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209B1 -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209B1
KR101951209B1 KR1020170139310A KR20170139310A KR101951209B1 KR 101951209 B1 KR101951209 B1 KR 101951209B1 KR 1020170139310 A KR1020170139310 A KR 1020170139310A KR 20170139310 A KR20170139310 A KR 20170139310A KR 101951209 B1 KR101951209 B1 KR 10195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ehicle
information
driver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황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스
Priority to KR102017013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위치정보모듈; 영상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차량을 탐색하고, 탐색된 차량들 각각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주변차량인식모듈; 주변차량인식모듈과 연동되고,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차량 소유주의 SNS 또는 메신저를 검색하여 썸네일(thumbnail) 또는 상태메시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 상기 검색모듈 및 운전자에 의해 터치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출력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현위치데이터,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상기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차량의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여 주변 차량에 연락할 수 있어 주변 차량 및 도로의 긴급상황을 주변 차량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급작스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 NEARBY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정보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출력장치에 주변 차량의 운전자정보를 출력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이 현실화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고, 공유자동차에 대한 개념이 보편화됨에 따라 기존 자동차는 주행을 위한 운전자 중심의 장치에서 탑승자를 위한 사회문화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중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의 발달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증가로 인해 차량 이동 중에도 SNS를 이용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7861호 (2010.11.04) "V2V 통신을 이용한 차량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차재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0806721호 (2008.02.18)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의 운전자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위치정보모듈; 상기 현위치정보모듈과 연동되고, 상기 현위치데이터, 영상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차량을 탐색해 탐색된 차량들 각각의 현재위치, 차종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주변차량인식모듈; 상기 주변차량인지모듈과 연동되고,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저장된 운전자정보와 비교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 상기 검색모듈 및 운전자에 의해 터치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출력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현위치데이터,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상기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은, 영상장치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해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탐색부; 상기 객체탐색부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방향 및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거리측정부; 복수의 상기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데이터생성부; 및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목록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거리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차량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목록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상기 목록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모듈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운전자데이터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검색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부; 및 복수의 상기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가장 근접한 메신저 또는 SNS를 선택하여 메신저의 상태메시지 또는 SNS의 썸네일 및 세부내용을 포함하는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썸네일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을 출력하는 차량정보출력부;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하는 운전자정보출력부; 상기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변 차량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목록출력부;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썸네일을 출력하는 썸네일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차량에 배치된 인포테인먼트장치 또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고,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가 선택되면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가기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전자정보출력부 또는 상기 썸네일출력부는,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상기 운전자데이터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대응되는 세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은, 현위치정보모듈이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주변차량인식모듈이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모듈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탐색부가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거리측정부가 상기 객체탐색부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목록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운전자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검색부가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상기 치량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색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썸네일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는, 차량정보출력부가 상기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을 출력하는 단계; 목록출력부가 상기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변 차량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운전자정보출력부가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썸네일출력부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상기 썸네일과 연동되는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상기 썸네일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자가 상기 출력장치를 터치 조작하여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정보출력부 또는 상기 썸네일출력부가 선택된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과 연동되는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상기 썸네일데이터에 포함된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주변 차량의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표시하여 주변 차량에 연락할 수 있어 주변 차량 및 도로의 긴급상황을 주변 차량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급작스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거리측정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주변 차량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목록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주변 차량을 거리순으로 보기 쉽게 나타낼 수 있다.
넷째,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을 출력하여 정보를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섯째, 부가기능을 제공하여 주변 차량에게 연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변차량인식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검색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12는 목록데이터가 출력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변차량인식모듈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검색모듈의 블럭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모듈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100)은 현위치정보모듈(110), 주변차량인식모듈(120), 검색모듈(130), 디스플레이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현위치정보모듈(110)은 GPS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한다.
주변차량인식모듈(120)은 현위치정보모듈(110)과 연동되고, 현위치데이터, 영상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차량을 탐색해 탐색된 차량들 각각의 현재위치, 차종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주변차량인식모듈(120)은 개체탐색부(121), 거리측정부(122), 차량데이터생성부(123), 목록데이터생성부(124) 및 제어부(125)를 포함한다.
개체탐색부(121)는 영상장치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해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개체탐색부(121)는 영상장치 또는 센서가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차량을 인식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122)는 주행중인 차량과 객체탐색부(121)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방향 및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거리측정부(122)는 주행중인 차량과 주변 차량들의 거리가 실시간으로 달라지기 때문에 거리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한다.
