섹터의 출사광이 서로 다른 광량이 되어 발생하는 명도 차에 의해 상기 출광면에 입체적으로 표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단위조명부(310)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300)에 반복적으로 형성된 단위조명부(310) 간의 간격이 발생하여 실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섹터가 구획되어 형성되며, 중점을 일 꼭지점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섹터마다 서로 다른 광량을 갖는 출사광이 표출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어둡거나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무채색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섹터가 구획된 단위조명부(310)는 상기 도광판(300)에 상하 및 좌우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조명부(310)가 상하로 반복될 경우에는 서로 인접되는 단위조명부의 섹터 중 하나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서로 인접되는 단위조명부(310)의 섹터 중 하나가 중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는 각도에 따라 표출되는 입체적 이미지가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단위조명부(310)가 반복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광판(300)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캔버스에 마그나펜 기법으로 그려진 그림과 같이 상기 도광판(300)에 착시현상을 발생하여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섹터는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중점을 일 상기 입사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패턴(320)이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패턴(320)은, 상기 도광판(300)의 하면에 점 형태(Dot-Print) 또는 선 형태(V-Cut)로 인쇄되어 상기 입사면으로 입사된 입사광을 산란시켜 상기 출광면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입사광은 상기 입광면으로 입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패턴(320)에 의해서만 산란되어 상기 출광면으로 반사된다.
이에, 상기 패턴(320)은 상기 섹터마다 서로 다른 입사광의 반사율을 갖도록 각도가 조절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패턴(320)의 방향이 상기 입사광의 방향과 동일한 선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대부분의 입사광이 상기 패턴(320)에 의해 산란되어 상기 출광면으로 반사되기 때문에 상기 입사광의 반사율이 9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패턴(320)의 방향이 사선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일부의 입사광이 상기 패턴(320)에 의해 산란되어 상기 출광면으로 반사되는 상기 압사광의 반사율이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320)의 방향이 상기 입사광의 방향과 반대인 선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입광면을 통해 입사되는 대부분의 입사광이 상기 도광판(300)을 통과하여 상기 출광면으로 반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입사광의 반사율이 5% 내지 15%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턴(320)은 상기 다수개의 섹터가 서로 다른 입사광의 반사율을 갖도록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다수개의 섹터에 각각 형성된 패턴(320)의 각도에 따른 입사광의 반사율에 의해 상기 도광판(300)의 출광면에 서로 다른 광량을 갖는 출사광이 표출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조명부(310)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점을 일 꼭지점으로 마름모 형상의 제1섹터(311)와, 제2섹터(312)와, 제3섹터(313)로 구획되며, 각 섹터마다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패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섹터(311)에 형성된 패턴(320)의 각도는 상기 출광면에 일정 광량의 출사광이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입사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입사광의 입사방향에 대해 0˚로 형성되며,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섹터(312)에 형성된 패턴(320)의 각도는 상기 제1섹터(311)에서 표출되는 출사광의 광량보다 적은 광량이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입사광의 입사방향에 대해 45˚로 형성되고,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섹터(313)에 형성된 패턴(320)의 각도는 상기 제2섹터(312)에서 표출되는 출사광의 광량보다 적은 광량이 표출될 수 있도록 상기 입사광의 입사방향에 대해 9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섹터(311) 내지 제3섹터(313)는 출사광이 서로 다른 광량으로 되게 하여 발생하는 명도 차에 의해 상기 출광면에 입체적으로 표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섹터(311)는 상기 제2섹터(312)와 상기 제3섹터(313)보다 상기 입사광의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상기 광원(100)의 색광을 표출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상기 광원(100)의 색광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섹터(312)는 상기 입사광의 반사율이 상기 제1섹터(311)보다 낮고 상기 제3섹터(313)보다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1섹터(311)보다 어둡고, 상기 제3섹터(313)보다 밝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회색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섹터(313)는 상기 입사광의 반사율이 상기 제1섹터(311)와 상기 제2섹터(312)보다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1섹터(311)와 상기 제2섹터(312)보다 어둡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검은색으로 인지하게 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섹터(311) 내지 제3섹터(313)가 무채색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명암을 표현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출광면에 입체적인 이미지로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섹터(311) 내지 제3섹터(313)로 구획된 단위조명부(310)로 인해 상기 도광판에 표출되는 출사광의 광량에 따라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명도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2섹터(312)와 제3섹터(313)가 상기 제1섹터(311)의 그림자와 같이 인식될 수 있도록 하여 평면상의 도광판에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섹터에는 서로 다른 색광을 각각 표출시키거나 서로 다른 색광이 혼합된 색광을 표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원(100)은 상기 단위조명부(310)를 통해 상기 도광판(300)에 2개의 색상을 표출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제1광원(100a)과 제2광원(10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100a)과 제2광원(100b)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되도록 상기 도광판(300)의 입광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섹터는 각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의 방향에 따라 산란되고 반사되어 출광면을 통해 출사되는 출사광의 색광이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섹터는 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이 산란되고 반사되어 출광면을 통해 출사될 경우에는 상기 두 광원의 색광이 혼합되어 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광원(100a)의 색온도가 빨간색이고, 상기 제2광원(100b)의 색온도가 녹색이며, 상기 단위조명부(310)가 제1섹터(311)와 제2섹터(312)와 제3섹터(313)로 구분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1섹터(311)는 상기 제1광원(100a)으로부터 조사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의 방향에 대해 0˚의 각도를 갖는 패턴(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섹터(312)는 상기 제1광원(100a)의 입사광의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갖는 패턴(320)이 형성되고, 상기 제3섹터(313)는 상기 제1광원(100a)의 입사광의 방향에 대해 90˚의 각도를 갖는 패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섹터(311)는 상기 제1광원(100a)의 입사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빨간색이 표출되고, 상기 제2섹터(312)는 상기 제1광원(100a)의 입사광과 상기 제2광원(100b)의 입사광이 산란되면서 혼합되기 때문에 노란색이 표출되며, 상기 제3섹터(313)는 상기 제3광원(100)의 입사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녹색이 표출된다.
이에, 상기 단위조명부(310)에는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다수개의 광원을 이용함으로써 채도 차를 발생시켜 평면상의 도광판에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색온도를 갖는 광원을 이용하여 단위조명부(310)의 채도 차에 의해 상기 도광판(300)의 출광면으로 표출시키는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보여지게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광원 중 어느 하나의 광원만 작동시킬 경우에 작동된 광원의 빛만 단위조명부(310)를 통해 표출시킴으로써 이미지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300)에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방향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상기 도광판(300)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시트(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400)는, 상기 도광판(300)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300)의 하면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도광판(300)에 서로 다른 입사광의 반사율을 갖는 섹터를 포함하는 단위조명부(310)가 형성됨으로써 각 섹터마다 상기 출광면으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량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발생하는 섹터 간의 명도 차를 이용하여 평면상의 도광판(300)에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섹터 중 입사광의 반사율이 가장 높은 섹터는 다른 섹터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고, 상기 단위조명부(310)의 섹터 중 입사광의 반사율이 가장 낮은 섹터는 다른 섹터보다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회색이나 검은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평명상에 명암을 표현할 수 있어 입체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300)에 상기 단위조명부(310)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이미지나 메시지 등을 표출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용이나 비상안내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광원 100a: 제1광원
100b: 제2광원 200: 하우징
300: 도광판 310: 단위조명부
311: 제1섹터 312: 제2섹터
313: 제3섹터 320: 패턴
400: 반사시트

