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166B1 -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166B1
KR101951166B1 KR1020180111371A KR20180111371A KR101951166B1 KR 101951166 B1 KR101951166 B1 KR 101951166B1 KR 1020180111371 A KR1020180111371 A KR 1020180111371A KR 20180111371 A KR20180111371 A KR 20180111371A KR 101951166 B1 KR101951166 B1 KR 10195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struction waste
driving
stru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양례
Original Assignee
(주)강토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토개발 filed Critical (주)강토개발
Priority to KR1020180111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02C13/0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with beaters hinged to the rotor;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02C2013/2869Arrangements of feed and discharge mean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충돌시켜 파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본체부을 일측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파쇄부로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선별한 후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상기 본체부로 공급하는 폐기물 선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파쇄장치{CONSTRUCTIONS WASTE CRUSHER}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을 충돌시켜 파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러셔는, 상측으로 돌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의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한쪽에서 풀리와 벨트로 모터에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축에는 공간에 해머 설치대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하여 그 사이에 해머를 설치하며, 해머 설치대의 고속 회전으로 해머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투입된 돌을 분쇄하여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이 원하는 크기로 배출 공간을 통하여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해머는 주강이나 망간 등으로 주물을 부어 생산한 후 구멍을 천공하여 해머 설치대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는데, 수명이 너무 짧아 2일 정도 작업한 이후에는 새로운 해머로 교체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수명이 너무 짧은 결점이 있으며, 교체 시에 다수의 해머를 설치대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야만 하므로 교체 시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88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378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해머로 돌 등의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거나 충돌시켜 파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용이하게 분류시켜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손쉽게 구분한 후 파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설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장치는,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본체부을 일측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파쇄부로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선별한 후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상기 본체부로 공급하는 폐기물 선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머로 형성되며, 상기 로터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해머부; 및 상기 해머부에 의해 파쇄되는 건설폐기물과의 마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설치되는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파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파쇄부의 외부로 노출된 파쇄 풀리에 맞물려 설치되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본체부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하는 지지부;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지지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되는 지탱부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탱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폐기물 선별부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이송 롤러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롤러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피파쇄물을 이송하는 이송롤러부; 상기 이송롤러부에 의한 피파쇄물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롤러들에 맞물려 피파쇄물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부; 단면이 “ヘ”의 판넬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이송 롤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홀을 상기 이송 롤러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팬스부; 및 상기 이송롤러부의 외측에서 하측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부 또는 상기 팬스부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롤러부는,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피파쇄물을 전단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를 지탱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며, 상부로 상기 팬스부의 다른 일측을 지탱하는 베어링; 상기 이송 롤러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회동을 위한 회동축을 형성하며, 구동력을 생성시켜 상기 이송 롤러로 공급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어링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동축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벽체와의 사이 공간에 상기 완충부가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스부는, 팬스의 일측 벽체를 형성하며, 하측에 상기 이송 롤러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베어링이 설치되는 제1 판넬; 상기 제1 판넬의 상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팬스의 다른 일측의 벽체를 형성하는 제2 판넬; 및 상기 제2 판넬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송 롤러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제3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거나 충돌시켜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 있고,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용이하게 분류시켜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손쉽게 구분한 후 파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파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충격 흡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폐기물 선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송롤러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팬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파쇄장치(10)는, 본체부(100), 파쇄부(200), 구동부(300) 및 폐기물 선별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에 형성된 폐기물 선별부(400)로부터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며, 내부 공간에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200)가 설치되고, 일측에 파쇄부(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0)가 설치된다.
파쇄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부(300)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한다.
구동부(300)는, 본체부(100)을 일측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00)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파쇄부(20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 구동 풀리(320), 구동 벨트(330) 및 충격 흡수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1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일측에 설치된 구동 풀리(320)를 회전시킨다.
구동 풀리(320)는, 구동 모터(3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파쇄부(200), 즉, 파쇄 풀리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 벨트(330)를 회전시켜 파쇄부(200)로 구동력을 공급한다.
구동 벨트(330)는, 구동 모터(31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파쇄부(20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동 풀리(320)와 파쇄부(200)의 외부로 노출된 파쇄 풀리에 맞물려 설치된다.