차량데이터생성부(123)는 복수의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차량정보데이터는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차량정보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차량정보데이터는 운전자가 운행중인 차량의 주변 차량 각각의 차종, 차량번호, 떨어진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목록데이터생성부(124)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목록데이터는 인식된 주변 차량들을 거리순으로 나열한 데이터일 수 있고, 목록데이터생성부(124)는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목록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주변 차량의 거리변화에 따라 목록데이터를 갱신하여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125)는 개체탐색부(121), 거리측정부(122), 차량데이터생성부(123) 및 목록데이터생성부(124) 간의 데이터 흐름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검색모듈(130)은 주변차량인지모듈(120)과 연동되고,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서버(500)에 저장된 운전자정보와 비교해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관리서버(500)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100)을 이용하기 위해 개인이 등록한 개인정보들을 저장한다.
그리고, 검색모듈(130)은 운전자정보생성부(131), 검색부(132), 썸네일데이터생성부(133) 및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운전자정보생성부(131)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500)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검색부(132)는 관리서버(500)에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차량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색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검색부(132)가 인터넷 검색을 위해 이용하는 정보는, 차량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차량번호 또는 차량의 현위치정보일 수 있다.
GPS좌표는 해당되는 좌표에 하나의 개체만 해당 될 수 있으므로 차량정보데이터에 포함된 주변차랑의 GPS좌표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중인 운전자가 사용하는 네트워크신호를 통해 운전자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썸네일데이터생성부(133)는 복수의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가장 근접한 메신저 또는 SNS를 선택하여 메신저의 상태메시지 또는 SNS의 썸네일 및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세부정보는 메신저의 프로필 사진 또는 SNS의 게시물과 같은 세부 내용이 될 수 있다.
제어부(134)는 운전자정보생성부(131), 검색부(132) 및 썸네일데이터(133) 간의 데이터 흐름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모듈(140)은 주변차량인식모듈(120), 검색모듈(130) 및 운전자에 의해 터치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출력장치(200)와 연동되어 현위치데이터,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및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20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출력장치(200)는 차량에 구비된 전방표시장치(HUD : Head Up Display) 또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출력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HUD 또는 HM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40)은 차량정보출력부(141), 운전자정보출력부(142), 목록출력부(143), 썸네일출력부(144), 부가기능제공부(145) 및 제어부(146)를 포함한다.
차량정보출력부(141)는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장치(200)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의 배치를 출력한다.
운전자정보출력부(142)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처를 이용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한다.
목록출력부(143)는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장치(200)에 주변 차량들이 거리 순으로 나열된 목록을 출력한다.
썸네일출력부(144)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썸네일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운전자정보출력부(142) 또는 썸네일출력부(144)는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장치(200)에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 또는 복수의 썸네일데이터가 선택되면 각각의 대응되는 세부정보를 출력한다.
부가기능제공부(145)는 차량에 배치된 인포테인먼트장치(300) 또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400)와 연동되고,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장치(200)에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 또는 복수의 썸네일데이터가 선택되면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부가기능은 메신저 또는 SNS로 메신저를 전송하거나 전화연결을 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제어부(146)는 차량정보출력부(141), 운전자정보출력부(142), 목록출력부(143), 썸네일출력부(144) 및 부가기능제공부(145) 간의 데이터 흐름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모듈(14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운전석과 조수석 중 특정 좌석을 선택하여 선택된 좌석에서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출력되는 주변 차량의 정보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의 경우가 있다.
첫째, 개인이 자발적으로 기재한 개인정보를 관리서버에 저장하여 이용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 각 메신저 또는 SNS 플랫폼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의 차량번호를 자발적으로 입력하여 하나의 데이터 필드로 적용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기계에 의한 인식 및 추천을 통한 비자발적인 경우인데, 이 경우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데이터 마이닝 하여 자동으로 차량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는 경우이며,
마지막으로는, 소유의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인데, 이 경우 카셰어링 서비스(예:쏘카) 및 E-hailing 서비스(예:카카오택시) 등과 같이 본인소유의 차량을 이용하지 않는 상황 해당 공유 서비스와 제휴 또는 연동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배정된 차량의 번호를 공개하는 경우, 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은, 현위치정보모듈(110)이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10).
그리고, 주변차량인식모듈(120)이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0).
