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52B1 -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52B1
KR101950452B1 KR1020170090523A KR20170090523A KR101950452B1 KR 101950452 B1 KR101950452 B1 KR 101950452B1 KR 1020170090523 A KR1020170090523 A KR 1020170090523A KR 20170090523 A KR20170090523 A KR 20170090523A KR 101950452 B1 KR101950452 B1 KR 10195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roller
fixing
fixed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750A (ko
Inventor
김국태
Original Assignee
김국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태 filed Critical 김국태
Priority to KR102017009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을 받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높게 하여 구동력을 보트에 온전히 전달하여 보트를 지상에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보트를 탑재할 때에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낮게 하여 탑재를 쉽게 하며, 보트와의 접촉을 최소로 하면서 보트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보트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개의 도르래와 로프로 보트와 연결되어 적은 힘으로 보트를 차량에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토퍼가 보트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Car Roof Carrier for Boat Movement}
본 발명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을 받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높게 하여 구동력을 보트에 온전히 전달하여 보트를 지상에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보트를 탑재할 때에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낮게 하여 탑재를 쉽게 하며, 보트와의 접촉을 최소로 하면서 보트의 무게를 고르게 분산시켜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보트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개의 도르래와 로프로 보트와 연결되어 적은 힘으로 보트를 차량에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복수개의 스토퍼가 보트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견고하게 고정해주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짐이나 화물 등을 실을 수 있도록 트렁크가 마련된다. 그러나 트렁크의 공간은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큰 짐이나 화물 등을 적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트렁크의 공간을 확장하거나, 부피가 큰 짐을 싣기 위해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에 루프 캐리어가 장착된다. 루프 캐리어에는 부피가 큰 다양한 짐이 실릴 수 있다. 최근 해양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의 루프 캐리어에 보트를 싣고 다니고자 하는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차량에 보트를 싣기 위한 루프 캐리어와 관련된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007622(자동차 이동용 조립식 소형보트 선좌장치)에는 차량 위에 선좌장치를 설치하여 보트를 선좌시켜 간편하고 안전하게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이동 시 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보트에 그대로 직접 전달되므로, 진동에 의해 보트가 손상될 우려가 높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차량에서 보트를 올리고 내리기 위해서는 보트를 여러 사람이 직접 들어서 올리거나, 내려야 하기 때문에 혼자서는 보트를 내릴 수 없고, 여러 사람이 있어야만 보트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보트의 하부만을 고정하므로, 보트가 선좌장치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KR 20-1998-0007622 U KR 10-2017-0056291 A
본 발명의 목적은 보트가 차량의 루프에 고정될 때에 보트와 직접 접촉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구동부의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가 전방구동부의 전방롤러의 외부높이보다 높게 하여 보트를 지상에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보트를 차량의 루프에 탑재할 때에 보트와 직접 접촉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낮게 하여 보트의 탑재를 쉽게 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트가 탑재되어 있을 때에 보트를 지지하는 구동부의 높이를 다른 구성들보다 높게 위치시켜 보트와 루프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고, 구동부를 차량의 전방과 후방에 나누어 배치하여 고정된 보트의 무게를 분산하여 차량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보트를 보호할 수 있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어에 복수개의 도르래를 두고, 로프로 도르래와 보트를 연결해주어 보다 적은 출력의 모터와 작은 용량의 이동식 배터리로도 한 사람이 편리하게 보트를 캐리어로 들어 올리거나, 캐리어에서 지상으로 내릴 수 있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에 복수개의 스토퍼를 두어 보트의 전방측과 후방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에 후단에 보트를 지상으로 내릴 때 사용하는 지지대를 두어, 보트를 지상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보트가 차량에 부딪혀서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손상과 보트의 손상을 방지해주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10)의 루프패널(20)에 설치되며, 상부에 보트(30)가 거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트(30)의 전방측 양옆면을 고정하며 로프(330)의 끝단 일측이 가장자리와 중앙부 사이에 고정되는 전방고정부(2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로프(330)로 상기 보트(30)와 연결되어, 상기 보트(30)를 지상에서 상기 루프패널(20)로 들어올리는 도르래부(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방측에서 상기 전방고정부(200) 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보트(30)와 접촉되어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보트(3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운동 저항을 줄여주는 전방구동부(4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트(30)의 후방측 양옆면을 고정해주는 후방고정부(5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방측에서 상기 후방고정부(500) 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보트(30)와 접촉되어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보트(3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330)의 끝단 일측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후방구동부(600); 상기 전방고정부(200)와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간격이 벌어져서 상기 보트(30)의 길이에 따라 후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프레임(700); 및 상기 이동프레임(700)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밑면이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보트(30)가 지상으로 내려갈 때 상기 보트(30)가 상기 차량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지지부(8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방고정부(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선단에 고정되며, 전 길이에 걸쳐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전방체결홈(212)이 형성된 전방고정바(210)와, 'ㄴ'형상으로 저면에 상기 전방고정바(210)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체결홈(212)과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전방고정공(222)과, 상기 전방고정공(222)보다 앞선 위치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전방각도조절공(224)과, 