충격 흡수부(340)는, 구동 모터(310)와 본체부(100)의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부(100)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한다.
폐기물 선별부(4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선별한 후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본체부(10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폐기술 선별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이송 장치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폐기물을 전달받아 본체부(100)로 무한 공급할 수 있는 이송 수단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건설폐기물 파쇄장치(10)는, 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타격하거나 충돌시켜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 있고,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용이하게 분류시켜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손쉽게 구분한 후 파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파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쇄부(200)는, 로터부(210), 해머부(220) 및 보호부(230)를 포함한다.
로터부(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본체부(10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구동축이, 즉, 파쇄 풀리가 구동부(300)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며, 회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해머부(220)가 설치된다.
해머부(220)는, 로터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머로 형성되며, 로터부(2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해머부(220-1 내지 220-N)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해머부(220-1)가 복수 개로 나뉘어서 개별적으로 피파쇄물을 타격하여 파쇄하여도 무방하다.
보호부(230)는, 해머부(220)에 의해 파쇄되는 건설폐기물과의 마찰로 본체부(100)의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설치된다.
도 3은 도 1의 충격 흡수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340)는, 지지부(341), 케이스부(342), 연장부(343), 지탱부(344) 및 체결부(345)를 포함한다.
지지부(341)는, 직사각형의 철판 등의 철재로 형성되며, 본체부(100)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한다.
케이스부(342)는,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연장부(343), 지탱부(344)가 삽입되며, 연장부(343)가 내부 공간에서 좌우 방향의 왕복운동을 하며, 개방된 다른 일측에 연장부(34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보다 좁게 형성되어 연장부(343)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343)는, 케이스부(342)에 삽입된 후 일측이 지지부(341)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용접에 의해 강력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함)되며, 다른 일측에 케이스부(342)의 관통홀에 걸리기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며, 다른 일측에 충격 지탱부(344)가 설치된다.
지탱부(344)는, 지지부(341)가 탄성력에 의해 본체부(100)를 지탱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342)에 삽입된 연장부(343)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탱부(344)는, 버팀부(3441) 및 탄성부(344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팀부(3441)는, 연장부(343)와 체결부(3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며, 연장부(343)가 체결부(345)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부(343)와 체결부(345)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3441)는, 제1 버팀부(3441-1), 다수 개의 제2 버팀부(3441-2) 및 다수 개의 제3버팀부(34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팀부(3441-1)는, 탄성부(344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일측이 연장부(3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연장부(343)와 체결부(345) 사이에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로 형성되어, 연장부(343)가 체결부(345)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cm 내지 3cm 등)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버팀부(3441-2)는, 제1 버팀부(3441-1)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8cm 내지 2.5cm 등)로 형성되며, 탄성부(3442)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연장부(3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제3버팀부(3441-3)는, 제2 버팀부(3441-2) 보다 짧은 길이(예를 들어, 0.5cm 내지 2cm 등)로 형성되며, 제2 버팀부(3441-2)와 다른 제2 버팀부(3441-2)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된 후 일측이 연장부(343)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버팀부(3441)는, 다수 개의 변형을 위한 수단(즉, 제1 버팀부(3441-1) 및 다수 개의 제2 버팀부(3441-2))에 의해 충격을 다수의 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충격흡수능력을 보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버팀부(3441)는,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제1 버팀부(3441-1) 및 제2 버팀부(3441-2)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1 버팀부(3441-1)가 파쇄된 후 제2 버팀부(3441-2)가 파쇄될 수 있다.
탄성부(344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본체부(100)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연장부(343)와 체결부(345)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다.
체결부(345)는, 케이스부(342)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스부(342)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구동 모터(310)에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340)는, 버팀부(4441)의 파쇄 임계치 이상으로 압축된 경우에는, 높이가 가장 높은 제1 버팀부(4441-1)가 파쇄 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제1 버팀부(4441-1)의 파쇄만으로도 충격이 모두 흡수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4441-2)가 차례로 파쇄 되면서 여분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탄성부(440)를 이용하여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함으로써, 각 구성들에 필요 이상의 힘이 가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폐기물 선별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폐기물 선별부(400)는, 이송롤러부(410), 벨트부(420), 팬스부(430) 및 완충부(440)를 포함한다.
