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920B1 -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920B1
KR101950920B1 KR1020170121267A KR20170121267A KR101950920B1 KR 101950920 B1 KR101950920 B1 KR 101950920B1 KR 1020170121267 A KR1020170121267 A KR 1020170121267A KR 20170121267 A KR20170121267 A KR 20170121267A KR 101950920 B1 KR101950920 B1 KR 101950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it
concrete
slab
permanen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영표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22Containers for fluent solids, e.g. silos, bunkers; Supports therefor
    • E04H7/24Constructions, with or without perforated wall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7/26Constructions, with or without perforated wall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슬랩이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단위부재(A)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상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하측 결합부(1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00);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 거치부(200); 상기 한 쌍의 측벽(100)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간격벽(30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결합부(12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11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100)과 상기 슬랩의 일체화를 위하여, 상기 함몰부(121)와 상기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안전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UNIT MEMBER FOR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탄 저장고(Coal Shed)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대규모의 석탄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높이 및 폭이 수십m에 이르는 대규모의 벽체 구조물을 말한다.
이는 중앙격벽과, 그 양측에 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측방격벽에 의해 다수의 구획된 석탄저장실을 구비한 구조를 취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대규모의 벽체 구조물의 시공을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이는 대규모의 구조물이므로, 시공이 어려워 안전성이 좋지 못하고, 공사기간이 길며, 공사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안전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슬랩이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단위부재(A)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상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하측 결합부(1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00);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부(200); 상기 한 쌍의 측벽(100)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간격벽(30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결합부(12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11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100)과 상기 슬랩의 일체화를 위하여, 상기 함몰부(121)와 상기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를 제시한다.
상기 함몰부(121)의 저면은 상기 거치부(20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부(100a)에 대한 콘크리트(C)의 충전 시 에어포켓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기 덮개부(111)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100) 내부에는 배근(101)이 설치되고, 상기 배근(1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100) 내부에는 쉬스(102)가 설치되고, 상기 쉬스(10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거치부(20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 거푸집(210)이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설치되도록,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단위부재(A2)의 간격벽(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간격벽(30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간격벽 지지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벽(300)의 상면에 대한 상기 상측 단위부재(A1)의 간격벽 지지부(310)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간격벽(300)이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벽 지지부(310)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20)에 접촉하는 단차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측에는 상기 단차부(311)와 접촉하여 가이드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311)의 저면에는 탄성받침부(312)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의 덮개부(111)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상측 결합부(120)의 함몰부(121)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측벽 지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벽(300)에는 작업통로(301)가 일측 또는 타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에는 상기 일측 작업통로(301a)와 상기 타측 작업통로(301b)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위부재(A)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로서, 적층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부재(A); 복수의 상기 단위부재(A) 중 하측 단위부재(A2)의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구 거푸집(210); 상기 영구 거푸집(210)의 상부와 상기 충전부(100a)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영구 거푸집(210)의 상면의 양 측단은 상기 충전부(100a)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이 안전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벽체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단위부재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단위부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
도 6은 벽체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 상세도.
도 8은 도 6의 주요부 상세도.
도 9는 벽체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0은 벽체 구조물의 제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은 주요부 측단면도.
도 12는 단위부재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
도 13은 단위부재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14는 벽체 구조물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석탄 저장고와 같은 대규모의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단위부재(A)에 관한 것이다.
이는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부재(A)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슬랩이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 구조물을 형성한다.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부재(A)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취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와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로 구분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단위부재(A)는 구체적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상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와 결합하여 슬랩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하측 결합부(1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00);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부(200); 한 쌍의 측벽(100)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간격벽(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내지 5, 도 9 내지 11).
상측 결합부(120)에는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하측 결합부(110)에는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된다(도 6,7).
측벽(100)과 슬랩의 일체화를 위하여, 함몰부(121)와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단위부재(A)를 적층하여 벽체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식을 취하도록 함으로써, 대규모의 벽체 구조물의 시공에 불구하고, 시공이 안전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단위부재(A)를 적층하는 방식을 취하더라도, 벽체의 높이가 수십m에 이르도록 높아지는 경우에는, 적층되는 단위부재(A) 사이에 과도한 응력집중이 발생하게 되므로, 그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에 의한 슬랩을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단위부재(A)는 이러한 공법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단위부재(A)의 한 쌍의 측벽(100) 상하에 각각 상측 결합부(120)와 하측 결합부(110)를 형성하되, 상측 결합부(120)에는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측 결합부(110)에는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위 함몰부(121)와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측벽(100)과 슬랩이 일체화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하 단위부재(A)의 적층 및 슬랩의 타설에 의해 상하 단위부재(A)가 상호 일체화되도록 하고,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단위부재(A)를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의 벽체 구조물의 시공에 불구하고, 시공이 안전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영구 거푸집(210)이란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거푸집 역할을 하고, 양생 후에는 타설된 콘크리트와 함께 구조체 역할을 하는 반바닥판을 의미한다.
