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97B1 -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97B1
KR101950497B1 KR1020170108468A KR20170108468A KR101950497B1 KR 101950497 B1 KR101950497 B1 KR 101950497B1 KR 1020170108468 A KR1020170108468 A KR 1020170108468A KR 20170108468 A KR20170108468 A KR 20170108468A KR 101950497 B1 KR101950497 B1 KR 10195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editing
time
real
moving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상
최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크리에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크리에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크리에이션
Priority to KR102017010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동영상과 연속되며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될 제2부분동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Realtime video Editing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비디오 편집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면에서 소정의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이 그대로 인코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영상편집에 직관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영상이 플레이되면서 실시간으로 인코딩이 되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기의 발달과 소형화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동영상의 촬영이 용이해짐으로써 동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편집하여 사용코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동영상의 편집방법은 사용자가 동영상을 한 번 재생한 후, 소정의 위치에 편집행위(예컨대, 텍스트의 입력, 음성의 추가 등)을 수행한 후 편집행위를 종료하면, 편집행위가 반영된 편집된 동영상이 인코딩되어 생성되고, 사용자는 인코딩된 동영상을 재생하여 편집된 동영상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즉, 편집행위 후에 편집된 전체 동영상이 인코딩되어 생성되고, 사용자는 이 후 다시 인코딩된 동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편집행위를 확인하여야 한다.
도 10은 종래의 동영상 편집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은 동영상의 편집과 인코딩을 별개의 절차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영상을 보면서(preview) 편집(editing)을 하여야 하므로, 편집을 위해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를 한 뒤 편집(editing)해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편집행위와 별개로 인코딩을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즉, 인코딩을 위해 다시 동영상의 디코딩이 수행되고, 디코딩이 수행된 결과에 편집행위를 적용하여 편집행위가 적용된 정보를 인코딩함으로써 편집된 동영상(output video)가 생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편집행위를 한 후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지나서야 비로서 편집된 동영상이 확인되어 직관적이거나 실시간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 전체에 대한 편집행위가 종료된 후에 전체 동영상에 대해 편집된 동영상이 인코딩되므로, 동영상 중 상대적으로 적은 일부의 구간만 편집하는 경우에도 매우 사용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래의 동영상을 디코딩 하여 디코딩된 영상이 재생된 후, 이와는 별개로 편집행위가 입력되면, 편집행위가 반영된 편집영상의 인코딩 후 다시 상기 편집영상이 디코딩되어야 비로소 편집된 동영상이 사용자에게 확인되어 편집을 위해 디코딩이 복수 번 반복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583745 "실시간 동영상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턴제 게임 지원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편집을 수행하면서 바로 편집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한 편집동영상대로 동영상이 인코딩되면서 실시간으로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어서 매우 간편하게 사용자가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동영상과 연속되며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될 제2부분동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편집영상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편집영상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부분영상을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지 않고 연속으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의 선택이 해제될때까지에 상응하는 상기 제2부분영상이 편집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소정의 편집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부분영상의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동영상 재생이 멈춘 상태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상기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편집영상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시간구간 컨텐츠인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를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정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되어 상기 편집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는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되며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될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된 동영상을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제1동용상의 일부분을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모듈,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되며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될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며, 상기 인코딩 모듈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받으며, 상기 제2부분영상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의 편집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부분영상의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고, 동영상 재생이 멈춘 상태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상기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컨텐츠가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시간구간 컨텐츠인 경우,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를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고,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되어 상기 편집영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재어모듈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제1동용상의 일부분을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모듈,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되며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될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며,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상기 편집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된 동영상을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으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편집행위를 한 후 즉각적으로 편집된 부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의 편집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일부분에 동영상의 편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동영상이 인코딩되므로, 전체 동영상의 일부만 편집하여 편집된 일부를 포함하는 전체 동영상의 일부분의 영상만 획득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원래의 동영상을 디코딩한 후에 편집행위 입력될 경우, 이미 디코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행위가 반영된 편집영상이 플레이되므로 불필요하게 반복적인 디코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의 개략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편집되는 동영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유저에게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정합대상 컨텐츠가 직관적으로 편집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동영상 편집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동영상 편집방식은 도 9의 종래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의 