수직면에 상기 보트(30)의 양면에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전방보트고정공(226)이 형성된 전방스토퍼(220)를 더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기 후방고정부(500) 보다 후단에 배치되어, 동일 선상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후방롤러고정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구동부(600)는, 상기 후방롤러고정구(15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후방롤러(610)와, 상기 후방롤러(610)의 중앙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30)와, 상기 모터(630)와 상기 후방롤러(610)를 연결해주어 상기 모터(630)의 축 회전 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해주어 상기 후방롤러(610)를 회전시켜주는 기어박스(620)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이동프레임(700)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밑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보트(30)가 지상으로 내려갈 때, 상기 보트(30)가 상기 차량(10)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는 지지대(810)와, 상기 지지대(810)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보트(30)가 상기 지지대(810)에 접촉될 때 완충 작용을 해주는 완충재(820)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700)은, 각진 '∪'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레일(730)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60)에 끼워져 전후 왕복 이동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후방고정부(5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전방구동부(400)의 후단에 고정되며, 전 길이에 걸쳐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후방체결홈(512)이 형성된 후방고정바(510)와, 'ㄴ'형상으로 저면에 상기 후방고정바(510)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체결홈(512)과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후방고정공(522)과, 상기 후방고정공(522)보다 앞선 위치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후방각도조절공(524)과, 수직면에 상기 보트(30)의 양면에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후방보트고정공(526)이 형성된 후방스토퍼(5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전방고정부(200)는, 상기 도르래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도르래고정편(230)과, 상기 도르래고정편(230)에서 이격되어 상기 로프(330)가 설치되는 로프고정편(2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르래부(300)는, 상기 도르래고정편(230)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링(310)과, 상기 고정링(310)에 설치되는 도르래(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프(330)는, 상기 로프고정편(240)에서 시작되어 상기 보트(30)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보트(30)의 내측면에서 시작되어 상기 도르래(320)를 지나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각각 1회 감긴 후 상기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기되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1회 감긴 위치는 보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가장자리와 중앙부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전방스토퍼(220)는 상기 전방고정공(222)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전방각도조절공(224)을 통해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트(30)의 양측면의 형상에 맞게 밀착 및 고정되며,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후방고정공(522)는 축으로 하여, 상기 후방각도조절공(524)을 통해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트(30)의 양측면의 형상에 맞게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보트(30)의 전방측은 일부가 상기 전방스토퍼(220)의 일부 통과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00) 상에 고정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보트(30)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전방 양측이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각각 접하고, 후방이 상기 후방롤러(610)에 접하되, 보트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긴 상기 로프(330)에 의해 상기 보트(30)는 후방롤러(610) 측에 접하는 높이가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접하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본 발명은 보트가 차량의 루프에 고정될 때에 보트와 직접 접촉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후방구동부의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가 전방구동부의 전방롤러의 외부높이보다 높게 하여 보트를 지상에 쉽게 내릴 수 있도록 하고, 보트를 차량의 루프에 탑재할 때에 보트와 직접 접촉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방롤러의 외부 높이를 낮게 하여 보트의 탑재를 쉽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보트(30)가 거치될 때, 모터(630)가 구동되는 후방구동부(600)의 후방롤러(610)에 감긴 로프(330)의 횟수가 많고, 전방구동부(400)의 제1전방롤러(410) 및 제2전방롤러(420)에 감긴 로프(330)의 1회 감긴 횟수보다 많고 감긴 위치가 보트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여서, 보트(30)의 저면에서 중앙 부분이 전방측보다 접하는 높이가 높아져서 보트(30)를 차량(10)의 루프패널(20)에서 내릴 때 모터(630) 구동에 의한 구동력을 보트가 온전히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트(30)가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방스토퍼(220)와 후방스토퍼(520)의 각도를 보트(30)의 형상에 맞게 조절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보트(30)의 저면이 전방구동부(400)와 후방구동부(600)에 2군데 접촉된 상태로 차량(10)의 이동 시 노면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보트(30)에 적게 전달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100)에 복수개의 도르래(320)가 설치되고, 도르래(320)는 로프(330)로 보트(30)와 연결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보트(30)를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출력의 모터(630)와 작은 용량의 이동식 배터리로 여러 사람이 아닌 한 사람이 편리하게 보트(30)를 루프패널(20)로 올리거나, 지상으로 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프레임(700)의 후단에서 차량(10)의 후방을 막아주는 지지대(810)가 세워지고, 지지대(810)에는 완충재(820)가 부착되어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보트(30)가 차량(10)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차량(10)과 보트(30)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가 차량(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보트(30)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리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보트(30)를 지상으로 완전히 내린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가 차량(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 보트(30)가 고정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로프(3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고정프레임(100)은 차량(10)의 루프패널(20)에 형성된 루프바(22)에 나사 체결로 견고하게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00)은 전체 형상이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루며, 복수개의 수평바(110)와 수직바(120)로 격자 형상을 이루어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만들어진다.