측벽(100)의 상측 결합부(120)의 함몰부(121)의 저면은 거치부(20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거치부(200) 위에 거치된 영구 거푸집(210) 상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자연스럽게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의 함몰부(121)로 흘러들어가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도 6,7).
측벽(100)의 하측 결합부(110)의 덮개부(111)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충전부(100a)에 대한 콘크리트(C)의 충전 시 에어포켓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도 6,7).
영구 거푸집(210)의 상면의 양 측단이 충전부(100a)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구조를 취하는 경우, 상술한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측벽(100) 내부에는 배근(101)이 설치되고, 배근(1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그 상하에 설치되는 단위부재(A)의 노출된 배근(101)과 그 충전부(100a)에서 상호 배근이 결합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일체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측벽(100) 내부에는 쉬스(102)가 설치되고, 쉬스(10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적층되는 각 단위부재(A)의 쉬스(102)는 그 충전부(100a)에서 상호 결합하고, 적층공정의 완료 후 쉬스(102)들을 통해 긴장재를 배치하고 긴장하여 벽체 구조물의 상하단에 정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상측 단위부재(A1)의 상부에 하측 단위부재(A2)에 거치된 후, 슬랩 콘크리트 타설 전에는, 하측 단위부재(A2)의 특정 부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위험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측 단위부재(A2)의 간격벽(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간격벽(30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간격벽 지지부(31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8).
간격벽(300)의 상면에 대한 상측 단위부재(A1)의 간격벽 지지부(310)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간격벽(300)이 상면에서 상측으로 가이드부(320)가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하측 단위부재(A2)의 상부 정확한 위치에 상측 단위부재(A1)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추가된다.
간격벽 지지부(310)의 외측에는 가이드부(320)에 접촉하는 단차부(311)가 형성되고, 가이드부(320)의 내측에는 단차부(311)와 접촉하여 가이드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우, 위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도 8).
단차부(311)의 저면에 탄성받침부(312)가 설치되는 경우, 상측 단위부재(A1)의 중량으로 인한 하측 단위부재(A2)의 간격벽(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위 간격벽 지지부(310)와 동일한 목적으로, 간격벽 지지부(310) 대신(또는 함께) 측벽 지지부(330)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2,13).
측벽 지지부(330)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의 덮개부(111)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상측 결합부(120)의 함몰부(121)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구조를 취한다.
거치부(200)는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한 쌍의 측벽(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한 쌍의 측벽(100)의 상면 내측 가장자리에 거치부(200)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도 12,13).
즉,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측벽(100)의 상면에 영구 거푸집(210)의 양단이 거치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거치부(200)는,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한 쌍의 측벽(100)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거치부(201)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9 내지 11).
슬랩 콘크리트는 단위부재(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되는데, 하측 단위부재(A2)의 간격벽(300) 상부에는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없으므로, 영구 거푸집(210)은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설치되고, 이를 위하여 돌출거치부(201)는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형성된다(도 10).
간격벽(300)과 영구 거푸집(210)의 사이에는 실링재(211) 등이 도포되어 콘크리트의 누설을 방지한다.
작업자의 이동을 편하게 함과 아울러, 단위부재(A)의 자중을 줄이기 위하여 간격벽(300)에는 작업통로(3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간격벽(300)에 작업통로(301)가 일측 또는 타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간격벽(300)에는 일측 작업통로(301a)와 타측 작업통로(301b)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특정 방향 또는 특정 부위에 대한 취약부의 발생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영구 거푸집(210) 및 슬랩의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이유로 상하방향 작업통로(211a,211b)가 일측 및 타측에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0).
본 발명은 이러한 단위부재(A)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로서, 적층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단위부재(A); 복수의 단위부재(A) 중 하측 단위부재(A2)의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구 거푸집(210); 영구 거푸집(210)의 상부와 충전부(100a)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하는 벽체 구조물을 제시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A1,A2 : 단위부재 100 : 측벽
100a : 충전부 101 : 배근
102 : 쉬스 110 : 하측 결합부
111 : 덮개부 120 : 상측 결합부
121 : 함몰부 200 : 거치부
201 : 돌출거치부 210 : 영구 거푸집
300 : 간격벽 301 : 작업통로
310 : 간격벽 지지부 311 : 단차부
312 : 탄성받침부 320 : 가이드부
330 : 측벽 지지부

Claims (15)

  1. 복수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슬랩이 형성되도록 하여 벽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단위부재(A)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상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하측 결합부(1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00);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부(200);
    상기 한 쌍의 측벽(100)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간격벽(30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결합부(12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11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100)과 상기 슬랩의 일체화를 위하여, 상기 함몰부(121)와 상기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121)의 저면은 상기 거치부(20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100a)에 대한 콘크리트(C)의 충전 시 에어포켓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상기 덮개부(111)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00) 내부에는 배근(101)이 설치되고, 상기 배근(101)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00) 내부에는 쉬스(102)가 설치되고, 상기 쉬스(102)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상기 충전부(100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200)는,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내측 상부에 돌출형성된 돌출거치부(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거푸집(210)이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설치되도록, 상기 돌출거치부(201)는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 사이 영역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단위부재(A2)의 간격벽(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간격벽(30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간격벽 지지부(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벽(300)의 상면에 대한 상기 상측 단위부재(A1)의 간격벽 지지부(310)의 안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간격벽(300)이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벽 지지부(310)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부(320)에 접촉하는 단차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측에는 상기 단차부(311)와 접촉하여 가이드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311)의 저면에는 탄성받침부(3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의 덮개부(111)에 접촉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상측 결합부(120)의 함몰부(121)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측벽 지지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벽(300)에는 작업통로(301)가 일측 또는 타측에 치우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간격벽(300)에는 상기 일측 작업통로(301a)와 상기 타측 작업통로(301b)가 번갈아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A).