개략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원본 동영상의 편집을 위해 디코딩이 된 후, 편집행위가 수행되면 수행된 편집행위가 바로 적용되어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즉, 도 10과 비교하면 편집 프로세스와 인코딩 프로세스가 서로 별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편집 프로세스를 위한 디스플레이(디코딩)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편집행위가 바로 적용되고 적용된 정보 즉, 사용자가 보고 있는 정보가 바로 인코딩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선 디코딩의 횟수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직관적인 편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동영상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소정의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예컨대, 애플리케이션)와 상기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단말기의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로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기기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기는 스마트폰, 타블렛 PC, 랩탑, 데스크탑, 모바일 단말, PMP, PDA 등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점유하고 있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상기 단말기에 상기 소프트웨어가 설치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인터페이스 모듈(120), 인코딩 모듈(130), 및 디코딩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동영상 플레이어(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120), 인코딩 모듈(130), 디코딩 모듈(140), 및/또는 동영상 플레이어(150) 등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은 소정의 동영상을 임포트(import)할 수 있다. 임포트되는 동영상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임포트되는 동영상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이 디코딩할 수 있는 형식의 파일일 수 있다. 예컨대, avi, wmv, asf, flv, mov, mpeg 등의 확장자를 갖는 동영상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을 통해 임포트될 수 있다.
임포트된 동영상의 파일은 상기 디코딩 모듈(140)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디코딩된 결과는 소정의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출력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디코딩 모듈(140)에 의해 디코딩된 디코딩 정보들은 순차적으로 소정의 그래픽 버퍼 등에 저장되었다가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출력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디코딩 모듈(140)은 임포트된 동영상을 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포함된 플레이어일 수도 있고,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과 무관하게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이 설치된 단말기에 설치된 타 플레이어일 수도 있다. 물론 후장의 경우에는 상기 디코딩 모듈(140)과 상기 타 플레이어 간에는 소정의 API 또는 미리 오픈된 함수 등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이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해 제어하는 동영상 플레이어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포함된(예컨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구비된) 경우인 것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동영상 파일을 생성 즉, 인코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된 상태 그대로 동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이 실제 상기 인코딩 모듈(130)에 의해 인코딩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지윅(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이라고도 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위지윅 기능으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가 소정의 동영상을 플레이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다.
에컨대 상기 디코딩 모듈(140)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동영상이 디코딩된 디코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디코딩 정보는 직접 또는 소정의 저장장치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상기 저장장치 또는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출력되는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코딩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상기 디코딩 모듈(140)이 출력하는 순차적인 디코딩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동영상이 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는 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디코딩 모듈(140)에 의해 디코딩된 디코딩 정보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되는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동영상이 상기 디코딩 모듈(140)에 의해 디코딩되어 생성된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고, 디코딩 정보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어떻게 플레이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플레이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고, 크로핑(cropp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 정보와 소정의 컨텐츠(예컨대, 텍스트,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등)를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의 일부와 정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펙트(effect)와 상기 디코딩 모듈(140)에 의해 생성되는 디코딩 정보가 결합된 동영상 즉, 편집영상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코딩 모듈(130)은 디코딩 모듈(140)로부터 직접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디코딩 정보가 상기 제어모듈(110)에 의해 수정된 수정 디코딩 정보(즉,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를 상기 제어모듈(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디코딩 모듈(140)로부터 편집의 대상이 되는 동영상의 디코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코딩 정보를 수정하여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에 해당하는 수정 디코딩 정보를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 및 상기 인코딩 모듈(13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는 수정 디코딩 정보 즉,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편집영상을 플레이하고, 상기 인코딩 모듈(130)은 실시간으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편집되는 동영상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10)을 임포트할 수 있다(S100). 상기 제1동영상(10)은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동영상(10)은 예컨대, 제1부분영상(11)으로 시작하여 사용자가 제1편집 이벤트를 적용코자 하는 제2부분영상(12)이 상기 제1부분영상에 연속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편집행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제1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제1편집영상이 재생되는 중의 소정의 시점에 제2편집 이벤트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연속된 상기 제1동영상(10)의 일부분인 제3부분영상(13)에 제2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제2편집 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동영상(10)의 끝까지 동영상 플레이어(150)를 통해 재생할 수도 있고, 소정의 시점에서 재생을 멈출 수도 있다. 그러면 멈춘 시점까지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재생된 동영상이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의해 인코딩된 동영상 즉 목표영상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제1동영상(10)의 재생을 멈추는 경우, 사용자는 처음부터 상기 제2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시점까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재생된 영상이 목표영상이 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인코딩을 수행하므로 용이하게 제1동영상(10)의 일부분만을 편집한 영상을 생성하기 용이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20)에 의해 상기 제1동영상(10)이 임포트되면, 상기 제1동영상(10)의 특정위치(예컨대, 처음)부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S110).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재생되는 동영상은 재생되는 그대로 상기 인코딩 모듈(130)에 의해 백그라운드로 인코딩될 수 있다(S110).