이후, 검색모듈(130)이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의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30).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140)이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200)에 출력한다(단계 S140).
이후,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장치(200)에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의 세부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150).
나아가,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부가기능제공부(144)가 선택된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과 연동되는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한다(단계 S160).
여기서, 단계 S150 및 단계 S16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자정보데이터의 세부정보를 선택하면 단계 S150이 수행되고, 부가기능을 선택하면 단계 S160이 수행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객체탐색부(121)가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1).
이후, 거리측정부(122)가 객체탐색부(121)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2).
그리고, 차량데이터생성부(123)가 복수의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3).
이후, 목록데이터생성부(124)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24).
도 4 및 도 8을 참조하여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단계 S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데이터생성부(131)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500)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단계 S131).
단계 S131에서 관리서버(500)에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검색부(132)가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차량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검색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32).
그리고, 썸네일데이터생성부(132)가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가장 근접한 메신저 또는 SNS를 선택하여 메신저의 상태메시지 또는 SNS의 썸네일 및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thumbnail)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33).
추가적으로, 단계 S131에서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모두 관리서버(500)에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32 및 단계 S133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200)에 출력하는 과정(단계 S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차량정보출력부(141)가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장치(200)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의 배치를 출력한다(단계 S141).
그리고, 목록출력부(143)가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장치(200)에 주변 차량들의 목록을 출력한다(단계 S142).
이후, 운전자정보출력부(142)가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143).
그리고, 썸네일출력부(144)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썸네일을 출력한다(단계 S144).
도 5 및 도 10를 참조하여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과정(단계 S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출력장치(200)를 터치 조작하여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한다(단계 S151).
이후, 운전자정보출력부(142) 또는 썸네일출력부(143)가 선택된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과 연동되는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썸네일데이터에 포함된 세부정보를 출력한다(단계 S152).
도 11 내지 도 13은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방법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과 앞서 설명한 구성들 및 과정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을 시작하면 현위치정보모듈(110)이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고, 주변차량인지모듈(120)이 복수의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및 목록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검색부(130)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해 관리서버(500)에 저장된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관리서버(500)에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없으면, 복수의 검색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중 가장 근접한 정보를 선택하여 복수의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140)이 현위치정보데이터,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 목록데이터 및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에 구비된 출력장치(200)에 주변 차량들의 배치 및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관리서버(500)에 운전자정보가 없는 차량정보데이터는 썸네일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12는 목록데이터를 출력한 예를 나타내는데, 차례대로 차량번호와 주행중인 차량과의 방향 그리고 거리를 나타낸다.
차량과의 방향의 경우 ①은 -30°라고 나타나 있는데 이는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왼쪽 전방 차선에 있는 차량을 나타내고, ②의 경우 0°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에 있는 차량을 나타낸다.
여기서, 차량간의 방향을 각도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후 단계는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과정으로,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와 연동되는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썸네일데이터의 세부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도 13은 ②의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 예인데,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이 출력된다.
여기서, 부가기능은 메신저 또는 SNS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전화기능과 저장된 전화번호로 문자를 보내는 문자기능, 메신저로 1:1 대화를 할 수 있는 대화기능 및 SNS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메시지기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부가기능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차량 내에 구비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300) 또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400)을 통해 선택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100)에 의해 주변 차량 및 도로의 긴급상황을 주변 차량들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 급작스런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차량의 트렁크가 열렸거나 타이어의 바람이 빠진 경우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전방 차량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현위치정보모듈 120...주변차량인식모듈
121...객체탐색부 122...거리측정부
123...차량데이터생성부 125...목록데이터생성부
130...검색모듈 131...운전자정보생성부
132...검색부 132...썸네일데이터생성부
140...디스플레이모듈 141...차량정보출력부
142...운전자정보출력부 143...목록출력부
144...썸네일출력부 145...부가기능제공부

Claims (13)

  1. GPS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현위치정보모듈;
    상기 현위치정보모듈과 연동되고, 상기 현위치데이터, 영상장치 및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차량을 탐색해 탐색된 차량들 각각의 현재위치, 차종 및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주변차량인식모듈;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과 연동되고,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관리서버에 저장된 운전자정보와 비교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모듈; 및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 상기 검색모듈 및 운전자에 의해 터치조작이 가능한 별도의 출력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현위치데이터,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상기 출력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운전자데이터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복수의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검색데이터를 생성하는 검색부; 및
    복수의 상기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가장 근접한 메신저 또는 SNS를 선택하여 메신저의 상태메시지 또는 SNS의 썸네일 및 세부내용을 포함하는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썸네일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차량인식모듈은,
    영상장치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해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객체탐색부;