  14. 삭제
  15. 복수의 단위부재(A)가 적층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부재(A) 사이에 현장타설 콘크리트(C)에 의한 슬랩이 형성된 벽체 구조물로서,
    상기 단위부재(A)는,
    상부에 설치되는 상측 단위부재(A1)의 하측 결합부(11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상부에 상측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단위부재(A2)의 상측 결합부(120)와 결합하여 상기 슬랩을 형성하도록 하부에 하측 결합부(1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측벽(100);
    상기 슬랩의 형성을 위한 영구 거푸집(210)을 거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100)의 상부에 형성된 거치부(200);
    상기 한 쌍의 측벽(100) 사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간격벽(300);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결합부(12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가 흘러들어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결합부(110)에는 상기 영구 거푸집(210)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C)의 측방유출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덮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100)과 상기 슬랩의 일체화를 위하여, 상기 함몰부(121)와 상기 덮개부(111)의 사이 영역에 의해 콘크리트(C)가 충전되는 충전부(100a)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벽체 구조물은,
    적층구조로 설치된 복수의 상기 단위부재(A);
    복수의 상기 단위부재(A) 중 하측 단위부재(A2)의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구 거푸집(210);
    상기 영구 거푸집(210)의 상부와 상기 충전부(100a)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 거푸집(210)의 상면의 양 측단은 상기 충전부(100a)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구조물.
KR1020170121267A 2017-09-20 2017-09-20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101950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67A KR101950920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67A KR101950920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920B1 true KR101950920B1 (ko) 2019-02-22

Family

ID=6558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67A KR101950920B1 (ko) 2017-09-20 2017-09-20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9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012B1 (ko) * 1995-10-26 1999-06-15 이내흔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JP3657692B2 (ja) * 1996-03-22 2005-06-08 株式会社淀川製鋼所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74065B1 (ko) * 2011-10-20 2012-08-13 김종군 건축용 블록 및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140112175A (ko) * 2013-03-13 2014-09-23 남궁영환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183B1 (ko) * 2015-02-10 2015-09-04 김종군 건축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속력을 가지는 건축물 벽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012B1 (ko) * 1995-10-26 1999-06-15 이내흔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JP3657692B2 (ja) * 1996-03-22 2005-06-08 株式会社淀川製鋼所 建築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74065B1 (ko) * 2011-10-20 2012-08-13 김종군 건축용 블록 및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20140112175A (ko) * 2013-03-13 2014-09-23 남궁영환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183B1 (ko) * 2015-02-10 2015-09-04 김종군 건축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속력을 가지는 건축물 벽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013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KR2017003282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이중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50920B1 (ko)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20090106914A (ko) 이중 단열 거푸집
KR100720067B1 (ko) 아치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 보의 시공방법
KR101250385B1 (ko) 수직절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부 유니트의 조립에 의한 교각부를 가지는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CN110359557B (zh) 一种基于内插板、端板连接梁柱节点的装配式建筑体系
KR101950921B1 (ko) 엇갈림 적층 벽체 형성용 단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물
KR20170093743A (ko) 빔 받침플레이트를 구비한 빔교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99731B1 (ko) 저형고 방호벽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13181277A (ja) 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体
KR101628049B1 (ko)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532430B1 (ko) 증가된 리브 높이를 갖는 복합 리브 슬래브의 제작 및 시공방법
JP2013217174A (ja) 自由勾配兼用有底側溝
KR101346671B1 (ko) 간격재를 이용한 pc보와 수직부재의 접합부 핀접합 구조
KR101366608B1 (ko)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중 보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KR20120125805A (ko) 분할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4828A (ko) 조립식 맨홀 구조체
JP3399924B2 (ja) 護岸法覆構造
KR100769044B1 (ko) 건축물 높이 조절용 유로폼
KR101708274B1 (ko)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중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림 플로어와 중공 무량판 구조
KR101528302B1 (ko)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212129223U (zh) 一种拼装式管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