고정프레임(100)은 수평바(110)와 수직바(1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의 수평바(110)와 수직바(120)가 나사 또는 브라케트로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뒤집힌 보트(30)가 거치된다.
고정프레임(100)에는 전방측에 전방롤러고정구(13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후방롤러고정구(150)가 구비된다. 전방롤러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00)에서 전방측에 4개 설치된다. 전방롤러고정구(130)는 고정프레임(100)에서 좌측에 치우치도록 서로 이격되되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좌측롤러고정구(132)가 설치되고, 우측에 서로 이격되되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우측롤러고정구(134)가 설치된다.
좌측롤러고정구(132)에는 베어링이 내장되어 후술할 전방구동부(400)의 제1전방롤러(410)가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우측롤러고정구(134)에도 베어링이 내장되어 후술할 제2전방롤러(420)가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고정프레임(100) 상에서 좌측롤러고정구(132)와 우측롤러고정구(134) 사이에는 빈공간인 절개부(140)가 형성된다.
후방롤러고정구(150)는 고정프레임(100)에서 후단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방롤러고정구(130)와 대응되도록 4개가 설치된다. 후방롤러고정구(150)에는 베어링이 내장되며, 후술할 후방구동부(600)의 후방롤러(610)가 설치되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한편, 고정프레임(100)의 외측 양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60)이 형성된다. 레일홈(160)에는 후술할 이동프레임(700)의 레일(730)이 끼워진다.
전방고정부(200)는 보트(30)의 전방측 양옆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방고정부(200)는 고정프레임(100)의 선단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되는 전방고정바(210)와, 전방고정바(210) 위에 설치되는 전방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전방고정부(200)는 고정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다. 즉 앞서 설명한 절개부(140)를 중심으로 좌측에 1개, 우측에 1개가 설치된다.
전방고정바(210)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고정프레임(100)의 선단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설계에 따라 고정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방고정바(210)에는 상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전방체결홈(212)이 파여진다.
전방스토퍼(220)는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저면에서 내측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전방고정공(222)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저면에서 전방고정공(222)의 앞에는 호 형상으로 관통되는 전방각도조절공(224)이 관통형성된다. 수직면에도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전방보트고정공(226)이 관통형성된다.
전방스토퍼(220)를 전방고정바(210)의 위에 위치시킨 다음 전방고정공(222)을 전방체결홈(21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체결한다. 그러면 전방스토퍼(220)는 전방고정공(222)을 축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보트(30)의 전방측은 첨단으로 좁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이렇게 각도를 조절하여 보트(30)의 전방측 양옆에 전방스토퍼(2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방보트고정공(226)에 나사를 체결하여 보트(30)의 전방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방고정바(210)의 하부에는 도르래고정편(230)과 로프고정편(240)이 형성된다. 도르래고정편(230)에는 후술할 도르래부(300)가 고정되고, 로프고정편(240)에는 로프(330)의 일측 끝단이 묶여서 고정되며, 로프고정편(240)은 가장자리와 중심부 사이에 위치하여 전방구동부(400)의 전방롤러에 1회 감기는 로프(330)의 위치가 가장자리에서 약간 벗어나 보트와 감긴 로프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도르래부(300)는 전방고정바(210)에 형성된 도르래고정편(2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상에 내려진 보트(30)를 다시 루프패널(20)로 들어올릴 때 사용되는 힘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르래부(300)는 도르래고정편(230)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링(310)과, 고정링(310)에 설치되는 도르래(320)가 포함된다. 도르래부(300)도 좌우측으로 나눠진 전방고정부(200)에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다.