그러다가 사용자는 소정의 편집이벤트를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S120).
상기 편집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제1동영상(10)이 계속 재생되면서 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재생될 수도 있고, 제1동영상(10)의 재생이 멈추고 사용자가 편집 이벤트를 완료할 수 있도록 재생이 중지되어야 할 수도 있다(S130).
예컨대, 상기 편집 이벤트는 상기 제1동영상(10)의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편집 이벤트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동영상(10)의 재생을 멈추지 않고 연속하여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동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복수의 재생속도 조절을 위한 UI인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예컨대, 20, 21, 22)를 제1동영상(10)이 플레이되고 있는 중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UI(예컨대, 20, 21, 2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이 편집 이벤트의 수신일 수 있다. 상기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동영상(10)은 선택시점(즉, 도 4의 제1편집 이벤트)부터 재생속도(예컨대, slow, normal, fast)가 조절되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편집 이벤트(예컨대, 재생속도 slow)가 반영된 제1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정 속도 인터페이스(예컨대, 20)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속도 인터페이스(예컨대, 20)가 선택되는 동안 재생 속도 이벤트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느리게 재생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상기 특정 속도 인터페이스(예컨대, 20)의 선택을 해제하면 정상적으로 속도가 재생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편집영상은 상기 특정 속도 인터페이스(예컨대, 20)의 선택시점부터 해제시점까지일 수 있다.
이처럼 단순히 특정 버튼의 선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행위가 가능한 경우에는 편집 행위를 위해 제1동영상(10)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상기 편집 이벤트(제1편집 이벤트) 전까지의 동영상인 제1부분동영상(11)에 이어서 편집영상(제2부분영상(12)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S160).
이처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의해 제1동영상(10)이 재생되도록 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편집된 목표영상을 빨리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편집 이벤트(제1편집 이벤트)는 상기 제1동영상(10)에 소정의 컨텐츠를 정합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는 특정 텍스트나 이미지를 제2부분영상(12)에 부가하는 행위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자체가 일정 시간 구간동안 플레이될 수 있는 컨텐츠 즉, 시간구간 컨텐츠(예컨대, 오디오, 동영상(예컨대, 특정 이펙트를 일정 시간 동안 나타내는 에니메이션 컨텐츠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러한 컨텐츠를 특정하는데 일정 시간 및/또는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동영상 플레이어(150)를 멈출 수 있다(S140).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편집 이벤트(예컨대, 제1편집 이벤트인 텍스트의 추가)를 정의하는 행위를 추가로 더 수신하여 편집 이벤트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추가를 위한 편집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1편집 이벤트 요청신호의 수신시점에서 제1동영상(10)의 재생을 중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텍스트 추가를 위한 UI(30)를 제공할 수 있다. 제1동영상(10)이 중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UI(30)를 통해 편집행위를 완료(예컨대, 텍스트의 선택, 크기의 선택, 노출될 위치의 선택 등)하면 편집 이벤트의 수신이 완료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S145).
이 후 다시 재생요청이 입력되면(또는 편집 이벤트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즉, 텍스트가 추가된) 제1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재생될 수 있다.