Claims (3)

  1. 일정한 명도를 갖도록 발광하는 광원(100)이 설치되고 일면이 개구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면에 설치되어 측면의 입광면(入光面)을 통해 상기 광원(100)으로부터 입사받은 입사광을 반사시켜 상면의 출광면(出光面)으로 출사시키기 위해 패턴(320)이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섹터로 구획된 단위조명부(310)가 상하 및 좌우로 반복되어 형성되는 도광판(300)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조명부(310)는,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중점을 일 꼭지점으로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는 3개 이상의 섹터로 구획되며,
    상기 상하로 반복되는 단위조명부는, 서로 인접되는 단위조명부의 섹터 중 하나가 중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턴(320)은, 상기 각 섹터마다 상기 출광면으로 출사되는 출사광의 광량 차 내지 명도 차를 발생시켜 무채색을 인식하도록 하여 명암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섹터마다 상기 입사광에 대한 반사율이 각각 상이하게 형성되어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100)은, 서로 다른 입광면에 각각 상이한 색온도를 갖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는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3. 삭제
KR1020180097306A 2018-08-21 2018-08-21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95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6A KR101951599B1 (ko) 2018-08-21 2018-08-21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306A KR101951599B1 (ko) 2018-08-21 2018-08-21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599B1 true KR101951599B1 (ko) 2019-02-22

Family

ID=6558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06A KR101951599B1 (ko) 2018-08-21 2018-08-21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8991A (zh) * 2019-11-04 2020-02-11 东莞市堰通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立体图案的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954A (ja) * 2008-06-11 2009-12-24 Chisho Kako Kk 加飾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71442A (ko) * 2008-12-19 2010-06-29 이재식 장식 조명등용 조명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954A (ja) * 2008-06-11 2009-12-24 Chisho Kako Kk 加飾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71442A (ko) * 2008-12-19 2010-06-29 이재식 장식 조명등용 조명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8991A (zh) * 2019-11-04 2020-02-11 东莞市堰通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立体图案的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914B2 (ja) 照明装置
US9326347B2 (en) Light fixture with background display using diffuse pixels between nondiffuse light sources
US7490953B2 (en) Lamps and reflector arrangement for color mixing
RU2527055C2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с фоновыми световыми эффектами
US7148470B2 (en) Optical integrating chamber lighting using multiple color sources
RU2426939C2 (ru) Ламповый узел
US71824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illumination created by an array of light emitting devices
US10364959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11635550B2 (en) Lighting device
CN108692224A (zh) 照明装置及照明系统
JP2018170157A (ja) 光環境演出システム、光環境演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7446B2 (ja) 照明装置
KR101951599B1 (ko) 입체적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
JP2008524877A (ja) 高輝度表示画面をベースにした電子窓
CN217423130U (zh) 一种天空灯
KR20180002213A (ko) 천장등용 이미지패널
JP6887122B2 (ja) 照明システム
JP7190658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CN219976264U (zh) 灯具
CN221171868U (zh) 灯具
JPH09171361A (ja) 調光ビジュアルサイン
CN114729734A (zh) 一种天空灯
CA2452348C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illumination created by an array of light emitting devices
CN117980653A (zh) 人造天窗
CN117321336A (zh) 用于产生动态自然照明效果的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