로프(330)는 로프고정편(240)에서 시작되어 보트(30)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보트(30)의 내측면에서 시작되어 도르래(320)를 지나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에 각각 1회 감긴 후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기도록 설치된다. 이때 후방롤러(610)와 결합되는 로프(330)의 끝단은 후방롤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후방롤러의 회전에 위하여 로프가 감길때에 로프(330)와 보트가 직접 접촉되도록 한다.
한편 보트(30) 측으로 연결되는 로프(330)는 보트(30)의 내측에 여러 군데 설치된 로프링(32)에 묶여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방구동부(400)는 후술할 후방구동부(600)와 로프(330)로 연결되어, 후방구동부(6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여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리거나, 지상에서 루프패널(20)로 올릴때 보트(30)에 구동력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방구동부(400)는 원기둥형태로 형성된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로 나뉜다. 제1전방롤러(410)는 선술한 좌측롤러고정구(132)에 설치되고, 제2전방롤러(420)는 우측롤러고정구(134)에 설치된다.
후방고정부(500)는 보트(30)의 후방측 양옆을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후방고정부(500)는 고정프레임(100)의 후단을 가로지르도록 고정되는 후방고정바(510)와, 후방고정바(510) 위에 설치되는 후방스토퍼(520)를 포함한다. 후방고정부(500)는 전술한 전방구동부(400)와 후술할 후방구동부(600)의 사이에 위치한다.
후방고정부(500)는 고정프레임(100)의 좌측과 우측에 1개씩 총 2개가 설치된다. 즉 앞서 설명한 절개부(140)를 중심으로 좌측에 1개, 우측에 1개가 설치된다.
후방고정바(510)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고정프레임(100)의 후단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설계에 따라 고정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방고정바(510)에는 상면에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후방체결홈(512)이 파여진다.
후방스토퍼(520)는 '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저면에서 내측에는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후방고정공(522)이 관통형성된다. 아울러 저면에서 후방고정공(522)의 앞에는 호 형상으로 관통되는 후방각도조절공(524)이 관통형성된다. 수직면에도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후방보트고정공(526)이 관통형성된다.
후방스토퍼(520)를 후방고정바(510)의 위에 위치시킨 다음 후방고정공(522)을 후방체결홈(51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체결한다. 그러면 후방스토퍼(520)는 후방고정공(522)을 축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보트(30)의 후방측도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각도를 조절하여 보트(30)의 후방측 양옆에 전방스토퍼(2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후방보트고정공(526)에 나사를 체결하여 보트(30)의 후방측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전방고정바(210)의 하부에는 도르래고정편(230)과 로프고정편(240)이 형성된다. 도르래고정편(230)에는 후술할 도르래부(300)가 고정되고, 로프고정편(240)에는 로프(330)의 끝단이 묶여서 고정된다.
후방구동부(600)는 고정프레임(100)에서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로프(330)가 연결된 보트(30)를 지상에서 루프패널(20)로 들어올릴 때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릴 때도 사용자가 쉽게 내릴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해준다.
후방구동부(600)는 전술한 후방롤러고정구(15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100)을 가로지르는 후방롤러(610)와, 후방롤러(610)의 중앙에 인접한 곳에 설치되는 모터(630)와, 모터(630)의 축과 후방롤러(610)를 연결해주는 기어박스(620)가 구비된다.
후방롤러(610)의 중앙에 기어박스(620)가 설치되며, 기어박스(620)는 모터(630)의 축과 연결된다. 기어박스(620)는 모터(630)의 회전 축 방향을 후방롤러(61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변경해주는 역할을 한다. 기어박스(620)에는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가 내장되어 후방롤러(610)와 치합될 수 있다.
한편, 모터(630)의 전원 연결은 휴대용 배터리로 연결되며, 12V인 차량의 시거잭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르래(320)가 적용되어 적은 힘으로 보트(30)를 지상에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출력의 모터(630)의 사용이 가능하며, 배터리도 용량이 작은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혼자서도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쉽고 간편하게 지상으로 내리거나, 지상에서 다시 루프패널(20)로 올릴 수 있다.
나아가 모터(630)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정역회전에 따라 보트(30)를 고정프레임(100) 위에서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630)를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며, 컨트롤러는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프레임(700)은 고정프레임(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보트(30)의 길이에 따라 이동프레임(700)을 고정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이동프레임(700)은 보트(30)의 길이에 맞춰서 후단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700)은 각진 '∪'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옆이 고정프레임(100)의 양옆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 이동프레임(700)의 양옆에는 고정프레임(100)의 레일홈(160)과 대응되도록 레일(730)이 돌출되어 있다. 레일(730)이 레일홈(160)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프레임(700)은 고정프레임(100)에서 고정되어 고정프레임(10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동프레임(700)은 후단에 가이드롤러고정구(710)와 지지대고정구(720)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롤러고정구(710)와 지지대고정구(72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배치된다.
