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95B1 -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95B1
KR101951295B1 KR1020180007694A KR20180007694A KR101951295B1 KR 101951295 B1 KR101951295 B1 KR 101951295B1 KR 1020180007694 A KR1020180007694 A KR 1020180007694A KR 20180007694 A KR20180007694 A KR 20180007694A KR 101951295 B1 KR101951295 B1 KR 101951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fermented
composition
ski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기성
이석원
손근영
손완영
손관영
한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내추럴
Priority to KR102018000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29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us sargentii and deer antl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extracts whose content of active ingredients is increased by using fermented microorganisms in Prunus sargentii and deer antl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using these extracts.

Description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ferns and antler, and a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ferulic extracts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피 및 녹용에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도록 추출하고 이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 및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which comprises a fermented extract of horsetail and ant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which comprises extracting the composition so as to increase the content of the active ingredient using a fermenting microorganis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compositions using these extracts.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는 온도,습도의 변화,자외선,미세먼지,공해물질 등의 외부환경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물리적,화학적 자극,스트레스 및 영양 결핍에 의하여 피부기능을 저하시키고 또한 탄력 저하,각질화,주름 생성 등의 피부 노화현상을 유발한다.Generally, human body skin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external environmental stimuli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change, ultraviolet ray, fine dust, and pollutants. It is degraded by external physical, chemical stimulation, stress and nutritional deficiency. And causes skin aging phenomena such as elasticity deterioration, keratinization, and wrinkle formation.

상기와 같은 피부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건강한 피부와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동,식물과 미생물 등으로부터 획득한 생리활성물질의 첨가 및 혼합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skin aging phenomenon as described above and to maintain a healthy skin and elastic skin,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obtained from various copper, plants, microorganisms and the like is added and mixed cosmetics are used to maintain the natural function of the skin, Researches and developments are underway to effectively inhibit skin aging.

상기의 피부노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어러가지의 새로운 천연 물질을 개발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 물질들은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문제 화장료에 배합시 발생하는 제형 및 안전성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inhibit the aging of the skin, new natural substan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However, these substances have insufficient whitening effect, and safety against skin has been limited due to formulation problems and safety problems in formulation into cosmetics It is true.

또한, 외용제 특히 화장품으로 사용할 경우 흡수가 되지 않아 원하는 피부 개선효과를 거의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양한 전달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리포좀과 같은 약물 운반체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is used as an external preparation, particularly a cosmetic composition, the composition is not absorbed and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desired skin improvement effect. Thus, various methods of delivery have been studied, and studies using drug carriers such as liposomes are actively under way.

리포좀(liposome)은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인공적으로 제조된 소포로서, 생체 세포막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리포좀은 생체 세포막의 주요 성분인 인지질로 구성되어 생체 친화적이며, 수용액 상에서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을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싼 캡슐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리포좀은 이중층 구조 내에 원하는 유용 물질(약물, 영양물 등)을 저장할 수 있어, 불안정하고 취급이 어려운 물질을 세포내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리포좀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형이 불안정하고, 포집 효율이 매우 낮다는 등의 문제뿐만 아니라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 방부제 등이 피부 자극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리포좀의 원료로 사용되는 콜레스테롤은 리포좀의 지질막을 견고하게 형성하여 포집 물질의 방출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포집 물질의 세포막 투과율을 낮춘다는 문제점이 있다. Liposome is an artificially produced vesicle composed of a lipid bilayer, and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a vital cell membrane. The liposomes are biocompatible and composed of a phospholipid,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a vital cell membrane, and exist in the form of capsules in which a hydrophilic and hydrophobic substance in an aqueous solution is surrounded by a lipid bilayer of liposome. Such liposomes are capable of storing desired useful substances (drugs, nutrients, etc.) in the bilayer structure, and are capable of transporting unstable and difficult-to-handle substances into cells. 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the liposome h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formulation is unstable, the collection efficiency is very low, but also the solvent and preservative used for liposome production cause skin irritation. In addition, the cholesterol used as a raw material of the liposome has a problem that it forms a liposome lipid membrane firmly and hinders the release of the trapping material and lowers the cell membrane permeability of the trapping material.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면서도 피부 탄력 및 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피부 외용제 추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ors aim to provide a new skin external drug extract material which can safely extract natural products and maximize skin elasticity and improvement effects.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새로운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intend to provide a novel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a fermented extract of fern and antler.

또한, 본 발명은 (a) 화피 및 녹용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comprising: (a) fermenting a mixture of fennel and antler;

(b) 상기 발효물에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fermentation product with a solvent; And

(c) 상기 추출물을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c) collecting the extract with liposomes.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 탄력을 증가시키고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에 유래한 것으로 안전하면서도 부작용이 없고 항노화 활성을 가지는 화장용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ere supplied to improve skin elasticity and wrinkl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and can be used safely as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no side effects and having an anti-aging activity.

도 1은 실험예 5에서 피험자 1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B): 도포 전, (C), (D): 도포 후)
도2는 실험예 5에서 피험자 2에 대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과 후의 사진을 보여주는 것이다.((A), (B): 도포 전, (C), (D): 도포 후)
1 shows photograph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eriment 1 in Experimental Example 5 ((A), (B): before application, (C), (D)
2 shows photograph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eriment 2 in Experimental Example 5 ((A), (B): before application, (C), (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a fermented extract of horsetail and deer antler.