이송롤러부(410)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지고 이송 롤러(411-1 내지 411-N) 간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송 롤러(411-1 내지 411-N)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건설폐기물을 이송한다.
이송롤러부(410)의 후단에 위치하는 이송 롤러(411-1)로부터 이송롤러부(410)의 전단에 위치하는 이송 롤러(411-N)로 갈수록 이송 롤러(411)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며, 이송 롤러(411) 사이의 간격 역시 벌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부(410)의 후단에서는 크기가 작은 건설폐기물을 하측 방향으로 떨어뜨려 분류할 수 있고, 이송롤러부(410)의 전단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건설폐기물을 하측 방향으로 떨어뜨려 분류할 수 있다.
벨트부(420)는, 이송롤러부(410)를 전후 방향으로 감싸고 설치되어 이송롤러부(4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을 이송롤러부(410)의 전단 방향으로 이송시켜 준다.
즉, 벨트부(420)는, 이송롤러부(410)의 회전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송에 추가하여 건설폐기물의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팬스부(430)는, 단면이 “ヘ”의 판넬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이송 롤러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관통홀(4331)을 이송 롤러의 간격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때, 이송 롤러(411)의 상측에 위치하는 벨트부(420)는 팬스부(830)의 외부(즉, 팬스부(430)의 상측 방향)로 노출된 이송 롤러(41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송 롤러(411)의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부(420)는 팬스부(430)의 내측(즉, 팬스부(430)의 하측 방향)으로 삽입된 이송 롤러(41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 롤러(411)의 하측으로 떨어지는 건설폐기물이 팬스부(430)에 의해 이송롤러부(410)의 중심 부분으로 굴러 떨어지도록 유도하며, 이송 롤러(411)의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부(420)로 떨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440)는, 이송롤러부(410)의 외측에서 하측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롤러부(410) 또는 팬스부(43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여기서, 완충부(440)는, 도 3의 충격 흡수부(34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4의 이송롤러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롤러부(410)는, 다수 개의 이송 롤러(411), 베어링(412), 구동 모터(413) 및 연장 프레임(414)을 포함한다.
이송 롤러(411)는, 구동 모터(413)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 모터(413)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건설폐기물을 이송롤러부(410)의 전단 방향으로 이송시켜 준다.
베어링(412)은, 구동 모터(413)에 연결 설치되는 이송 롤러(4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411)을 지탱하면서 회전하도록 하며, 상부로 팬스부(430)의 다른 일측을 지탱하고, 하부에 연장 프레임(414)이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동 모터(413)는, 이송 롤러(411)에 연결 설치되며, 구동력을 생성시켜 이송 롤러(411)로 공급하며, 벽체나 기타 프레임 등에 연결 설치된 회동축(415)을 하부에 형성하여 회동한다.
즉, 구동 모터(413)는, 완충부(440)의 탄성력에 의한 이송 롤러(411)의 회동을 위해 벽체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축(415)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 프레임(414)은, 베어링(412)의 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동축(415)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 벽체와의 사이 공간에 완충부(440)가 설치된다.
도 6은 도 5의 팬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팬스부(430)는, 제1 판넬(431), 제2 판넬(432) 및 제3 판넬(433)을 포함한다.
제1 판넬(431)은, 팬스부(430)의 일측의 벽체를 형성하며, 하측에 이송 롤러(411)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열을 지어 다수 개의 베어링(412)이 설치되며, 상부에 제2 판넬(432)의 상부가 연장 설치된다.