가이드롤러고정구(710)에는 원통형의 가이드롤러(740)가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롤러(740)는 보트(30)가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려오거나, 지상에서 루프패널(20)로 올라갈 때 보트(30)가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여, 운동 저항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고정구(720)에는 후술할 지지부(800)의 지지대(810)가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한편, 이동프레임(70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걸림링홈(750)이 형성된다. 걸림링홈(750)에는 두 개의 걸림링(760)이 고정된다. 이때 걸림링(760)은 양옆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걸림링(760)의 위치는 걸림링홈(750) 내에서 보트(30)의 좌우 넓이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이동링(40)은 원형링으로 로프(330)에 삽입되어, 보트(30)가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려지거나, 다시 지상에서 루프패널(20)로 올려질 때 로프(330)에 가이드되어 이동하며, 고정끈에 장력을 제공한다.
이동링(40)에는 고정끈(50)의 시작단이 매듭져 고정된다. 고정끈(50)의 끝단은 걸림링(760)을 관통하여 보트(30)의 후단에 설치된 후단링(34)에 매듭져 고정된다. 그래서 이동프레임(700) 상부에 위치한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릴 때, 고정끈(50)으로 보트(30)가 이동프레임(700)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이때 고정끈(50)은 두 부분으로 나눠져서 걸림링(760)에 앞서도록 제한링(60)이 배치된다. 즉 고정끈(50)은 이동링(400)에서 시작단이 매듭져 고정된 후 제한링(60)에 끝단이 매듭져 고정된다. 그리고 다시 고정끈(50)은 제한링(60)에서 시작단이 매듭져 고정된 후 보트(30)의 후단에 설치된 후단링(34)에 매듭져 고정된다. 이때 걸림링(760)은 제한링(6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고정끈(50)이 걸림링(760)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보트(30)가 지상으로 내려감에 따라 제한링(60)도 이동하다가 걸림링(76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릴 때, 보트(30)가 이동프레임(700)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을 막아준다.
지지부(800)는 이동프레임(700)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릴 때, 보트(30)가 차량(10)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800)는 상단이 지지대고정구(720)에 나사로 체결되고, 하단이 지상에 밀착되는 지지대(810)와, 지지대(810)에 부착되는 완충재(820)를 포함한다.
지지대(8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보트(30)가 차량(10)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해준다. 완충재(820)는 지지대(810)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eps, pe, eva, 스티로폼 또는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다. 완충재(820)는 보트(30)가 지지대(810)로 부딪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트(30)의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보트(30)는 뒤집힌 상태로 고정프레임(100)에 거치되며, 전방고정부(200)와 후방고정부(5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트(30)의 전방측은 첨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전방고정부(200)를 보트(30)의 양측면 형상에 맞게 조절하여 보트(30)의 전방측을 고정해준다.
다시 말해서 전방고정부(200)는 전방고정바(210)에 형성된 전방체결홈(212)을 따라 전방스토퍼(220)를 보트(30)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시킨다. 이때 전방각도조절공(224)을 통해 보트(30)의 유선형 형상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방스토퍼(220)의 각도를 조절해주고, 나사 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아울러 보트(30)의 후방측도 유선형 형태를 취하게 된다. 후방고정부(500)를 통해 보트(30)의 후방측 양측면 형상에 맞게 조절하여 보트(30)의 후방측을 고정해준다.
후방고정부(500)도 전방고정부(200)와 동일한 방법으로 후방스토퍼(520)의 각도를 조절해주고, 보트(30)의 양측면에 밀착시켜 나사 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한편, 고정프레임(100)에 거치된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전방스토퍼(220)와 후방스토퍼(520)와 보트(30)의 측면에 체결된 나사를 풀어주게 된다. 그리고 모터(630)를 작동시켜 보트(30)를 후방으로 서서히 이동시켜준다. 이때 사용자는 보트(30)의 후방을 잡아주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트(30)는 고정프레임(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방고정부(200)와 후방고정부(500)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보트(30)는 로프(330)를 통해서도 고정된 상태가 된다. 후방롤러(610)에 감긴 로프(330)는 보트(3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 로프링(32)에 매듭져 고정된다.