화피(Prunus sargentiiRehder)는 산벚나무의 껍질로 장미과의 잎지는 넓은잎 큰키나무로 줄기가 곧게 올라와 키 20m 정도로 자란다. 줄기 중간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고 옆으로 비스듬히 뻗어 위쪽이 빗자루를 거꾸로 세워 놓은 듯한 원뿔 모양이 된다. 산 1,600m 이하의 고지의 숲속, 계곡가, 바닷가에 서식한다. 주로 깊은 산 600m 고지에서 볼 수 있다. 줄기껍질이 가로로 튼 듯한 긴 껍질눈이 줄무늬처럼 나 있다. 4~5월에 잎 달리는 자리에 어린 잎과 함께 또는 잎보다 조금 먼저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핀다. 꽃자루가 2~3개 모여서 우산살처럼 벌어진 끝에 지름 2.5~4㎝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5장이다. 꽃받침잎은 5갈래로 갈라지며 붉은 갈색을 띤다. 수술이 많다. 향기가 없다. 길이 8~12㎝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이 점점 뾰족해지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날 모양의 겹톱니가 있다. 어릴 때는 불그스름하고 끈끈한 털이 있으며 점차 앞면이 짙은 녹색이 된다. 뒷면은 희다. 잎자루는 붉은빛을 띠고 털이 없으며 위쪽에 붉은빛을 띤 한 쌍의 꿀샘이 있다. 가을에 노랗다가 붉은색으로 물든다. 5~6월에 단단한 핵으로 싸인 씨앗이 있는 둥근 열매가 노란 붉은색에서 검은 갈색으로 여물며 윤기가 있다. 어린 나무는 검붉은 자줏빛 도는 갈색을 띤다. 매끄러우면서도 옆으로 길게 난 껍질눈이 많다. 묵을수록 갈색빛 도는 짙은 회색이 되며 밝은 회색의 얼룩이 생기며 껍질눈 자리가 옆으로 벗겨진다. 고목이 되면 껍질이 얕게 비늘처럼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밝은 노란색을 띤다. 안쪽에는 노란 갈색의 넓은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는 노란 연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다. 햇가지는 윤나는 붉은 자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빛 도는 연한 갈색이 된다. 묵으면 자줏빛 도는 짙은 회색을 띠며 허연 껍질눈이 있다. 굵은 편이며 조금 모가 나 있다. 아래가 좁고 끝이 뾰족한 원뿔 모양이다. 붉은빛 도는 갈색을 띤다. 약용: 기관지염, 방광염, 장염, 불면증 식용: 과실 줄기 속껍질 · 잔가지(화피, 櫻皮) 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기관지염, 방광염, 장염에 말린 것 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열매(야앵화, 野櫻花) 봄~여름에 채취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쓴다. 불면증에 말린 것 5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생것을 버찌라 하여 과실로 먹는다. 산에서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높이 15m에 이르는 큰 나무도 있다. 줄기는 비교적 낮은 자리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많은 가지를 친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계란 꼴로 5~8cm의 길이를 가진다. 잎 밑동은 둥그스름하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고르게 배열된다. 어린잎은 붉은빛을 띠며 양면에 잔털이 많이 나 있으나 자라면 잎맥 위에만 남는다. 꽃은 짧은 가지 끝에 잎과 함께 2~3송이씩 피는데 4cm를 넘는 기다란 꽃자루를 가진다. 지름 3.5cm 안팎인 꽃의 빛깔은 연분홍빛이다. 꽃이 지고 난 뒤에는 지름이 6mm쯤 되는 둥근 열매를 맺는데 익으면서 붉게 물들었다가 검은색으로 변한다.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록지대의 숲 속에 난다. 화피(櫻皮). 화피(樺皮)라고도 한다. 가지의 껍질을 약재로 쓴다. 털산벚나무, 왕산벚나무, 벚나무, 좀벚나무 등도 함께 쓰인다. 생육기간 중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거친 부분을 벗기고 잘게 썰어서 쓴다. 텔리키닌(Thelykinine), 코우마린(Coumarin), 플로르리진(Phlorrhizin), 아미그달린(Amygdalin), 말릭산(Ma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진해, 해독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기침, 담마진(두드러기), 피부염, 가려움증 등이다. 기침을 멈추게 하기 위해서는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하며 또는 약재를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Peony (Prunus sargentiiRehder) is a bark of a mountain cherry tree. It grows up to 20 meters tall with a stem of a broad-leaved large-leaved tree with rose leaves. There is a lot of branches in the middle of the stem, and it spreads obliquely to the side, and the upper part becomes a conical shape like a broom turned upside down. Inhabits in forests, valleys, and beaches of highland 1,600m or less in mountains. It can be seen mainly in the 600m high mountain. The skin of the stem has long horizontal bark like stripes. Between April and May, blossom in pink or white, with young leaves in the leaf running spot, or slightly before the leaves. Two or three flower stalks are gathered, and like the umbrella fern, flowers with a diameter of about 2.5 ~ 4㎝ run on the end. There are five petals. Calyx leaf is divided into 5 branches and is reddish brown. There are many surgeries. There is no scent. Leaves 8 ~ 12㎝ long are hanging on branches. It has an oval shape with a sharp tip and a sharp saw blade-like sawtooth on the edge. When it is young, it has reddish and sticky hairs, and its front side becomes dark green gradually. The back side is white. The petiole is reddish, hairless, and has a pair of reddish-blue nymphs on its upper side. It is yellow in autumn, and dyes in red. Round fruit with seeds sealed with a solid nucleus in May to June is yellowish red to blackish brown and shiny. Young trees are dark reddish brown. It is smooth and there are many peel eyes that are long side. As you stay, the color becomes brown or dark gray, with light gray stains and peeled eyes peeled off to the side. When it becomes a dead wood, its skin divides like shallow scales. The edges are bright yellow. Inside there is a wide core of yellowish brown. In the middle, there is a small yellowish brown color. The branches are reddish purple and gradually reddish and light brown. When you stay, it is purplish and dark gray and has peeled eyes. It is thick and it is a little bit hard. It is a conical shape with a narrow bottom and a pointed end. It is reddish or brownish. Medicinal use: bronchitis, cystitis, enteritis, insomnia Edible: fruit stem skin, twig (uff, 櫻 皮) Take it in spring and dry it in the windy shade. Bronze, cystitis, intestinal inflammation 5g dried in water to 700 ml, dalyeoseo drink. Fruit (Yaotong, 櫻 草 花) It is collected in spring ~ summer and dries in the shade where wind is well. 5 g of insomnia dried in water 700 ml, then drink dalyeoseo. The raw cherries are eaten as fruits. It is a deciduous broad-leaved tree that grows in the mountains. The stem divides into several branches from a relatively low position and strikes many branches. Leaves are placed alternately and have an egg length of 5-8cm. The base of the leaf is rounded, the tip is pointed, and small sawtooth is evenly arranged on the edge. The young leaves are reddish and have fine hairs on both sides. The flowers bloom with 2-3 leaves with leaf at the end of short branch and have long peduncle with more than 4cm. The color of the flower, about 3.5cm in diameter, is pale pink. After the flowers are bloomed, they are reddish as they grow in round fruit with a diameter of about 6mm and turn black. It i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lies in the forests of the mountain forests. The fur (桜 peel). It is also called 火 皮. I use the shell of eggplant as medicine. Cherry blossoms, cherry blossoms, cherry blossoms, and some cherry blossoms. Collect during the growing season and dry in the sun. Peel off the rough parts and cut into small pieces. Theylkinine, Coumarin, Phlorrhizin, Amygdalin, Malic acid and the like are contained. Jinhae, has the efficacy of detoxification. Applicable diseases are cough, urticaria (dermatitis), dermatitis and itching. To stop coughing, take 4 to 8 grams of dried medicines at a time with 200 cc of water, or take the medicinal product with a powder.

화피의 유효성분은 특히 각종 피부염이나 여드름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시키고 피부를 윤택하고 탄력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The effective ingredient of the herb improves skin diseases such as various dermatitis and acne, and acts to make the skin moist and elastic.

녹용(鹿茸)은 사슴과(Cervidae)의 매화록(梅花鹿), 마록(馬鹿), 대록(大鹿)의 수사슴의 털이 빽빽하게 나고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만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이다. 사슴은 보통 태어나서 3년 정도 되면 뿔을 자를 수 있는데, 그 뿔이 자라는 힘이 대단하여 모든 약력(藥力)을 이끌고 위로 올라가는 힘이 강하다. 따라서 뿔의 가장 끝 가지가 약재로서 가장 좋다고 볼 수 있다. Deer antler is dried after cutting deer horns of deer and plum blossoms, 丸花, 大 鹿, and deer hairs in dense, unbroken or slightly ossified young horns. A deer is usually born and can cut its horn in about three years. The strength of the horn grows so strong that it leads to all the pharmacists. Therefore, the tip of the horn is the best medicine.

녹용의 주요 성분은 여러 가지 유리 아미노산과 다당류,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GAGs),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케라틴(keratin), 시알산(sialic acid), 콜레스테롤(cholesterol), 지방산, 인지질, 무기질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녹용의 부위별 유효 성분의 분포를 살펴보면, 화학 성분의 지표인 콜라겐, 회분,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 성분은 녹용의 하대 부위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높아지고, 단백질, 지방, 글리코사미노글리칸, 시알산, 우론산(uronic acid) 등의 활성성분 함량은 감소한다. The main ingredients of antler are various free amino acids and polysaccharides, glycosaminoglycans (GAGs), hyaluronic acid, keratin, sialic acid, cholesterol, fatty acids, phospholipids , Inorganic components, and the like. A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each part of the antler, the content of collagen, ash, calcium and other mineral components, which are indicator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increases as the area of the antler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antler, and the content of the protein, fat, glycosaminoglycan, , Uronic acid and the like are decreased.