제2 판넬(432)은, 제1 판넬(431)의 상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팬스부(430)의 다른 일측의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제1 판넬(431)와 제2 판넬(432)의 사이는 10° 내지 90°, 예를 들어 45°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판넬(433)은, 제2 판넬(432)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이송 롤러(411)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 개의 관통홀(433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부(410)에 의해 이송되는 건설폐기물은, 이송롤러부(410) 및 벨트부(420)의 회전에 의하여 이송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는 경우 이송 롤러(411)의 하측에 위치하는 벨트부(4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100: 본체부
200: 파쇄부 210: 로터부
220: 해머부 230: 보호부
300: 구동부 310: 구동 모터
320: 구동 풀리 330: 구동 벨트
340: 충격 흡수부 341: 지지부
342: 케이스부 343: 연장부
344: 지탱부 3441: 버팀부
3442: 탄성부 345: 체결부
400: 폐기물 선별부 410: 이송롤러부
411: 이송 롤러 412: 베어링
413: 구동 모터 414: 연장 프레임
420: 벨트부 430: 팬스부
431: 제1 판넬 432: 제2 판넬
433: 제3 판넬 440: 완충부

Claims (4)

  1. 건설폐기물을 공급받아 내부 공간으로 투입시키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본체부을 일측에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파쇄부로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건설폐기물을 크기 별로 선별한 후 파쇄하고자 하는 크기의 건설폐기물을 상기 본체부로 공급하는 폐기물 선별부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상기 파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파쇄부의 외부로 노출된 파쇄 풀리에 맞물려 설치되는 구동 벨트;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본체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본체부를 탄성력에 의해 지탱하는 지지부;
    다른 일측이 개방된 컵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후 일측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지지부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삽입된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 공간에 삽입되는 지탱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의 개방된 입구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탱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체결부 방향으로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는 버팀부;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 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의 외측면을 따라 열을 지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해머로 형성되며, 상기 로터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해머부; 및
    상기 해머부에 의해 파쇄되는 건설폐기물과의 마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설치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부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상기 체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 버팀부;
    상기 제1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면을 따라 위치한 후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2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버팀부 사이의 빈 공간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연장부의 다른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3버팀부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파쇄 임계치를 가지는 상기 제1 버팀부 및 상기 제2 버팀부에 각각의 임계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버팀부가 파쇄된 후 상기 제2 버팀부가 파쇄되는,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KR1020180111371A 2018-09-18 2018-09-18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KR10195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71A KR101951166B1 (ko) 2018-09-18 2018-09-18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71A KR101951166B1 (ko) 2018-09-18 2018-09-18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166B1 true KR101951166B1 (ko) 2019-05-21

Family

ID=6667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71A KR101951166B1 (ko) 2018-09-18 2018-09-18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781Y1 (ko) 2002-01-16 2002-04-27 포철기연주식회사 임팩트 크러셔의 해머 고정핀 취외용 지그
KR100878844B1 (ko)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개폐부가 구비된 해머크라샤 구조
KR101428795B1 (ko) * 2014-03-28 2014-08-12 유신환경 유한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압착과 타격에 의한 2단식 파쇄기
CN106738484A (zh) * 2016-12-27 2017-05-31 郑州吉音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橡胶生产用粉碎干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781Y1 (ko) 2002-01-16 2002-04-27 포철기연주식회사 임팩트 크러셔의 해머 고정핀 취외용 지그
KR100878844B1 (ko)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개폐부가 구비된 해머크라샤 구조
KR101428795B1 (ko) * 2014-03-28 2014-08-12 유신환경 유한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압착과 타격에 의한 2단식 파쇄기
CN106738484A (zh) * 2016-12-27 2017-05-31 郑州吉音动漫科技有限公司 一种橡胶生产用粉碎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785B1 (ko)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951169B1 (ko)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KR101931252B1 (ko)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KR100674817B1 (ko) 비중분리식 쓰레기 감량화 선별장치
KR101787666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0936291B1 (ko) 매립폐기물과 오염 토양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장치
KR101931253B1 (ko) 소음 저감기능을 갖는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CN102107151B (zh) 立筒式振动煤矸分离机
CN111229362A (zh) 一种煤矿采煤破碎装置
KR100808548B1 (ko)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죠 크러셔
KR101951166B1 (ko) 건설폐기물 파쇄장치
US3946950A (en) Material reducer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74465B1 (ko) 골재 버켓 타격 박리 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870650B1 (ko) 골재의 제조장치
KR20150069984A (ko) 폐콘크리트로부터 모래를 재생하는 폐콘크리트 리사이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0639190B1 (ko) 음식폐기물의 파쇄, 선별장치
CN210022294U (zh) 一种用于建筑垃圾回收的快速破碎装置
KR100382797B1 (ko) 매립물 분리 처리장치
KR20010068176A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1950803B1 (ko) 폐전선을 이용한 pvc 콤파운드 제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