이때 로프(330)는 전방구동부(400)의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에 1회씩 감겨 있는데 반해, 후방구동부(600)의 후방롤러(610)에는 복수 회 감겨 있게 된다. 또한, 전방구동부(400)의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에 1회 감긴 로프의 위치는 루프의 중앙쪽에 있어 보트와 접촉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보트(3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0)에 거치되면, 보트(30)의 하부는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 그리고 후방롤러(610)에 각각 접하게 되는데, 로프(330)의 감긴 횟수의 차이 때문에 보트(30)에서 후방롤러(610) 쪽에 접하는 부분이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를 접하는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그 높이가 높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트(30)의 무게가 분산되게 되고, 후방롤러(610) 쪽에 무게 중심이 더 쏠리게 되므로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내리고자 할 경우 모터(630) 구동에 의한 후방롤러(610)의 구동력을 온전히 받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내릴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트(30)는 선후단이 높고, 가운데로 갈수록 약간의 굴곡져 있기 때문에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긴 로프(330)가 없는 경우, 고정프레임(100) 상에 거 거치된 높이가 동일하면, 루프패널(20)에서 지상으로 보트(30)를 내릴때에 후방구동부(600)의 후방롤러(610)와 강한 접촉이 안되어 마찰력이 작데 됨으로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리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보트(30)를 차량에 탑재할 경우에는 로프가 거의 풀어진 상태이므로 후방롤러(610)에 감긴 로프의 횟수가 적어 후방롤러(610)의 외부높이가 낮게 되어 보트가 처음 접촉할때에 좀더 쉽게 탑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보트(30)는 양측면이 전방스토퍼(220)와 후방스토퍼(5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이 로프(330)가 감긴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 및 후방롤러(610)에 접촉되기 때문에 차량(10)의 이동 시 노면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보트(30)에 적게 전달되게 된다.
나아가 전방구동부(400)가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로 나눠져 있기 때문에 고정프레임(100)에 거치된 보트(30)의 무게가 고르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전방구동부(400)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프(330)에 의해 후방롤러(610)에게 구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잡기가 하나로 합쳐져 있는 경우보다 적은 힘으로 보트(30)의 방향을 쉽게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보트(30)를 지상으로 내리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서 보트(30)를 지상으로 완전히 내린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모터(630)를 조작하여 보트(30)를 이동프레임(700) 측으로 보내게 되면, 보트(30)는 가이드롤러(740)에 다다르게 되고, 보트(30)는 대각선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가이드롤러(740)에 의해 후진으로 움직이는 보트(30)의 운동 저항을 줄여주게 된다. 나아가 가이드롤러(740)를 축으로 사용자는 쉽게 보트(30)를 지상에 세워줄 수 있다.
이때 이동프레임(700)의 내측 양옆에 설치된 걸림링(760)을 두 개의 고정끈(50)이 각각 관통하고 있으며, 고정끈(50)의 끝단이 후단링(34)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트(30)의 후단이 이동프레임(70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보트(30)가 이동프레임(700)의 후단으로 이동하면서 로프(330)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로프(330)가 팽팽하게 당겨짐에 따라 이동링(40)에 가해지는 보트(30)의 하중이 로프(330)에 의해 일정 부분 지지될 수 있다.
이동링(40)은 로프(330)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움직이게 된다. 아울러 보트(30)가 지상에 다다르면 고정끈(50)에 위치한 제한링(60)이 걸림링(760)을 통과하지 못하게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트(30)를 루프패널(20)에서 내리고자 할 경우 별도로 보트(30)를 잡아주지 않고도 보트(30)를 편리하게 지상으로 내릴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바닥이 평평하지 않을 경우에만 보트(30)를 잡아 보트(30)가 지상에 세워준 후, 보트(30)를 눕혀주게 된다. 이후 보트(30)에 연결된 로프(330)와 고정끈(50)을 풀어준 후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하게 된다.
보트(30)를 다시 루프패널(20)로 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로프(330)와 고정끈(50)을 먼저 보트(30)에 연결한 후 후방구동부(600)를 조작한다. 후방구동부(600)에 의해 로프(330)가 서서히 감기면서 보트(30)는 루프패널(20)로 쉽게 올라갈 수 있다.