녹용은 매화록(梅花鹿, CervusnipponTemminck)의 화녹용(花鹿茸), 마록(馬鹿, CervuselaphusLinne)의 마녹용(馬鹿茸), 대록(大鹿, CervuscanadensisErxleben)의 대녹용(大鹿茸)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을 녹용이라 하고 이미 골질화된 것은 녹각(鹿角)이라 한다. 이 녹각을 물로 끓여서 농축하여 만든 아교질 덩어리를 녹용(鹿角膠)라 한다.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antler antler in Cervusnippon Temminck, Cervuselaphus Linne and Cervuscanadensis Erxleben. have. The young horn, which is not yet ossified or slightly ossified, is called antler, and the one that is already ossified is called the 鹿角. This clay is made by boiling in water and is made into a thickened collagen mass.

사슴 뿔을 선단부터 종(縱)으로 보았을 때 녹용분골(tip), 녹용상대(upper section), 녹용중대(mid section), 하대(base)의 네 부위로 나눈다. 이 규격 기준을 적용하면 대략적으로 녹용분골 및 상대는 녹용, 중대는 녹용각, 하대는 녹각의 범주에 속한다.When you look at the antlers from the tip to the tail, divide them into four parts: antler, tip, upper section, mid section, and base. According to this standard, the antler of the antler and the antler of the antler belong to the categories of antler, the antler, and the antler.

녹용 절편은 녹용을 적당한 방법으로 털을 제거한 다음 얇게 썬 것이다. 녹용 절편의 성상은 두께가 1~3mm 정도로 얇게 썰어 건조한 타원형 절편이다. 절단면 바깥 면은 황갈색이나 흑갈색을 띠고 절단면 안쪽은 엷은 황색이나 적갈색 또는 회백색이나 적갈색을 띠고 부서지기 쉽다. 무게는 가볍고 촉감은 비교적 딱딱하며 미세한 구멍들이 많이 있어 해면상을 이루고 있고 특이한 냄새가 있다. The antler pieces will be thinned by removing the hair from the antler by a suitable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tler are as thin as 1 ~ 3mm in thickness and dried. The outer surface of the cut surface is yellowish brown or dark brown. The inside of the cut surface is pale yellow, reddish brown or grayish white or reddish brown, and is easily broken. The weight is light, the touch is relatively hard, there are many fine holes, and the spongy shape is formed and there is a peculiar smell.

① 녹용을 약재로 사용할 때에는 건조한 녹용의 표면에 있는 털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유리 칼로 털을 제거하거나 혹은 불에 살짝 태운 후 검댕을 유리 칼로 긁어낸다.① When using the antler as a medicine, remove the hair on the surface of the dried antler, remove the hair with a glass knife or lightly burn it and scour it with a glass knife.

② 녹용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황주를 뿜어서 놓아두거나 술을 약간 부어 담아둔다.② Cut the antler into a suitable size and let the yellow juice leave it or let it pour a little alcohol.

③ 살짝 찐 후 얇게 잘라 건조시키면 이를 녹용 절편이라 부른다.③ When lightly steamed, cut thinly and then dried, it is called antler.

녹용의 가공 방법에 따라 본초연의(本草衍義)에서는 녹용의 털을 제거한 것을 녹용(鹿茸)이라 하였으며, 뇌공포자론(雷公炙論)에서는 녹용을 분말로 가공한 것을 녹용분(鹿茸粉)이라 하였고, 증준승(證準繩)에서는 우유즙에 가공한 것을 유제녹용(乳制鹿茸)이라 하고, 박방(博方)에서는 술을 이용하여 가공한 것을 주녹용(酒鹿茸)이라고 불렀다고 기록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antler, it is called antler (deer antler) in which the antler of the antler is removed in the first precession, and antler antler (powder of antler antler) (证准 繩), milk juice was processed into an emulsion antler (制 制 茸 茸 茸) and in the case of 方 方 (博 方) processed by using alcohol was called a main antler .

화피와 녹용의 유효성분은 항산화활성, 항균활성 및 함염증 작용을 통하여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active ingredients of horny and deer antioxidant,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on increase skin's shine and elasticity and maintain healthy skin.

본 발명은 화피 및 녹용 혼합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혼합비율은 건조 중량으로 대비하여 각각 3:1의 조성이 되는 것이다. 이들 외에 선택적으로 애인, 시호, 단삼, 진피, 당귀, 귤피, 황기, 백출 및 생지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상의 약재가 추가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comprising a fermented extract of a mixture of an epidermis and an antler as an active ingredient. Preferably, the mixing ratio thereof is 3: 1 in terms of dry weight. In addition to these, one kind of pharmacological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over, Shiho, Dansam, Dandelion, Angelica gigas, Citrus peony, Hwanggi, Baekjang and Baiji can be added.

또한, 본 발명은 (a) 화피 및 녹용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ermented beverages comprising: (a) fermenting a mixture of fennel and antler;

(b) 상기 발효물에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fermentation product with a solvent; And

(c) 상기 추출물을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 collecting the extract with liposomes.

상기 (a) 단계는 본 발명의 화피 및 녹용의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이며,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효모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효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이며, 화피 등에 함유된 아미노산이나 콜라겐의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손실없이 빠르고 균일하게 유효성분을 함유하도록 함으로써 약리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발효는 20 내지 50 ℃의 온도 조건 하에서 pH 5 내지 7을 유지하면서, 1 내지 6일간 발효시켜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에서 pH 6에서 5일간 발효시키는 것이다. 발효가 1일보다 적으면 충분한 발효가 일어나지 않으며, 6일을 초과하는 경우 부패의 우려가 있다. 일예에서는 유산균으로 발효시킬 수 있다.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이다.The step (a) is a step of fermenting the mixture of the fern and the ant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uses a fermenting microorganis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subtilis, yeast, and mixtures thereof,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pharmacological effect by allowing the active ingredient to be contained quickly and uniformly without loss. The fermentation can be obtained by fermenting for 1 to 6 days while maintaining the pH at 5 to 7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20 to 50 ° C, preferably fermenting at pH 6 for 5 days at 40 ° C. If the fermentation is less than 1 day, sufficient fermentation will not occur, and if it is more than 6 days, there is a fear of corruption. In one example, fermentation can be performed with lactic acid bacteria. The lactic acid bacteria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eptococcus spp., Lactococcus spp., Enterococcus spp., Lactobacillus spp., Pediococcus spp., Leuconostoc spp., Weissella spp. ) And Bifidobacterium genu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re preferably, it is Lactobacillus acidophilus.

상기 발효물에 효소반응을 높이기 위하여 당 및 미생물을 혼합할 수 있으며, 이때 이들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발효물 : 당 = 1 : 0.5 내지 2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생물의 사용량은 상기 1차 발효물과 당을 혼합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5 중량%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추가로, 발효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차 발효를 시킨 후 멸균과정을 거치고 이후 2차 당과 미생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1차 발효와 동일한 조건으로 2차 발효를 시키는 경우 효소 반응을 촉진시켜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To increase the enzyme reaction in the fermented product, sugar and microorganisms may be mixed. The mixing ratio of the fermented product and the microorganism is preferably 1: 0.5 to 2 based on the weight ratio, It is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ea fermentation product and sugar.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fermentation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fermentation and sterilization, and then the second fermentation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 as the first fermentation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sugar and the microorganism are mixe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b)단계는 상기 발효물을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발효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며, 이때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추출 용매를 상기 발효물에 가하여 고온에서 저압 또는 고압 조건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물(또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추출 효율, 조성물의 효능 또는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용매의 양은 추출 대상 약재의 건조 중량 대비 1 내지 50배 정도 사용할 수 있다.In the step (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ation product is extracted, and the active ingredient is extracted from the fermentation product, and the extract may b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 That is, a method may be employed in which an extraction solvent is added to the above fermentation product and extraction is carried out at a low temperature or a high pressure under a high temperature. As the extraction solvent, for example, water (or purified water), a lower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a mixed solvent obtained by mixing them can be use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amount of the solvent to be used, but the amount of the solvent may be about 1 to 50 times the dry weight of the drug substance to be extracted, considering the extraction efficiency, the efficacy or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composition, and the like.