이처럼 정합대상 컨텐츠가 특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가 정합된 제1편집영상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15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가 정합된 제1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이벤트의 다른 일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이벤트(제1편집 이벤트)에 해당하는 시점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음악)가 재생되도록 하는 이벤트가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제2부분영상(12)에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즉, 선택된 음악이 재생되는) 제1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재생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은 크로핑 UI(23)를 더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크로핑 UI(23)를 선택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 UI(50)를 이용해 사용자는 제1동영상(10)을 크로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즉, 크로핑된 영역에 해당하는 영상만이 재생) 제1편집영상이 동영상 플레이어(150)에 재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편집 이벤트(제1편집 이벤트)가 소정의 컨텐츠를 제2부분영상(12)에 정합하는 것일 경우, 그리고 상기 컨텐츠가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시간구간 컨텐츠인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제2부분영상(12)에 정합하고자 하는 정합대상 컨텐츠 역시 위지윅 형식으로 직관적으로 편집할 수 있돌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실제로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 즉, 제1동영상(10)에 어떠한 이펙트를 부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펙트의 지속시간을 매우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강조하고자 부분 또는 이펙트의 강약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정합대상 컨텐츠가 직관적으로 편집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효과를 제공하는 소정의 컨텐츠를 소정의 편집 이벤트(예컨대, 제1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시점에 부가하고 싶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컨텐츠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텍스트가 소정의 크기로 디스플레이되었다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작아져서 사라지는 컨텐츠일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는 시간구간 컨텐츠일 수 있으며, a초(예컨대, 3초)간 재생되는 동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가 시간구간 컨텐츠일 경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를 소정의 동영상 플레이어에 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가 플레이되는 동영상은 제1동영상(10) 또는 편집영상이 재생되는 동영상 플레이어(150)와는 별개의 서브 동영상 플레이어일 수도 있다. 물론, 동일한 동영상 플레이어(150)에서 플레이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브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컨텐츠를 플레이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속도 조절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동영상(10)에 정합하고자 하는 컨텐츠 역시 직관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인터페이스(예컨대, SLOW)를 선택한 경우, 상기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속도만큼 느리게 서브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수 있다. 느리게 재생되는 대로 상기 컨텐츠는 재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인코딩된 컨텐츠 즉, 정합대상 컨텐츠는 더 긴 시간동안(예컨대, 2a 초) 천천히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2인터페이스(예컨대, FAST)를 선택한 경우, 상기 컨텐츠는 미리 정해진 속도만큼 빠르게 서브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수 있다. 빠르게 재생되는 대로 상기 컨텐츠는 재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인코딩된 컨텐츠 즉, 정합대상 컨텐츠는 더 빠른 시간동안(예컨대, a*1/2 초) 뻘라 사용자가 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직관적인 방식으로 소정의 시점 즉, 편집 이벤트(제1편집 이벤트)에 상응하는 시점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가 특정되면, 특정된 정합대상 컨텐츠가 제1동영상(10)의 상기 시점에 정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부분영상(12)의 길이는 정합대상 컨텐츠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2부분영상(12)은 편집 이벤트의 종류 및 결과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지는 부분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편집하고다 하는 동영상을 편집행위를 수행하자마자 바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그리고 순차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인코딩될 수 있다.
또한 편집하고자 하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상기 동영상에 부과하고자 하는 편집 이벤트까지도 직관적으로 편집하여 원하는 효과의 세부적인 조절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CPU혹은 멀티 코어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타 구성 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100)으로 하여금, 상술한 소프트웨어 이용 제한 시스템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에 있어서,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된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제2부분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편집영상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부분영상을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지 않고 연속으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부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의 선택이 해제될때까지에 상응하는 상기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소정의 편집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부분영상의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동영상 재생이 멈춘 상태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상기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영상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은,
    상기 컨텐츠가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시간구간 컨텐츠인 경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를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정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되어 상기 편집영상이 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는,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7.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에 있어서,
    유저의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된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된 동영상을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8.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에 있어서,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모듈;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된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며,
    상기 인코딩 모듈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편집 이벤트가 반영된 제2부분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고 있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받으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부분영상을 플레이 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의 편집요청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부분영상의 플레이 후 동영상 재생을 멈추고, 동영상 재생이 멈춘 상태에서 소정의 컨텐츠를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상기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영상을 플레이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컨텐츠가 재생시간이 존재하는 시간구간 컨텐츠인 경우,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를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고,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플레이된 대로 상기 제2부분영상에 정합될 정합대상 컨텐츠로 특정하며,
    특정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되어 상기 편집영상이 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되는 동영상의 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플레이 속도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하나인 선택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시간구간 컨텐츠가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속도로 속도가 조절된 상기 정합대상 컨텐츠를 플레이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4. 편집대상이 되는 제1동영상을 임포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디코딩하는 디코딩 모듈;
    상기 디코딩 모듈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제1동영상의 일부분을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도록 하는 제어모듈;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정합하도록 요청하는 편집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기 시작하여 이미 플레이된 제1부분영상과 연속된 제2부분영상에 상기 편집 이벤트를 반영하여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하며,
    상기 인코딩 모듈은,
    상기 제1부분영상과 상기 컨텐츠와 상기 제2부분영상이 정합된 영상을 플레이하면서 상기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플레이된 동영상을 인코딩하여 편집영상을 생성하는 실시간 동영상 편집시스템.