    상기 객체탐색부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방향 및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거리측정부;
    복수의 상기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차량데이터생성부; 및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목록데이터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부는,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거리데이터를 갱신하고,
    상기 차량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목록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거리데이터의 갱신 주기에 따라 상기 목록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을 출력하는 차량정보출력부;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하는 운전자정보출력부;
    상기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변 차량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목록출력부;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썸네일을 출력하는 썸네일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차량에 배치된 인포테인먼트장치 또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고,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가 선택되면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가기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정보출력부 또는 상기 썸네일출력부는,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출력된 복수의 상기 운전자데이터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대응되는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8. 현위치정보모듈이 주행중인 차량의 현위치를 나타내는 현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주변차량인식모듈이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검색모듈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모듈이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운전자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서버에 저장된 차량 번호, 차종, 전화번호,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복수의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 검색부가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해 각각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해당하는 SNS정보 및 메신저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검색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썸네일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검색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통해 썸네일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탐색부가 복수의 주변 차량을 탐색하여 차량의 번호 및 차종을 포함하는 복수의 객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거리측정부가 상기 객체탐색부에서 탐색된 복수의 차량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거리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차량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상기 객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각각의 정보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목록데이터생성부가 복수의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목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는,
    차량정보출력부가 상기 현위치데이터 및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주변 차량들을 출력하는 단계;
    목록출력부가 상기 목록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장치에 주변 차량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운전자정보출력부가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대응되는 운전자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썸네일출력부가 복수의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운전자의 터치 조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상기 썸네일과 연동되는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상기 썸네일데이터를 이용하여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상기 썸네일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운전자가 상기 출력장치를 터치 조작하여 복수의 상기 운전자정보 또는 복수의 상기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정보출력부 또는 상기 썸네일출력부가 선택된 운전자정보 또는 썸네일과 연동되는 상기 운전자정보데이터 및 상기 썸네일데이터에 포함된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 차량 정보 표시 방법.
KR1020170139310A 2017-10-25 2017-10-25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101951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10A KR101951209B1 (ko) 2017-10-25 2017-10-25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10A KR101951209B1 (ko) 2017-10-25 2017-10-25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209B1 true KR101951209B1 (ko) 2019-05-20

Family

ID=6667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10A KR101951209B1 (ko) 2017-10-25 2017-10-25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21B1 (ko) 2006-07-05 2008-02-27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00117861A (ko) 2009-04-27 2010-11-04 한국교통연구원 V2v 통신을 이용한 차량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차재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1767A (ko) * 2015-01-26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8657B1 (ko) * 2015-09-0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721B1 (ko) 2006-07-05 2008-02-27 전자부품연구원 차량용 주변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00117861A (ko) 2009-04-27 2010-11-04 한국교통연구원 V2v 통신을 이용한 차량 주변 정보를 제공하는 차재용 텔레매틱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91767A (ko) * 2015-01-26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08657B1 (ko) * 2015-09-0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038B2 (en) Smart vehicle
US10783559B1 (en) Mobile information display platforms
US10867510B2 (en) Real-time traffic monitoring with connected cars
US11538289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vehicle to perform self-diagnosis, and method for the same
US10919540B2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control device,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using said method
US9969405B2 (en) Alarm apparatus, alarm system, alarm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US9596643B2 (e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JP5616142B2 (ja) 携帯機器と連携した車載機器を用いてコンテンツを自動的に投稿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1526166B2 (en) Smart vehicle
JPWO201704717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10140B1 (ko) 센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물체를 평활화하기 위한 맵 정보의 이용
WO2018180756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
US10019853B2 (en) Support server, mobile terminal, and support system
WO2018179090A1 (ja) 車両を制御する制御装置、車両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1209B1 (ko) 주변 차량 정보 표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KR20220054370A (ko) 자동차에 확장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20165688A (ja)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US20220207447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1586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4880408A (zh) 场景构建方法、装置、介质以及芯片
US11059484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vehicle driving assistance system, control method of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CN113401071B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US20240068821A1 (en) Drive route generation device, drive route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124097A (ja) 車載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
US20240177418A1 (en) Mixed reality-based display device and route guid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