일 구현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피 및 녹용(이때, 각 약재는 추출 전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잘게 자른 것을 이용할 수 있다)를 적정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화피와 녹용을 함께 추출하여 추출 당시부터 각 추출물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extracting using a suitable solvent and then mixing it with a suitable solvent, such as herbal and antler, wherein each medicament may be ground or chopped with a grinder prior to extraction, The antler extract can be extracted together, and the extracts can be prepared in a mixed form from the time of extraction.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추출물은 건조 중량의 1 내지 20 배의 중량(v/w)의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10 내지 100 ℃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건조 중량의 10 내지 15배의 중량의 용매를 가한 후 90 ℃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xtra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v / w) by weight of dry weight, anhydrous or lower alcohol of 1-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Is prepared by extracting an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butyl acetat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mixtures thereof at 10 to 100 ° C for 2 to 5 hours, 15 times the weight of the solvent is added, and the mixture is extracted at 90 DEG C for 3 hours.

본 발명의 용매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에틸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한다.The sol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an anhydrous or lower alcohols having 1-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yl acetat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 More preferably extracted with butyl acetate,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or water, and most preferably extracted with diethyl ether.

한편, 상기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한 후 이러한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powder after the powder is prepared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freeze-drying, or spray drying.

일구현예에서는 외용제는 피부의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하는 항노화를 위한 외용제 조성물이다. 더 상세하게는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탄력과 주름 개선효과를 달성하는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preparation is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anti-aging which improves skin elasticity and wrinkles. More specifically, it promotes collagen production, thereby achieving skin elasticity and wrinkle-reducing effect.

본 발명의 추출물은 외용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1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며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 양으로 함유한다, 상기 화피 11의 함량이 0.001중량%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피부 탄력효과를 크게 얻을 수 없고 , 5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001 to 10% by weight, more preferably 0.0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If the content of the flour 11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effect of skin elasticity by the skin can not be obtained largely. If it exceeds 5% by weight, the increase of the effect is not so large compared with the increase of the content, which is rather inefficient.

또한, 본 발명의 (c)단계는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 리포좀은 피부에 전달을 더욱 쉽게 만들고, 안정화시키며, 약리 물질의 피부전달에 중요한 지점인 인지질에 구성되는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 구조와 유사한 구조와 조성으로 구성(Ceramide/Cholesterol/Phospholipid complex)되며, 세라마이드와 콜레스테롤이 피부의 보습효과를 부여하고 항산화제인 Vitamin-E Acetate가 피부 항산화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tep (c)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llecting the extract prepared in the above step with liposomes. The extract liposome is composed of ceramide / cholesterol / phospholipid complex, which is similar in structure and composition to skin structure, by using a substance constituting phospholipid, which is an important point for skin transfer to the skin, , Ceramide and cholesterol give skin moisturizing effect and Vitamin-E Acetate, an antioxidant, helps skin antioxidant.

본 발명에 따른 포집 물질은 유화제 및 용매를 함유하는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 내부에 포집되는 물질로 화피, 녹용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발효 추출물이다. The captur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ce to be captured in the lipid bilayer of the liposome containing the emulsifier and the solvent, and is any fermentation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el, deer antler and mixtures thereof.

유화제는 인지질과 지방산을 포함한 것으로, 지질 이중층을 구성한하는 것이다. 상기 인지질로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 콩유래),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안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이 사용될 수 있다.Emulsifiers contain phospholipids and fatty acids, which constitute a lipid bilayer. Examples of the phospholipid include 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derived from soybean),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glycerol, and phosphatidylinositol ) May be used. Hydrogenerated phosphatidylcholine, which is preferably excellent in oxidation stability, may be used.

상기 지방산으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 콩유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The fatty aci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derived from soybean) .

유화제 외에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매는 상기 유화제의 지질 이중층이 포집 물질을 둘러싼 캡슐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용매로는 증류수, 천연 유래의 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및 발효 주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증류수가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emulsifier, a solvent may be used, and the solvent is such that the lipid bilayer of the emulsifier is in the form of a capsule surrounding the capture material. As the solven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stilled water, natural butylene glycol, propanediol, glycerin and fermented alcohol can be used. Preferably, distilled water, glycerin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distilled water can be used.

상기 유화제는 전체 유화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인지질 70 내지 90 중량% 및 지방산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의 함량은 전체 추출물 함유 리포좀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함량은 전체 화피 등의 발효 추출물 함유 천연 리포좀의 중량을 기준으로 유화제 및 추가 성분을 제외한 잔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mulsifier may be 70 to 90% by weight of the phospholipid and 1 to 5% by weight of the fatty acid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emulsifier. The content of such an emulsifier is preferab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whole extract-containing liposo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the balance excluding the emulsifier and the additional components based on the weight of the natural liposom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extract such as whole horns.

또한, 상기 유화제 외에 지방산, 코팅제, 방부제 등이 1종 이상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물질이 가해질 경우 이들의 함량은 유화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emulsifier, one or more kinds of fatty acids, a coating agent, and an antiseptic may be further included. When the additional substance is added, the content thereof may be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emulsifier.

이러한 화피 등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화제 0.1 내지 10 중량%,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 0.1 내지 30 중량%, 방부제 0.001 내지 3 중량%, 및 용매 잔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posom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extract such as the husk contains 0.1 to 10% by weight of the emulsifier based on the total weight, 0.1 to 30% by weight of the ferment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0.001 to 3% by weight of the preservative, .

리포좀의 포집방법은 고압형 유화기(microfluidizer)또는 초음파 파쇄기 와 같은 높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공정의 단계가 변형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혼용되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of collecting liposomes is to uniformly produce liposomes using high energy such as a high pressure type microfluidizer or an ultrasonic wave shred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roduction method, and the steps of each process may be modified or optionally mixed as necessary.