  15.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KR1020170108468A 2017-08-28 2017-08-28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5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68A KR101950497B1 (ko) 2017-08-28 2017-08-28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468A KR101950497B1 (ko) 2017-08-28 2017-08-28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97B1 true KR101950497B1 (ko) 2019-02-22

Family

ID=6558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468A KR101950497B1 (ko) 2017-08-28 2017-08-28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38014A (zh) * 2021-03-17 2021-06-2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的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WO2022025633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WO2022231300A1 (ko) * 2021-04-28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백업이 실행가능한 영상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06A (ko) * 2007-02-28 2008-12-03 스토리블렌더 인코퍼레이티드 동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109261A (ko) * 2007-06-12 2008-12-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멀티동영상컨텐츠 탐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6472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83745B1 (ko) 2014-09-26 2016-01-08 (주)토리랩 실시간 동영상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턴제 게임 지원 장치
KR20160089889A (ko) * 2016-07-14 2016-07-28 (주)케이지에스 게임 이벤트 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406A (ko) * 2007-02-28 2008-12-03 스토리블렌더 인코퍼레이티드 동영상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109261A (ko) * 2007-06-12 2008-12-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멀티동영상컨텐츠 탐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06472A (ko) * 2014-03-11 2015-09-22 주식회사 씬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83745B1 (ko) 2014-09-26 2016-01-08 (주)토리랩 실시간 동영상 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턴제 게임 지원 장치
KR20160089889A (ko) * 2016-07-14 2016-07-28 (주)케이지에스 게임 이벤트 영상 편집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633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3038014A (zh) * 2021-03-17 2021-06-25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应用程序的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WO2022231300A1 (ko) * 2021-04-28 2022-11-03 키네마스터 주식회사 백업이 실행가능한 영상 편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704B2 (en) Generation and use of user-selected scenes playlist from distributed digital content
CN108881767B (zh) 一种录屏终端系统及利用其实现录屏的方法
KR101246976B1 (ko) 미디어 콘텐츠 렌더링의 특징
US11727958B2 (en)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KR20210092220A (ko) 실시간 비디오 특수 효과 시스템 및 방법
KR101365829B1 (ko) 대화형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재생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대화형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재생하는 프리젠테이션 시스템 및 장치
US11670339B2 (en) Video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and medium
KR102131322B1 (ko) 동영상을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0800139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ding, editing and sharing multimedia files
WO2020015334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950497B1 (ko) 실시간 동영상 편집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90218A (ko) 편집 파일의 자동 업로딩 방법 및 그 장치
KR101017808B1 (ko) 편집 파일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202001204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interactive media content
JP2008141746A (ja) 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23331B1 (ko) 불연속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장치
WO2019042183A1 (zh) 虚拟场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0191591A (ja) 情報処理装置
KR20190018446A (ko) 터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용 슬로우 모션 동영상 재생 방법
KR101899576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격 운영을 위한 시간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124240A (ko) 자막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7889A (ko) 클라이언트 장치, 서버 장치, 멀티미디어 리디렉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94070A1 (zh) 应用程序的视频处理方法和电子设备
JP7153143B2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215123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