10 : 차량
20 : 루프패널 22 : 루프바
30 : 보트 32 : 로프링 34 : 후단링
40 : 이동링 50 : 고정끈 60 : 제한링
100 : 고정프레임
110 : 수평바 120 : 수직바
130 : 전방롤러고정구 132 : 좌측롤러고정구 134 : 우측롤러고정구
140 : 절개부 150 : 후방롤러고정구 160 : 레일홈
200 : 전방고정부
210 : 전방고정바 212 : 전방체결홈
220 : 전방스토퍼
222 : 전방고정공 224 : 전방각도조절공 226 : 전방보트고정공
230 : 도르래고정편 240 : 로프고정편
300 : 도르래부
310 : 고정링 320 : 도르래 330 : 로프
400 : 전방구동부
410 : 제1전방롤러 420 : 제2전방롤러
500 : 후방고정부
510 : 후방고정바 512 : 후방체결홈
520 : 후방스토퍼
522 : 후방고정공 524 : 후방각도조절공 526 : 후방보트고정공
600 : 후방구동부
610 : 후방롤러 620 : 기어박스 630 : 모터
700 : 이동프레임
710 : 가이드롤러고정구 720 : 지지대고정구 730 : 레일
740 : 가이드롤러 750 : 걸림링홈 760 : 걸림링
800 : 지지부
810 : 지지대 820 : 완충재

Claims (10)

  1. 차량(10)의 루프패널(20)에 설치되며, 상부에 보트(30)가 거치되는 고정프레임(1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트(30)의 전방측 양옆면을 고정하며 로프(330)의 끝단 일측이 가장자리와 중앙부 사이에 고정되는 전방고정부(2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로프(330)로 상기 보트(30)와 연결되어, 상기 보트(30)를 지상에서 상기 루프패널(20)로 들어올리는 도르래부(3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전방측에서 상기 전방고정부(200) 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보트(30)와 접촉되어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보트(3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운동 저항을 줄여주는 전방구동부(4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트(30)의 후방측 양옆면을 고정해주는 후방고정부(500);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방측에서 상기 후방고정부(500) 보다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보트(30)와 접촉되어 제자리 회전하면서 상기 보트(30)의 전진 또는 후진 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330)의 끝단 일측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후방구동부(600);
    상기 전방고정부(200)와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간격이 벌어져서 상기 보트(30)의 길이에 따라 후단의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프레임(700); 및
    상기 이동프레임(700)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밑면이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보트(30)가 지상으로 내려갈 때 상기 보트(30)가 상기 차량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지지부(800);를 포함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전방측에 전방롤러고정구(130)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롤러고정구(130)는, 전방측에서 상기 전방고정부(200) 보다 후방측에서 좌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좌측롤러고정구(132)와, 우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우측롤러고정구(134)와, 상기 좌측롤러고정구(132)와 상기 우측롤러고정구(134)의 사이에 절개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구동부(400)는,
    제1전방롤러(410)와 제2전방롤러(420)로 나뉘되, 상기 제1전방롤러(410)는 상기 좌측롤러고정구(132)에 설치되고, 상기 제2전방롤러(420)는 상기 우측롤러고정구(134)에 설치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2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선단에 고정되며, 전 길이에 걸쳐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전방체결홈(212)이 형성된 전방고정바(210)와, 'ㄴ'형상으로 저면에 상기 전방고정바(210)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체결홈(212)과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전방고정공(222)과, 상기 전방고정공(222)보다 앞선 위치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전방각도조절공(224)과, 수직면에 상기 보트(30)의 양면에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전방보트고정공(226)이 형성된 전방스토퍼(220)를 더 포함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상기 후방고정부(500) 보다 후단에 배치되어, 동일 선상에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후방롤러고정구(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구동부(600)는,
    상기 후방롤러고정구(15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후방롤러(610)와, 상기 후방롤러(610)의 중앙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630)와, 상기 모터(630)와 상기 후방롤러(610)를 연결해주어 상기 모터(630)의 축 회전 방향을 수직으로 변환해주어 상기 후방롤러(610)를 회전시켜주는 기어박스(620)를 더 포함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800)는,
    상기 이동프레임(700)의 후단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밑면이 지면에 지지되어 상기 보트(30)가 지상으로 내려갈 때, 상기 보트(30)가 상기 차량(10)에 접촉되는 것을 막아주는 지지대(810)와, 상기 지지대(810)의 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보트(30)가 상기 지지대(810)에 접촉될 때 완충 작용을 해주는 완충재(820)를 더 포함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700)은,
    각진 '∪'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레일(730)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60)에 끼워져 전후 왕복 이동 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고정부(500)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전방구동부(400)의 후단에 고정되며, 전 길이에 걸쳐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후방체결홈(512)이 형성된 후방고정바(510)와, 'ㄴ'형상으로 저면에 상기 후방고정바(510)에 설치되며, 상기 후방체결홈(512)과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후방고정공(522)과, 상기 후방고정공(522)보다 앞선 위치에서 호 형상으로 천공되는 후방각도조절공(524)과, 수직면에 상기 보트(30)의 양면에 나사체결되도록 천공되는 후방보트고정공(526)이 형성된 후방스토퍼(520)를 더 포함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부(200)는,