고압형 유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1) 지질 안정화부 및 친수성 활성화 물질을 70℃~80℃ 범위에서 지질농축부 및 친유성 활성 물질부를 45℃~50℃ 범위에서 녹여서 용해하는 단계, 2) 지질농축부에 친유성 활성물질부를 용해시킨 후 지질 안정화 부에 첨가하여 교반기(Agitator)로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3) 상기 혼합물에 친수성 활성 물질부를 투입하여 1,000~2,000 rpm의 회전속도로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는 단계, 및 4) 고압형 유화기를 이용하여 3~4회의 유화에 의하여 리포좀으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dissolving the lipid stabilizing portion and the hydrophilic activating material in a range of from 45 ° C to 50 ° C in the range of 70 ° C to 80 ° C and dissolving the lipid thickening portion and the lipophilic active material portion in the range of 45 ° C to 50 ° C, 2) Adding the lipophilic active material part to the lipid stabilizing part and stirring the mixture at a rotation speed of 1,000 to 2,000 rpm with an agitator to uniformly mix the lipophilic active material part; 3) adding a hydrophilic active material part to the mixture, and 4) forming liposomes by emulsification three to four times using a high-pressure emulsifi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초음파 방법으로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다. 일 예로, 1) 유화제를 용매와 혼합한 후 35 내지 80 ℃에서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 2) 상기 1단계의 혼합물에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첨가한 후 35 내지 80 ℃에서 초음파 처리하는 제2단계, 3) 상기 2단계 이후, 온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반복적인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 단계 이후 혼합물에 코팅제 또는 방부제를 첨가한 후 35 내지 80 ℃에서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erment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liposomes by an ultrasonic method. For example, 1) mixing an emulsifier with a solvent and then subjecting the mixture to an ultrasonic treatment at 35 to 80 ° C, 2) adding a ferment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ixture of the first step, and then ultrasonically treating the mixture at 35 to 80 ° C , And 3) repeatedly performing ultrasonic treatment while gradually lowering the temperature after the second step. More preferably,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adding a coating agent or an antiseptic to the mixture after the step 2), followed by ultrasonic treatment at 35 to 80 ° C.

상기 초음파 처리는 천연 유화제와 용매가 혼합된 혼합물을 균질화하기 위한 작업으로, 초음파 파쇄기(Ultrasonic Liquid processor)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인지질과 지방산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증류수, 천연 유래의 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발효 주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단계에서 이러한 유화제와 증류수를 혼합한 다음, 이를 35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로 가온한 후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증류수 내에 천연 유화제의 인지질과 지방산을 균질화한다. 2단계에서는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에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첨가한 후 35 내지 80 ℃에서 초음파 처리한다.The ultrasonic treatment is a work for homogenizing a mixture of a natural emulsifier and a solvent, and an ultrasonic liquid processor may be used. As the emulsifier, one or more emulsifiers including a phospholipid and a fatty acid may be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distilled water, natural butylene glycol, propanediol, glycerin, fermented alcohol, and the like. In step 1, the emulsifier and distilled water are mixed, and the mixture is heated to 35 to 80 ° C, preferably 40 to 70 ° C, and then subjected to ultrasonic treatment to homogenize the phospholipid and fatty acid of the natural emulsifier in the distilled water. In the second step, the ferment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mixture of the first step and sonicated at 35 to 80 ° C.

상기 추출물은 약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는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추출 용매와 혼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할 경우, 화피등의 발효 추출물과 증류수의 혼합비율은 중량비 기준으로 추출물 : 용매 = 0.1 ~ 5 : 1이고, 바람직하게는 1 : 1이다.The extract can be extracted at room temperature or by heating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ctive ingredient is not destroyed. The extract may be in admixture with an extraction solvent. When distilled water i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the mixing ratio of the fermentation extract such as hulls and distilled water is 0.1: 5 to 1: 1, preferably 1: 1, on the basis of the weight ratio.

이러한 화피등의 발효 추출물과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을 혼합한 다음, 이를 35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로 가온한 후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추출물의 크기를 작게 줄이면서 이를 함유하는 리포좀을 형성한다. The mixture of the fermentation extract such as horsetail and the first step is mixed and then heated to 35 to 80 ° C, preferably 40 to 60 ° C, and then subjected to ultrasonic treatment to reduce the size of the extract and the liposome .

3단계에서는 상기 제2단계 이후에 온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반복적인 초음파 처리하는 것으로 리포좀은 온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0 ℃에서 최종적으로 1 내지 10 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된 입자를 보다 작고 균일한 최종 리포좀을 제조한다. 상기 초음파 처리는 원하는 입자 크기의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회로 실시할 수 있다.In step 3, the liposome is subjected to repeated ultrasonic treatment while gradually lowering the temperature after the second step, and the liposome is preferably heated at 35 to 70 DEG C for 1 to 10 minutes, preferably 3 to 8 minutes To produce a smaller and more uniform final liposome of the particles formed in the fourth step. The ultrasonic treatment may be repeatedly performed to produce a liposome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and preferably one to three tim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은 추출물을 포집하는 지질 이중층이 둘러싼 캡슐 형태로서, 추출물을 세포내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이 세포에 전달될 경우에는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과 세포막이 용이하게 결합하면서 추출물의 세포 흡수율이 높아지므로, 콜라겐의 생성 효과 등 피부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posome containing the ferment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capsule surrounded by a lipid bilayer that collects the extract, and can easily deliver the extract into cells. When the liposome is delivered to the cells, the lipid bilayer and the cell membrane easily bind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cell uptake of the extract, thereby maximizing the skin improvement effect such as the collagen production effect.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는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in 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for improving skin diseases. 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mulations of a soft lotion, a nutritional lotion, a nutritional cream, a massage cream, an essence, an eye cream, a cleansing cream, a cleansing foam, a cleansing water, a pack, a spray and a powder.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로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 시 인체가 적용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중량 % 내지 약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 %로 포함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 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 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A compound or composition which is an already known and used composition which can be contained in cosmetic preparations as an acceptable carrier in cosmetic preparations, or which is a compound or composition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which may contain no toxicity, instability or irritability as far as the human body is applicable on contact with the skin have. The carrier may be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mount of about 1% by weight to about 99.99% by weight, preferably 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However, since the ratio depends on the formulation described above in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and on its specific application site (face, neck, etc.) or its desirable application amoun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워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includes lotion, nutritional lotion, nutrition essence, massage cream, cosmetic bath additive, body lotion, body milk, bath oil, baby oil, baby powder, shower gel, shower cream, sunscreen lotion, sunscreen cream, Skin cream, hand lotion, hair lotion, cosmetic cream, jasmine oil, bath soap, skin lotion, skin cream, sunscreen cosmetics, cleansing milk, , Soap, soap, shampoo, hand cleanser, medicinal soap {non-medical use}, cream soap, facial wash, hair rinse, cosmetic soap, tooth whitening gel, toothpast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ppropriat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cosmetics.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내에 더 추가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정제수, 오일, 왁스, 지방산, 지방산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흡습제(humectant), 증점제, 항산화제, 점도 안정화제, 킬레이팅제, 완충제, 저급 알콜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백제, 보습제, 비타민, 자외선 차단제, 향수, 염료, 항생제, 항박테리아제, 항진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which may further be added to 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urified water, oil, wax, fatty acid, fatty acid alcohol, fatty acid ester, surfactant, humectant, thickener, antioxidant, Chelating agents, buffering agents, lower alcohols, and the like. Further, if necessary, it may contain a whitening agent, a moisturizing agent, a vitamin, an ultraviolet screening agent, a perfume, a dye, an antibiotic, an antibacterial agent, and an antifungal agent.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alcohols, oils, surfactants, fatty acids, silicone oils, wetting agents, moisturizers, viscosifying agents, emulsifiers, stabilizers, sunscreens, coloring agents and flavoring agents.

상기 오일로서는 수소화 식물성유, 피마자유, 면실유, 올리브유, 야자인유, 호호바유, 아보카도유가 이용될 수 있으며, 왁스로는 밀랍, 경랍, 카르나우바, 칸델릴라, 몬탄, 세레신, 액체 파라핀, 라놀린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oil, hydrogenated vegetable oil, castor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palm oil, jojoba oil and avocado oil may be used. Examples of the wax include wax, wax, carnauba, candelilla, montan, ceresin, liquid paraffin, Can be used.

지방산으로는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올레산이 이용될 수 있고, 지방산 알콜로는 세틸 알콜, 옥틸 도데칸올, 올레일 알콜, 판텐올, 라놀린 알콜, 스테아릴 알콜, 헥사데칸올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당업계에 알려진 양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가능하며 가능한 한 천연물 유래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As the fatty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oleic acid may be used. As the fatty acid alcohol, cetyl alcohol, octyldodecanol, oleyl alcohol, panthenol, lanolin alcohol, stearyl alcohol and hexadecanol may be used As fatty acid esters,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and butyl stearate may be used. As the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nd a nonionic surfacta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nd a surfactant derived from a natural material is preferably used.

그 외에도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흡습제, 증점제, 항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와 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에 따른다.In addition, it may contain a hygroscopic agent, a thickening agent, an antioxidant and the like widely known in the field of cosmetics, and the kind and amount thereof are well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dentified as a soap composition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병풀과 마치현, 앵피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gnized as a soap composition, the soap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incorporating a centipede extract and a coriander extract into a soap base, and further comprises a skin moisturizer, an emulsifier, a water softener, .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soap base material include vegetable oils such as palm oil, palm oil, soybean oil, pharmacopoeial olive oil and palm kernel oil or animal fats such as tallow, lard, sunshine and fish oil. Examples of the skin moisturizers include glycerin, erythritol, poly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hexylene glycol, isopropyl myristate, silicone derivatives, aloe vera, sorbitol and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emulsifier include natural oils, wax fatty alcohols, hydrocarbons, natural plant extracts and the like As the water softening agent, tetrasodium ethylenediate etc. may be used.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 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soap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bacterial agent, a dispersant, a foam inhibitor, a solvent, an inhibitor in water, a corrosion inhibitor, a perfume, a dye, a sequestering agent, an antioxidant, an antiseptic and the like as an additive.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참가 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In the soap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ap base and additives may be included in amounts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the soap base generally comprises 99.999% by weight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ap composition And the additive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 wt% to 20 wt%.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화피Husk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 And fermentation extract of antl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피 및 녹용은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약재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건조 중량으로 3:1로 혼합한 후 충분히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한 후 300메시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들었다. 이것을 100g/L되게 분쇄된 화피와 녹용의 혼합물에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여기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10g를 첨가하였다. 배양은 5L 발효조를 이용하여 40℃의 온도에서, pH 6로 유지하면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하였다. 제거된 발효물을 120℃에서 멸균한 후 동일한 조건으로 2차 배양하였다. 2차 발효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추출단계로 옮겨졌다.The herbs and antl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used medicinal materials circulated in the market. They were mixed in a dry weight of 3: 1, washed thoroughly, dried and then pulverized and finely ground using 300 mesh. This was added to a mix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ains to a mixture of 100 g / L crushed herb and antler. 10 g of glucose was added thereto as a carbon source. The cultures were incubated for 5 days at a temperature of 40 ° C and a pH of 6 using a 5 L fermenter. After culturing, the culture was centrifuged to remove the cultures first. The fermented product was sterilized at 120 ° C and then cultu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solids were removed from the secondary fermentation and then transferred to the extraction step.

상기 발효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조로 이송하여 감압농축하고 이를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은 로터리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농축 조건은 1,000ml 라운드플라스크에 500ml의 추출물을 넣고 700mmHg의 압력으로 1000rpm으로 회전하면서 감압 농축하였다. Diethyl ether was added to the fermentation extract, and the mixture was refluxed three times for 5 hours. After cooling, the mixture was filtered through Whatman # 2 filter paper. When the filtration is completed, the extract obtained in the extracting step is transferred to the concentration tank,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lyophilized.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was performed using a rotary vacuum concentrator. Concentr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500 ml of the extract was placed in a 1,000 ml round-bottomed flask, and the mixtur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while rotating at 1000 rpm under a pressure of 700 mmHg.

발효 추출물을 포집하는 Collecting Fermented Extracts 리포좀의Liposomal 제조 Produce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피 및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리포좀으로 제조하였다.The fermented extracts of fern and antler prepared in Example 1 were prepared as liposome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먼저, 유화제(Lipoid s75, Lipoid GMBH)를 증류수와 혼합하여 65℃로 가온한 후 초음파 파쇄기(Ultrasonic Liquid Processor)를 이용하여 파쇄하였다. 추출물과 증류수를 1:1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집 물질을 준비한 다음, 상기 유화제가 균질화되면 준비된 포집 물질을 첨가하여 다시 초음파 파쇄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천연 유화제와 포집 물질이 완전히 균질화되면 말토덱스트린을 첨가하고 다시 초음파 파쇄하여 균질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온도를 서서히 낮추면서 최종적으로 2분 30초 동안, 3회 초음파 파쇄를 반복하여 균질화함으로써,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 함유 리포좀을 제조하였다.First, the emulsifier (Lipoid s75, Lipoid GMBH) was mixed with distilled water, heated to 65 ° C and crushed using an ultrasonic liquid processor. The extract and the distilled water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 1 to prepare a collecting material. When the emulsifying agent was homogenized, the prepared collecting material was added, followed by ultrasonic disruption and mixing. When the natural emulsifier and the capturing material were completely homogenized, maltodextrin was added and the homogenization was performed by ultrasonic disintegration. The temperature was gradually lowered and finally ultrasonic disruption was repeated three times for 2 minutes and 30 seconds to homogenize to prepare a liposome containing fermented extract of flax and antler.

성 분ingredient 함 량 (중량 %)Content (% by weight) 유화제Emulsifier Lipoid s75Lipoid s75 22 증류수Distilled water 증류수Distilled water 9292 코팅제Coating agent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1One 추출물extract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Fermented extracts of fennel and antler 55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비교예 1 : 화피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fermented extract of hulls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피 및 녹용의 혼합물 대신에 화피 만을 사용하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외의 조건을 모두 동일하다. In Example 1, a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using only hulls instead of the mixture of horn and antler.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비교예 2 : 녹용의 발효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2: Preparation of fermented extract of antler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피 및 녹용의 혼합물 대신에 녹용 만을 사용하여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외의 조건을 모두 동일하다.In Example 1, a fermented extract was prepared using only antler instead of the mixture of peony and antler.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비교예 3 : 화피 및 녹용의 추출물의 제조Comparative Example 3: Preparation of extracts of horn and antler

상기 실시예 1에서 화피 및 녹용의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디에틸에테르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 외의 조건을 모두 동일하다.In Example 1, the extract was directly prepared with diethyl ether without going through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horseradish and the antler. All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제조예] [Manufacturing Example]

제조예 1 : 실시예 2의 리포좀 조성물의 영양화장수Production Example 1: Nutritional lotion of the liposome composition of Example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2의 영양화장수(밀크스킨로숀)을 제조하였다. The nutritional lotion (Milk Skin Lotion) of Table 2 was prepared using the extract composition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

성 분ingredient 함 량 (중량 %)Content (% by weight) 정제수 Purified water (100이 될 때까지)(Until it reaches 100) 글리세린glycerin 8.08.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4.04.0 히아루론산 추출물Hyaluronic acid extract 5.05.0 베타글루칸Beta Glucan 7.07.0 카보머Carbomer 0.10.1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 조성물The liposome composition for collecting the extract of Example 2 3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8.08.0 스쿠알란Squalane 5.05.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Cetearyl glucoside 1.5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40.4 세테아릴 알코올Cetearyl alcohol 1.01.0 방부제antiseptic 적량Suitable amount incense 적량Suitable amount 색소Pigment 적량Suitable amoun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0.1