    상기 도르래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도르래고정편(230)과, 상기 도르래고정편(230)에서 이격되어 상기 로프(330)가 설치되는 로프고정편(2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르래부(300)는,
    상기 도르래고정편(230)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고정링(310)과, 상기 고정링(310)에 설치되는 도르래(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로프(330)는,
    상기 로프고정편(240)에서 시작되어 상기 보트(30)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상기 보트(30)의 내측면에서 시작되어 상기 도르래(320)를 지나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각각 1회 감긴 후 상기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기되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1회 감긴 위치는 보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가장자리와 중앙부 사이에 위치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스토퍼(220)는 상기 전방고정공(222)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전방각도조절공(224)을 통해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트(30)의 양측면의 형상에 맞게 밀착 및 고정되며,
    상기 후방스토퍼(520)는 상기 후방고정공(522)는 축으로 하여, 상기 후방각도조절공(524)을 통해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보트(30)의 양측면의 형상에 맞게 밀착 및 고정되되,
    상기 보트(30)의 전방측은 일부가 상기 전방스토퍼(220)의 일부 통과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00) 상에 고정되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30)는 뒤집어진 상태에서 전방 양측이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각각 접하고, 후방이 상기 후방롤러(610)에 접하되,
    보트가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롤러(610)에 복수 회 감긴 상기 로프(330)에 의해 상기 보트(30)는 후방롤러(610) 측에 접하는 높이가 상기 제1전방롤러(410)와 상기 제2전방롤러(420)에 접하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1020170090523A 2017-07-17 2017-07-17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KR10195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23A KR101950452B1 (ko) 2017-07-17 2017-07-17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23A KR101950452B1 (ko) 2017-07-17 2017-07-17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50A KR20190008750A (ko) 2019-01-25
KR101950452B1 true KR101950452B1 (ko) 2019-02-20

Family

ID=6528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23A KR101950452B1 (ko) 2017-07-17 2017-07-17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7912B (zh) * 2022-02-23 2024-01-26 湖南六九零六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皮划艇用车顶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4788A (en) * 1980-01-17 1981-06-23 Sutton Luther M Vehicle mounted carriage and elevating apparatus
US4439086A (en) * 1982-07-01 1984-03-27 Thede Ralph W Boat loader
JPS60135348A (ja) * 1983-12-21 1985-07-18 Makihiko Oohashi 自動車ル−フ部の貨物積載装置
KR980007622U (ko) 1996-07-24 1998-04-30 김위준 자동차 이동용 조립식 소형보트 선좌장치
KR20170056291A (ko) 2015-11-13 2017-05-23 백일기 루프캐리어의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750A (ko)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893B2 (en) Motorcycle lift device
US5311970A (en) Low-profile watercraft lift
KR101950452B1 (ko) 보트 이동을 위한 차량용 루프 캐리어
US4771722A (en) Floatable watercraft with stabilizing frame
CA2943421C (en) Watercraft lift and automatic watercraft cover
US5281077A (en) Portable watercraft lift
US20050100422A1 (en) Vehicle support frame
CA2996212C (en) Rear loading, drop down ladder rack system & method of use
US9932209B2 (en) Vehicle top lift and storage system
US7354236B1 (en) Apparatus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motorcycles and other cargo into transporting vehicles
US6029598A (en) Trailerable houseboat/camper with removable pontoons
US5839851A (en) Personal watercraft lift
US7465144B1 (en) Adjustable winch and pulley system
CA3135246A1 (en) Vehicle lift for mobility device
KR101062027B1 (ko) 장력 조절형 어선 인양기
US20080093878A1 (en) Tarpaulin for variable sized loads
KR101974732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WO2008086584A1 (en) Side curtain for truck and trailer bodies
US10906772B1 (en) Automatic watercraft cover and receiving system
EP2450233B1 (fr) Lit(s) relevable(s) et superposable(s) faisant partie intégrante d'un véhicule de camping adapté
KR20240000115U (ko) 자동차 루프에 설치되는 승하강장치
EP1819547A1 (en) Floating vehicle support deck
CN216377252U (zh) 一种建筑施工用的拔杆吊机
CN220314982U (zh) 承载装置及轨道交通系统
US20230256890A1 (en) Suspended support structure, in particular bed structure,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