제조예 2 : 비교예 3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영양화장수Production Example 2: Nutritional lotion of the liposome composition collecting the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의 발효 추출물 대신에 비교예 3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리포좀으로 포집한 후 상기 제조예 1의 조성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In Example 2, the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fermented extract of Example 1 to collect liposomes, and then a nutritional lo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3 :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영양크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3: Preparation of nutritional cream of liposome composition to collect extract of Example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3의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The nutritional creams of Table 3 were prepared using the extract composition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성 분ingredient 함 량 (중량 %)Content (% by weight) 정제수Purified water (100이 될 때까지)(Until it reaches 100) 글리세린glycerin 3.03.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3.03.0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7.07.0 베타글루칸Beta Glucan 7.07.0 카보머Carbomer 0.10.1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The liposome for capturing the extract of Example 2 3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3.03.0 스쿠알란Squalane 5.05.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Cetearyl glucoside 1.5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0.40.4 폴리솔베이트 60Polysorbate 60 1.21.2 방부제antiseptic 적량Suitable amount incense 적량Suitable amount 색소Pigment 적량Suitable amoun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0.1

제조예 4 :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 조성물의 맛사지크림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4: Preparation of a massage cream of a liposome composition to collect the extract of Example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추출 조성물을 이용하여 표4의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The massage compositions of Table 4 were prepared using the extract composition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성 분ingredient 함 량 (중량 %)Content (% by weight) 정제수Purified water (100이 될 때까지)(Until it reaches 100) 글리세린glycerin 8.08.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4.04.0 히아루론산 추출물Hyaluronic acid extract 45.045.0 베타글루칸Beta Glucan 7.07.0 카보머Carbomer 0.10.1 실시예 2의 추출물을 포집하는 리포좀The liposome for capturing the extract of Example 2 33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capric triglyceride 3.03.0 밀납Wax 4.04.0 세테아릴 글루코상이드Cetearyl glucoside 1.5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Sesquioleic acid sorbitan 0.90.9 바세린Vaseline 3.03.0 방부제antiseptic 적량Suitable amount incense 적량Suitable amount 색소Pigment 적량Suitable amount 파라핀paraffin 1.51.5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 피부 항균력 시험Experimental Example 1: Skin antimicrobial activity test

항균활성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 균주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를 준비하였고, 항균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 균주들은 nutrient agar 및 broth 배지에서 37℃로 배양하였다. 항균활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각 균주를 대상으로 discdiffusion assay로 측정하였다. 항균시험용 평판배지는 계대배양된 각 균주를 멸균 면봉을 이용하여 100 ㎕씩 도말하여 준비하였고, 시료를 disc당 2.0 mg이 되도록 paper disc (직경 6mm)에 천천히 흡수시킨 뒤 건조과정을 거쳐 용매를 휘발시킨 후 평판배지 위에 밀착시킨 상태로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disc 주변에 생성된 저해환(clear zone, mm)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Gentamycin (BD, USA) 0.01 mg을 disc에 포함시킨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아래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 가지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론 대조군으로 사용된gentamycin보다 현저히 낮은 활성이지만, 실시예 1은 gentamycin에 비하여 가장 높을 활성을 보였다.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Staphylococcus aureus (KCTC 3881) and Pseudomonas aeruginosa (KCTC 2004) were used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experiments. Microbial strains used in the antimicrobial experiments were prepared at 37 ℃ in nutrient agar and broth medium Lt; / RTI > To confirm the antimicrobial activity, each strain was assayed by discdiffusion assay. The plate culture medium for antimicrobial test was prepared by laminating 100 μl each of the subcultured strains using a sterilized cotton swab. The sample was slowly absorbed into paper disc (diameter 6 mm) to 2.0 mg per disc, followed by drying to volatilize the solvent After incubation at 37 ° C for 24 hours, the clear zone (mm) produced around the disc was measured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compared. Gentamicin (BD, USA) 0.01 mg was used as a control. As shown in Table 5 below,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ain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ree strains. Of course,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tamycin used as a control, but Example 1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s compared to gentamycin.

mg/discmg / disc Staphylococcus epidermidis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Pseudomonas aeruginosa 실시예 1Example 1 22 8.548.54 6.876.87 9.149.14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2 6.26.2 5.15.1 7.87.8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22 4.74.7 4.24.2 5.25.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22 3.53.5 3.93.9 3.43.4 GentamycinGentamycin 0.010.01 18.6518.65 20.1420.14 17.3617.36

실험예 2 : 항산화력 시험Experimental Example 2: Antioxidant activity test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Sigma Co., USA)을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Jeong SM et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580-1583(2004) 참조). 먼저 100 및 200 ㎍/㎖의 농도로 준비된 실시예 1-1의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 각각 100 ㎕에 0.2 mM DPPH 용액 100 ㎕를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BioTek, USA)를 이용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에 의해 전자공여능으로 계산하였으며, 실험값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전자공여능을 100%로 하여 이에 대한 %로 나타내었다.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igma Co., USA) was used to compare the antioxidative power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Jeong SM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2004)). 100 μl of 0.2 mM DPPH solution was mixed well with 100 μl of each of the fermented extract of fern and deer antler of Example 1-1 and the extract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prepared at a concentration of 100 and 200 μg / ml, followed by reaction at room temperature for 25 minutes ,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17 nm using an ELISA reader (BioTek, USA).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sample was calculated b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experimental value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ascorbic acid used as the positive control group at 100%.

[수학식][Mathematical Expression]

전자공여능(%) = (1-시료 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Electron donating ability (%) = (1-absorbance of sample addition group / absorbance of no addition group) X 100

시료 전자공여능(% 양성 대조군) Sample electron donating ability (% positive control group) 양성 대조군(100 ㎍/㎖)The positive control (100 [mu] g / ml) 100100 실시예 1Example 1 8787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646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7474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6969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화피 및 녹용의 발효 추출물은 각각의 발효 추출물 또는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6, the fermented extracts of flax and antler exhibited the highest activities compared to the fermented extracts or the fermented extracts, respectively.

실험예 3 : 피부 탄력의 증가 효과Experimental Example 3: Increasing effect of skin elasticity

상기 제조예 1 및 2의 영양수의 피부탄력 개선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The skin elasticity improving effects of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Examples 1 and 2 were evaluated as follows.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영양수를 얼굴 왼쪽 부위에는 제조예 2의 영양수를 각각 1일 2회씩 연속 3개월간 도포하였다. 실험완료 후 피부 탄력 개선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 8에 Cutometer SEM 575의 ΔR8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값은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In the experiment (15-20 years old female), the nutrient water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face and the nutrient solution of Production Example 2 wa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face for 2 consecutive months. The skin elasticity was measured by using a skin elasticity meter (SEM 575, C + K Electronic Co., Germany)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duct for 2 month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as the ΔR8 value of Cutometer SEM 575, where the value of R8 indicates the viscoelasticity of the skin.

하기 표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공정을 거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하여 화피와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영양수를 도포한 실험자의 피부 탄력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표7)As shown in Table 7, it was found that the skin elasticity improvement effect of the user who applied the nutrient solu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extract of fur and antler was the best in comparison with the extract without the fermentation process (Table 7).

사용전Before use 사용후after use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0.130.13 0.450.45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0.120.12 0.280.28

실험예 4: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Experimental Example 4: Safety test for human skin

상기 제조예 1의 화장품 조성물들의 피부 안전성 검증을 위해 인체 피부 누적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건강한 2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1시간, 12시간 및 24시간 경과 후 평가를 시행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체임버(Finn chamber) 혹은 유사한 종류의 체임버(chamber)를 이용하는데, 체임버(chamber)당 15㎕의 조성물을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고,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반응은 육안으로 피부 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하기의 피부상태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하였다To verify the skin safe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Preparation Example 1, cumulative human skin stimulation tests were conducted. Twenty healthy adults were evaluated in the upper forearm after 1 hour, 12 hours, and 24 hours. The application method is Finn chamber or a similar type of chamber. After applying 15 조성물 of composition per chamber, apply the patch and measure the degree of reaction on the skin every tim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8 below. At this time, the skin condition change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reaction was classifi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kin condition evaluation criteria

<피부 상태 기준의 변화><Change of skin condition standard>

0: 변화 없음0: No change

1: 극히 조금 변함1: Very little change

2: 조금 변함2: slightly changed

3: 조금 심하게 변함3: A little bit harder

4: 심하게 변함4: Severely changed

5: 극히 심하게 변함5: Extremely changed

시험 물질Test substance 피검자 반응Subject response 피검자(성별, 피부타입)Subject (sex, skin type) 피검자 1(여성, 중성)Subject 1 (female, neutral) 피검자 2(여성, 중성)Subject 2 (female, neutral) 피검자 3(여성, 건성)Subject 3 (female, dry) 시간 경과Time lapse 1시간1 hours 12시간12 hours 24시간24 hours 1시간1 hours 12시간12 hours 24시간24 hours 1시간1 hours 12시간12 hours 24시간24 hours 제조예1Production Example 1 00 00 00 00 00 00 00 00 00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00 00 00 00 00 00 00 00 00

상기 표 9의 결과로부터, 대부분 모든 조성물에서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이 적은 안전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From the results of Table 9, it can be seen that almost all the compositions showed no specific reaction, a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safe and less irritating to the skin.

실험예 5 : 임상에서의 탄력 증가 효과Experimental Example 5: Increase in elasticity in clinical use

상기 제조예 1의 화장품 조성물들의 탄력 증가 효과를 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의 실험군 중 피험자 1과 피험자 2에 대하여 각각 3개월간 1일 2회에 걸쳐 얼굴에 도포한 후 전후의 사진을 비교하였다. 피검자 1 및 2의 도포 전 사진은 각각 도 1(a), (b)과 도 2(a), 2(b) 에 나타내었으며, 도포후 사진은 도 1(c), (d)과 도 2(c), 2(d)에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 탄력도가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 만큼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lastic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of Preparation Example 1, the subjects 1 and 2 of the test group of Experimental Example 3 were applied to the face twice a day for three months, respectively, and then the image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1 (a) and 2 (b), and FIGS. 2 (a) and 2 (b) (c) and 2 (d),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figure, 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elasticity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roved enough to be visually confirm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도면 사진은 대표적인 치료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서 결명자 및 지구병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다양한 피부 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Particularly, the drawings show typical treatment examples. As a matter of course, It is easy to know that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caricide and a globe a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invention has excellent effects in the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various skin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2)

삭제delete 삭제delete a) 화피 및 녹용이 건조 중량으로 대비하여 각각 3:1의 조성으로 혼합되는 혼합물에 발효를 위한 배양균이 포함된 배양액을 첨가하여 40℃에서 pH 6으로 5일간 발효하고, 발효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배양균을 1차 제거한 후 남은 발효물을 120℃에서 멸균한 다음 다시 동일한 배양액을 첨가하여 40℃에서 pH 6으로 5일간 발효하는 단계;
b) 상기 발효물에서 유효성분을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물을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A culture solution containing the culture for fermentation was added to a mixture in which the peel and antler antioxidants were mixed in a composition of 3: 1 in terms of dry weight, and the mixture was fermented at 40 DEG C and pH 6 for 5 days. The fermented culture was centrifuged The fermented product is sterilized at 120 ° C., and the fermented product is further fermented at 40 ° C. and pH 6 for 5 days by adding the same culture medium.
b) extracting the active ingredient from the fermentation product with a solvent; And
and c) collecting the extract with liposom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유산균, 바실러스속 균, 효모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조방법.[Claim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ermentation comprises at least one stra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subtilis bacteria, yeast bacteria, and mixtures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인 제조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in a culture mediu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eptococcus sp., Lactococcus sp., Enterococcus sp., Lactobacillus sp., Pediococcus sp., Leuconostoc sp. Wherein said strain is one or more strai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nus Weissella and genus Bifidobacteriu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추출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것인 제조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xtraction in step b) i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water, anhydrous or lower alcohols having 1-4 carbon atoms,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butyl acetate, diethyl ether, Is extracted with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hexane, and mixtures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리포좀으로 포집하는 단계는 유화제를 용매와 혼합한 후 35 내지 80 ℃에서 초음파 처리하는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tep of collecting liposomes in step c) comprises mixing the emulsifier with a solvent and ultrasonically treating the mixture at 35 to 80 캜. 제9항에 있어서, 유화제는 인지질과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며, 인지질로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포스파티딜콜린(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며, 지방산으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인 제조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mulsifier comprises a phospholipid and a fatty acid. Examples of the phospholipid include phosphatidylcholine, lyso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hydrogenated phophatidylcholine, phosphatidylserine, Phosphatidylglycerol and phosphatidylinositol, and the fatty acids includ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are used.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a liposome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and 6 to 10.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liposome containing a fermented extract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 and 6 to 10.
KR1020180007694A 2018-01-22 2018-01-22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9512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94A KR101951295B1 (en) 2018-01-22 2018-01-22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94A KR101951295B1 (en) 2018-01-22 2018-01-22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295B1 true KR101951295B1 (en) 2019-05-20

Family

ID=6667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694A KR101951295B1 (en) 2018-01-22 2018-01-22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29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266B1 (en) * 2012-07-12 2013-07-15 주식회사 피토메카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and/or hair growth promotion comprising fermented pruni cortex
KR101456052B1 (en) * 2007-04-20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KR20170085901A (en) * 2016-01-15 2017-07-25 (주)엠앤씨생명과학 Natural liposome comprising momordicacharantia extract, pe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052B1 (en) * 2007-04-20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KR101286266B1 (en) * 2012-07-12 2013-07-15 주식회사 피토메카 Composi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and/or hair growth promotion comprising fermented pruni cortex
KR20170085901A (en) * 2016-01-15 2017-07-25 (주)엠앤씨생명과학 Natural liposome comprising momordicacharantia extract, pe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en) Black rice bran fermentation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reof,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rice bran fermentation as an active ingredients
JPH0717847A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KR102006708B1 (en) Soap composition using wood-cultivated ginseng and soap comprising the same
KR20210017590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vegetable oil and fermented vegetable extract
KR101797285B1 (en) Natural liposom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82570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ffee silver skin extract
KR102300581B1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KR20200083098A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liposome including acerola extract
KR10236752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eaweed extracts
KR10225744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kelp
KR101966747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antler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50112103A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KR101981016B1 (en) Functional moisturizing, antioxidant and wrinkle-improving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20170141564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ropolis and extracts of opuntia humifusa
KR101953676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ntaining ultrasonicating extract of harpagophytum procumbens
KR20110032715A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101951295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of pruni cortex and antl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90105222A (en)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reduction of skin pores
KR102171924B1 (en) External skin preparation for relaxing allergy comprising extract of wild-peach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180082058A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desquamation comprising natural complex extract
KR101969684B1 (en) A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 and skin pore reduction containing natural spicule powder and natural complex extract
KR101605517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and cosmetic compostion thereof
KR10195181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accinium vitis-idaea fruit extract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KR101948657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ntaining ultrasonicating extract of dryopteris atrata
KR101855210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ggplant seed ultrasonicating extract of ferment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